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분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 분지는 옥천 습곡대의 북서부 경계에 위치하며,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인리형 분지이다. 십자가 단층과 함열 단층이 부여 분지의 경계를 이루며, 십자가 단층은 북서쪽 경계 단층으로, 25km 연장의 정단층이고, 함열 단층은 남동쪽 경계로 익산시에서 부안군까지 연장되는 단층이다. 2015년 익산 지진은 함열 단층 인근에서 발생했으며, 전북특별자치도는 전북권 4대 단층과 함께 함열 단층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분지 - 경상 분지
경상 분지는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 분지로, 경상 누층군(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과 불국사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밀양, 의성, 영양 소분지로 나뉘며, 다양한 담수 생물과 공룡 화석이 발견되는 등 퇴적 환경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한국의 분지 - 포항 분지
포항 분지는 한반도 남동부에 위치하며 마이오세 동안 형성된 퇴적 분지로, 다양한 단층으로 경계 지어져 복잡한 지질학적 특징을 보이며, 내부가 곡강 단층에 의해 동부와 서부 지괴로 나뉘어 과거 환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익산시의 지리 - 익산 토성
익산 토성은 오금산 정상에 흙과 돌로 쌓은 산성으로,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축조되었으며 백제, 통일신라, 고려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 익산시의 지리 - 미륵산 (전북)
미륵산 (전북)은 금남정맥에서 분기되어 여러 산을 거쳐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 부여군의 지리 - 낙화암
낙화암은 백제 멸망 당시 많은 궁녀들이 투신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백마강변의 바위 절벽으로, 역사적 사실과 과장된 전설이 혼재된 비극적인 장소이다. - 부여군의 지리 - 부여 석성산성
부여 석성산성은 백제 사비 남쪽 외곽 방어를 위해 6세기 전반에 축조된 산성으로, 부소산성 함락 이후에도 전투가 벌어졌던 유적이다.
부여 분지 | |
---|---|
지질 정보 | |
위치 | 충청남도 부여군 및 전라북도 익산시, 전라북도 김제시 |
유형 | 분지 |
형성 시기 | 백악기 |
구성 암석 | 퇴적암 화산암 |
지질학적 특징 | |
구조적 특징 | 분지 내 단층 및 습곡 구조 발달 |
퇴적 환경 | 호수, 하천 |
암석의 자기적 특성 | 퇴적암과 화산암에서 다양한 자기적 특성 관찰됨 |
연구 | |
주요 연구 | 분지 구조 진화 연구 암석의 자기적 특성 연구 활성 단층 및 지진 위험 평가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부여분지와 함평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암석에 대한 자기특성 연구 백악기 부여분지의 구조적 진화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
2. 부여 분지의 지질학적 특징
옥천 습곡대의 북서부 경계에 위치한 부여 분지는 인근의 단층계에 의해 형성된, 중생대 백악기의 인리형 분지이다. 지층의 두께는 2.5 km에 달하며 최대 11 km의 연장과 4 km의 폭으로 30 km2에 달하는 면적을 점유하고 있다. 분지의 북서쪽에는 십자가 단층, 남동쪽에는 함열 단층이 존재해 부여 분지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4][5][1][1][6]
'''십자가 단층'''은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일대에서 석성면 증산리 (십자가)를 거쳐, 공주시 탄천면 광명리로 이어지는 북동-남서 방향의 정단층이며, 총 연장은 25 km 정도이다. 이 단층은 옥천 습곡대의 북서쪽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는 부여 분지의 북서쪽 경계 단층을 이루고 있다.[1] 논산 지질도폭(1980)에 의하면 도폭 내 부여군 석성면 십자가에서 북으로 공주시 탄천면 광명리까지 북동 35°의 주향으로 발달하며, 본역의 '십자가'를 통과함으로 십자가 단층으로 명명되었다. 본 단층은 야외에서 단층을 따른 전단대(shear zone)의 발달, 단층 동남지역이 단층을 경계로 북서 지역에 비해 갑자기 훨씬 완만한 지형을 보이는 지형의 절단, 단층을 경계로 북서쪽의 복운모 화강암과 남동쪽의 안구상 편마암이 그 분포가 절단되는 증거로 명백히 단층임이 확인되고 지질 분포의 절단, 지형의 발달 상태 등으로 보아 정단층으로 보인다.[7]
