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제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1995년 동래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다. 기원전 5세기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신라 시대에는 동래군에 속했다. 1957년 부산시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 연산동과 거제동을 관할 구역으로 하여 연제구로 승격되었다. 부산시청, 부산시의회, 부산지방경찰청 등 주요 기관이 위치하며, 부산 도시철도 1호선, 3호선, 동해선이 지나간다. 온천천 시민공원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등 문화 시설이 있으며, 봉화군, 보성군, 상파울루, 사가시, 황푸구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연제구의 행정 구역 - 연산동 (부산)
연산동은 부산광역시 연제구에 속하며, 부산광역시청 등 주요 행정 시설과 부산경상대학교, 편의 시설 및 주거 시설이 위치해 있다. - 부산 연제구 - 연제도서관
연제도서관은 구내식당이 없는 도서관으로 2014년 7월 17일에 개관했다. - 부산 연제구 - 부산광역시립연산도서관
부산광역시립연산도서관은 1986년 설립되어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지역 주민의 정보 접근성 향상과 독서 문화 확산에 기여하는 연제구의 도서관이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연제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연제구 |
원어 이름 | 연제구 |
한자 표기 | 蓮堤區 |
로마자 표기 | Yeonje-gu |
맥큔-라이샤워 표기 | Yŏnje-ku |
위치 | 영남 부산 |
하위 행정 구역 | 13개 행정동 |
면적 | 12.08 |
인구 | 212,400 (2024년) |
인구 밀도 | auto |
방언 | 경상도 |
웹사이트 | 연제구청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부산광역시 |
구청장 | 주석수 |
구청장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이주환 |
국회의원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상징 | |
구목 | 소나무 |
구화 | 연꽃 |
구조 | 황새 |
상징 동물 | 솔이와 연이 |
기타 정보 | |
행정 구역 코드 | (정보 없음) |
2. 역사
1957년 1월 1일 부산시의 구제 실시로 동래구에 편입되었다. 1995년 3월 1일 동래구에서 분리되어 연산 1~9동, 거제 1~4동을 관할하는 연제구가 신설되었다. 연제구라는 이름은 연산동의 '연(蓮)'과 거제동의 '제(堤)'자를 따서 붙여졌다.[6][7]
1998년 부산시청이 연산동으로 이전하면서 연제구는 부산의 행정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같은 해 부산광역시의회, 부산지방경찰청이 연산 5동으로 이전하였다. 부산지방노동청, 부산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가 시청 맞은편으로 이전하였고, 동남지방통계청도 인근에 자리를 잡았다. 거제동에는 부산지방검찰청, 부산고등검찰청, 부산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부산가정법원이 이전하여 법조타운을 형성하였다. 이 외에도 부산지방우정청,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사무소, 부산시소방본부 등 주요 기관들이 연제구에 위치하고 있다.[6]
2. 1. 조선시대 이전
기원전 5세기 청동기시대의 유물인 마제석검이 사직동, 거제동 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다.[5] 삼한시대를 거쳐 거칠산국의 중심이었다가, 신라 탈해왕 때 거도에 의해 정벌되어 병합되었고, 505년 지증왕 6년 거칠산군이 되었다. 이후 통일신라 757년 경덕왕 16년 지방 행정제도를 동래군으로 개명하였으며, 고려 현종 9년 동래현이 되었다가 조선 태조 6년 동래진, 조선 명종 2년 동래도호부, 조선후기에 동래도호부 서면에 소속되어 있었다.[5]2. 2. 일제강점기
- 1910년 10월 1일: 동래부를 부산부로 명칭 변경(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공포)[5]
- 1914년 4월 1일: 동래군 설치(동래군 동래면 연산리, 거제리)[5]
- 1931년 4월 1일: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읍 연산리, 거제리[5]
- 1942년 10월 1일: 경상남도 부산부에 편입[5]
2. 3. 해방 이후 ~ 연제구 신설 이전
1946년 10월 1일 부산부 동래출장소 관할의 연산리, 거제리가 설치되었다.[6] 1949년 8월 15일 부산부를 부산시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경상남도 부산시 연산동, 거제동이 되었다.[6] 1957년 1월 1일 부산시의 구제 실시로 동래구에 편입되었다.[6]이후 여러 차례 행정동 분동이 이루어졌다.
