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꽃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처꽃은 밭둑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7~8월에 보랏빛 꽃을 피우는 식물이다. 제주도, 충청북도, 강원도 등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와 유럽 등지에 분포하며, 수렴성 약초로 사용되거나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부처꽃은 벌과 나비에 의해 수분되며, 잎벌레, 바구미 등 여러 곤충의 먹이가 된다. 북아메리카 등지에서는 귀화 식물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생물학적 방제를 통해 개체 수를 조절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처꽃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부처꽃과 - 헤나
헤나는 열대 및 반건조 지역이 원산지인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잎에서 추출한 염료는 머리 염색, 바디 페인팅, 초목 염색 등에 사용되며 현재는 흰머리 염색약, 헤어 트리트먼트, 향수 원료로도 사용되고, 관련 의식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세계 최악의 100대 침입외래종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세계 최악의 100대 침입외래종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부처꽃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ythrum anceps |
학명 명명자 | (Koehne) Makino, 1908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장미군 |
목 | 도금양목 |
과 | 부처꽃과 |
속 | 부처꽃속 |
종 | 부처꽃 |
보전 상태 | |
IUCN | LC |
IUCN 기준 | IUCN3.1 |
IUCN 참고 | Kavak, S. 2014. Lythrum salicari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4: e.T164323A42329075. |
일반 정보 | |
속 | Lythrum |
종 | salicaria |
명명자 | L. |
추가 정보 | |
Missouri Botanical Garden | Lythrum salicaria - Plant Finder |
Royal Botanic Gardens Victoria | Lythrum salicaria L. Purple Loosestrife |
과거 웹사이트 | Lythrum salicaria |
2. 식물학적 특징
부처꽃은 밭둑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제주도, 충청북도, 강원도, 경기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와 일본에 분포한다. 꽃은 이형예성을 가져 수술과 암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세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종류의 꽃에 의해서만 수분될 수 있어 타가 수분을 보장한다. 다양한 곤충이 꽃을 찾아오는 수분 증후군을 보인다.[11] 개화기는 여름 내내 지속되며, 종자가 성숙하면 잎은 이른 가을 탈수 현상으로 인해 밝은 붉은색으로 변하는데, 이 붉은색은 거의 2주 동안 지속된다. 이전 생장기에서 죽은 줄기는 갈색이다.[2][8][9]
''L. salicaria''는 잎 모양과 털의 정도가 매우 다양하여 여러 아종과 변종이 기술되었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식물학적 중요성을 갖지 않는 단형종으로 간주된다. ''Lythrum intermedium'' Ledeb. ex Colla 또한 현재 동의어로 간주된다.[2][9][13]
2. 1. 형태
줄기는 높이가 50~100cm쯤 되며 곧게 서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 나며 잎자루가 거의 없고 피침형이다. 꽃은 7~8월에 보랏빛으로 핀다. 꽃잎은 여섯 개이고 긴 거꿀달걀꼴이다. 수술은 12개이다. 열매는 9월에 익으며 두 갈래로 갈라져 씨가 나온다.[2][8][9]부처꽃은 키가 1m까지 자랄 수 있으며, 클론 군체를 형성하여 폭이 1.5m 이상으로 넓어진다. 하나의 목질 뿌리 덩어리에서 여러 개의 곧추선 줄기가 자라난다. 줄기는 적자색이며 단면이 사각형이다. 잎은 피침형이며, 길이는 3cm, 폭은 5mm이며, 부드럽고 무병엽이며, 마주나거나 세 개씩 돌려난다.[2][8][9]
꽃은 적자색이며, 지름 10mm이고, 꽃잎 6개(드물게 5개)와 수술 12개가 있으며, 잎겨드랑이의 포나 잎에 빽빽하게 모여 있다(취산꽃차례).[2][8][9] 이형예가 있어 수술과 암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세 가지 꽃 종류가 있는데, 짧거나 중간 또는 길다. 각 꽃 종류는 다른 종류의 꽃 종류에 의해서만 수분될 수 있으며, 같은 종류는 수분될 수 없으므로 서로 다른 식물 간의 타가 수분을 보장한다.[2][8][9][10] 예를 들어, 암술의 길이가 중간이면 수술은 길고 짧지만 중간 길이는 아니다.[10]
열매는 작고 3mm의 삭과[12]로, 수많은 미세한 종자를 포함한다. 종자가 성숙하면 잎은 이른 가을 탈수 현상으로 인해 밝은 붉은색으로 변하며, 붉은색은 거의 2주 동안 지속될 수 있다.[2][8][9]
2. 2. 학명과 어원
속명 ''Lythrum''은 일부 종의 꽃 색깔을 나타내며 그리스어 'lythron'(피)에서 유래했다.[5] 플리니우스(서기 23–79년)는 ''Lythrum''이 알렉산더 대왕의 친구이자 군대 장군이었던 리시마코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고 언급했다. ''Lysimachus''는 그리스어 ''lysis''(풀어짐)와 ''mache''(투쟁)에서 유래했다.[6]종명 ''salicaria''는 잎이 버드나무(''Salix'' 종) 잎과 유사한 것에서 유래했다.[1]
영어 단어 loosestrife는 16세기에 처음 문헌에 등장했다. 이 단어는 1548년 저서 ''A New Herball''에서 윌리엄 터너가 "이 식물은 영어로 red loosestryfe 또는 purple loosestryfe라고 불릴 수 있다"고 말하며 만들어졌다.[1]
존 클레어는 보라색 loosestrife를 'long purples'로 여러 번 언급했는데, 예를 들어 1821년 시 ''The Wildflower Nosegay''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7]
> "물 위에 백합 봉오리가 피어나고
>
> 호수에는 고운 long purples 그림자가 드리워졌네..."
