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에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에아는 카메룬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붐보코 지역에서 온 사냥꾼에 의해 건설되었다. 카메룬 산 동쪽 사면에 위치하며, 1901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령 카메룬의 수도였고, 1949년부터 1961년까지 영국령 남카메룬의 수도였다. 2017년에는 암바조니아 연방 공화국에 의해 수도로 선언되었으나,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세력과 카메룬 정부군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 부에아는 카메룬 최초의 영어권 대학교인 부에아 대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차 재배와 기술 허브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메룬의 도시 - 두알라
두알라는 카메룬 최대 도시이자 경제 중심지로, 대서양 연안에 위치하며 노예 무역 중심지, 독일 보호령 수도를 거쳐 프랑스 위임 통치, 카메룬 독립 후 경제 도시로 발전하여 식민지 시대 건축 양식과 현대 건축물이 공존하고 교육, 교통 시설을 갖춘 해양 역사와 현대 미술이 공존하는 도시이다. - 카메룬의 도시 - 림베
카메룬 남서부의 항구 도시 림베는 1858년 건설되어 영국과 독일의 지배를 받았으며 석유 산업과 관광 산업의 중심지로서 림베 야생 동물 센터, 림베 식물원 등의 명소가 있고 매년 림베 페스타크가 개최된다.
부에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지리 좌표 | 북위 4° 10' 0", 동경 9° 14' 0" |
기후 | 온대 기후 (Cfb) |
해발 고도 | 870m |
일반 정보 | |
국가 | 카메룬 |
지역 | 남서부 주 |
구획 | 파코 |
유형 | 도시 및 코뮌 |
인구 정보 | |
2013년 추정 인구 | 약 300,000명 |
행정 | |
정부 형태 | 해당 정보 없음 |
지도자 직함 | 해당 정보 없음 |
지도자 이름 | 해당 정보 없음 |
정부 각주 | 해당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설립 | 해당 정보 없음 |
2. 역사
부에아는 원래 바쿠에리족이 17세기에서 18세기경 카메룬산의 비옥한 경사면에 농업을 위해 정착하면서 형성된 지역이다. 19세기 말, 독일은 이 지역의 전략적 가치를 인식하고 식민지화를 추진하여 1894년 부에아를 점령했다.
1901년부터 1919년까지 부에아는 독일령 카메룬의 식민지 수도 역할을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부에아는 1919년부터 영국령 카메룬의 일부가 되었다. 1949년에는 영국령 카메룬이 남북으로 분할되면서 남카메룬의 수도로 지정되어 1961년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1961년, 주민 투표를 통해 남카메룬이 카메룬 연방에 통합되면서 부에아는 카메룬의 영토가 되었다. 통합 이후 1972년까지 서카메룬 주의 수도였으나, 아흐마두 아히조 대통령이 연방제를 폐지하면서 수도 지위를 잃었다.
2017년 9월, 영어권 지역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암바조니아 연방 공화국이 부에아를 수도로 선언하면서 새로운 갈등 국면을 맞이했다.[2] 이듬해인 2018년에는 암바조니아 분리주의 세력과 카메룬군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3][4]
2. 1. 초기 역사
원래 "bue"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부에아는 붐보코 지역에서 온 사냥꾼이 세웠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산의 붐보코 쪽에서 와서 새로운 땅을 발견하고 놀라움에 "a Bue", 즉 "부에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실제로는 17세기에서 18세기경, 바쿠엘리족이 비옥한 카메룬산 경사면 아래의 땅이 농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이곳에 마을을 이루고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후 독일 식민 세력은 이 비옥한 땅이 식민지 무역과 플랜테이션 농업에 유리하다고 보고 부에아를 식민화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톨레 지역을 중심으로 차 재배가 이루어졌다.
1891년, 카를 폰 그라펜로이트가 이끄는 독일군은 바쿠엘리족이 사는 부에아를 공격했지만, 이 첫 번째 침략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당시 티카르족의 저명한 왕이 독일군에 맞서 저항하기도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894년, 독일군은 다시 부에아 원정에 나서 결국 이곳을 점령했다.
1901년, 부에아는 독일령 카메룬의 식민지 수도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909년 4월 28일부터 6월까지 카메룬산이 폭발하면서 독일 식민 행정부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마비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인 1919년, 부에아는 패전국 독일의 식민지를 승전국들이 분할함에 따라 영국령 카메룬의 일부가 되었다. 1949년에는 카메룬 식민지가 남북으로 나뉘면서 영국령 남카메룬의 수도가 되었다.
1961년, 영국령 남카메룬 주민들은 주민 투표를 통해 카메룬과의 병합을 결정했고, 부에아는 카메룬령이 되었다. 이후 1972년까지 서카메룬의 수도 역할을 했으나, 아흐마두 아히조 대통령이 연방제를 폐지하면서 수도 지위를 잃게 되었다.