일자 | 내용 |
---|---|
1966년 1월 1일 | 연산제2동을 연산제2, 3동으로 분동 |
1970년 7월 1일 | 거제동을 거제제1~3동으로, 연산제2동을 연산제2, 4동으로 분동 (부산시 조례 제465호) |
1975년 10월 1일 | 연산제2동을 연산제2, 5동으로 분동 (부산시 조례 제810호) |
1979년 8월 8일 | 거제제3동을 거제제3, 4동으로, 연산제3동을 연산제3, 6동으로, 연산제4동을 연산제4, 7동으로 분동 (부산시 조례 제1360호) |
1982년 9월 1일 | 연산제1동을 연산제1, 8동으로 분동 (부산시 조례 제1757호) |
1985년 12월 1일 | 연산제8동을 연산제8, 9동으로 분동 (부산시 조례 제2095호) |
1988년 5월 1일 자치구제가 실시되었고,[6]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동래구 연산제1~9동, 거제제1~4동이었다.[6]
2. 4. 연제구 분구 이후
1995년 3월 1일 동래구에서 분리되어 연산 1~9동, 거제 1~4동을 관할하는 '''연제구'''가 신설되었다.[6][7] 연제구라는 이름은 연산동의 '연(蓮)'과 거제동의 '제(堤)'자를 따서 붙여졌다.1998년 부산시청이 연산동으로 이전하면서 연제구는 부산의 행정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같은 해 부산광역시의회, 부산지방경찰청이 연산 5동으로 이전하였다. 부산지방노동청, 부산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가 시청 맞은편으로 이전하였고, 동남지방통계청도 인근에 자리를 잡았다. 거제동에는 부산지방검찰청, 부산고등검찰청, 부산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부산가정법원이 이전하여 법조타운을 형성하였다. 이 외에도 부산지방우정청,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사무소, 부산시소방본부 등 주요 기관들이 연제구에 위치하고 있다.[6]
2008년 3월 1일 연산 6동, 7동이 연산 6동으로 통합되었다.
3. 행정 구역
연제구는 2개의 법정동(연산동, 거제동)과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8]
3. 1. 행정동 목록
2011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연제구의 행정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8]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거제1동 | 巨堤1洞 | 0.89km2 | 10,624 | 31,017 |
거제2동 | 巨堤2洞 | 1.83km2 | 6,504 | 17,911 |
거제3동 | 巨堤3洞 | 0.62km2 | 4,665 | 12,115 |
거제4동 | 巨堤4洞 | 0.86km2 | 4,095 | 11,561 |
연산1동 | 蓮山1洞 | 0.85km2 | 6,010 | 16,564 |
연산2동 | 蓮山2洞 | 1.51km2 | 6,561 | 15,251 |
연산3동 | 蓮山3洞 | 0.59km2 | 5,007 | 11,846 |
연산4동 | 蓮山4洞 | 0.92km2 | 7,482 | 18,194 |
연산5동 | 蓮山5洞 | 0.52km2 | 5,159 | 10,853 |
연산6동 | 蓮山6洞 | 1.16km2 | 7,464 | 17,589 |
연산8동 | 蓮山8洞 | 0.7km2 | 4,625 | 11,378 |
연산9동 | 蓮山9洞 | 1.63km2 | 13,809 | 39,852 |
연제구는 연산동, 거제동 2개의 법정동과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4. 인구
1995년 연제구 분구 당시 24만 명이 넘었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0년에는 20만 명 수준으로 감소했다. 2015년에는 소폭 증가하였으나, 이후 다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5. 주요 기관
6. 교통
한국철도공사 동해선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연제구를 지난다. 동해선은 거제해맞이역, 거제역, 교대역을 지나고, 1호선은 시청역, 연산역, 교대역을, 3호선은 배산역, 물만골역, 연산역, 거제역, 종합운동장역을 지난다.