3. 분포
제주도, 충청북도, 강원도, 경기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와 일본에 분포한다.[8][13][14][15][16] 밭둑이나 습지에서 난다.
''Lythrum salicaria''는 유럽, 온대 아시아, 북서아프리카가 원산지이다. 또한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를 포함한 세계의 많은 온대 지역에서 귀화되었다. 호주에 최근 도입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뉴사우스웨일스에서 식민지 이전의 화분 샘플이 발견되어 또 다른 도입 경로가 있음을 나타낸다. 호주 당국은 이 문제를 미해결 상태로 간주하고 있다.
4. 생태
부처꽃은 밭둑이나 습지에서 자라며, 제주도, 충청북도, 강원도, 경기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와 일본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50~100cm쯤 되며 곧게 서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 나며 잎자루가 거의 없고 바소꼴이다. 7~8월에 보랏빛 꽃이 피는데, 꽃잎은 여섯 개이고 긴 거꿀달걀꼴이며 수술은 12개이다. 9월에 익는 열매는 두 갈래로 갈라져 씨가 나온다.[2][8][9]
부처꽃은 키가 1m까지 자랄 수 있으며, 클론 군체를 형성하여 폭이 1.5m 이상으로 넓어지기도 한다. 하나의 목질 뿌리 덩어리에서 여러 개의 곧추선 줄기가 자라나는데, 줄기는 적자색이며 단면이 사각형이다. 잎은 피침형이며, 길이는 3cm, 폭은 5mm이며, 부드럽고 무병엽이며, 마주나거나 세 개씩 돌려난다.
꽃은 적자색이며 지름 10mm이고, 꽃잎 6개(드물게 5개)와 수술 12개가 있으며, 잎겨드랑이의 포나 잎에 빽빽하게 모여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이형예가 있어 수술과 암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세 가지 꽃 종류가 있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꽃에 의해서만 수분될 수 있어 타가 수분을 보장한다.[2][8][9] 꽃은 다양한 종류의 곤충이 찾아오며, 일반적인 수분 증후군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11]
열매는 작고 3mm의 삭과[12]로, 수많은 미세한 종자를 포함한다. 개화기는 여름 내내 지속된다. 종자가 성숙하면 잎은 이른 가을 탈수 현상으로 인해 밝은 붉은색으로 변하며, 붉은색은 거의 2주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이전 생장기에서 죽은 줄기는 갈색이다.[2][8][9]
thumb
부처꽃은 잎 모양과 털의 정도가 매우 다양하며, 여러 아종과 변종이 있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식물학적 중요성을 갖지 않는 단형종으로 간주된다. ''Lythrum intermedium'' Ledeb. ex Colla 또한 현재 동의어로 간주된다.[2][9][13]
도랑, 습지와 늪, 그리고 호수 주변에서 발견된다.[18] 북아메리카에서 부처꽃은 사초과 식물(sedge meadows)에 침입할 수 있다.[19]
4. 1. 곤충과의 관계
부처꽃은 여러 곤충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다.- 검은가장자리부처꽃잎벌레(Galerucella calmariensis)는 가슴에 검은 줄무늬가 있는 갈색 벌레로, 잎에 둥근 구멍을 내며 갉아먹고, 유충은 잎눈을 파괴하고 잎 조직을 제거한다.
- 금빛부처꽃잎벌레(Galerucella pusilla)는 검은가장자리부처꽃잎벌레와 비슷하지만 가슴에 검은 줄무늬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먹는 습성도 비슷하다.