원래 부에아의 인구는 주로 바쿠에리족으로 구성되었으나, 지역의 행정 중심지이자 대학 도시로 기능하면서 다른 민족 집단의 유입도 상당수 이루어졌다.
2. 2. 독일 식민지 시대 (1894년 ~ 1919년)
부에아의 땅은 원래 바쿠에리족이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정착한 곳이다. 이들은 카메룬산 기슭의 비옥한 땅이 농업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취락을 건설했다. 이후 독일은 이 지역의 비옥한 토지가 식민지 무역과 플랜테이션 농업에 유리하다고 보고 부에아를 식민지화하기 시작했다.1891년, 카를 폰 그라펜로이트가 이끄는 독일군은 바쿠에리족이 거주하던 부에아를 공격했으나, 바쿠에리족의 저항에 부딪혀 원정은 실패로 끝났다. 그러나 1894년, 독일군은 다시 부에아를 침공하여 결국 점령에 성공했다.
1901년, 부에아는 독일령 카메룬의 식민지 수도로 지정되었다. 독일 식민 통치 기간 동안 부에아에는 총독 예스코 폰 푸트카머의 저택과 같은 건물들이 세워졌다. 그러나 1909년 4월 28일부터 6월까지 카메룬산이 폭발하면서 독일 식민 행정은 일시적으로 중단되기도 했다.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독일의 패배로 끝나면서 부에아는 영국령 카메룬에 속하게 되었다. 이로써 부에아에서의 독일 식민 통치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3. 영국 식민지 시대 (1919년 ~ 1961년)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부에아는 독일의 식민 통치에서 벗어나 영국령 카메룬에 속하게 되었다. 1949년에는 영국령 카메룬 식민지가 남북으로 분할되면서 부에아가 영국령 남카메룬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부에아는 1961년까지 남카메룬의 수도 역할을 수행했으며, 같은 해 영국령 남카메룬에서 실시된 주민 투표 결과에 따라 카메룬으로 병합되면서 카메룬의 일부가 되었다.2. 4. 카메룬 독립 이후
1961년, 남카메룬이 주민 투표를 통해 카메룬 연방에 통합되면서 부에아는 카메룬의 일부가 되었다. 통합 이후에도 부에아는 서카메룬의 수도로서 기능했으나, 1972년 아흐마두 아히조 대통령이 연방제를 폐지하면서 수도 지위를 상실했다.2017년 9월, 영어권 지역의 분리 독립을 추구하는 암바조니아 연방 공화국은 부에아를 수도로 지정하고 카메룬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2] 이 선언은 암바조니아 분쟁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2018년 6월 말, 암바조니아 방위군은 부에아로 접근하여 6월 29일에는 마일 16 지역을 공격했으며,[3] 7월 1일에는 무에아 지역에서 카메룬군과 교전을 벌였다.[4] 이러한 충돌은 암바조니아 분리 독립 세력과 카메룬 정부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 5. 암바조니아 분리 독립 운동 (2017년 ~ 현재)
2017년 9월, 암바조니아 연방 공화국은 부에아를 수도로 하여 카메룬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2] 2018년 6월 말, 암바조니아 방위군은 부에아로 접근하기 시작했고, 6월 29일에는 마일 16 지역을 침공했다.[3] 7월 1일, 분리주의자들은 무에아 지역을 침공하여 카메룬군과 전투를 벌였다.[4]3. 지리
카메룬 산의 동쪽 사면, 해발 870m에 위치해 있다. 높은 해발 고도 덕분에 비교적 선선하고 쾌적한 기후를 나타내며, 이러한 점은 과거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여 개발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부에아에는 약 30만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되며, 도시 권역은 보콰옹고(Bokwaongo), 무에아(Muea), 보마카(Bomaka), 몰리코(Molyko), 그레이트 소포(Great Soppo) 등 중심 지역과 주변의 여러 마을들을 포함한다.
