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단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산 단층은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동해안에서 시작하여 경주, 양산을 거쳐 낙동강 하구 부근까지 이어진다. 양산단층과 주변의 작은 단층들을 합쳐 양산단층대라고 부르며, 총 길이는 약 1,000km로 추정된다. 경주 부근에서는 울산단층이 갈라져 나가며, 남쪽 연장선은 일본 쓰시마 서쪽까지 이어진다.
양산 단층은 백악기 지층과 신생대 제3기 지층을 경계하며,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으로 수평 이동 거리는 남부 25km, 북부 35km로 추정된다. 단층대 동쪽은 습곡 구조, 서쪽은 단층 블록 구조를 보인다.
양산 단층은 과거 활발한 활동을 보였으며, 제4기 이후에도 반복적으로 활동한 흔적이 있다. 2016년 경주 지진 역시 양산 단층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양산 단층은 여러 분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진 발생 시 일부 분절만 파열되는 특성을 보인다. 양산 단층의 활성 여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제4기에도 활동했음이 밝혀졌다.
양산 단층대에는 양산 단층 외에도 동래 단층, 모량 단층, 밀양 단층, 자인 단층, 일광 단층 등 여러 단층이 존재한다. 이들 단층은 양산 단층과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양산 단층과 함께 한반도 지진 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양산 단층을 따라 수십 곳에서 제4기 단층 노두가 발견되었으며, ESR 연대측정법 등을 통해 제4기에도 활동했음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향이동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주향이동단층 - 인제 단층
인제 단층은 경기 육괴의 남향 이동 중 형성된 역단층으로, 강원도 인제군을 비롯한 일대에 분포하며 87 Ma 이후 재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단층경면, 단층점토 등의 특징을 보이는 선형 구조이다. - 대한민국의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단층 - 부산광역시의 지질
부산광역시의 지질은 중생대 경상 누층군 기반 위에 다양한 화산암류와 관입암류, 그리고 양산단층, 동래단층, 일광단층 등의 단층들로 이루어져 복잡한 지질 구조를 가지며, 부산국가지질공원과 공룡 발자국 화석 등 다양한 지질 유산을 통해 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단층 - 부산광역시의 지질
부산광역시의 지질은 중생대 경상 누층군 기반 위에 다양한 화산암류와 관입암류, 그리고 양산단층, 동래단층, 일광단층 등의 단층들로 이루어져 복잡한 지질 구조를 가지며, 부산국가지질공원과 공룡 발자국 화석 등 다양한 지질 유산을 통해 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양산 단층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양산 단층 |
다른 이름 | 언양 단층, 梁山斷層, Yangsan Fault |
명명 유래 | 경상남도 양산시 |
명명자 | 양산 지질도폭 |
명명 년도 | 1964년 |
위치 | 영남 지방 경상북도,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
도시 | 울진군, 영덕군, 포항시, 경주시, 울주군, 양산시 |
범위 | 북부 중앙 남부 |
주향 | 북북동-남남서 |
변위 | 21~35 km |
판 | 유라시아판 아무르판 내부 |
상태 | 활성단층 |
지진 | 경주 지진 |
유형 | 주향 이동 단층 |
이동 | 우수향, 좌수향 |
암석 단위 | 경상 누층군 불국사 화강암 |
생성 시기 | 중생대 백악기 이후 |
조산 운동 | 불국사 조산운동 |
로마자 표기 | |
문화관광부 2000년식 | Yangsan dancheung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Yangsan tanch'ŭng |
영어 | Yangsan Fault |
추가 정보 | |
관련 자료 | 양산 지질도폭설명서 경상분지의 경상누층군에 대한 지질 및 지화학적 연구 경상분지 동부의 백악기 및 전기신생대 층서 및 지사 양산단층 주변에 분포하는 화강암질암의 암석학적 연구 : 양산단층의 수평 변위량 청하-영덕지역 양산단층의 운동사 및 관련단열 발달상태 지구물리탐사와 지질조사에 의한 양산단층대 남부구간의 기하학적 특성 경주 지진의 원인...영남지역의 '양산단층'이란? |
2. 양산 단층의 위치 및 지질학적 특징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주행하는 단층이다.[7] 육상부는 동해안에서 경주, 양산을 거쳐 남해안의 낙동강 하구 부근(부산 서쪽)을 통과한다.
주단층인 양산단층과 주행을 같이하는 비교적 작은 단층들이 근처에 분포하며, 이들을 총칭하여 양산단층대라고 부른다. 위성사진을 보면 20~30km 너비로 여러 개의 선형구조가 평행하게 나타난다.[7][8]
경주시 부근에서 Y자 형태로 갈라져 남남동 방향으로 울산단층이 뻗어나간다. 양산단층대에 포함시키는 경우와 독립된 단층으로 보는 경우가 있다.[9]
해역 조사에 따르면 남북 양쪽 끝 모두 해역까지 단층이 뻗어 있으며, 총 길이는 약 1,000km로 추정된다. 남쪽 연장선은 일본 쓰시마 서쪽을 지나 고토 열도 서쪽 부근까지 이어진다.[6][8]
경주 서쪽에 펼쳐진 경상분지는 백악기 지층(백악계), 동쪽 동해안 지역에는 신생대 제3기 지층(제3계)이 분포하지만, 양산단층은 백악계를 통과하며 "신라층군"과 백악기 중기의 화산암을 경계한다. 단층 주부의 폭은 대략 수십m이며, 폭 200~500m의 파쇄대를 가지고 있으며, 우수향(오른쪽으로 이동) 단층으로 보인다. 수평 이동 거리는 남부 25km, 북부 35km로 추정된다.[7][8][9] 또한, 단층대 동쪽 지질은 주로 일본 열도와 평행한 방향의 습곡 구조를 보이는 반면, 서쪽에서는 단층 블록 구조가 나타나 지질 구조를 경계하는 단층대이기도 하다.[8]
2. 1. 위치 및 연장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주행하는 양산 단층은[7] 육상에서는 동해안에서 시작하여 경주시, 양산시를 거쳐 남해안의 낙동강 하구 부근(부산광역시 서쪽)을 통과한다.경주시 일대에서는 형산강이 단층곡을 따라 북쪽으로 10 km 정도 흐르며[12],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제35호선이 경주시부터 양산시까지 이어지는 단층곡을 따라 지난다. 모량 지질도폭(1971)에서는 양산 단층의 동쪽이 하강하고 서쪽이 북쪽 방향으로 상승한 것으로 추정하였다.[99] 일제강점기 일본인 지질학자 타테이와 이와오(다테이와 이와오/立岩巖일본어)는 1924~1928년 왜관에서 경주에 이르는 지역의 지질을 조사하고 왜관, 대구, 영천, 경주 4개 지역의 지질도폭을 제작했는데, 이 중 단층에 대한 설명에서 오늘날 양산 단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는 기록이 있다.[100]
{{인용문|'''(甲)北北東乃至北東走向ノ斷層'''
慶州區域ニ於ケルコノ方向ノ斷層ハ特ニ其ノ東部兄山江沿岸ヨリ西方凡ソ五粁ノ地帶ニ多ク其ノ內西方ノモノハ西側落チ叉東方ノモノハ東側落チナルヲ普通トスル傾向アリ尙慶州ノ南西約四粁ナル西岳理附近
毛良理圖幅ノ觀察ニ基ケハ本域內ニ於ケル'''兄山江沿岸ノ沖積平野中ニモ同方向ノ斷層線狀在ヤルカ如ク推察セラルコノ斷層地帶ハ本域外ニモ遠ク延長シ北ハ迎日郡ヲ越エ盈德郡ノ東端地方ヲ斜斷シテ日本海ニ沒シ叉南ハ蔚山及梁山兩郡ヲ經テ洛東江口附近ヲ通過'''スルモノノ如ク其ノ大體ノ走向ハ前記慶尙層群ト基盤トノ境界ヲナスモノト同シク北約二十度東ナリ大體ニ於テコレト並走スル迎日郡以南ニ於ケル日本海海岸線竝對馬ハコル走向ノ斷層ト成因上ノ親綠アルヘシ
(형산강 연안 충적평야 중 같은 방향의 단층선상이 존재, 단층지대가 본역 외로 멀리 연장됨 : 북으로는 영일군을 넘어 영덕군 동단지역을 비스듬히 자르고 일본해(동해)에서 물속으로 들어감, 남쪽으로는 울산 그리고 양산 양군(兩郡)을 지나며 낙동강 하구 부근을 통과)|朝鮮地質圖. 第10輯 : 慶州, 永川, 大邱 及 倭館圖幅 (昭和四年) - 地質構造要略 중 斷層 문단}}
2016년 경주 지진이 발생한 경주 지역의 단층 지형 분석에 따르면, 형산강은 양산 단층곡을 따라 북북동 방향으로 흐르며, 하계망 분석 결과 단층 활동이 하천 형성 이전부터 있었거나 하천의 하각(下刻) 능력을 초과하는 정도로 매우 활발했을 가능성이 높다.[101]
영덕군 북쪽에서 양산 단층은 영덕읍 삼계리에서 국도 제7호선을 따라 축산면 고곡리와 영해면 괴시리를 지나 대진해수욕장 방면으로 이어진다.[12] 여기서 영덕 단층과 F1, F2 등의 가지 단층들이 분기되며, 이들 단층을 경계로 동측과 서측의 지질 분포 및 지형적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양산 단층과 평행한 F1 단층은 영덕군 고곡리 부근에서 굴곡되어 양산 단층과 합류하며, 양산 단층과 F1 단층 사이에도 다수의 연결 및 부차(subsidiary) 단층들이 발달한다.[12]

채병곤과 장태우(1994)는 양산 단층이 영덕군에서 더 이상 북쪽으로 연장되지 않고 소멸된다고 추정하였으나,[12] 이후의 연구들을 통해 영덕군 중부를 넘어 축산면 고곡리와 영해면, 그리고 울진군 평해읍에 이르기까지 단층의 노두들이 연속적으로 보고되면서 양산 단층이 북쪽으로 영해면을 지나 평해읍 일대까지 연장됨이 밝혀졌다.[77][78][79]
울산광역시 언양읍~양산시 통도사 일대에는 양산 단층과 관련된 다수의 단층 지형이 발달한다. 단층대의 양측부는 고지대이나 중앙부는 양산 단층대에 평행한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단층곡을 형성하며,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제35호선이 지나는 단층곡의 저지대를 따라 제4기 단층의 노두가 확인된다.[113]

언양 지질도폭(1972)에서 양산 단층은 언양 단층으로 명명되었으며, 양산 이남에서 시작하여 경주, 포항으로 이어지는 북북동 20°방향의 대규모 단층이다.[114]
양산시 일대에는 단층곡으로 유입된 수류가 양산천을 이루어 양산 단층곡을 따라 남쪽으로 흐른다.[12] 양산 지질도폭(1964)에 의하면 양산 단층은 양산천과 일치하며 주향은 북동 15°이다.[12] 통도사-양산 시내 구간의 몇몇 곳에서 양산 단층의 단층대가 확인되었으며, 제4기 동안 2회 이상의 활성 단층 운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25]
부산광역시 내에서 양산 단층은 부산시 서쪽, 낙동강 본류를 따라 발달하며 낙동강 하굿둑을 지나 남해로 간다. 동래 지질도폭(1978)에 의하면 양산 단층에 의해서 서쪽 지괴가 하강하고 동쪽 지괴가 상승하였다.[131] 부산-가덕 지질도폭(1983)에 의하면 양산 단층은 경주 지질도폭 지역에서부터 남하하여 낙동강 하구까지 내려오는 북동 10°주향의 대규모 단층이다.[132] 부산광역시 다대포 지역에 있는 다대포 분지는 인리형 분지(pull-apart basin)이다.[133][12]
거제시 동쪽 앞바다에서 양산 단층의 연장부가 발견되었으며, 제4기 활동을 한 것이 확인되었다.[134][135]
단층명 | 위치 | 좌표 | 성향 | 주향[136]/경사 | ESR/OSL 연대측정값 |
---|---|---|---|---|---|
구산 단층 |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 | 우수향 역단층 이동 | 북동 28°/남동 60° | 단층비지 : 369±39 ka 제4기 하안단구층 : 41±4~50±3 ka | |
평해 단층 | 영덕군 평해읍 오곡리 | 우수향 주향이동 | 남-북/수직 | 단층비지 ESR : 500±70 ka, 420±70 ka 사질층 OSL : 53±8 ka, 72±5 ka, 97±7 ka | |
덕곡 단층 | 영덕군 강구면 하저리 | 우수향 주향이동 | 북서 6°/남동 40-72° | 단층비지 : 660 ka~650 ka | |
보경사 단층 | 포항시 송라면 보경사 입구 계곡 | 우수향/좌수향 주향이동 | 북동 10°/북서 80° | 단층점토 : 16.5±0.1 Ma 단층비지 20.5±0.4 Ma | |
