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안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안군 (1948년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안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이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고창군·부안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조재면, 최병주, 신규식, 송을상, 이병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안군의 정치 - 고창군·부안군 (2000년 선거구)
    고창군·부안군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과 부안군이 통합되어 신설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하다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부안군의 정치 - 부안군수 선거
    부안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부안군수를 선출하는 선거로, 민선 시대에 다양한 정당과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하며 지역 정치의 흐름과 민심을 반영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을 선거구는 1958년 신설되어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가 편입되기도 했으나 1973년 동대문구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부안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부안군
의회국회
큰 지도전라북도
연도1948년
폐지197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고창군·부안군
의원 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안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 선거구와 통합, 고창군·부안군 선거구가 신설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부안군 선거구 설치 (1948년)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안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2. 2. 고창군 선거구와 통합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고창군·부안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wikitext


3. 1. 제헌 국회 ~ 제8대 국회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전라북도 부안군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조재면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조재면대한독립촉성국민회19,09840.46%
김형일한국민주당12,29826.05%
신일용한국민주당7,55015.99%
김수현무소속4,4609.44%
백남기한국민주당2,7435.81%
조기정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1,0482.22%
신영발대한독립촉성국민회00%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최병주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최병주무소속14,01729.16
신규식무소속10,26221.35
김형일무소속10,24321.31
신일용무소속6,07012.62
허연욱무소속3,5927.47
류해진무소속1,9964.15
조기승대한노동총연맹1,8853.92
합계48,065100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신규식 후보가 37.64%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신규식무소속18,05637.64
신기원자유당12,86026.81
김형표무소속12,20325.44
조기승민주국민당4,84010.09
합계47,959100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신규식 후보가 재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규식자유당26,12449.34
김용대민주당195515,44629.17
신기원무소속11,37421.48
합계52,944100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부안군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송을상 후보가 19.4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송을상민주당10,54519.40
김용대민주당10,40819.15
김종태무소속9,16016.85
신기원무소속9,15016.83
고봉조무소속7,02312.92
이병옥무소속4,0397.43
조기승무소속2,2204.08
백남기무소속1,8033.31
합계54,348100


4. 6.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는 1963년에 치러졌으며,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총 76,667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했다. 선거 결과, 민주공화당 소속의 이병옥 후보가 15,306표(32.63%)를 얻어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병옥민주공화당15,30632.63%
김용대민정당15,27532.56%
박용기보수당7,00014.92%
김완규민주당6,18413.18%
임균석정민회1,6313.47%
조기승추풍회1,5103.21%
총 득표수46,906colspan="2" |


4. 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부안군 선거 결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병옥민주공화당34,70959.69%
김용대신민당17,43029.97%
이희천자유당3,9526.79%
안의남대중당1,6602.85%
이재환민주당3920.67%
합계58,143100%


4. 8.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이병옥 후보가 3선에 성공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병옥민주공화당33,37858.96
이희천신민당22,28039.35
김세곤통일사회당6631.17
임균석대중당2860.50
합계56,607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