십자가 근처에서 관찰된 단층대는 폭이 약 45 m 정도이고, 단층파쇄대는 단층점토와 단층각력암으로 구성되고 있다. 십자가단층은 부여군 석성면 일대에서 고도가 낮은 산지와 평야 지대를 구분하는 뚜렷한 선형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단층의 남서단은 충적 평야지대로 인해 더 이상 연장 추적이 어렵다. 연대측정 결과 54만년 전 활동한 제4기 단층으로 분류된다.[1]
위치 | 좌표 | 지질 | 주향[11] | 경사 | 성향 | ESR 연대측정값 | 비고 |
---|---|---|---|---|---|---|---|
부여군 석성면 증산리 | 36°15′25.3″N 127°00′01.9″E 36°15′23.0″N 126°59′58.7″E | 선캄브리아기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유백색 규장암 | 북동 70° | 북서 80° | 정단층 | 560±35 ka 520±30 ka | 서진기계 완성품 야적장 사면 부근 필그린 공장 뒤쪽 사면 |
'''함열 단층'''은 부여 분지의 남동쪽 경계를 이루는 단층이다.[1] 익산시 북서부 함라면에서 군산시 임피면, 김제시 서부 등을 지나 부안군까지 연장된다. 지질도 상에 표시된 연장은 60 km 에 달한다.[8] 이 단층은 동쪽에는 쥬라기의 화강암류와 서쪽의 경기변성암을 구획하며 발달하고, 거의 수직단층으로 백악기 분지인 부여분지의 남쪽을 경계 짓는 좌수향의 경계단층이다.[9] 이 단층은 익산시 용안면-함라산 지역에서 카카오맵 위성 사진으로도 보이는 뚜렷한 선형 구조를 발달시키고 있다.
- 이리도폭(2012)에 의하면 도폭 내 지역에서 함열단층이 연장될 것으로 보이는 지역은 익산시와 군산시 사이로 넓은 평야지대가 발달하고 있다. 따라서 명확한 단층의 증거는 발견하기 어려우며, 쥬라기의 복운모화강암과 원생대의 변성퇴암의 경계를 따라서 추정단층으로 표시하였다.[1] 5만 지질도에서는 군산시 서수면에서 임피면, 김제시 청하면, 만경읍까지 이어지는 추정 단층(inferred fault)으로 표기되어 있다.[1]
- 부안도폭(2013)에 의하면 동진면과 부안읍 일대의 북동-남서 방향의 단층은 본디 부여분지 남동 경계인 함열 단층의 연장에 해당한다. 부안도폭 지역에서 단층의 노두를 확인하기 어려우나 단층을 경계로 북측에는 중생대 쥐라기의 흑운모 화강암(Jbgr)이, 남측에는 복운모 화강암(Jtmgr)이 분포하고 있으며 바로 위 김제도폭 지역에서는 임피층과 복운모화강암 사이를 함열 단층이 통과한다. 부여 분지 지역에서는 백악기의 단층 운동만을 보여주고 있으나 부안 및 김제도폭 지역에서는 보다 고기(古期)의 단층운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2. 1. 십자가 단층
'''십자가 단층'''은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일대에서 석성면 증산리 (십자가)를 거쳐, 공주시 탄천면 광명리로 이어지는 북동-남서 방향의 정단층이며, 총 연장은 25 km 정도이다. 이 단층은 옥천 습곡대의 북서쪽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는 부여 분지의 북서쪽 경계 단층을 이루고 있다.[1] 논산 지질도폭(1980)에 의하면 도폭 내 부여군 석성면 십자가에서 북으로 공주시 탄천면 광명리까지 북동 35°의 주향으로 발달하며, 본역의 '십자가'를 통과함으로 십자가 단층으로 명명되었다. 본 단층은 야외에서 단층을 따른 전단대(shear zone)의 발달, 단층 동남지역이 단층을 경계로 북서 지역에 비해 갑자기 훨씬 완만한 지형을 보이는 지형의 절단, 단층을 경계로 북서쪽의 복운모 화강암과 남동쪽의 안구상 편마암이 그 분포가 절단되는 증거로 명백히 단층임이 확인되고 지질 분포의 절단, 지형의 발달 상태 등으로 보아 정단층으로 보인다.[7]십자가 근처에서 관찰된 단층대는 폭이 약 45 m 정도이고, 단층파쇄대는 단층점토와 단층각력암으로 구성되고 있다. 십자가단층은 부여군 석성면 일대에서 고도가 낮은 산지와 평야 지대를 구분하는 뚜렷한 선형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단층의 남서단은 충적 평야지대로 인해 더 이상 연장 추적이 어렵다. 연대측정 결과 54만년 전 활동한 제4기 단층으로 분류된다.[1]
다음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2년 발간한 보고서에 제시된 십자가 단층의 노두 위치이다. 단층의 ESR 연대는 제4기에 단층이 활동했음을 지시한다.[1]
위치 | 좌표 | 지질 | 주향[11] | 경사 | 성향 | ESR 연대측정값 | 비고 |