유계 단층 | 포항시 북구 청하면 유계리 | 역단층 | 북동 10°~13°/동 45° | 단층비지 : 460~850±110 ka 단층점토 : 34,200~39,000 ka | |
반곡 단층 | 포항시 북구 신광면 반곡리 | 우수향 주향이동 | 북동 42°/북서 85° | 단층비지 : 640±60 ka | |
벽계 단층 | 경주시 강동면 단구리 | 우수향 주향이동 | 북동 11°/남동 80°~수직 | 단층비지 ESR : 1,890±70 ka, 420±20 ka, 400±20 ka, 870±70 ka OSL : >88±5 ka, 75±3 ka, 4.0±0.3 ka, 74.4±5.1 ka | |
신화 단층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신화리와 교동리 | (신화리) (교동리) | 정이동 우수향 | 북동 40~45°/북서 78~70° | 단층비지 : 95.1±2.5 Ma |
상천 단층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 | (상천 1단층) (상천 2단층) | 역우수향 | 북동 9-30°/남동 70-90° 북북동/수직 | 240~850 ka - |
가천 단층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 | (가천 1단층) (가천 2단층) | 역우수향 우수향 | 북동 10~26°/남동 70~80° 북동 35°/수직 | 1000 ka~ 단층비지 : 750± 90 ka, 830±130 ka |
연봉 단층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 | 역단층 | 북동/수직, 동-서/북 15° | - | |
조일 단층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조일리 | 역우수향 | 북동 10°/남동 76° | 단층비지 : 800±100 ka 및 830±190 ka | |
월평 단층 |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 | (월평 1단층) (월평 2단층) | 역우수향 | 북동 25°/수직 북동 14°/남동 48-60° | - 58.7 Ma |
웅상 단층 | 양산시 웅상읍 사기점리 | 우수향 | 북동 28°/북서 80° | 단층비지 : 600±40 ka~370±50 ka | |
교동 단층 | 양산시 물금면 범어리 | 좌수향 | 북서 42°/남서 65°~79° | 단층비지 : 380±60 ka~310±20 ka | |
다방 단층 | 양산시 동면 내송리 | 우수향 | 북동 83°/북서 71° | 단층비지 : >3000 ka | |
소토리 단층 | 양산시 소토리 | 역단층 | 북동 25°/북서 30° |
2. 2. 지질학적 특징
경상 분지는 영남 육괴와의 경계에 위치하며, 평해 분지는 약 4km의 연장과 최대 1km의 폭을 가진 북북동 방향의 인장틈 형태를 보인다. 평해 분지의 퇴적암은 A, B, C 3개 지층으로 구분되며, 서쪽 경계는 (북)북동 방향의 정단층과 서북서 방향의 단층으로 구성되고, 분지 서쪽으로 일월산 스러스트 단층이 이어진다. 분지 내부에는 지구와 지루 구조가 발달하여 평해 분지가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인장력에 의해 확장된 열개분지임을 보여준다. 동쪽 경계는 양산 단층 북부에 해당하는 역이동성 우수향 주향이동 단층으로 경계된다. 중기 마이오세에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평해 분지가 확장됨과 동시에 양산 단층이 정단층 운동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2]영덕군 영해면 일대에 발달한 영해 분지의 동쪽 경계 단층은 우수향 주향이동 단층이며, 이는 양산 단층의 북쪽 분절의 연장이다. 영해 분지는 중신세 후기에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압축력에 의한 양산 단층의 좌수향 이동으로 형성되었으며, 이후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압축력에 의한 응력 변화로 반대 방향으로 재활성화되었다. 그 결과 분지는 닫히고 상승하여 역전된 인리형 분지로 분류되었다.[86]
포항시에는 신생대에 형성된 포항 분지가 있고 양산 단층에 의해 경상 분지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포항 분지 서편이 양산 단층에 의해 경계되며, 이 단층이 주 변위대로써 우수향 주향이동 운동을 하여 확장된 인리형 분지로 해석되어 왔다.[12] 그러나 이후의 야외 조사를 통해 포항 분지의 서편은 양산 단층과 접하지 않으며, 양산 단층 동편에 위치하는 북북서 방향의 이음단층(transfer fault)과 북북동~북동 방향의 정단층들의 분절로 이어지는 지그재그 형태의 단층대로 경계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12] 포항 분지 서편 경계단층은 남쪽으로 연일 구조선과 약 50°각도로 사교하며 북쪽 말단에서 양산 단층과 연결된다. 분지의 서편 경계 단층은 확연한 지그재그 형태로 양산 단층으로부터 약 2~3 km 동편에 위치하며, 북북동과 북북서의 분절 단층으로 구성된다.[12]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양산 단층의 우수향 주향이동이 포항-경주 일대에 분포하는 제3기 마이오세 퇴적분지들의 확장을 주도한 것으로 해석하였으나[87][88] 최근의 연구들은 마이오세 퇴적분지들의 확장이 양산 단층과는 관련 없고 양산 단층 동쪽의 연일구조선에 의해 규제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9][90]
양산시 지역에서는 동, 서측 배후 산지를 따라 선상지가 발달하고 있으며, 양산천을 따라 하안단구가 발달하고 있다. 이는 퇴적학적 측면에서 하천 수력 외에도 수평 이동 단층 운동과 같은 유로 변동에 의한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양산 단층의 서쪽 지괴에서 선상지가 탁월하게 발달하는 것은 서쪽 지괴의 상대적 상승 운동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12] 양산시 명곡동 일대에는 북동-남서 주향의 단층곡과 추정 단층선이 3열 이상 인지되며, 추정 단층선을 따라서 단층와지와 단층구릉 및 비대칭적인 하안단구가 연속적으로 발달하고 있다.[126]
3. 양산 단층의 운동사 및 변위량
단층이 주로 활동한 시기는 백악기 후기부터 고제3기를 거쳐 신제3기 초기까지로 생각되며, 수평 이동의 대부분은 42~14Ma(始新世부터 中新世)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9]
제4기 이후에도 제4기 후기에 반복적으로 활동한 흔적이 확인된다. 주단층 북부의 단구(段丘) 퇴적물 변위로부터 상하 평균 변위 속도는 천 년당 0.03~0.07m 또는 0.02~0.07m로 추정되며, 수평 이동의 변위가 이보다 더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값이 변위 속도의 하한선으로 추정된다.[7][9]
역사 자료에 따르면 경주에서는 34년, 100년, 123년, 304년, 471년, 510년, 630년, 779년에 지진 기록이 있으며, 779년 지진은 『삼국사기(三国史記)』에 따르면 피해가 커 100명 이상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트렌치 조사를 통해 발견되어 연대 측정에 의해 536년경으로 추정되는 퇴적물의 변위가 있지만, 이 변위를 초래한 것은 510년에 기록된 지진일 가능성이 있다.[9]
2016년 9월 경주 지진(Mw5.4, 최대 진도 MMI VI)은 양산 단층대(梁山斷層帶)가 진원으로 생각된다.[10]
3. 1. 운동 시기
양산 단층은 주로 중생대 백악기 말에서 신생대 제3기 초에 형성된 단층으로 해석되었으나,[18] 최현일과 박관순(1985)은 경상 분지 퇴적 이후 신생대 네오기에 형성된 단층으로 해석하였으며,[19] Jolivet 외(1991)는 양산 단층의 주 활동 시기를 42~14 Ma로 제시하였다.[20] 단층이 주로 활동한 시기는 백악기 후기부터 고제3기(古第三紀)를 거쳐 신제3기(新第三紀) 초기까지로 생각되며, 수평 이동의 대부분은 42~14Ma(始新世부터 中新世)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9]제4기 이후에도 제4기 후기에 반복적으로 활동한 흔적이 확인된다. 주단층 북부의 단구(段丘) 퇴적물 변위로부터 상하 평균 변위 속도는 천 년당 0.03~0.07m 또는 0.02~0.07m로 추정되며, 수평 이동의 변위가 이보다 더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값이 변위 속도의 하한선으로 추정된다.[7][9]
역사 자료에 따르면 경주에서는 34년, 100년, 123년, 304년, 471년, 510년, 630년, 779년에 지진 기록이 있으며, 779년 지진은 『삼국사기(三国史記)』에 따르면 피해가 커 100명 이상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트렌치 조사를 통해 발견되어 연대 측정에 의해 536년경으로 추정되는 퇴적물의 변위가 있지만, 이 변위를 초래한 것은 510년에 기록된 지진일 가능성이 있다.[9] 양산 단층은 여러 곳에서 제4기에 단층 운동을 한 활성단층의 증거들이 발견되며 가장 최근의 단층 활동은 서기 536년에 있었다.[21]
2016년 9월 경주 지진(Mw5.4, 최대 진도 MMI VI)은 양산 단층대(梁山斷層帶)가 진원으로 생각된다.[10]
3. 2. 변위량
지질도[22]를 보면,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양산 단층은 경상 분지 동부를 가로지르고 있으며 양산 단층에 의해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 대구층(또는 울산층, 사연리층)과 유천층군의 화산암류 그리고 화강암류가 변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러 학자들은 이러한 지질도 상에서의 암석의 분포를 근거로 양산 단층의 변위량을 우수향으로 21~35 km인 것으로 해석하였다.백악기 경상 분지 퇴적암 경상 누층군의 분포를 근거로 하여 약 25 km의 우수향 변위가 보고되었다.[23][24] 엄상호 외(1983)는 양산 단층 서부에 유천층군 화산암류와 화강암류가 분포하고 동부에 유천층군 하부의 구영리층, 사연리층 등이 분포하는 지질의 차이로 단층의 존재를 인지하였고 단층 동부를 북쪽으로 25 km 이동시키면 단층 양측의 지질이 잘 연결된다고 설명하여 양산 단층의 변위량을 우수향으로 25 km인 것으로 보고했다.[12] 장기홍 외(1990)는 경상 분지 동부 영덕군 지역에서 양산 단층의 동측 지괴를 북쪽으로 약 35 km 이동시키면 단층 양쪽의 지질 분포가 일치한다는 점을 들어 양산 단층의 변위량이 우수향으로 35 km인 것으로 설명했다.[12]
장태우, 장천중, 김영기(1993)는 단층대에서 그 폭에 대한 변위의 비는 60~70 정도라는 사실[25]에 입각하여 언양 지역에서 양산 단층의 변위량을 15 km, 양산 지질도폭 지역에서 30 km로 추정했다.[26] 황병훈 등(2004)은 양산 단층 양쪽의 화강암의 대칭적 특성에 근거해 양산 단층의 변위량을 우수향으로 21.3 km인 것으로 추정했다. 울주군 언양읍을 중심으로 북동 20°방향의 추정 단층선을 따라 화강암류들을 약 21.3 km 좌수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양측 지괴에서 화강암류의 노출면과 암상 경계가 거의 일치하게 된다.[12] 황병훈 등(2007)은 양산 단층 양쪽의 화강암 암상을 분석하고 50 Ma 이후 21 km의 우수향 주향 이동 운동을 제안했다.[27] 황병훈 등(2010)은 경주시-포항시 기계면 지역의 A-형 알칼리장석 화강암(남산화강암) 분포에 근거하여 팔레오세 화강암의 결정화(crystallization) 이후 21 km의 우수향 주향 이동 운동을 제안했다.[28]
김남권 등(2020)은 양산 단층 중남부의 4개 지점에 대한 하안단구의 오프셋(offset, 경주 내남면 용장리 지점: 19.09±2.58 m, 21.92±2.69 m,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지점: 195.43±23.54 m,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 지점: 37.53±6.56 m, 양산시 하북면 초산리 지점: 9.68±2.73 m, 34.44±4.40 m)을 확인하고 제4기 하안단구 형성 이후 양산 단층을 따라 발생한 고지진은 일부 경사 이동 성분을 포함하나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의 운동이 우세했다고 결론 지었다.[29]