3. 1. 기후
부에아는 카메룬 산의 동쪽 사면, 해발 870m에 위치해 있다. 아열대 고산 기후(Cfb)를 보이며, 열대 우림 기후(Af)와 근접해 있다. 파코 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어 기후는 습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고지대는 비교적 시원하고 저지대는 더 더운 기온 분포를 나타낸다. 우기에는 몇 주 동안 이슬비가 계속 내리는 경우가 흔하며, 산에서 마을로 습한 안개가 내려오는 현상도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높은 해발 고도 덕분에 형성된 쾌적한 기후는 과거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고 개발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4. 경제
부에아의 경제는 기술 허브로서의 지위에 큰 영향을 받는다. 많은 젊은이들이 부에아 대학교에서 공부하기 위해 이 도시로 모여들면서, 실험과 혁신, 그리고 새로운 시도를 장려하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그 결과, 부에아는 특히 기술 분야에서 스타트업의 중심지로 부상했다.[6][7]
부에아 대학교의 영향력은 투자자들을 유치하는 데에도 기여하여, 다양한 기술 인큐베이터와 허브가 설립되었다. 예를 들어, 2006년에서 2008년 사이에 설립된 LimbeLabs는 카메룬의 주요 기술 허브 중 하나인 ActivSpaces의 전신이 되었다. ActivSpaces는 2009년 Ebot Tabi, Bill Zimmerman, Valery Colong, Otto Akama, Fua Tse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현재 Rebecca Enonchong이 의장을 맡고 있다.[8]
부에아의 기술 허브로서의 명성은 도시의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카메룬 산은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이며, 부에아가 산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은 산과 그 주변을 탐험하려는 방문객들에게 선호되는 목적지가 되게 했다.
또한, 도시의 작은 규모는 사람들 간의 만남과 교류를 용이하게 한다. 교통 체증이 비교적 적어 도시 내 이동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부에아가 카메룬 최대 항구와 국제 공항이 위치한 두알라와 가깝다는 점 역시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입지 조건으로 작용한다.
차의 재배 및 가공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5. 교통
부에아로의 이동은 주로 대중교통 버스나 자가용을 이용한 육로 교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부에아 시내에서는 택시가 주요 교통 수단으로 활용된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티코 공항이지만, 공항 운영이 활발하지 않고 기반 시설 관리가 미흡하여 실제로는 두알라 국제공항(DLA)이 주로 이용된다.
과거에는 림베까지 서아프리카 플랜테이션 협회 빅토리아의 600mm 협궤 농장 철도가 운행되었다.[9]
6. 교육
부에아에는 카메룬 최초의 영어권 대학교인 부에아 대학교가 있다. 또한 현재 비아카 부에아 대학교(BUIB)로 알려진 성 프란치스코 간호 및 산부인과 학교를 포함한 여러 고등 교육 기관과 카메룬의 세 개 가톨릭 대학교 중 하나가 위치해 있다.
7. 주요 인물
- 빅터 아노마 응구(1926년 출생, 2011년 사망), 외과 교수, 공공 보건부 장관
- 마틴 자카리 네유마(1940년 출생, 2010년 사망), 역사학자
- 쿠르트 라아플라우브(1941년 출생, 2023년 사망), 역사학자
- 도로시 L. 네유마(1943년 출생), 유전학 및 발생학 교수, 정치인
- 마리 에텐게넹 콰무-나나 아부나우(1953년 출생, 2024년 사망), 카메룬 최초의 여성 교도소 행정 관리자
- 사라 에통게(1967년 출생), 산악 달리기 선수
- 줄리어스 아코사(1982년 출생), 프로 축구 선수
- 다프네(1989년 출생), 가수
- 오냐마 로라(1992년 출생), 배우
- 클린턴 은지에(1993년 출생), 프로 축구 선수
- 응상 딜롱(1994년 출생), 배우, 모델, 사회복지사
- 로버트 은딥 탐베(1994년 출생), 프로 축구 선수
- 넬비 티아팍(1999년 출생), 프로 복서
- 에워메 에코 존, 브와사 마을 족장
8.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Buéa
http://www.world-gaz[...]
World Gazetteer
2008-03-27
[2]
뉴스
ADC Lands Ground Troops in Southern Cameroons, Declares War on LRC
http://cameroonjourn[...]
Cameroon Journal
2017-09-10
[3]
뉴스
Panic grips Buea as soldiers battle separatists
https://www.journald[...]
Journal du Cameroun
2018-06-29
[4]
뉴스
Muea in lockdown as soldiers battle separatists
https://www.journald[...]
Journal du Cameroun
2018-07-01
[5]
간행물
The Cameroon Press Photo Archive (CPPA) Buea in Crisis 1955-2016
http://www.vestiges-[...]
2017-08-31
[6]
뉴스
Cameroon's high-tech hub
https://www.bbc.com/[...]
2023-06-02
[7]
웹사이트
Silicon Mountain Conference 2022 – Orange Cameroun reinforces its promise to the tech innovation industry
https://www.business[...]
2023-06-02
[8]
웹사이트
Cameroon's Silicon Mountain: Its History, Resilience and Future
https://techcabal.co[...]
2023-06-02
[9]
문서
http://www.gouverneu[...]
[10]
웹사이트
Buea Climate, Weather By Month, Average Temperature (Cameroon) - Weather Spark
https://weatherspark[...]
2023-04-12
[11]
웹사이트
Climate Buea
https://en.climate-d[...]
Climate Data
2022-05-12
[12]
웹인용
Climate Buea
https://en.climate-d[...]
Climate Data
2022-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