---|---|---|---|---|---|---|---|
부여군 석성면 증산리 | 36°15′25.3″N 127°00′01.9″E 36°15′23.0″N 126°59′58.7″E | 선캄브리아기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유백색 규장암 | 북동 70° | 북서 80° | 정단층 | 560±35 ka 520±30 ka | 서진기계 완성품 야적장 사면 부근 필그린 공장 뒤쪽 사면 |
2. 1. 1. 십자가 단층의 선구조
십자가 근처에서 관찰된 단층대는 폭이 약 45 m 정도이고, 단층파쇄대는 단층점토와 단층각력암으로 구성되고 있다. 십자가단층은 부여군 석성면 일대에서 고도가 낮은 산지와 평야 지대를 구분하는 뚜렷한 선형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단층의 남서단은 충적 평야지대로 인해 더 이상 연장 추적이 어렵다. 연대측정 결과 54만년 전 활동한 제4기 단층으로 분류된다.[1]2. 2. 함열 단층
'''함열 단층'''은 부여 분지의 남동쪽 경계를 이루는 단층이다.[1] 익산시 북서부 함라면에서 군산시 임피면, 김제시 서부 등을 지나 부안군까지 연장된다. 지질도 상에 표시된 연장은 60 km 에 달한다.[8] 이 단층은 동쪽에는 쥬라기의 화강암류와 서쪽의 경기변성암을 구획하며 발달하고, 거의 수직단층으로 백악기 분지인 부여분지의 남쪽을 경계 짓는 좌수향의 경계단층이다.[9] 이 단층은 익산시 용안면-함라산 지역에서 카카오맵 위성 사진으로도 보이는 뚜렷한 선형 구조를 발달시키고 있다.- 이리도폭(2012)에 의하면 도폭 내 지역에서 함열단층이 연장될 것으로 보이는 지역은 익산시와 군산시 사이로 넓은 평야지대가 발달하고 있다. 따라서 명확한 단층의 증거는 발견하기 어려우며, 쥬라기의 복운모화강암과 원생대의 변성퇴암의 경계를 따라서 추정단층으로 표시하였다.[1] 5만 지질도에서는 군산시 서수면에서 임피면, 김제시 청하면, 만경읍까지 이어지는 추정 단층(inferred fault)으로 표기되어 있다.[1]
- 부안도폭(2013)에 의하면 동진면과 부안읍 일대의 북동-남서 방향의 단층은 본디 부여분지 남동 경계인 함열 단층의 연장에 해당한다. 부안도폭 지역에서 단층의 노두를 확인하기 어려우나 단층을 경계로 북측에는 중생대 쥐라기의 흑운모 화강암(Jbgr)이, 남측에는 복운모 화강암(Jtmgr)이 분포하고 있으며 바로 위 김제도폭 지역에서는 임피층과 복운모화강암 사이를 함열 단층이 통과한다. 부여 분지 지역에서는 백악기의 단층 운동만을 보여주고 있으나 부안 및 김제도폭 지역에서는 보다 고기(古期)의 단층운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다음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2년 발간한 보고서에 제시된 십자가 단층의 노두 위치이다. 단층의 ESR 연대는 제4기에 단층이 활동했음을 지시한다.[1]
위치 | 좌표 | 지질 | 주향[11] | 경사 | 성향 | ESR 연대측정값 | 비고 |
---|---|---|---|---|---|---|---|
부여군 석성면 증산리 | 36°15′25.3″N, 127°00′01.9″E 36°15′23.0″N, 126°59′58.7″E | 선캄브리아기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유백색 규장암 | 북동 70° | 북서 80° | 정단층 | 560±35 ka 520±30 ka | 서진기계 완성품 야적장 사면 부근 필그린 공장 뒤쪽 사면 |
2. 2. 1. 함열 단층의 선구조
요약(summary)이 제공되지 않았고, 원본 소스(source)도 비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3. 2015년 익산 지진
'''2015년 익산 지진'''은 2015년 12월 22일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다송리 일대에서 발생한 규모 3.9의 지진으로, 진앙지에서 북서쪽으로 5 km 지점에 주향 북동 35°, 단층면 경사 남동 70°의 '''함열 단층'''이 지난다.[12] 그러나 김진미 외(2017)는 지진을 연구한 논문에서 3회에 불과한 미소지진의 분포나 단층 면해만으로 익산지진이 함열 단층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언급하였다.[12] 익산지진 본진의 단층면해는 북동-남서 또는 북서남동 방향의 단층면을 가지는 역단층성 주향이동 단층운동을 나타내며, 2개 여진의 단층면해는 각각 남북 또는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수직 단층 운동을 나타낸다.[12] 이 지진의 최대 MMI 진도는 V로 평가되었다.[12]
3. 1. 지진 발생 메커니즘