3. 3. 구조 운동사
양산 단층은 과거 우수향 주향이동 단층으로 해석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우수향 주향이동 외에도 좌수향 및 경사 운동 등 다양한 응력 환경 변화에 따라 복합적인 운동을 겪은 것으로 해석된다. 우수향 주향이동은 양산 단층의 운동 역사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30]장천중과 장태우(1998)는 양산에서 포항까지 1,033개의 소단층과 단층조선을 분석하여 양산 단층의 구조운동사를 6개의 지구조 사건(I~VI)으로 추정하였다. 북서-남동 방향 신장 운동(사건 I)으로 양산 단층이 형성된 후, 동북동-서남서 압축과 북북서-남남동 신장 운동(사건 II)에 의해 양산 단층은 우수향 주향 이동을 하였다. 이 두 사건 시기에 양산 단층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여 25 km[12], 35 km[12] 또는 10~15 km[12]의 변위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북서-남동 방향 압축력(사건 III)과 동북동-서남서 방향 인장력(사건 IV)에 의해 양산 단층은 좌수향 주향이동을 하였으며, 사건 V에서는 동-서 방향 압축 응력이 양산 단층 주향에 직각으로 작용하여 단층 이동이 거의 없었다. 마지막으로 북북동-남남서 방향 압축력과 동남동-서북서 방향 신장력(사건 VI)에 의해 양산 단층은 미약한 신장 혹은 우수향 주향이동을 하였다. 양산 단층은 단순 우수향 주향이동 단층이 아니라 에오세 이래 동해의 확장 운동과 같은 광역적인 지구조 운동에 의해 다중 변형을 겪었다.[30]
김인수(1992)는 동해의 북서-남동 내지 북북서-남남동 방향 확장에 따라 양산 단층이 신생대 마이오세에 우수향 및 좌수향 주향 이동 단층으로 재활성되었다고 설명하였다.[31] 조성권 외(1995)는 동해 대륙 주변부 탄성파 탐사자료를 바탕으로 신생대 포항 분지와 해저 영덕 분지가 양산 단층과 해저 후포 단층의 우수향 주향이동에 의해 형성된 인리형 분지(pull-apart basin)라고 해석하였다.[32]
최범영(2006)은 양산 단층과 포항 분지 내 장사 단층의 우수향 주향 이동으로 만들어진 퇴적 동시성 신광 주향이동 듀플렉스(Singwang strike-slip duplex)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양산 단층에서 갈라져 나온 윈말, 도천, 유계, 고주산, 냉수, 말골, 오금, 모아 단층 등 8개 단층이 확인되었으며, 듀플렉스 형성 이후 포항-울산 지괴 회전과 관련하여 양산 단층의 좌수향 주향이동이 있었다. 그 후 서북서-동남동 방향 압축력에 의해 양산 단층은 형산강을 따라 발달하는 동-서 주향의 형산 단층[33]에 의해 우수향으로 절단되었다.[34]
조형성 외(2007)는 양산 단층 동편 화강암질암에서 확인된 북동-남서 주향 자기적 엽리구조가 양산 단층 좌수향 주향이동의 산물인 북서-남동 방향 압축력에 의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이 화강암질암 연령이 약 60~70 Ma로 알려져 있어 양산 단층은 백악기 말에서 신생대 초에 좌수향 주향이동 운동을 한 것으로 추정하였다.[35]
조형성 외(2016)는 양산 단층과 동래 단층 사이 다대포 분지의 구조지질학적 특징과 암석 절대연령을 바탕으로 다대포 분지가 중생대 백악기 상파뉴절(Campanian)에 북북동 주향 양산 단층과 동래 단층의 좌수향 주향이동에 의해 형성된 인리형 분지(pull-apart basin)임을 제안하였다. 이 좌수향 주향이동은 고태평양판(쿨라판 또는 이자나기판)의 사교 섭입에 의해 유도된 것으로 해석하였다.[36]
천영범 외(2017)는 경부고속도로 경주-언양 간 확장공사로 드러난 양산 단층대 주요 노두를 분석하여 양산 단층의 강력한 우수향 주향 이동이 이전 좌수향 주향이동에 의한 변형을 압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양산 단층이 백악기 말~신생대 초에 좌수향 주향이동 운동[12][12]을 하였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양산 단층은 중생대 백악기 말 북서-남동 방향 압축력 하에서 좌수향 주향 이동 운동을 겪었으며, 양산 단층 우수향 주향이동을 지시하는 A-형 알칼리장석화강암 절대 연령이 50 Ma[12]이고 양산 단층 우수향 주향이동은 마이오세 분지 형성과 관련 없으며 이 시기 양산 단층 활동이 미미했다는 점을 들어, 43~25 Ma 동안 북동-남서 방향 광역적인 압축력 하에서 우수향 주향이동을 겪었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후에도 응력 환경 변화에 따라 소규모 운동을 여러 번 겪은 것으로 추정하였다.[37]
단층은 주로 백악기 후기부터 고제3기를 거쳐 신제3기 초기까지 활동했으며, 수평 이동 대부분은 42~14Ma(시신세부터 중신세)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9] 제4기 이후에도 제4기 후기에 반복적으로 활동한 흔적이 확인된다. 주단층 북부 단구 퇴적물 변위로부터 상하 평균 변위 속도는 천 년당 0.03~0.07m 또는 0.02~0.07m로 추정되며, 수평 이동 변위가 이보다 더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값이 변위 속도 하한선으로 추정된다.[7][9]
역사 자료에 따르면 경주에서는 34년, 100년, 123년, 304년, 471년, 510년, 630년, 779년에 지진 기록이 있으며, 779년 지진은 『삼국사기』에 따르면 피해가 커 100명 이상 희생되었다고 한다. 트렌치 조사를 통해 발견되어 연대 측정에 의해 536년경으로 추정되는 퇴적물 변위가 있지만, 이 변위를 초래한 것은 510년에 기록된 지진일 가능성이 있다.[9]
2016년 경주 지진(Mw 5.4, 최대 진도 MMI VI)은 양산단층대가 진원으로 생각된다.[10]
4. 양산 단층의 분절
양산 단층은 여러 개의 분절(segment)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규모 지진 발생 시 단층 전체가 아닌 일부 분절만 파열되는 특성을 보인다.[38][39] 단층 분절화(fault segmentation) 개념은 각 분절에 대한 정보 분석을 통해 지진의 최대 규모 및 재발 주기를 추론하는 데 사용된다.[40]
역사지진 및 고지진 연구에 따르면, 활성단층은 서로 다른 지진학적 특성을 가진 여러 분절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분절은 연속적으로 지진을 발생시킨다.[41] 양산 단층의 경우, 지진력 평가는 전체 단층이 아닌 각 분절의 운동에 따른 지진 발생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2]
양산 단층의 분절 연구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들이 있다.
- 이기화와 진영근(1991)은 역사 지진과 계기 지진 자료를 바탕으로 양산 단층을 북부, 중앙, 남부 3개 구역으로 나누었다. 북부와 중앙 경계는 울산 단층과의 교차점인 북위 36.2도 선이며, 중앙과 남부 경계는 지진 활동 양상이 변하는 북위 35.5도 선이다. 각 구역의 최대 지진 MM 진도는 북부 VII, 중앙 IX, 남부 VIII이다.[12]
- 장태우 외(1993)는 구조지질학적 연구를 통해 언양 북부 지역을 경계로 남북이 서로 다른 분절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12]
- 장천중과 장태우(2009)는 단층대 폭의 주기적 변화, 단층암 변형 양상 등을 근거로 양산시-포항시 신광면 구간을 5개 구역(A~E)으로 구분하였다. A 구역(양산시-울주군 두동면)은 넓은 단층대 폭을 가지며, B 구역(울주군 두동면-경주시 내남면)은 단층대 폭이 매우 좁다. C 구역(경주시 내남면-경주시 남쪽 입구)은 특징 설명이 어려우나 야외 구조 요소들을 바탕으로 구분되었다. D 구역(경주시 남쪽 입구-동국대학교 경주분교 및 안강읍)은 넓은 단층대를 가지며, E 구역(안강-포항시 신광면 냉수리)은 단층대 폭이 점차 좁아진다.[42]
- 최진혁 외(2017)는 기존 연구와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양산 단층을 3개 분절로 구성된 모델을 제안하였다. 울주군 두서면을 중부와 남부 분절 경계부로 추정하고, 이 지역이 오랜 기간 지진 파열 전파를 방해하는 '장벽'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았다. 이 분절 경계부 주변에서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약 470여 차례의 여진이 발생했다.[12]
5. 양산 단층의 활성 및 지진
양산 단층의 활성화 여부를 두고 30년 넘게 논쟁이 끊이지 않았는데, 논쟁이 계속된 데는 인근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지 않았고, 정확한 지질 조사가 이뤄지지 못했던 것이 꼽힌다.[46] 첫 제기는 일제 시대 일본인 학자에 의해 거론된 적이 있었지만[46], 본격적인 논의는 1983년 이기화 서울대 명예교수로부터 촉발됐다. 이 교수는 양산 단층 주변의 소규모 지진 발생을 근거로 양산 단층이 활성단층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47] 당시 국책연구소가 즉각 반론을 제기했고, 원자력발전업계 내에서도 큰 논란이 있었는데 양산 단층 인근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들의 안전성 문제가 우려되었기 때문이었다.[46]
한반도에 활성단층이 존재한다는 본격적인 최초의 주장은 양산 단층의 지진활동에 대한 이기화 외(1983, 1984)의 연구에서 비롯하였다. 이들은 1982년 8월 26일부터 12월 27일까지 양산 단층과 인접한 동래 단층 및 언양 단층(오늘날의 모량 단층)에서 규모 1.1~2.7의 지진들이 매일 평균 1회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역사 지진자료에서 양산 단층이 통과하는 경주 부근에서 MMI VIII 이상의 지진이 10회 발생했음을 발견했으며 최대 진도를 IX로 보았다. 역사지진 중 779년 경주 지진으로 100여명이 사망했다. 지질학적으로 양산 단층이 동해로 연장된다는 주장이 있었고 따라서 1981년과 1982년 포항과 울진에서 발생한 지진들도 이 연장선상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를 근거로 이들은 양산 단층이 산안드레아스 단층과 같은 명백한 활성단층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양산 단층은 타이완 동부에서 제주도(동부)를 지나 울릉도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단층의 일부라는 주장도 나왔다.[48][49] 이기화 외(1986)는 양산 단층 북부의 지진 활동과 지구조선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양산 단층 북부 지역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양산 단층이 안강읍을 북북동 주향으로 지나는 것이 확인되었고 경상 분지 북동부에서는 지진 활동이 양산 단층계와 잘 연관되나 다른 지역에서는 양자의 관계가 모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자력탐사 수행 결과 양산 단층 파쇄대에서는 지하 30~85 m에 암반이 위치하며 전기 비저항값이 낮다는 것이 밝혀졌다. 방사능탐사는 양산 단층대를 따라서 감마선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50]
양산 단층이 활성이라는 이기화와 나성호(1983)의 주장에 대하여 김성균과 조동행(1984)[51]이 이들이 이 일대의 인공폭파에 의한 지반진동을 미소 지진으로 오인하였고, 불합리한 해석방법으로 성급한 결론을 내려 양산 단층을 활성 단층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반론을 제기하였다. 이 반론에 대하여 이기화(1985)가 미소지진들이 폭파지진이 아니고 실제로 발생한 지진임을 입증하였고, 해석방법이 불합리하다는 이들의 주장이 지진학적으로 타당하지 않음을 밝혔다.[52] 이로부터 양산단층이 비활성임을 주장하는 어떠한 반론도 제기되지 않았다.