6. 1.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시청역(연제), 연산역, 교대역을 지난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배산역, 물만골역, 연산역, 거제역, 종합운동장역을 지난다. 동해선 광역전철은 거제해맞이역, 거제역, 교대역을 지난다.노선 | 역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시청역(연제), 연산역, 교대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배산역, 물만골역, 연산역, 거제역, 종합운동장역 |
동해선 광역전철 | 거제해맞이역, 거제역, 교대역 |
7. 교육
학교 종류 | 학교 이름 |
---|---|
대학교 | 부산교육대학교, 부산경상대학교 |
고등학교 | 이사벨고등학교, 연제고등학교, 지구촌고등학교, 부산외국어고등학교, 계성여자상업고등학교 |
중학교 | 거성중학교, 거제여자중학교, 연산중학교, 연일중학교, 연제중학교, 연천중학교, 이사벨중학교, 토현중학교 |
초등학교 | 거제초등학교, 거학초등학교, 과정초등학교, 남문초등학교, 동명초등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연동초등학교, 연미초등학교, 연산초등학교, 연서초등학교, 연신초등학교, 연일초등학교, 연제초등학교, 연천초등학교, 창신초등학교, 토현초등학교 |
특수학교 | 동암학교, 두레학교 |
8. 문화
금정산 범어사 계명봉 아래 계곡에서 발원하는 온천천은 금정구, 동래구, 연제 3개구를 통과해서 약 14.1km를 흐르다가 수영하수종말처리장 부근에서 수영강과 합류한다. 각종 쓰레기와 악취로 버려진 온천천을 연제구에서 1998년 공공근로사업을 통해 자연친화형 하천으로 복원하고, 둔치에는 자전거 도로를 비롯한 22종의 각종 시설물과 넓은 잔디밭, 6600m2의 화단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목과 야생화로 단장하여 도심속 주민 휴식공간으로 조성하였다.[9]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은 2002년 아시안게임의 주경기장 및 월드컵 경기장으로 활용되었다. 현재는 K리그 클래식의 부산 아이파크가 홈구장으로 쓰고 있다. 구단 측은 축구전용구장과 같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2008년 K리그부터 동쪽과 북쪽 스탠드 방향 육상 트랙 위에 가변좌석을 설치하여 활용하고 있지만, 2014년부터 '아시아송 페스티벌' 및 '부산아시아원페스티벌' 등 지역별 특색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1986년 이윤택의 연희단거리패에 의해 광복동 현 조은극장2관 자리에 설립되었던 가마골소극장이 2009년 거제동 치과의사신협 건물 지하1층으로 옮겨온 것이 한결아트홀의 시초이다. 애초 가마골소극장이 지역 문화계에서 갖는 위상이 컸기에 거제동으로 확장 이전해 온 가마골은 더 흥성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연희단거리패의 연극이 다소 어렵다는 인식이 팽배하고, 거대자본 기획사를 앞세운 질 낮은 상업 기획연극에 밀리게 되자 자존심이 상한 이윤택은 2012년 돌연 폐관을 선언하고 2013년 1월 폐막공연 '오구'를 마지막으로[10] 밀양연극촌으로 철수하고 말았다. 이후 가마골소극장의 공동대표였던 김성배가 연희단거리패와는 별개로 같은 자리에 한결아트홀을 세워 그 명맥을 잇고 있는데, 종종 가마골소극장때의 공연 레퍼토리를 다시 상연하기도 한다.
9.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웹사이트
연제구 연혁
http://www.yeonje.go[...]
2013-06-07
[6]
웹사이트
연제의 어제와 오늘
http://www.yeonje.go[...]
2013-06-07
[7]
법률
법률 제4802호, 구 행정구역 동래구 연산동,거제동 → 신 행정구역 연제구 연산동,거제동
[8]
웹사이트
제17회 2012년 통계연보
http://www.yeonje.go[...]
연제구청
2014-02-25
[9]
웹사이트
온천천 소개
http://culture.yeonj[...]
연제구 문화관광
2013-06-06
[10]
뉴스
가마골의 마지막 굿 잔치 '오구'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2-12-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공무원 사칭 견적 문의…부산서 사기 미수 잇달아
“부산 온천천 새끼 두꺼비 로드킬 막는데 힘 좀 보태주이소”
부산 ‘아시아드 라인’ 따라 확장되는 고급 주거 벨트…쌍용건설, ‘쌍용 더 플래티넘 동래 아시아드’ 4월 분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