2015년 12월 22일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다송리 일대에서 규모 3.9의 지진이 발생했다.[12] 진앙지에서 북서쪽으로 5 km 지점에 주향 북동 35°, 단층면 경사 남동 70°의 함열 단층이 지난다.[12] 익산 지진 본진의 단층면해는 북동-남서 또는 북서남동 방향의 단층면을 가지는 역단층성 주향이동 단층운동을 나타내며, 2개 여진의 단층면해는 각각 남북 또는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수직 단층 운동을 나타낸다.[12] 이 지진의 최대 MMI 진도는 V로 평가되었다.[12]3. 2. 함열 단층과의 연관성
2015년 12월 22일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다송리 일대에서 규모 3.9의 지진이 발생했다.[12] 진앙지에서 북서쪽으로 5 km 지점에 주향 북동 35°, 단층면 경사 남동 70°의 '''함열 단층'''이 지난다.[12] 그러나 2015년 익산 지진을 연구한 김진미 외(2017)는 논문에서 3회에 불과한 미소지진의 분포나 단층 면해만으로 익산지진이 함열 단층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언급하였다.[12] 익산지진 본진의 단층면해는 북동-남서 또는 북서남동 방향의 단층면을 가지는 역단층성 주향이동 단층운동을 나타내며, 2개 여진의 단층면해는 각각 남북 또는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수직 단층 운동을 나타낸다.[12] 이 지진의 최대 MMI 진도는 V로 평가되었다.[12]4. 추가 연구 및 과제
전북특별자치도는 2017년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전북권 4대 단층으로 꼽히는 전주단층(광주~전주), 정읍단층(정읍~전주 북단), 광주단층(광주~진안 용담), '''함열단층'''(익산 함열~충남 부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012년 보고서에서 대전·충청권에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당진 단층, 홍성 단층, 의당 단층, 예산 단층 등의 활성단층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2009년 보고서에는 추가령 단층, 왕숙천 단층, 광주 단층, 전주 단층, 정읍 단층, 의당 단층,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등이 활성단층으로 규명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최근 10개월간 전북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연구를 한 결과 전북권 4대 단층으로 꼽혀온 전주단층(광주~전주), 정읍단층(정읍~전주 북단), 광주단층(광주~진안 용담), '''함열단층'''(익산 함열~충남 부여)에서 활성단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2년 발간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ㆍ충청권에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당진 단층, 홍성 단층, 의당 단층, 예산 단층 등의 활성단층이 존재한다. 2009년 보고서 요약문 중 '주요 연구성과'를 기술한 부분에는 ‘추가령 단층, 왕숙천 단층, 광주 단층, 전주 단층, 정읍 단층, 의당 단층,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등이 활성단층임을 규명’했다고 씌어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최근 10개월간 전북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연구를 한 결과 전북 완주-진안에서 활성단층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전북권 4대 단층으로 꼽혀온 전주단층(광주~전주), 정읍단층(정읍~전주 북단), 광주 단층(광주~진안 용담), 함열단층(익산 함열~충남 부여)에 속해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2년 발간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충청권에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당진 단층, 홍성 단층, 의당 단층, 예산 단층 등의 활성단층이 존재한다. 2009년 주요 연구성과 요약문에는 추가령 단층, 왕숙천 단층, 광주 단층, 전주 단층, 정읍 단층, 의당 단층,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등이 활성단층임을 규명했다고 씌어 있다.
