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단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단층은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전라남도 해남군 땅끝마을까지 이어지는 단층으로, 순창 단층과 화순 단층으로 나뉜다. 이 단층은 진안 분지의 동쪽 경계를 이루며, 호남전단대에 속한다. 2012년 무주 지진과 관련이 있으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보고서에서 활성단층으로 명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지리 - 한국 표준시
한국 표준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표준 시간으로, 동경 135도(UTC+09:00)를 기준으로 하며, 과거에는 변경된 역사가 있고 일광 절약 시간제(서머타임)가 시행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지리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광주 단층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종류 | 단층 |
위치 | 한반도 남동부 |
방향 | 북동-남서 방향 |
연장 | 수십km ~ 100km 이상 |
활동 시기 | 제4기 |
지질학적 특징 | |
단층 운동 |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 |
관련 단층 | 양산 단층 울산 단층 밀양 단층 |
역사 및 연구 | |
연구 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연구 목적 | 활성 단층 지도 및 지진 위험 지도 제작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1:100만 지질도 한반도 단층구조선의 조사 및 평가기술 개발 2~4단계('22~'36) 기획 연구 광주단층 일대의 지질과 지질연대 |
2. 광주 단층
광주 단층은 한반도 경기 지괴와 옥천 습곡대의 경계부에 위치한 추가령 단층에서 분리되어 전라남도 광주를 지나 해남군까지 이어지는 총 길이 약 170km의 북동-남서 방향 단층이다.[1]
2. 1. 무주 지점과 2012년 무주 지진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기곡리 산28번지(N36°1'36.35", E 127°42'44.48")의 화강암에 있는 단층 노두는 광주 단층의 북단 연장부이며 2012년 5월 11일 발생한 규모 3.9 지진의 진앙지로부터 북동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단층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50°및 남동 85°이다.[1]3. 순창/화순 단층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에서 전라남도 해남군 땅끝마을까지 이어지는 이 단층은 2개로 나누어져 있어 북쪽은 순창 단층, 남쪽은 화순 단층으로 지칭한다. 각 단층의 연장은 100km에 달하며 광주 단층 바로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다.[1]
4. 진안 분지
백악기 한반도에 형성된 인리형 분지 중 하나이며 영동-광주 단층대를 따라 발달한다.[5] 광주 단층은 이 분지의 북동쪽 끝에서 시작해 동쪽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전주 단층은 북서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6] 진안 분지는 길이 32km, 폭 18km이며 면적은 약 580km2이다.[7]
5. 호남전단대
호남전단대는 남서-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연성 전단대로서 북쪽에서부터 예천전단대, 순창전단대, 전주전단대로 구분되며 영남육괴의 선캄브리아기 암석 및 쥐라기 화강암을 변형시키고 있다.[8]
6. 관련 기사
2016년 9월 23일 뉴스원 기사에 따르면, 호남 지역에는 정읍, 전주, '''순창-광주''', 비봉단층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 같은 해 9월 24일 매일신문 기사에서도 2012년 10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작성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보고서를 인용하며 호남지역의 단층들을 언급했다.[3]
2016년 9월 26일 한국일보 기사에 따르면, 2009년에 이미 지진의 원인이 되는 활성단층을 연구한 보고서가 있었으며, 이 보고서 요약문에는 추가령 단층, 왕숙천 단층, '''광주 단층''', 전주 단층, 정읍 단층, 의당 단층,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등이 활성단층임을 규명했다고 명시되어 있다.[4]
2017년 12월 26일 전북도민일보 기사에서는 전라북도 내 주요 단층대를 조사한 결과 진안 용담, 완주 비봉, 완주 구이 등 3개 지점에서 활성단층이 확인되었다고 보도했다.[2]
참조
[1]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1:100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
웹인용
NDMI-기본-2020-18-01 한반도 단층구조선의 조사 및 평가기술 개발 2~4단계('22~'36) 기획 연구 (PDF 파일)
https://www.ndmi.go.[...]
(출판사 정보 없음)
[4]
저널
Geology and Geochronology of Gwangju Fault Area (光州斷層 一帶의 地質과 地年代)
https://www.dbpia.co[...]
1979-09-00
[5]
웹인용
백악기 진안 분지의 퇴적시기와 화산활동에 대한 연구
https://www.dbpia.co[...]
한국암석학회
2018-05-00
[6]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
웹인용
한반도 지각변형 연구 [1], 제 8 절 진안분지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8-00-00
[8]
웹인용
진주, 대구, 의성지괴를 중심으로 한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 진화사 연구
https://scienceon.ki[...]
(출판사 정보 없음)
2018-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