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 단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한 단층으로, 과거 오복 단층으로도 불렸다. 이 단층은 신생대 고제3기에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현재까지도 활성단층 여부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동래 단층은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역에 따라 주향과 경사가 다르다. 부산 도심을 통과하여 도시 개발에 영향을 미치며, 지형학적으로 단층곡, 하천 쟁탈 등의 특징을 보인다. 동래 단층의 활동 시기와 활성단층 여부는 지진 위험과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지리 - 간절곶
간절곶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곶으로, 간짓대처럼 보이는 지형적 특징과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해맞이 명소로 알려져 해맞이공원과 축제가 있는 관광지이다. - 울산광역시의 지리 - 해파랑길
해파랑길은 부산 오륙도에서 강원도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진 50개 코스의 장거리 도보 여행길로, 해안 풍경과 역사,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지리 - 이기대 도시자연공원
이기대 도시자연공원은 약 8~7천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안산암질 화산암류와 응회질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지질학적 가치가 높고, '이기대'라는 이름은 좌수영 남쪽 두 기생의 무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여러 영상 매체에도 등장한 곳이다. - 부산광역시의 지리 -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이천리층 노두로, 다양한 공룡 및 새 발자국 화석과 뼈 화석, 구과식물 화석이 발견되어 당시 얕은 바다 또는 갯벌 환경과 지질학적 활동성을 보여주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지질유산이다. - 주향이동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주향이동단층 - 인제 단층
인제 단층은 경기 육괴의 남향 이동 중 형성된 역단층으로, 강원도 인제군을 비롯한 일대에 분포하며 87 Ma 이후 재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단층경면, 단층점토 등의 특징을 보이는 선형 구조이다.
동래 단층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동래 단층 |
다른 이름 | 東萊斷層, Dongnae Fault |
명명 유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
명명자 | 동래 지질도폭 |
명명 연도 | 1978 |
지역 | 경상 분지 |
광역시/도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
시/군/구 | 동래구, 양산시, 울주군, 경주시 |
단층 특성 | |
주향 | 북북동-남남서 |
경사 | 남서, 북서, 북동 |
경사 각도 | 70~수직 |
판 | 유라시아판, 아무르판 |
활동 상태 | 비활성단층? |
지진 발생 여부 | 없음 |
유형 | 주향 이동 단층 |
이동 방향 | 우수향, 좌수향 |
암석 단위 | 경상 누층군 불국사 화강암 |
생성 시기 | 중생대 백악기 |
지도 정보 | |
![]() 4: 일광 단층 |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
2. 동래 단층의 발견과 연구사
동래 단층은 일직선 형태가 아닌, 여러 단층 조각들이 모여 단층대를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울산 북부에서는 주로 북북동 방향으로 뻗어 있지만, 울산-양산-언양 지역에서는 국부적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갈라지거나, 북동 10~30°범위에서 여러 방향으로 나타난다.[6]
2. 1. 초기 연구
동래 단층은 1964년 양산 지질도폭[2]과 1972년 언양 지질도폭[3]에서 오복 단층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1978년 동래 지질도폭에서 처음으로 '''동래 단층'''으로 명명되었다.[4] 1998년 장태우와 추장오는 양산시 웅상읍과 웅촌면 일대의 동래 단층을 조사하고 단층비지에 대한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을 통해 동래 단층의 주요 활동 시기가 신생대 고제3기에 해당하는 51.4∼57.7 Ma와 40.3∼43.6 Ma이라고 보고하였다.[5]1964년 양산 지질도폭에서는 '''오복 단층'''이라는 이름으로 보고되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오복 마을을 지나는 오복 단층은 북동 10°및 북동 15°주향을 가지는 2조의 단층이 발달하며 회야강과 일치하게 연장된다. 이들 단층은 경상 누층군 대양동층(대구층)과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주산안산암질암의 경계를 이룬다.[1]
1972년 언양 지질도폭에서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율리를 지나는 북동 25°주향의 단층으로 보고되었다. 경상 누층군 대구층과 주산안산암질암, 흑운모 화강암을 지나간다. 이 단층은 이들 암석의 분포에 근거하여 단층 서측이 북동 방향으로, 단층 동측이 남서방향으로 이동한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으로 기재되었다.[1]
2. 2. 20세기 후반 이후 연구
장태우와 추장오(1998)는 양산시 웅상읍과 웅촌면 일대의 동래 단층을 조사하고 단층비지(fault gouge)에 대한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을 통해 동래 단층의 주요 활동 시기가 신생대 고제3기에 해당하는 51.4∼57.7 Ma와 40.3∼43.6 Ma인 것으로 보고하였다.[5] 동래 단층은 여러 조의 단층 분절(segment)들이 모여서 단층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래 단층은 울산 북부에서는 대체로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나, 울산-양산-언양 일원에서는 국부적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지되거나, 북동 10~30°범위에서 1조 또는 여러 조의 방향으로 나타난다.[6]손문 외(2003)는 경상남도 양산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 일대의 천성산과 정족산 일원을 대상으로 정밀 지질조사를 실시하였고, 양산 단층과 동래 단층에 평행하고 연속성이 좋은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법기 단층'''과 이와 사교하는 북서 방향의 우수향 횡인장성 단층 그리고 크고 작은 규모의 단층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법기 단층은 천성산-정족산 지역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12 m의 단층파쇄대와 수십 cm의 단층비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단층은 단층곡(斷層谷, Fault valley)으로 판단되는 북북동 방향의 계곡을 따라 도처에서 관찰된다. 수직의 단층면에서는 단층조선이 뚜렷이 발달하고 있으며 단층면상에 돌출된 부위와 단층파쇄대를 따라 주입된 방해석 맥들의 기하학적 형태는 이 단층의 우수향 주향 이동 운동을 지시한다. 북서 방향의 단층은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조계암 남쪽 계곡에서 양호한 노두로 드러나 있는데 폭 5m의 파쇄대와 폭 5cm의 단층비지대가 관찰된다. 거의 수직의 단층면을 가지며 우수향 주향이동 운동과 함께 남서쪽 지괴가 북동쪽 지괴에 비해 침강된 사교 이동(oblique slip)의 운동감각을 보인다. 이 단층은 화강암과 호온펠스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법기 단층에 의해 그 연장이 절단된다.[8]
3. 동래 단층의 구조 및 분절 특성
동래 단층은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단층이 아니라, 여러 조의 단층 분절들이 모여서 단층대를 형성한다.