4. 1. 지진 위험성 평가
전북특별자치도는 2017년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전북권 4대 단층으로 꼽히는 전주단층(광주~전주), 정읍단층(정읍~전주 북단), 광주단층(광주~진안 용담), '''함열단층'''(익산 함열~충남 부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012년 보고서에서 대전·충청권에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당진 단층, 홍성 단층, 의당 단층, 예산 단층 등의 활성단층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2009년 보고서에는 추가령 단층, 왕숙천 단층, 광주 단층, 전주 단층, 정읍 단층, 의당 단층,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등이 활성단층으로 규명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4. 2.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전북특별자치도는 최근 10개월간 전북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연구를 한 결과 전북권 4대 단층으로 꼽혀온 전주단층(광주~전주), 정읍단층(정읍~전주 북단), 광주단층(광주~진안 용담), '''함열단층'''(익산 함열~충남 부여)에서 활성단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2년 발간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ㆍ충청권에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당진 단층, 홍성 단층, 의당 단층, 예산 단층 등의 활성단층이 존재한다. 2009년 보고서 요약문 중 '주요 연구성과'를 기술한 부분에는 ‘추가령 단층, 왕숙천 단층, 광주 단층, 전주 단층, 정읍 단층, 의당 단층,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등이 활성단층임을 규명’했다고 씌어 있다.4. 3. 내진 설계 강화
전북특별자치도는 최근 10개월간 전북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연구를 한 결과 전북 완주-진안에서 활성단층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전북권 4대 단층으로 꼽혀온 전주단층(광주~전주), 정읍단층(정읍~전주 북단), 광주 단층(광주~진안 용담), 함열단층(익산 함열~충남 부여)에 속해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2년 발간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충청권에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당진 단층, 홍성 단층, 의당 단층, 예산 단층 등의 활성단층이 존재한다. 2009년 주요 연구성과 요약문에는 추가령 단층, 왕숙천 단층, 광주 단층, 전주 단층, 정읍 단층, 의당 단층,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등이 활성단층임을 규명했다고 씌어 있다.참조
[1]
웹인용
부여분지와 함평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암석에 대한 자기특성 연구
https://www.dbpia.c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년
[2]
웹인용
백악기 부여분지의 구조적 진화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1994년 4월
[3]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년 10월
[4]
웹인용
주향이동 분지 형성, 퇴적층 충전의 특징과 한반도 백악기 소분지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13년 2월
[5]
웹인용
한반도 지각변형 연구 [1], 제 4 절 부여분지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8년
[6]
웹인용
변산반도 일원의 지질구조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고응력장 변화
http://jgsk.or.kr/_c[...]
대한지질학회
2015년
[7]
웹인용
論山 地質圖幅說明書 (논산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0년
[8]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
웹인용
이리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년
[10]
웹인용
군산·부안·방축도·장자도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3년
[11]
문서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
[12]
저널
2015년 12월 22일 발생한 익산지진의 단층면해와 진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Fault Plane Solution and Intensity on the Iksan Earthquake of 22 December 2015)
https://www.dbpia.co[...]
2017년 1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