- 부처꽃뿌리바구미(Hylobius transversovittatus)는 붉은색 야행성 바구미로, 밤에 잎과 잎눈을 먹는다. 유충은 뿌리 속으로 파고 들어가 1년 이상 지속적으로 먹고 살아 식물 생장을 방해하고 씨앗 생성 능력을 저해하며, 심하면 식물을 죽이기도 한다.
- 부처꽃꽃바구미(Nanophyes marmoratus)는 작은 바구미로, 꽃마다 하나의 알을 낳고 유충은 꽃의 씨방을 먹어 씨앗 생성을 방해한다. 유충은 꽃봉오리를 파내어 번데기가 되기도 한다.
- 점박이자나방(Ectropis crepuscularia) 애벌레는 다식성으로 부처꽃 잎을 갉아먹는다.
5. 용도
부처꽃은 관상용으로 쓰이며, 한방에서는 말린 것을 천굴채라 하여 설사를 막는 약, 즉 지사제(止瀉劑)로 쓴다.[20] 북미 지역에서는 양봉가들이 꿀 공급원으로 도입하기도 했다.
5. 1. 관상용
부처꽃은 정원에서 관상용 식물로 재배되며, 특히 습하고 배수가 잘 안 되는 습지, 늪, 물가와 같은 곳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건조한 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꽃은 화려하고 밝으며, 꽃 색상의 변형을 위해 여러 품종이 선택되었다.품종 | 설명 |
---|---|
'Atropurpureum' | 짙은 보라색 꽃 |
'Brightness' | 진한 분홍색 꽃 |
'Happy' | 짧은 60cm 줄기에 붉은 꽃 |
'Purple Spires' | 키가 큰 줄기에 보라색 꽃 |
'Roseum Superbum' | 큰 분홍색 꽃[21] |
연분홍색 꽃의 'Blush'[22] 품종과 장미빛 붉은 꽃의 'Feuerkerze'[23] 품종은 영국 왕립 원예 협회의 정원 공로상을 받았다.[24]
또한 꽃이 풍부하여 중요한 꿀 공급원이 되기 때문에 많은 북미 지역에 양봉가들에 의해 도입되었다.
5. 2. 약용
한방에서는 부처꽃을 말린 것을 천굴채라 하여 설사를 막는 약, 즉 지사제(止瀉劑)로 쓴다.[20] 부처꽃은 수렴제 약용 식물로 설사와 이질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아기를 포함한 모든 연령대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20]6. 재배 및 관리
습하고 빛이 잘 드는 곳에 심는다. 생명력이 강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란다. 한번 자리를 잡으면 포기가 계속 불어나 좁은 정원에서는 문제가 될 수도 있다. 가을에 받은 씨를 바로 뿌리면 이듬해 봄에 싹이 트고, 어느 정도 자란 모종을 옮겨심으면 그해에 꽃을 볼 수 있다. 유영지님의 탄생화이기도 하다.[29]
부처꽃은 수렴제 약용 식물로 설사와 이질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아기를 포함한 모든 연령대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20] 또한 정원에서 관상용 식물로 재배되며, 특히 습하고 배수가 잘 안 되는 습지, 늪, 물가와 같은 곳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건조한 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꽃은 화려하고 밝으며, 꽃 색상의 변형을 위해 여러 품종이 선택되었다.
- 'Atropurpureum': 짙은 보라색 꽃
- 'Brightness': 진한 분홍색 꽃
- 'Happy': 짧은 60cm 줄기에 붉은 꽃
- 'Purple Spires': 키가 큰 줄기에 보라색 꽃
- 'Roseum Superbum': 큰 분홍색 꽃.[21]
연분홍색 꽃의 'Blush'[22] 품종과 장미빛 붉은 꽃의 'Feuerkerze'[23] 품종은 영국 왕립 원예 협회의 정원 공로상을 받았다.[24]
또한 꽃이 풍부하여 중요한 꿀 공급원이 되기 때문에 많은 북미 지역에 양봉가들에 의해 도입되었다.[25]
7. 유해 식물로서의 부처꽃
부처꽃(''Lythrum salicaria'')은 유럽, 온대 아시아, 북서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남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등 세계 여러 온대 지역에 귀화되었다.[8][13][14][15][16] 호주에는 최근에 도입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뉴사우스웨일스에서 식민지 이전의 화분 샘플이 발견되어 다른 도입 경로가 있었음을 보여준다.[17] 호주 당국은 이 문제를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4]
부처꽃은 온대 뉴질랜드와 북아메리카에서 널리 귀화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통제 대상으로 지정되었다. 부처꽃의 확산은 강과 운하의 물 흐름을 막고, 물새, 양서류, 조류 등 다양한 생물의 생명 주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26]
부처꽃 한 개체는 연간 최대 270만 개의 작은 씨앗을 생산할 수 있으며,[27] 바람과 물을 통해 쉽게 퍼져나간다. 씨앗은 습한 토양에서 발아하며, 뿌리 조각에서도 새로운 싹이 나올 수 있다. 부처꽃 군락은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하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유럽 지팡이 부처꽃"(''L. virgatum'')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식물도 실제로는 같은 종이다. 불임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부처꽃을 톱니 모양이 아닌 잎, 사각형 윤곽의 각진 줄기 등으로 불꽃나무, 마편초, Liatris, 조팝나무 등 유사한 자생 식물과 구별할 수 있다.