1990년대에는 한국과 일본의 공동 연구로 '포세이돈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항공촬영을 통한 지형분석으로 양산 단층의 선상구조가 확인되었다.[53] 이후 1997년 한일 양국의 교수 3인으로 구성된 '양산 단층의 활성관계' 한일 공동연구팀이 울산광역시 부근에서 현지 굴착 조사를 통해, 양산단층이 20만~30만 년 전에 활동한 제4기 단층임을 확인하면서 활성 여부 논쟁이 다시 가열됐지만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11][46]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당시 소방방재청 (현 국민안전처)의 의뢰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3년간 수행한 연구에서도 양산 단층과 울산 단층은 활성단층으로 추정된다는 결론이 났지만 공개되지 않은 채 묻혔다. 당시 전문가 그룹은 조사기간이 짧고 조사방식 역시 단일해 신뢰성을 얻기 힘들다고 판단했다.[46]
양산 단층이 주로 활동한 시기는 백악기 후기부터 고제3기(古第三紀)를 거쳐 신제3기(新第三紀) 초기까지로 생각되며, 수평 이동의 대부분은 42~14Ma(시신세(始新世)부터 중신세(中新世))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9]
제4기 이후에도 제4기 후기에 반복적으로 활동한 흔적이 확인된다. 주단층 북부의 단구(段丘) 퇴적물 변위로부터 상하 평균 변위 속도는 천 년당 0.03~0.07m 또는 0.02~0.07m로 추정되며, 수평 이동의 변위가 이보다 더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값이 변위 속도의 하한선으로 추정된다.[7][9]
역사 자료에 따르면 경주에서는 34년, 100년, 123년, 304년, 471년, 510년, 630년, 779년에 지진 기록이 있으며, 779년 지진은 『삼국사기(三国史記)』에 따르면 피해가 커 100명 이상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트렌치 조사를 통해 발견되어 연대 측정에 의해 536년경으로 추정되는 퇴적물의 변위가 있지만, 이 변위를 초래한 것은 510년에 기록된 지진일 가능성이 있다.[9]
2016년 9월 2016년 경주 지진(Mw5.4, 최대 진도 MMI VI)은 양산단층대(梁山斷層帶)가 진원으로 생각된다.[10]
5. 1. 활성 논란
양산 단층이 주로 활동한 시기는 백악기 후기부터 고제3기(古第三紀)를 거쳐 신제3기(新第三紀) 초기까지로 생각되며, 수평 이동의 대부분은 42~14Ma(시신세(始新世)부터 중신세(中新世))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9]제4기 이후에도 제4기 후기에 반복적으로 활동한 흔적이 확인된다. 주단층 북부의 단구(段丘) 퇴적물 변위로부터 상하 평균 변위 속도는 천 년당 0.03~0.07m 또는 0.02~0.07m로 추정되며, 수평 이동의 변위가 이보다 더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값이 변위 속도의 하한선으로 추정된다.[7][9]
역사 자료에 따르면 경주에서는 34년, 100년, 123년, 304년, 471년, 510년, 630년, 779년에 지진 기록이 있으며, 779년 지진은 『삼국사기(三国史記)』에 따르면 피해가 커 100명 이상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트렌치 조사를 통해 발견되어 연대 측정에 의해 536년경으로 추정되는 퇴적물의 변위가 있지만, 이 변위를 초래한 것은 510년에 기록된 지진일 가능성이 있다.[9]
2016년 9월 2016년 경주 지진(Mw5.4, 최대 진도 MMI VI)은 양산단층대(梁山斷層帶)가 진원으로 생각된다.[10]
5. 2. 역사 지진
5. 3. 최근 지진
1997년 경주 지진의 주 피해 지역이 북북동 방향의 양산 단층의 일부 지역을 포함한 장방향으로 나타나고 단층면해 역시 고각도의 북북동 방향의 주향이동을 나타내는 것에 근거하여 1997년 경주 지진이 양산 단층에서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54] 절단면의 주향, 경사, 면선각이 150±4°, 63±6°, 65±7°또는 18±12°, 26±3°, 120±5°인 것으로 도출하였고 이는 주향이동이 포함된 역단층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1997년 경주 지진이 양산 단층의 활성운동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55]기상청은 2016년 경주 지진이 양산 단층 또는 주변 단층의 수평 이동으로 인해 지진이 발생했다고 추정했다.[56]
5. 4. 기타 연구
경주시는 신라 시대 동안 100년 경주 지진, 123년 경주 지진, 304년 경주 지진, 510년 경주 지진, 779년 경주 지진 등 다수의 지진 기록이 존재하며, 이들 지진은 삼국사기에 진도 VIII 이상 대규모 지진으로 기록되어 있고 양산 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57]배대석 외(2009)는 169개의 역사지진과 126개의 계기지진 자료를 이용하여 단층과 지진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역사지진 자료에서는 일부 진앙지가 양산단층대에 위치하지만, 진앙지와 양산단층대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기 어려웠다. 계기지진 역시 양산 단층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한반도 동남부에 양산 단층대와 같은 제4기 단층들이 존재하지만, 역사 시대 이래 지진 발생이 특정 단층과 직접적인 관계를 보이기보다는 배경지진의 특성을 보이는 분산된 양상을 나타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58]
우상우 외(2015)는 2016년 경주 지진 발생 9개월 전, 양산시와 포항시 지역에서 채취한 단층비지 시료를 이용한 전단속도변화실험을 통해 양산 단층의 마찰 특성을 연구했다. 실험 결과, 단층 미끌림 시작 깊이에서 단층암의 특성이 지표 노두에서와 유사하다는 가정 하에, 시료 채취 지역의 양산 단층은 재활될 경우 크리프 단층처럼 지진을 유발하지 않는 안정한 미끌림 거동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59]
단층 변위로부터 추정한 제4기 지층의 변위율은 0.73±0.07 mm/yr이며, 모델링 결과 550~1500년의 재발 주기로 최대 규모 6.07~6.25 범위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60] 양산 단층의 수직 미끄럼률은 0.02-0.07 mm/yr으로 추정되며, 가장 최근의 고지진은 기원후 536년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61] 현재까지의 제4기 단층 노두, 단층 분절 및 고지진 연구와 단층 변위량 등을 종합하면 양산 단층의 최대 지진 규모는 약 7.3으로 추정된다.[62]
6. 양산 단층대
1: 양산 단층
2: 울산 단층
3: 동래 단층
4: 일광 단층
5: 모량 단층
6: 밀양 단층
7: 자인 단층
9 : 연일구조선]]
한반도 경상 분지 남동부에는 양산 단층 외에도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인 단층, 밀양 단층, 모량 단층, 양산 단층, 동래 단층, 일광 단층 6개의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단층들이 존재하며, 이들을 묶어 '''양산 단층계'''(Yangsan Fault System) 또는 '''양산 단층대'''(Yangsan Fault Zone, YFZ)라 한다.[63] 이들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과 불국사 화강암류를 절단하며, 양산 단층과 평행하다. 이들 자인·밀양·모양·양산·동래·일광 단층은 서로 다른 단층처럼 보이지만, 땅속으로 들어가면 하나로 모이는 꽃 스트럭쳐(flower structure)라는 설명도 있다.[63]
'''동래 단층'''(東萊 斷層, Dongnae Fault)은 양산 지질도폭(1964)[65]과 언양 지질도폭(1972)[66]에서 오복 단층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재되었다가, 이후 동래 지질도폭(1978)에서 처음으로 '''동래 단층'''으로 명명되었다.[12] 장태우와 추장오(1998)는 양산시 웅상읍과 웅촌면 일대의 동래 단층을 조사하고 단층비지에 대한 K-Ar 절대연령측정에 의해 열수변질을 수반한 동래 단층의 주요 활동 시기는 신생대 고제3기에 해당하는 51.4∼57.7 Ma와 40.3∼43.6 Ma으로 보고하였다.[67] 동래 단층은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일대에서 울산 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68] 동래단층은 북북동 주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교과서적인 단층이 아니라, 다소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여러 조의 단층 분절들이 모여서 단층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래 단층은 울산 북부에서는 대체로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나, 울산-양산-언양 일원에서는 국부적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지되거나, 북동 10~30°범위에서 1조 또는 여러 조의 방향으로 나타난다.[69]
'''모량 단층'''(牟梁 斷層, Moryang Fault)은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에서 가지산 동부 상북면을 지나 김해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90 km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12][70][71] 이 단층은 모량 지질도폭(1971)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김해시에서 경주시 안강읍까지 이어지는 연속적인 선상구조와 단층곡으로 인지된다. K-Ar 연대측정 결과 모량 단층의 운동 시기는 신생대 고제3기인 5700만 년 전과 신제3기 마이오세에 해당하는 1900만년 전으로 보고되었다. 2016년 경주 지진 당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양산 단층 서쪽에 있는 모량 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학계에서는 미지의 활성단층에서 일어났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72]
'''밀양 단층'''(密陽 斷層, Miryang Fault)은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건천 나들목 부근에서 산내면 의곡리,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단장면 범도리와 국전리를 지나 삼랑진읍으로 이어지는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단층이다.[73] 이 단층은 기존의 1:5만 지질도폭에서 보고된 것 이외에는 지질학적 연구가 전무하다. 모량 지질도폭(1971)에서는 건천리-운문면을 잇는 단층으로서, 단층선을 따라 전단대(shear zone)가 발달하며 단층의 동측이 북쪽을 향해 상승한 것으로 보았다. 유천 지질도폭(1988)에서는 운문산(1195.1 m) 북북동쪽에서 산내면 남명리를 거쳐 단장면 범도리 부근을 통과하는 선상구조(lineament)가 발달한 계곡으로 확인되었다. 범도리 부근에서 단층선의 서쪽 지역은 전단 운동에 수반된 것으로 보이는 습곡 구조가 있으며 범도리 일대의 단층대는 소규모의 취성 전단대만을 지니고 있다.[73] 밀양 지질도폭(1987)에서는 삼랑진과 단장면 감물리를 지나는 비교적 뚜렷한 북동 20°주향의 단층으로 보고되었다.[74] 삼랑진 이남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
'''자인 단층'''(慈仁 斷層, Jain Fault)은 자인(1973) 및 모량 지질도폭(1971)에서 보고된 북동-남서 주향의 단층이다.[75] 이름과 다르게 경산시 자인면을 지나지 않고 경주시 산내면 우라리에서 청도군 운문면의 운문댐으로 이어진다. 모량 지질도폭에서 북동 10~20°의 주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자인 지질도폭에서는 언양 화강암의 분포 양상으로 추정된 단층이나 야외에서 확인조차 되지 않았다.[75] 자인 단층에 대한 정보는 이상이 전부이며 자인, 모량 지질도폭을 제외하고 자인 단층에 대한 지질학적 정보나 연구는 전무하다.
