구포역 (한국철도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포역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철도역으로, 1905년 운전간이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역사 신축과 노선 변화를 거쳤다. 1993년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로 큰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남도해양열차 등이 정차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도 운행된다. 주변에는 구포시장, 부산북부경찰서, 구포역 (도시철도) 등이 위치해 있으며, 환승을 위한 보행자 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북구의 건축물 - 화명역 (한국철도공사)
화명역은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에 있는 역으로, 1999년 신호장으로 시작하여 2001년 여객 취급을 개시했으며, 2면 5선의 혼합식 승강장과 1개의 개찰구 및 출입구를 갖추고 있다. - 부산 북구의 건축물 - 산성터널
산성터널은 부산광역시 북구와 금정구를 연결하는 터널로, 2018년 9월 개통되어 유료로 운영되며, 장전지하차도 및 윤산터널과 연결되고 부산 버스 노선이 경유한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역 - 부산역
부산역은 1908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 철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으며, 여러 차례 재건축과 2004년 KTX 개통에 따른 리모델링을 거쳐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현재는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역 - 사상역 (한국철도공사)
사상역은 1921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경부선과 가야선 열차가 정차하며,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이 가능한 역이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는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과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을 잇는 총 길이 48.8km, 왕복 4차로의 고속국도 제600호선으로, 부산과 김해를 연결하고 동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지역 교통망을 효율적으로 연결한다.
구포역 (한국철도공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구포역 |
한자 표기 | 龜浦驛 |
로마자 표기 | Gupoyeok |
주소 | 구포동, 부산 북구 |
국가 | 대한민국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철도 노선 | 경부선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
선로 수 | 4선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2급 |
관리역 | 구포관리역 |
영업 거리 | 서울역 기점 425.2 km |
스탬프 비치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노선 정보 | |
경부선 | 이전 역: 화명 (3.4km) 다음 역: 사상 (5.1km) |
경부 KTX | 이전 역: 밀양 다음 역: 부산 |
2. 역사
1905년 7월 10일 한국철도공사 구포역이 개업하였다.[3] 1985년 12월 30일 현재 역사가 준공되었고,[3] 1993년 3월 28일에는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가 발생하였다. 2006년 11월 15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3]
2. 1. 한국철도공사 구포역
- 1905년 1월 1일: 운전간이역으로 영업 개시[3]
- 1985년 12월 30일: 현 역사 신축 준공[3]
- 1989년 4월 16일: 구포-해운대 간 동서통근열차 운행 개시
- 1991년 1월 7일: 부산진역에 편입
- 1993년 3월 28일: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 발생
- 2002년 12월 2일: 동서통근열차 폐지
- 2004년 4월 1일: KTX 운행 개시[3]
- 2006년 11월 15일: 화물 취급 중지[3]
-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개통으로 KTX 정차 횟수 대폭 감소
- 2013년 9월 27일: 남도해양열차 정차 개시
-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 개시
-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철도 개통 및 동해선 KTX 운행으로 KTX 감편
- 2016년 10월 5일: 제18호 태풍 차바로 인한 삼랑진역~물금역 구간 산사태로 인하여 임시 운행 중단
-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 개시
- 2025년 1월 1일: 누리로 운행 종료 (예정)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의 구포역은 일반 철도 경유 한국고속철도(KTX)와 ITX-새마을, 경부선을 통해 영주선·동해선 방면으로 직결 운행하는 무궁화호, 경전선 방면으로 직결 운행하는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가 정차한다.
2. 2. 부산교통공사 구포역
2005년 11월 18일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3. 역 구조
승강장은 2면 5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3. 1. 한국철도공사 구포역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상의 지상역이다. 1905년 7월 10일에 영업을 시작했으며,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만세길 82 (구포동)에 있다. 관리역이자 2급역으로,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가 정차한다.개찰구는 1곳, 출입구는 1곳이 있으며, 2면 5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각 승강장은 과선교로 연결되어 있다.
3. 1. 1. 승강장
구포역 승강장은 2면 5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1 | 사용하지 않음 |
---|---|
2 | 경부선 KTX/ITX-새마을/ITX-마음/무궁화호 (목포, 진주, 동대구, 대전, 서울 방면) |
3 | 경부선 KTX/ITX-새마을/ITX-마음/무궁화호 (부전, 부산 방면) |
4 | 사용하지 않음 |
5 | 경전선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
3. 2. 부산교통공사 구포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별로 설치되어 있어 개찰구 내에서 승강장 간 이동은 불가능하다. 개찰구 밖 대합실에는 낙동강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무료 망원경이 비치되어 있다. 출입구는 1번과 3번 두 곳이 있다.