7. 1. 생물학적 방제
부처꽃은 생물학적 방제의 성공적인 모델을 제공한다. 1985년에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고, 오늘날 이 식물은 부처꽃을 먹이로 삼는 여러 곤충들을 통해 잘 관리되고 있다. 다섯 종의 딱정벌레가 부처꽃을 자연적인 먹이로 사용하며, 이들은 식물에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28] 생물학적 방제 수단으로 사용되는 딱정벌레에는 두 종의 잎벌레: ''Galerucella calmariensis''와 ''Galerucella pusilla''; 그리고 세 종의 바구미: ''Hylobius transversovittatus'', ''Nanophyes breves'', ''Nanophyes marmoratus''가 포함된다. ''Galerucella'' 종의 침입은 부처꽃 군락을 제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한 지역의 식물 잎을 최대 100%까지 갉아먹는다. 밤나방의 일종인 ''Ectropis crepuscularia''는 다식성이며, 스스로가 해충 종이므로 생물학적 방제에 적합하지 않다.[28]참조
[1]
간행물
Lythrum salicaria
2023-07-13
[2]
웹사이트
Lythrum salicaria
http://ip30.eti.uva.[...]
2008-02-19
[3]
웹사이트
Lythrum salicaria - Plant Finder
https://www.missouri[...]
2021-11-01
[4]
웹사이트
Lythrum salicaria L. Purple Loosestrife
https://vicflora.rbg[...]
Royal Botanic Gardens Victoria
2018-03-27
[5]
서적
The Names of Pl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논문
Lythrum salicaria L. Weed Technology
[7]
서적
A Dictionary of English Plant Names.
Allen Lane
[8]
웹사이트
Lythrum salicaria
http://www.efloras.o[...]
2022-10-27
[9]
서적
The Illustrated Flora of Britain and Northern Europe
Hodder & Stoughton
[10]
서적
The Story of Pollination
Ronald Press Co.
1961
[11]
논문
Competition for pollinators and intra-communal spectral dissimilarity of flowers
https://www.research[...]
[12]
서적
Excursion Flora of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Lithium salicaria
https://websites.rbg[...]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2022-10-27
[14]
웹사이트
Lythrum salicaria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5]
문서
Lythrum salicaria
[16]
웹사이트
Lythrum salicaria
https://id.biodivers[...]
Centre for Plant Biodiversity Research, Australian Government
2023-03-15
[17]
서적
Wetland Weeds: Causes, Cures and Compromises
CSIRO Publishing
[18]
서적
An Irish Flora
Dundalgan Press (W.Tempest) Ltd
[19]
웹사이트
Sedge Meadow
https://ecology.fnal[...]
Fermi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2022-10-29
[20]
웹사이트
Lythrum salicaria
http://www.pfaf.org/[...]
[21]
서적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22]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Lythrum salicaria 'Blush'
https://www.rhs.org.[...]
2018-03-25
[23]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Lythrum salicaria 'Feuerkerze'
https://www.rhs.org.[...]
2020-12-27
[24]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3-25
[25]
논문
Innovative approach to legal regulation for using beekeeping data in forest areas
IOP Publishing
[26]
논문
Interactions betweenLythrum salicaria and native organisms: A critical review
https://doi.org/10.1[...]
1995-03-01
[27]
웹사이트
Non-native Invasive Freshwater Plants - Purple Loosestrife (Lythrum salicaria)
http://www.ecy.wa.go[...]
2014-06-06
[28]
웹사이트
Biology and Biological Control of Purple Loosestrife
https://bugwoodcloud[...]
USDA Forest Health Technology Enterprise Team
2022-10-27
[29]
서적
세밀화로보는한국의야생화
김영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