일광 단층(日光 斷層, Ilgwang Fault)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에서 기장군 일광읍과 장안읍을 지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과 부산 앞바다으로 이어지는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 양산 단층대의 일부인 일광 단층은 동래-월내도폭(1978)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선상구조를 기준으로 할 때 단층의 연장은 최소 45 km이다.[64] 이 단층은 고리원자력발전소에 가장 가까운 단층이다.[64]
6. 1. [[일광 단층]]
일광 단층(日光 斷層, Ilgwang Fault)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에서 기장군 일광읍과 장안읍을 지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과 부산 앞바다으로 이어지는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 양산 단층대의 일부인 일광 단층은 동래-월내도폭(1978)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선상구조를 기준으로 할 때 단층의 연장은 최소 45 km이다.[64] 이 단층은 고리원자력발전소에 가장 가까운 단층이다.[64]6. 2. [[동래 단층]]
'''동래 단층'''(東萊 斷層, Dongnae Fault)은 양산 지질도폭(1964)[65]과 언양 지질도폭(1972)[66]에서 오복 단층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재되었다가, 이후 동래 지질도폭(1978)에서 처음으로 '''동래 단층'''으로 명명되었다.[12] 장태우와 추장오(1998)는 양산시 웅상읍과 웅촌면 일대의 동래 단층을 조사하고 단층비지에 대한 K-Ar 절대연령측정에 의해 열수변질을 수반한 동래 단층의 주요 활동 시기는 신생대 고제3기에 해당하는 51.4∼57.7 Ma와 40.3∼43.6 Ma으로 보고하였다.[67] 동래 단층은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일대에서 울산 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68] 동래단층은 북북동 주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교과서적인 단층이 아니라, 다소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여러 조의 단층 분절들이 모여서 단층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래 단층은 울산 북부에서는 대체로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나, 울산-양산-언양 일원에서는 국부적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지되거나, 북동 10~30°범위에서 1조 또는 여러 조의 방향으로 나타난다.[69]6. 3. [[모량 단층]]
'''모량 단층'''(牟梁 斷層, Moryang Fault)은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에서 가지산 동부 상북면을 지나 김해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90 km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12][70][71] 이 단층은 모량 지질도폭(1971)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김해시에서 경주시 안강읍까지 이어지는 연속적인 선상구조와 단층곡으로 인지된다. K-Ar 연대측정 결과 모량 단층의 운동 시기는 신생대 고제3기인 5700만 년 전과 신제3기 마이오세에 해당하는 1900만년 전으로 보고되었다. 2016년 경주 지진 당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양산 단층 서쪽에 있는 모량 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학계에서는 미지의 활성단층에서 일어났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72]
6. 4. 밀양 단층
'''밀양 단층'''(密陽 斷層, Miryang Fault)은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건천 나들목 부근에서 산내면 의곡리,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단장면 범도리와 국전리를 지나 삼랑진읍으로 이어지는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단층이다.[73] 이 단층은 기존의 1:5만 지질도폭에서 보고된 것 이외에는 지질학적 연구가 전무하다. 모량 지질도폭(1971)에서는 건천리-운문면을 잇는 단층으로서, 단층선을 따라 전단대(shear zone)가 발달하며 단층의 동측이 북쪽을 향해 상승한 것으로 보았다. 유천 지질도폭(1988)에서는 운문산(1195.1 m) 북북동쪽에서 산내면 남명리를 거쳐 단장면 범도리 부근을 통과하는 선상구조(lineament)가 발달한 계곡으로 확인되었다. 범도리 부근에서 단층선의 서쪽 지역은 전단 운동에 수반된 것으로 보이는 습곡 구조가 있으며 범도리 일대의 단층대는 소규모의 취성 전단대만을 지니고 있다.[73] 밀양 지질도폭(1987)에서는 삼랑진과 단장면 감물리를 지나는 비교적 뚜렷한 북동 20°주향의 단층으로 보고되었다.[74] 삼랑진 이남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6. 5. 자인 단층
'''자인 단층'''(慈仁 斷層, Jain Fault)은 자인(1973) 및 모량 지질도폭(1971)에서 보고된 북동-남서 주향의 단층이다.[75] 이름과 다르게 경산시 자인면을 지나지 않고 경주시 산내면 우라리에서 청도군 운문면의 운문댐으로 이어진다. 모량 지질도폭에서 북동 10~20°의 주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자인 지질도폭에서는 언양 화강암의 분포 양상으로 추정된 단층이나 야외에서 확인조차 되지 않았다.[75] 자인 단층에 대한 정보는 이상이 전부이며 자인, 모량 지질도폭을 제외하고 자인 단층에 대한 지질학적 정보나 연구는 전무하다.7. 양산 단층의 노두
양산 단층을 따라 제4기 단층들의 노두가 수십 곳 노출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양산 단층의 주 단층과 관련되어 있거나 부수 단층에 해당한다.[76] 경주시 북쪽으로는 울진군 구산 단층, 평해읍 평해 단층, 영덕군 자부터 단층, 덕곡 단층, 포항시 보경사 단층, 유계 단층, 반곡 단층, 벽계 단층 등이 있다.[76] 경주 이남 언양-통도사 주변에는 신화, 월평, 연봉, 조일, 가천, 상천 단층 등 활성단층 노두들이 군집하고 있으며, '''ESR 연대측정법''' 및 제4기 지층 연구 결과 이들 중 상당수가 양산 단층이 제4기에 활동했음을 보여준다.[76]
Core : 단층핵 Mixed Zone : 혼합대 Damage Zone : 단층손상대 Wall Rock : 모암 Gouge : 단층비지 Breccia : 단층각력암 Cataclasite : 압쇄암 Shear Zone : 전단대 Fracture : 단열, 절리, 균열 등 Veins : 세맥
- '''울진군 구산 단층'''은 울진 원자력 발전소 부지 조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 왕피천 인접 도로 사면(N 36°56'33.2", E 129°21'32.5")에 드러난 단층 부근은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가 기반암을 이루고, 제3기 중성 암맥이 관입해 있으며, 제4기 하안단구층이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 구산 단층은 중성 암맥을 따라 발달하며 상부 제4기 하안단구층을 절단하고 있다. 주향은 약 북동 28°, 경사는 남동 60°이며, 동측 제4기층이 서측 하반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한 우수향-역단층 운동 특성을 보인다. 수직 변위는 약 20 cm로 추산된다. ESR 연대측정 결과 약 37만 년 전(369±39 ka)에 단층 운동이 있었으며, 제4기 하안단구층 내 모래층의 OSL 연대는 41±4 ka 및 50±3 ka로 측정되었다.[12]
- '''평해 단층'''은 울진군 평해읍 오곡리 절개사면(N 36°44'49.6", E 129°26'39.6")에서 발견되었으며, 양산 단층 주 단층대의 북북동 연장부로 판단된다. 동측에는 선캄브리아기 평해층군 변성퇴적암류, 서측에는 제4기 추정 하성퇴적층이 분포한다. 평해 단층은 남-북 주향에 거의 수직 경사를 가진다. ESR 연대측정 결과는 500±70 ka, 420±70 ka이며, 미고결 사질층 OSL 연대측정 결과는 53±8 ka, 72±5 ka, 97±7 ka이다. 제4기 퇴적층 내 목탄(木炭) 화석 연대측정 결과 퇴적층은 최소 56,000년 이상 되었다. 종합하면 제4기 동안 최소 3회 이상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2][82] 이 지점은 평해 분지 동편 경계단층으로 확인되었다.[12]

- '''영덕군 영덕 단층대'''는 양산 단층대에서 분기된 가지 단층(branch fault)으로 해석되며, 영덕군 강구면에서 영해면 묘곡리 묘곡저수지를 지나 울진군 온정면까지 약 40 km 이상 연장된다.[83] 영덕군 화천리 이북으로는 북북서-남남동 내지 남-북 방향으로 하나의 단층선으로 발달하나, 화천리 이남으로는 두 조의 단층으로 분기된다. 서편은 북북동~북동 주향과 북서 주향 분절들이 지그재그로 연결된 기하를 보이지만, 동편은 북북서 주향으로 하나로 달리며 영덕군 강구면에서 양산 단층대와 합류한다.[83]
- '''영덕군 영해면 대진리''' 33-3 (N 36°33'07.87", E 129°26'17.48")에는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와 제4기 지층이 단층으로 접하고 있다. 북동 주향의 단층은 해안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북서쪽에 제4기 지층들이 거의 수평 층리와 함께 약 10 m 두께로 분포한다.[84]
-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지역에서 양산 단층은 뚜렷한 선상구조(lineament)를 형성하며, 동해로 흘러가는 송천은 양산 단층과 교차하는 곳에서 꺾여 있다(deflected). 전기 비저항 탐사 결과 낮은 저항값을 보여 북북동-남남서 방향 주향 이동 단층의 존재를 지시한다. 단층 서부 화강암 지르콘 206Pb/238U 연대는 약 1억 9천만년, 미고결 퇴적물 OSL 연령 최저 97±7 ka로 약 10만 년 전 파쇄가 일어났다.[85]
- '''영덕군 축산면 고곡리''' 산 267-8 (N 36°29'31.69", E 129°24'35.12")에는 북북동 주향의 양산 단층대 주 단층핵이 약 30 m 폭으로 발달하며, 단층핵 기준 서편과 동편에 각각 유천층군 현무암과 하양층군 울련산층이 분포한다. 단층면 직상위에 제4기 중립질 사암과 실트 혼재 산록 퇴적물 하부층이 단층면과 접하며 분포하여 제4기 활성단층일 가능성이 높다.[12]
- '''자부터 단층'''은 자부터고개 인근 국도 제7호선 확장 공사 당시 절개 사면(N 36°26'54.8", E 129°23'58.5")에서 확인되었으나, 현재는 소멸되었다. 주향 북동 10°, 경사 남동 80° 단층을 경계로 백악기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 사암과 백악기 화강암이 접한다. 양산 단층 주 연장선 상에서 발견되었으며, ESR 연대측정법에 의해 활성단층으로 규명되었다. 단층대 내 4개 지점 단층비지 ESR 연령은 각각 920±90 ka, 850±80 ka, 890±120 ka, 920±90 ka이다.[12]
- '''덕곡 단층'''은 영덕군 강구면 하저리 산 117-5 도로 절개사면(N 36°24'30.2", E 129°23'21.1")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양산 단층대 연장선상에 놓이며, 하부에 신생대 제3기 유문암질 화산암, 상부에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이 분포하여 역단층 운동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남-북 주향, 남동 경사, 주향 이동 단층 특성을 보인다. 제4기층은 없으나, 단층각력대 방해석맥 14C 연령은 약 11,450 yr BP 내지 9,900 yr BP이며, ESR 연대측정법에 의한 단층비지 ESR 연대는 660±30 ka 및 650±30 ka이다.[12]
- '''보경사 단층'''(N 36°14'58.3", E 129°19'04.7")은 포항시 송라면 보경사 입구 서측 하천에서 노출되어 있으며, 양산 단층대 주 발달 예상선과 일치한다.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 응회암류와 이를 관입한 중성 내지 산성 암맥에 단층대가 발달한다. 주향은 북동 10°, 경사는 북서 80°이다. 단층점토 Rb-Sr 연대는 약 1600만 년 전(16.5±0.1 Ma), 단층 파쇄대 충진 방해석 14C 연대는 57,280년보다 오래되었다.[12]
- '''유계 단층'''은 포항시 청하면 유계 저수지 건설 현장 절개사면(N 36°12'05.2", E 129°18'16.2")에서 발견되었으나, 현재는 저수지 완공으로 노두 확인이 불가하다. 남-북 내지 북동 10~13° 주향, 약 45° 동쪽 경사. ESR 연대측정법에 의한 ESR 연령은 460±20 ka, 800±30 ka, 850±110 ka, 520±50 ka, 590±50 ka이다.[12] 트렌치 단면 부식질 실트층 탄소-14 연대측정 결과, 최후 단층 운동은 약 1314년 BP[93] 또는 A.D. 536년 이후로 판단된다.[12][94]