3. 2. 1. 승강장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상대식 2면 2선을 갖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이용 현황
구포역은 한국철도공사와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하는 두 개의 역이 있으며, 각각의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구분 | 승차/하차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합계 |
---|---|---|---|---|---|---|---|
2001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480 | 61,199 | 12,581 | 79,452 |
하차 | 미개통 | 296,988 | 1,205,800 | 65,211 | 1,645,161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311,679 | 1,469,702 | 63,176 | 1,922,233 | |
하차 | 미개통 | 832 | 66,511 | 97,385 | 170,032 | ||
2002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340 | 41,632 | 8,354 | 55,590 |
하차 | 미개통 | 310,498 | 1,103,479 | 57,238 | 1,536,195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329,388 | 1,320,344 | 56,434 | 1,774,198 | |
하차 | 미개통 | 1,921 | 50,697 | 68,861 | 126,763 | ||
2003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277 | 30,508 | 1,425 | 34,533 |
하차 | 미개통 | 319,106 | 1,101,502 | 48,287 | 1,528,338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347,696 | 1,290,300 | 55,368 | 1,755,305 | |
하차 | 미개통 | 760 | 34,827 | 4,166 | 42,261 | ||
2004년 | 하행 | 승차 | 1,175 | 830 | 19,741 | 339 | 22,085 |
하차 | 384,461 | 277,089 | 977,197 | 14,701 | 1,653,448 | ||
상행 | 승차 | 404,775 | 328,105 | 1,055,707 | 13,545 | 1,802,132 | |
하차 | 354 | 1,722 | 22,276 | 703 | 25,055 | ||
2005년 | 하행 | 승차 | 3,382 | 1,065 | 16,519 | 50 | 21,016 |
하차 | 851,799 | 205,490 | 946,337 | 4,361 | 2,007,987 | ||
상행 | 승차 | 860,774 | 267,977 | 944,712 | 6,374 | 2,079,837 | |
하차 | 1,247 | 1,368 | 18,843 | 85 | 21,543 |
연도 | 일일 평균 승차 인원 |
---|---|
2005년 | 2,373명 |
2006년 | 2,741명 |
2007년 | 3,058명 |
2008년 | 3,463명 |
2009년 | 3,577명 |
2010년 | 3,677명 |
2011년 | 3,577명 |
2012년 | 3,760명 |
2013년 | 3,752명 |
2014년 | 3,863명 |
2015년 | 3,874명 |
4. 1. 한국철도공사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으로 KTX 정차 횟수가 크게 줄었으나, 부산 시내에서는 부산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7]연도 | 구분 | 승차/하차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합계 |
---|---|---|---|---|---|---|---|
2001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480 | 61,199 | 12,581 | 79,452 |
하차 | 미개통 | 296,988 | 1,205,800 | 65,211 | 1,645,161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311,679 | 1,469,702 | 63,176 | 1,922,233 | |
하차 | 미개통 | 832 | 66,511 | 97,385 | 170,032 | ||
2002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340 | 41,632 | 8,354 | 55,590 |
하차 | 미개통 | 310,498 | 1,103,479 | 57,238 | 1,536,195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329,388 | 1,320,344 | 56,434 | 1,774,198 | |
하차 | 미개통 | 1,921 | 50,697 | 68,861 | 126,763 | ||
2003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277 | 30,508 | 1,425 | 34,533 |
하차 | 미개통 | 319,106 | 1,101,502 | 48,287 | 1,528,338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347,696 | 1,290,300 | 55,368 | 1,755,305 | |
하차 | 미개통 | 760 | 34,827 | 4,166 | 42,261 | ||
2004년 | 하행 | 승차 | 1,175 | 830 | 19,741 | 339 | 22,085 |
하차 | 384,461 | 277,089 | 977,197 | 14,701 | 1,653,448 | ||
상행 | 승차 | 404,775 | 328,105 | 1,055,707 | 13,545 | 1,802,132 | |
하차 | 354 | 1,722 | 22,276 | 703 | 25,055 | ||
2005년 | 하행 | 승차 | 3,382 | 1,065 | 16,519 | 50 | 21,016 |
하차 | 851,799 | 205,490 | 946,337 | 4,361 | 2,007,987 | ||
상행 | 승차 | 860,774 | 267,977 | 944,712 | 6,374 | 2,079,837 | |
하차 | 1,247 | 1,368 | 18,843 | 85 | 21,543 |
4. 2. 부산교통공사
연도 | 일일 평균 승차 인원[5] |
---|---|
2005년 | 2373 |
2006년 | 2741 |
2007년 | 3058 |
2008년 | 3463 |
2009년 | 3577 |
2010년 | 3677 |
2011년 | 3577 |
2012년 | 3760 |
2013년 | 3752 |
2014년 | 3863 |
2015년 | 3874 |
5. 역 주변
- 구포시장
- 부산북부경찰서 구포1치안센터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명역
- 구포대교
- 낙동강
- 구포1동 주민센터
- 구포2동 주민센터
- 아시아극장
- 부산구포동우체국
- 가람중학교
- 진여사

한국철도공사역 앞에는 도로에 면한 광장이 있다. 광장과 부산교통공사역 사이에 도로를 가로지르는 환승용 보행자 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6. 사건 및 사고
구포역에서는 열차 전복 사고 등 여러 사건 및 사고가 발생했다.
6. 1.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
1993년 3월 28일, 구포역 인근에서 무인가 발파 작업으로 인한 선로 노반 침하로 열차 전복 사고가 발생하여 78명이 사망하고 198명이 부상당했다.[1] 이 사고는 당시 철도청과 삼성종합건설의 안전 불감증이 빚어낸 참사로 기록되고 있으며, 특히 삼성종합건설은 사고 직후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여 국민들의 공분을 샀다.[1] 이 사고를 계기로 철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으며,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7. 인접한 역
(구포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