- '''포항시 청하면 유계리''' 지역은 단층 파쇄대가 잘 발달해 있으며, 대규모 단층 비지대와 절리 발달이 뚜렷하다. 유계1리 동측에는 수십 m 폭 단층 파쇄대 동반 수 m 폭 단층 비지대가 관찰되며, 남측 서정천 하상으로 연장, 우수향 주향 이동 운동이 확인된다. 제4기 하안단구층 변위 제4기 단층도 발달한다.[95] 제4기 단층은 남-북 주향, 동측 경사, 역이동 우세, 단층대 폭 50 m 이상, 경상 누층군 이암, 사암 심하게 파쇄. 탄소-14 연대측정 결과 최신 단층 운동 약 2,400~2,000년 BP, 평균 수직 변위율 약 0.04~0.05 mm/yr 추정.[96] 유계 단층 역단층 운동 감각, 최후기 단층 운동 최대변위 약 4.2 m, 지진 파열 길이 약 30~150 km, 모멘트 지진규모 약 6.5~7.5, 규모 7.0 지진 내진 설계 주문.[97]
- '''포항시 청하면 유계리-송라면 중산리''' 일원 지질 조사 및 연대 측정 결과, 제4기 미고결 퇴적층 절단 단층 확인, 최후기 운동 154±13 ka와 0.9±0.1 ka 사이 발생, 제4기 최소 2회 이상 단층 운동. 유계 저수지 북단-북북동 방향 연장 보경사 지점 통과 길이 6.8 km 선상구조(lineament) 발달, 서정천, 청하천, 광천 3개 하천 양산 단층 평행 선상구조 주변 유로 급격 우향 굴곡 굴절 하천 양상. 전기 비저항 탐사 뚜렷한 저비저항 이상대 확인. ESR 연대측정법 최저 ESR 연대 328±35 ka, 단층 노두 확인 실제 변위량 1.1 m, 고지진 규모 약 6.7 계산.[98]
- '''반곡 단층'''은 포항시 신광면 반곡리 925번 도로 동측 비학산 원천테마랜드 건설 현장 절개사면(N 36°10'12.9", E 129°16'58.4")에서 발견. 위성 영상에서 양산 단층 선상구조 상에 놓이나, 주 단층 아닌 양산 단층 수반 2차 단층으로 해석. 단층면 주향/경사 북동 42°/북서 85°, 상반 단층 각력암 내 단층 비지대 ESR 연대측정 결과 약 64만 년 전(640±60 ka).[12]
- '''포항시 송라면 중산리''' 781 (N 36°15' 03.01", E 129°19'00.92") 보경사 계곡 양산 단층 변형대 노출.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 유천층군 화산암류 분포, 단층 운동 심한 변형 단층파쇄대, 단층점토 변화. 변형대 폭 약 100 m, 주 변형대 따라 단층각력암, 적색/회색 교호 단층점토 발달.[12]
- '''경주시 강동면 단구리''' 사면(N 36°03'34.7", E 129°15'14.0") 벽계 단층, 양산 단층 주 단층대 평행 방향 선상구조(lineament) 상 사면 발견. 동측 백악기 안산암, 서측 제4기 퇴적층 분포, 역이동성 운동 이후 주향이동성 운동 해석.[102] 단층면 주향 북동 11°, 경사 남동 80° 내지 수직. ESR 연대측정법 기반암 내 단층 각력암 ESR 연대 1,890±320 ka, 기반암 내 단층 약 190만 년 전 재활동, 단층비지 ESR 연령 42만 년 전-87만 년 전(420±20 ka, 400±20 ka, 870±70 ka).[12] 제4기 퇴적층 하부 모래층 OSL 연령 >88±5 ka 및 75±3 ka,[103] 벽계 단층 최후 단층운동 시기 7만 5천년 이후 판단.[12]
- '''경주시 강동면 단구리''' 북쪽 약 50 m 지점 굴착조사, '단구 단층' 명명. 북동 10~20 주향, 남동 75~79° 경사 주향 이동 단층, 제4기 퇴적층 절단, 세 조 단층점토 최소 세 번 단층 운동 지시. 절단 제4기 지층 OSL 연대 7.5±0.3 ka. 조선시대 후기 도자기 파편 발견, 최대 7.5±0.3 ka, '''조선시대 중기 최후기 단층 활동 가능성.'''[104]
- '''경주시 강동면 단구리''' 일원 굴착조사 제4기 단층 발견, 벽계 단층지점 1 km 북쪽, 동쪽 경사 7매 단층면 우수향 역이동성 감각 우세, 제4기 퇴적층/단층 관계 제4기 최소 3회 이상 시기 다른 단층 운동. 최후기 단층 운동 변위량 0.64~1.81 m, 모멘트 지진규모 6.7~7.0. OSL 연대측정 결과 최후기 단층운동 3.2±0.2 ka 이후.[105]
- '''경주시 강동면 단구리- 포항시 신광면 우각리''' 단층 구간, 벽계지점 1 km 북쪽 트렌치 조사, 퇴적층 절단 총 7매 단층, 절단 최상부 퇴적층 석영 OSL 연대측정 결과 3.2±0.2 ka 이후 최후기 단층 운동 시기 제한.[106]
- '''경주시 강동면 단구리-벽계''' 지점 일대 LiDAR 기술 이용 지형 분석, 높이 2~4 m 단층절벽, 우수향 주향이동 50~150 m 변위 하도 식별. 전기 비저항 탐사 저비저항대 발견, 추정 단층 절벽 일치. LiDAR 이미지 분석 근거 트렌치 조사, 미고결 퇴적층 OSL 연대 마지막 지진 3200±200년 전 발생.[107]
- '''경주시 내남면 월산리''' 북동 12°방향 선형구조 직각 교차 능선/계곡 중 4개 계곡 변위 하도 발견. 4개 계곡 동측 서측 대해 각각 63 m, 56 m, 82 m, 63 m 남쪽 오프셋(Offset). 수계 선형구조 따라 서북서-동남동 방향-남쪽/북쪽 꺾임-다시 서북서-동남동. 서하리 일대 과거 물 흐름 풍극(Wind Gap) 지형 6개 발달.[108]
- '''경주시 내남면 월산리''' 제4기 단층 노두, 경부고속도로 동쪽 구릉지 북쪽 사면 노출 안산암/화강암 단층경계 노두 100 m 북쪽, 동편 안산암, 서편 화강암, 제4기 퇴적층 부정합 경계, 주향/경사 북동 20°/남동 80°.[109]
- '''경주시 내남면 월산리-울주군 두서면 인보리''' 4개 지점 고지진 굴착 조사/연대 측정, 월산 지점 최소 2회 고지진, 37–33 ka, 33 ka 이후. 미호 지점 2회 고지진, 35 ka 이전, 35-30 ka 사이. 인보리 2회 고지진, 70-52 ka, 37-17 ka 사이.[110]
- '''경주시 내남면 월산리-울주군 두서면 활천리''' 간 지형 분석, 현장조사, 제4기 퇴적층 연대 측정. 양산 단층 따라 우수향 굴절 하천, 절개 능선, 최대 약 500 m 우수향 변위 누적. 우수향 변위 형성 퇴적층 연대측정 약 8만 년전, 능선/하천 기준 8만년 동안 최대 130~160 m 수평변위 관찰.[111]
- '''경부고속도로 부산방향 경주휴게소''' 북쪽 약 500 m 지점, 퇴적암/안산암질 응회암 절단 동-서 방향 고각 단층, 단층경면 우수향 주향이동 감각 단층조선.[12]
- '''경주시''' 양산 단층 동쪽 지괴 사면 따라 선상지 탁월. 선상지 지형 연속/대규모 발달 특성 새로운 사면 발생/경사변화, 파쇄 물질 공급 용이, 구역 내 활발 양산 단층 동쪽 지괴 상대적 상승 운동 지시.[112]
-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양산 단층 주 단층대 확인. 폭 약 100 m, 남-북 방향, 수직 가까운 고각 단층대. 우수향 주향이동 우세, 동측 상반 서쪽 역단층 운동 확인, 우수향 주향 이동 이후 동-서 압축력 역단층 운동 지시.[117]
- '''울주군 언양읍 신흥리''' 신흥마을 입구 트렌치 단면 양산 단층대 주 단층, 제4기 단층 관찰.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주산안산암질암, 진동층 대비 하양층군 대양동층, 불국사 화강암류 분포. 양산 단층대 형성 관련 최소 2회 주향 이동 단층 운동, 이후 최소 2회 역이동 단층운동.[118]
- '''경부고속도로 서울방향 언양휴게소''' 남쪽 절개사면/바닥면 노두, 70 m 이상 폭, 북동 10~20° 주향, 남동 70~80° 경사 단층. 공액상 북서 방향 소규모 정단층 북동 주향 단층 우수향 절단. 노두 단층경면 단층조선/수평변위 북동-남서 수평 응력 양산 단층 우수향 주향 이동 주도 지시.[12]
- '''울주군 삼남면 신화리'''(N 35°32'53.93", E 129°07'21.44")와 '''교동리'''(N 35°33'09.90", E 129°06'53.30") 신화 단층, 급경사 지형 발달 확인. 교동리/신화리 고위면 단구면 서쪽경사 3조 북북동-남남서 방향 저단층애 급경사 지형. 급경사면 인근 단층 노두 불확실, 작전천 곡벽 노두 단면 백악기 이암층 층리 경사 변화 양상. 이암층 층리 북서 25~30° 완만, 저단층애 급경사 지역 접근 층리 급경사, 추정 단층 위치 층리 수직. 전단 작용 이암 수평 단층조선. 단층비지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결과 95.1±2.5 Ma, 최후기 단층 운동 아닌 이전 단층 운동 지시 판단.[12][119]
-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 상천 단층 주변 4개 하안단구면 발달, 서쪽 기울어짐. 상천 1지점 단층 양산 단층 가지 단층.[120]
- '''상천 1단층''' 중남초등학교 약 50 m 남쪽 지점(N 35°32'06.59", E 129°06'29.96") 발달, 하안단구 고위면 절단. 중남초등학교 동측 국도 제35호선 도로변 화강암/단구퇴적층 접촉 단층 노두, 주향/경사 북동 23°/수직, 약 10 cm 단층 점토대, 1 m 내외 단층 파쇄대. 서쪽 약 10, 30 m 시추 결과 기반암 안산암 하부 11 m 분포, 수직변위 최소 약 11 m. 단층비지 TL 연대측정 100 ka, ESR 연대측정값 850±240 ka, 630±150 ka, 660±60 ka, 540±60 ka, 520±50 ka, 480±40 ka, 340±30 ka.[12]
- '''상천 2단층''' 노두(N 35°32'03.70", E 129°06'43.06") 경부고속도로 인접, 제4기 퇴적층 변위 미관찰, 단층 주변 선상지 퇴적층 부정합면 표고차 제4기 단층 인정. 수직 변위량 최소 10m 이상 추정.[12]
-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 가천 단층 양산 단층 주 단층대, 폭 60 m 이상.
- '''가천 1단층''' 경부고속도로 서쪽 약 200 m 지점 상천천 단면(N35°31'14.0", E129°06'6.4") 노출, 주향/경사 북동 10~25°/남동 70~80°. 주 단층대 동쪽 단층 비지대(N 35°31'03.10", E 129°06'14.30"), 파쇄대 폭 약 110 cm. ESR 연대측정값 1010±190 ka, 1000±260 ka, 1290±250 ka, 1400±160 ka, 1150±70 ka, 1150±110 ka, 1290±110 ka 및 3000 ka 이상, 약 100~140만 년 전 재활동 해석.[12] 가천 1단층 주변 미고결 역암층 내 역 장축 배열 수직 가깝게 회전, 퇴적층 형성 후 가천 1단층 역단층성 운동 끌림습곡작용 해석.[122]
- '''가천 2단층''' 가천 1단층 동쪽 약 700 m 지점(N35°31'17.86", E129°06'32.58") 자연 노두, 백악기 이암/제4기 역암 단층 접촉. ESR 연대측정값 750±90 ka 및 830±130 ka.[12][123]
-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 상천저수지 노두, 양산 단층 서측 단층손상대, 기반암 화강암 노출, 북동 10° 주향, 북서 85° 경사 소규모 단층, 폭 20 cm 내외 단층비지 발달.[12]
-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조일 단층(N 35°30'21.3", E 129°05'59.4", 하방저수지 동쪽 350 m) 양산 단층 인접, 남동측 백악기 화산암, 북서측 제3기 퇴적암 부정합 제4기 미고결 퇴적층 접촉. 주향/경사 북동 10°/남동 76°, 고각 단층, 동쪽 융기. 양산시 월평 2단층 북측 연장부 추정, 수직 변위량 최소 4 m 이상, 단층암대 두 갈래, 제4기 역암쪽 단층면 주향 북동 32°, 경사 남동 80°, 우수향 주향이동. 백악기 이암쪽 단층면 주향 북동 20°, 경사 남동 62°. ESR 연대측정 결과 800±100 ka 및 830±190ka.[12]
-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 948-17, 서울주 분기점 옆 상천소류지(연봉저수지) 약 265 m 지점(N 35°30'41.47", E 129°05'48.98"), 방기리 삼성전관 앞에 연봉 단층이 위치한다. 이 지역에는 서쪽을 향한 경사면이 발달하고 있는 단층애(flexural scarp)가 북북동 방향으로 북쪽으로는 연봉저수지, 남쪽으로는 조일 목장까지 연장되고 있다. 이곳은 항공사진 판독에 의하여 역단층 운동에 기인한 단층애(flexural scarp)가 인지된 바 있다.[124] 트렌치 조사에서 백악기 화강반암과 제4기 역암층을 절단하는 2조의 단층면이 확인되었다.[12]
- '''양산시''' 동, 서측 배후 산지 따라 선상지 발달, 양산천 따라 하안단구 발달. 퇴적학적 측면 하천 수력(水力) 외 수평 이동 단층 운동 유로 변동 요인 크게 작용 해석. 양산 단층 서쪽 지괴 선상지 탁월 발달, 서쪽 지괴 상대적 상승 운동 반영 판단.[12]
- '''양산시 명곡동''' 일대 항공사진 판독, 수치표고모형(DEM) 북동-남서 주향 단층곡, 추정 단층선 3열 이상 인지, 추정 단층선 따라 단층와지, 단층구릉, 비대칭 하안단구 연속 발달.[126]
-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 통도사 나들목 남쪽 월평못 북쪽 지점(양산산림관리청 일대) 월평 1, 2단층 발견.[12] 선상지 퇴적층 퇴적시기 중기 플라이스토세 500-250 ka.[12] 월평 1단층 우수향 주향이동, 역단층 운동, 월평 2단층 역단층 운동. 상천 단층 ESR 연령, 월평 단층 변위 퇴적물 탄소동위원소 연령 등 근거 중기/후기 플라이스토세 운동 추정.[127]
- '''월평 1단층'''(N35°29'50.93", E 129°05'28.38", 월평못 북서 150 m 지점) 국도 제35호선 공사 현장 절개면 단층 노두, 간이 트렌치 조사 확인. 북동 20~25° 주향, 동측 안산암/규장질 화성암, 서측 제4기 역암층 단층 접촉. 단층면 수직 가까운 고각, 동측 경사, 트렌치 조사 단면 동측 기반암 서측 역암층 위 충상 역단층성 변위. 고위 단구면 분류 단층 서측 제4기 역암층 약 12 m 상하변위.[12] 단층 양쪽 선상지 퇴적층 기반암 부정합면 표고 단층 경계 동측 20 m 높음.[128] 상천 1단층, 가천 1단층 북쪽 연장부 해석.[12]
- '''월평 2단층'''(N
8. 결론 및 시사점
참조
[1]
간행물
Paleoseismology of the Yangsan Faul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ttp://www.annalsofg[...]
2003
[2]
간행물
위성에서 본 한국의 산지지형 (The view from the satellite at mountainous terrain of Korea)
http://terms.naver.c[...]
2009
[3]
간행물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http://jgsk.or.kr/_c[...]
2013
[4]
간행물
Frictional properties of gouges collected from the Yangsan Fault, SE Korea
http://jgsk.or.kr/_c[...]
2015
[5]
간행물
Study on Hazard of Roadside Slopes based on Discontinuities by Faulting and Wetness Index in Ga-Ji Mountain Provincial Park
http://j-kosham.or.k[...]
2013
[6]
논문
289. 韓国梁山断層の第四紀後期の活動性
1993
[7]
논문
韓国における地殻水平歪みと地震活動
1999-01
[8]
간행물
LANDSAT映像よりみた韓国の地質構造
https://www.gsj.jp/p[...]
1982-08
[9]
논문
Paleoseismology of the Yangsan Faul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2003
[10]
논문
Seismicity of the 2016 ML 5.8 Gyeongju earthquake and aftershocks in South Korea
2018-06
[11]
뉴스
경주 지진의 원인...영남지역의 '양산단층'이란? [지식용어]
http://www.sisunnews[...]
시선뉴스
2016-09-24
[12]
웹인용
梁山 地質圖幅說明書 (양산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4
[13]
웹인용
慶尙盆地의 慶尙累層群에 對한 地質 및 地化學的 硏究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3
[14]
저널
Cretaceous and Early Cenozoic Stratigraphy and History of Eastern Kyŏngsang Basin, S. Korea (경상분지 동부의 백악기 및 전기신생대 층서 및 지사)
https://www.dbpia.co[...]
1990-10
[15]
저널
Petrological study of the granitic rocks around the Yangsan Fault: Lateral Displacement of the Yangsan Fault (양산단층 주변에 분포하는 화강암질암의 암석학적 연구 : 양산단층의 수평 변위량)
https://www.dbpia.co[...]
2004-06
[16]
저널
Movement History of Yangsan Fault and its Related Fractures at Chongha-Yongdok Area, Korea (청하-영덕지역 양산단층의 운동사 및 관련단열 발달상태)
https://www.dbpia.co[...]
1994-06
[17]
저널
지구물리탐사와 지질조사에 의한 양산단층대 남부구간의 기하학적 특성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Southern Yangsan Fault Zone by Means of Geophysical Prospecting and Geological Survey)
https://kiss.kstudy.[...]
2017-03
[18]
저널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Geologic Structures and Ore Deposits in Ryeongnam Province using Landsat-1 Images (LANDSAT-1 映像에 의한 嶺南地域 地質構造와 鑛床과의 關係 硏究)
https://www.dbpia.co[...]
1976-06
[19]
저널
Cretaceous/Neogene Stratigraphic Transition and Post-Gyeongsang Tectonic Evolution Along and off the Southeast Coast, Korea (韓國 東南海岸과 그 海域에서의 白堊紀-新第三紀 層序變移와 慶尙堆積 以後의 造構造的 發展)
https://www.dbpia.co[...]
1986-01
[20]
저널
Arc Deformation and Marginal Basin Opening: Japan Sea as a Case Study
https://insu.hal.sci[...]
1991
[21]
저널
Active Fault Study of the Yangsan Fault System and Ulsan Fault System,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ttps://scienceon.ki[...]
2006
[22]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3]
웹인용
The geology of Korea: Seoul, Korea
Geological and Mining Institute of Korea
1975
[24]
웹인용
Geology and geochemistry of the Gyeongsang strata in Ulsan area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1980
[25]
저널
Practical application of fault slip methods
1989
[26]
저널
언양지역(彦陽地域) 양산단층(梁山斷層) 부근(附近) 단열(斷裂)의 기하(幾何) 분석(分析) (The Geometric Analysis of Fractures near the Yangsan Fault in Eonyang Area)
https://scienceon.ki[...]
1993
[27]
저널
Cenozoic Strike-Slip Displacement along the Yangsan Fault, Southeast Korean Peninsula
https://www.tandfonl[...]
2010-08
[28]
저널
Tectonic Implication of A-type Granites across the Yangsan Fault, Gigye and Gyeongju Areas, Southeast Korean Peninsula
https://www.tandfonl[...]
2007
[29]
저널
제4기 하안단구 지형을 이용한 중남부 양산단층의 누적변위 분석 (Cumulative offset analysis of the Central-Southern Yangsan Fault based on topography of Quaternary fluvial terrace)
https://www.dbpia.co[...]
2020-04
[30]
저널
고응력 분석을 통한 양산단층의 구조운동사 (Movement History of the Yangsan Fault based on Paleostress Analysis)
https://www.research[...]
1998-04
[31]
저널
Origin and Tectonic Evolution of the East Sea(Sea of Japan) and the Yangsan Fault System: A New Synthetic Interpretation (새로운 東海의 成因모델과 양산단층계의 주향이동운동)
https://www.dbpia.co[...]
1992-02
[32]
저널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https://pubs.geoscie[...]
1995
[33]
저널
Biostratigraphic, Chemostratigraphic, Paleomagne Tostratigraphic, and Tephrochronological Study for the Correlation of Tertiary Formations in Southern part of Korea : Regional Tectonics and its Stratigraphical Implication in the Pohang Basin
https://www.dbpia.co[...]
1991-06
[34]
저널
'Singwang strike-slip duplex' around the Pohang Basin, SE Korea: its structural evolution and role in opening and fill of the Miocene basin
https://www.proquest[...]
2006-06
[35]
저널
양산단층 동편 화강암질암의 대자율 이방성(AMS)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of Granitic Rocks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Yangsan Fault)
https://scholar.kyob[...]
2007-01
[36]
저널
Evolution of the Late Cretaceous Dadaepo Basin, SE Korea, in response to oblique subduction of the proto-Pacific (Izanagi/Kula) or Pacific plate
https://www.scienced[...]
2016-11-00
[37]
저널
Deformation features and history of the Yangsan Fault Zone in the Eonyang-Gyeongju area, SE Korea (언양-경주 일원의 양산단층대 변형구조와 진화사)
https://www.dbpia.co[...]
2017-02-00
[38]
저널
활성단층의 이해: 최근의 연구에 관한 고찰 (Understanding of active faults: A review for recent researches)
https://www.dbpia.co[...]
2011-12-00
[39]
서적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
사이언스 북스
2015-09-00
[40]
저널
Recent progress in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rupture associated with large earthquakes (대규모 지진에 수반된 지표파열특성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https://www.dbpia.co[...]
2017-02-00
[41]
저널
Segmentation of the Yangsan Fault System : Geophysical Studies on Major Faults in the Kyeongsang Basin (양산단층의 구역화 : 경상분지내 주요 단층대의 지구물리학적 연구)
https://www.dbpia.co[...]
1991-08-00
[42]
저널
단층슬립의 기하분석에 의한 양산단층의 거동 특성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Yangsan Fault based on Geometric Analysis of Fault Slip
https://kiss.kstudy.[...]
2009-09-00
[43]
저널
단층대 지하수의 수리화학 및 노블가스 동위원소 특성
http://www.koreascie[...]
2016-00-00
[44]
웹인용
지진연구 : 경상분지에서의 지진연구
https://library.kiga[...]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5-00-00
[45]
웹인용
국토 대단층계(양산단층 중부지역) 위험요소 평가연구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0-00-00
[46]
뉴스
[기획] 양산 '활성단층' 논쟁만 33년… 객관성 담보된 조사 시급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6-09-22
[47]
저널
한반도의 지진활동과 지각구조 (Comments on Seismicity and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https://scienceon.ki[...]
2010-00-00
[48]
저널
A Study of Microearthquake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梁山斷層의 微震活動에 관한 研究)
https://www.dbpia.co[...]
1983-09-00
[49]
저널
A Geophysical Study of the Yangsan Fault Area (梁山斷層地域의 地球物理學的 研究)
https://www.dbpia.co[...]
1984-09-00
[50]
저널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Ⅱ) : Seismicity of the Northern Part of the Yangsan Fault (韓半島의 地震活動(Ⅱ) : 梁山斷層 北部의 地震活動)
https://www.dbpia.co[...]
1986-12-00
[51]
저널
경상분지의 미소지진활동에 관한 연구
1984-00-00
[52]
저널
On the Seismic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梁山斷層의 活性問題에 關하여)
https://www.dbpia.co[...]
1985-03-00
[53]
저널
활성단층의 이해: 최근의 연구에 대한 고찰 (Understanding of active faults: A review for recent researches)
https://www.dbpia.co[...]
2011-12-00
[54]
저널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진도분석 및 지진 지질학적 의의 (Intensity Analysis of the 26 June 1997 Kyongju Earthquake and Its Geological Significance)
https://scienceon.ki[...]
1998-00-00
[55]
저널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단층면해 비교해석 (Fault Plane Solutions for the June 26, 1997 Kyong-ju Earthquake)
https://scienceon.ki[...]
2000-12-00
[56]
웹인용
9.12 지진대응보고서
http://www.weather.g[...]
대한민국 기상청
[57]
서적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
2016-00-00
[58]
웹인용
한반도 주변 지구조 운동과 단층-지진 관계에 대한 고찰 (Tectonic Movement in Korean Peninsula and Relation between Fault and Earthquake)
https://inis.iaea.or[...]
한국원자력연구원
2009-08-00
[59]
저널
Frictional properties of gouges collected from the Yangsan Fault, SE Korea (한반도 남동부 지역에 발달한 양산단층 비지의 마찰 특성)
https://www.dbpia.co[...]
2015-12-00
[60]
웹인용
한반도 남동부 연안 양산단층의 제4기 활동성과 지진 위험성 예측 (The Quaternary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offshore the SE Korean Peninsula and implications for seismic hazard assessment)
http://www.riss.kr/s[...]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1-00-00
[61]
저널
Paleoseismology of the Yangsan Faul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ttps://doaj.org/art[...]
2003-00-00
[62]
저널
한반도 남부의 활성단층
https://www.nas.go.k[...]
2022-00-00
[63]
뉴스
밀양지진은 새 단층?···학계 일각선 "경주 지진의 연장선"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9-12-30
[64]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10-00
[65]
웹인용
梁山 地質圖幅說明書 (양산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4-00-00
[66]
웹인용
彦陽 地質圖幅說明書 (언양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2-00-00
[67]
저널
동래단층 지역 단층비지의 생성과정과 K-Ar 연령 Formation Processes of Fault Gouges and their K-Ar Ages along the Dongnae Fault
https://kiss.kstudy.[...]
1998-08-00
[68]
저널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일대 동래단층 연장성 확인을 위한 물리탐사 적용 (Application of geophys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ongrae Fault in the Oedong-eup area, Gyeongju City)
https://www.dbpia.co[...]
0000-00-00
[69]
웹인용
An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capable faul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98-00-00
[70]
저널
모량단층의 분포와 특성 (Tracking of the Moryang Fault and It’s Characteristics)
https://scholar.kyob[...]
2021-00-00
[71]
저널
모량단층 중북부의 분절현상 (Some Segments of the middle part of the Moryang Fault)
https://www.dbpia.co[...]
2001
[72]
뉴스
수도권은 지진 안전지대?…20만년 전 활동한 '활성단층' 발견
https://www.khan.co.[...]
2016-10-23
[73]
웹인용
楡川圖幅 地質報告書 (유천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8
[74]
웹인용
密陽圖幅 地質報告書 (밀양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7
[75]
웹인용
慈仁 地質圖幅說明書 (자인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3
[76]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10
[77]
저널
경북 영덕군 동부 일원의 지질과 U-Pb 연령 (Geology and U-Pb Age in the Eastern Part of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Korea)
https://www.dbpia.co[...]
2018-09
[78]
저널
Tectonically controlled multiple stages of deformation along the Yangsan Fault Zone, SE Korea, since Late Cretaceous
https://www.scienced[...]
2019-02
[79]
저널
Geological structures and evolution of the Pyeonghae Basin, Pyeonghae-eup, Uljin-gun, South Korea (경북 울진군 평해읍 일원 평해분지의 지질구조와 발달사)
https://www.dbpia.co[...]
2023-06
[80]
논문
Structural geology and paleostress-field analysis around Ilwol thrust fault, Korea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89
[81]
웹인용
平海 地質圖幅說明書 (평해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
[82]
웹인용
한반도 남동부 제4기 단층 운동 (Quaternary fault activity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ttps://www.riss.kr/[...]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5
[83]
저널
양산단층대 북부 분절 일원의 층서와 지질구조 (Stratigraphy and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Northern Yangsan Fault Zone)
https://www.dbpia.co[...]
2021-08
[84]
서적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7-11
[85]
저널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characterization of the mature northern Yangsan fault in Korea and its active faulting
https://www.proquest[...]
2022-06
[86]
웹인용
Architecture and tectonic development of the Yeonghae basin, eastern margin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동부에 위치하는 영해 분지의 아키텍쳐와 지구조)
https://pknu.dcollec[...]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02
[87]
웹인용
Tectonic evolution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Tertiary sedimentary basin, southeastern part of Korea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1987
[88]
저널
Alternate senses of displacement along the Tsushima fault system during the Neogene based on fracture analyses near the we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https://www.scienced[...]
1996-06
[89]
저널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western marginal faults of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2012
[90]
저널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한반도 남동부 마이오세 지각변형, 분지발달 그리고 지구조적 의미)
https://www.dbpia.co[...]
2013-02
[91]
저널
Provenance of coarse-grained detritus in fan-delta systems,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implications for boundary fault movements
https://www.proquest[...]
1998-03
[92]
간행물
양산단층대 북부의 단층대 발달 특성과 연장성 및 제4기의 단층운동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한국자원공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춘계공동학술발표회, 동북아광상성인 심포지움, 초록집
1999
[93]
기타
[94]
저널
Paleoseismology of the Yangsan Faul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ttps://doaj.org/art[...]
2003-06
[95]
저널
양산단층대 북부 청하 일원의 파쇄대 발달 특성
https://kiss.kstudy.[...]
1999
[96]
저널
The Latest Fault Movement on the Northern Yangsan Fault Zone around the Yugye-Ri Area, Southeast Korea (양산단층대 북부 유계리 일대의 신기 단층운동)
https://www.dbpia.co[...]
2001-12
[97]
저널
Estimated earthquake magnitude from the Yugye Fault displacement on a trench section in Pohang, SE Korea (트렌치 단면의 단층변위 자료를 이용해 산정한 유계단층의 지진규모)
https://www.dbpia.co[...]
2006-03
[98]
저널
Characteristics of the Quaternary faulting detected along the Yangsan Fault in Yugye- and Jungsan-ri, northern Pohang City (포항 북부 유계-중산리에서 확인되는 양산단층의 제4기 단층운동 특성)
https://www.dbpia.co[...]
2022-12
[99]
웹인용
毛良 地質圖幅說明書 (모량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1
[100]
웹인용
朝鮮地質圖. 第10輯 : 慶州, 永川, 大邱 及 倭館圖幅
https://data.kigam.r[...]
朝鮮總督府地質調査所
1929
[101]
저널
양산 단층곡 경주 지역의 단층 지형 분석 (Analysis on Fault-Related Landforms in the Gyeongju Area of the Yangsan Fault Valley)
https://kiss.kstudy.[...]
2018-03
[102]
웹인용
경주시 강동면 단구리의 제4기 단층: 벽계단층 (Quaternary fault of Dangu-ri in Gyeongju Gangdong-myeon: Byeokgye Fault)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한국자원공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춘계공동학술발표회
1999
[103]
서적
South eastern fault variable research and DB Construction
KIGAM
2009
[104]
저널
Quaternary fault analysis through a trench investigation on the northern extension of the Yangsan fault at Dangu-ri, Gyungju-si, Gyeongsangbuk-do (경북 경주시 단구리 일대에서의 트렌치 조사를 통한 북부 양산단층의 제4기 단층운동 특성분석)
https://www.dbpia.co[...]
2015-10
[105]
저널
Quaternary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paleoseismic interpretation of the Yangsan Fault at Dangu-ri, Gyeongju-si, SE Korea, through trench survey (경주시 단구리 일원 굴착조사를 통한 양산단층의 제4기 지질구조 특성과 고지진 연구)
https://www.dbpia.co[...]
2020-04
[106]
웹인용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활성단층(제4기 단층)에 대한 루미네선스 연대측정 연구 (Luminescence Dating of Active (Quaternary) Fault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http://www.riss.kr/s[...]
2022-00-00
[107]
저널
Active Fault Trace Identification Using a LiDAR High-Resolution DEM: A Case Study of the Central Yangsan Fault, Korea
https://www.proquest[...]
2022-00-00
[108]
저널
양산단층계 중부 경주시 남면 월산, 서하지역의 지체구조적 지형 분석 및 의의
https://www.dbpia.co[...]
2003-00-00
[109]
저널
Microscopic analysis of fault rock using X-ray computed tomography from the Wolsan trench in the middle part of Yangsan fault, SE Korea (X-선 전산화 단층촬영을 활용한 양산단층 중부 월산리 제4기 단층 지점 단층암의 미세구조 발달특성 분석)
https://www.dbpia.co[...]
2020-04-00
[110]
저널
남부 양산단층 월산-인보 구간에서의 고지진특성 (Characteristics of paleo-seismicity along the Wolsan-Inbo section of the Southern Yangsan Fault)
https://www.dbpia.co[...]
2021-10-00
[111]
저널
지형지시자와 연대측정을 이용한 양산단층 남부지역 누적변위율 (Cumulative Slip Rate of the Southern Yangsan Fault from Geomorphic Indicator and Numerical Dating)
https://www.dbpia.co[...]
2021-04-00
[112]
저널
양산단층 중남부 구간의 지형 발달과 단층 운동 (I): 제4기 지형의 발달 특성 및 분포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and Fault Activity of the Central-Southern Yangsan Fault (I):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Quaternary Landforms)
https://www.dbpia.co[...]
2021-01-00
[113]
웹인용
언양 북부 양산단층대 내 제4기 신흥단층의 지질구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논문집
2006-00-00
[114]
웹인용
彦陽 地質圖幅說明書 (언양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2-00-00
[115]
저널
梁山斷層地域의 地球物理學的 硏究 (II)
https://www.dbpia.co[...]
1985-06-00
[116]
저널
A Geoelectric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Yangsan Fault in the South of Kyeongju (경주 남쪽을 중심으로 한 양산단층의 구조에 관한 지전기학적 연구)
https://www.dbpia.co[...]
1988-03-00
[117]
저널
양산단층 주 단층대의 발달특성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일대의 노두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Main Fault Zone Developed Along Yangsan Fault : On the Outcrop of Cheonjeon-ri, Dudong-myeon, Ulju-gun, Ulsan, Korea)
https://www.dbpia.co[...]
2019-12-00
[118]
저널
언양 신흥단층의 기하학적ㆍ운동학적 특성으로부터 해석된 경상분지 양산단층대 남부의 단층운동사 (The movement history of the southern part of the Yangsan Fault Zone interpreted from the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Sinheung Fault, Eonyang, Gyeongsang Basin, Korea)
https://www.dbpia.co[...]
2009-03-00
[119]
저널
양산단층대의 단층작용 과정과 단층비지의 K-Ar 연령
1999-00-00
[120]
저널
韓国慶州市葛谷里における蔚山 (活) 断層のトレンチ調査 (Trench Excavation Surveys across the Yangsan and Ulsan Active Fault System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Peninsula)
https://www.jstage.j[...]
1999-00-00
[121]
저널
양산단층대 남부 상천리 일대의 트렌치 조사에 의한 단층특성 규명
1999-00-00
[122]
저널
Fault zone classifi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ern Yangsan fault in the Sangcheon-ri area, SE Korea (울산시 상천리 일대에 발달하는 남부 양산단층의 단층대 분류와 지질구조적 특성)
https://www.dbpia.co[...]
2009-02-00
[123]
저널
ESR dating of fault gouge from the Gacheon 1 site on the Yangsan fault zone (양산단층대 가천 1지점의 단층비지 ESR 연대측정)
https://www.dbpia.co[...]
2012-12-00
[124]
저널
Active Fault Topography and Trench Survey in the Central Part of the Yangsan Fault, Southeast Korea
https://www.jstage.j[...]
1994-00-00
[125]
저널
양산-통도사 일대의 양산단층대와 제4기 단층운동의 가능성 (Yangsan Fault Zone and possible Quaternary faulting around Yangsan-Tondosa, Korea)
https://www.dbpia.co[...]
2020-08-00
[126]
저널
지형 분석을 통한 활성 단층 추적 연구 (Tracing of Active Fault Using Geomorphic Markers)
https://kiss.kstudy.[...]
2019-12-00
[127]
저널
Characteristics of the quaternary faulting of the Wolpyeong, Yangsan, S.E. Korea (양산 월평지역의 제4기 단층운동 특성)
https://www.dbpia.co[...]
1999-09-00
[128]
저널
Characteristics of the quaternary faulting of the Wolpyeong, Yangsan, S.E. Korea (양산 월평지역의 제4기 단층운동 특성)
https://www.dbpia.co[...]
1999-09-00
[129]
저널
양산단층과 동래단층 사이를 통과하는 지방도의 지질공학적 특성 연구 (Engineering Geological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newly constructed road between the Yangsan Fault and the Dongrae Fault)
https://kiss.kstudy.[...]
2003-06-00
[130]
웹인용
단층암에 대한 ESR 연대측정 연구 (ESR dating of fault rock)
https://inis.iaea.or[...]
강원대학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2002-00-00
[131]
웹인용
東萊·月內 地質圖幅說明書 (동래·월내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8-00-00
[132]
웹인용
釜山, 加德 地質圖幅說明書 (부산, 가덕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3-00-00
[133]
저널
부산시 백악기 다대포분지 내 화산암류의 암석기재와 40Ar/39Ar 연대 : 다대포층의 퇴적시기와 대비
https://www.dbpia.co[...]
2011-02-00
[134]
저널
The offshore Yangsan fault activity in the Quaternary, SE Korea: Analysis of high-resolution seismic profiles
https://www.scienced[...]
2016-12-00
[135]
뉴스
양산단층, 일광단층 활동 증거 첫 공개
https://m.khan.co.kr[...]
2016-09-22
[13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