3. 1. 분절(segment) 구조
이광률 외(2019)는 동래 단층 중부 지역인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양산시 웅상 일대의 단층 지형과 지형 발달을 연구하였다. 이 일대 여러 지역에서 변위·굴절 하도, 단층 와지, 단층 구릉, 삼각말단면, 벤치, 선상지, 하안단구 등의 단층 관련 지형이 확인되었다. 또한 웅상 분지의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회야강과 수영강 유역의 분수계에서 수영강에 의한 하천쟁탈 현상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웅상 분지 일대에서 단층 작용과 관련하여 지반 융기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에 대한 지형적 증거가 될 수 있다.[9]4. 동래 단층의 지형학적 특징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 일대에 넓은 계곡 지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곳에 부산광역시 시가지가 발달한다.[11] 이 단층 계곡은 차별적인 침식작용과 함께 제4기 동안 상당 기간 동안 해수면 아래에 있었으며,[11] 일제강점기 이후 항만 시설 확충 등 도시 개발을 위해 활발한 매립 사업이 실시되었다.[12]
부산 시내에서 동래 단층은 양정 교차로 서편에서 서면 교차로 동편 그리고 자성대공원 서편을 지나 부산만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부고속철도 노선을 따른 지질 단면상에서는 총 9곳에서 기반암 파쇄대가 확인되는데, 시추공들을 조사한 결과 동래 단층의 파쇄대 폭이 남쪽으로 갈수록 50 m에서 250 m로 넓어진다. 이러한 변화는 부산진구 서면 교차로와 양정 교차로 사이 지역에서 분절(segment)될 것으로 판단되며, 지형적으로 양정 교차로와 서면 교차로 사이의 계곡 폭이 좁으며 남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고 있는 사실과 부합한다.[1]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상 분지에서는 회야강과 수영강 유역의 분수계에서 수영강에 의한 하천 쟁탈 현상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웅상 분지 일대에서 단층 작용과 관련하여 지반 융기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형적 증거가 될 수 있다.[9]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 북부 일대에서는 원래 두 번 있었던 회야강의 곡류가 동래 단층의 활동으로 우수향(오른쪽 방향)으로 절단된 후 구하도(버려진 물길)로 남은 것으로 밝혀졌다.[10]
이광률 외(2019)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양산시 웅상 일대의 동래 단층 중부 지역의 단층 지형과 지형 발달을 연구하였다. 이 일대 여러 지역에서 변위·굴절 하도, 단층 와지, 단층 구릉, 삼각말단면, 벤치, 선상지, 하안단구 등의 단층 관련 지형이 확인되었다. [9]
4. 1. 단층곡(斷層谷)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 일대에 넓은 계곡 지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곳에 부산광역시 시가지가 발달한다.[11] 이 단층 계곡은 차별적인 침식작용과 함께 제4기 동안 상당 기간 동안 해침을 받아 해수면 아래에 있었으며,[11] 일제강점기 이후 항만 시설 확충 등 도시 개발을 위해 활발한 매립 사업이 실시되었다.[12]부산 시내에서 동래 단층은 양정 교차로 서편에서 서면 교차로 동편 그리고 자성대공원 서편을 지나 부산만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부고속철도 노선을 따른 지질 단면상에서는 총 9곳에서 기반암 파쇄대가 확인되는데, 시추공들을 조사한 결과 동래 단층의 파쇄대 폭이 남쪽으로 갈수록 50 m에서 250 m로 넓어진다. 이러한 변화는 부산진구 서면 교차로와 양정 교차로 사이 지역에서 분절(segment)될 것으로 판단되며, 지형적으로 양정 교차로와 서면 교차로 사이의 계곡 폭이 좁으며 남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고 있는 사실과 부합한다.[1]
4. 2. 하천 쟁탈 및 곡류 절단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상 분지에서는 회야강과 수영강 유역의 분수계에서 수영강에 의한 하천 쟁탈 현상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웅상 분지 일대에서 단층 작용과 관련하여 지반 융기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형적 증거가 될 수 있다.[9]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 북부 일대에서는 원래 두 번 있었던 회야강의 곡류가 동래 단층의 활동으로 우수향(오른쪽 방향)으로 절단된 후 구하도(버려진 물길)로 남은 것으로 밝혀졌다.[10]4. 3. 기타 지형
이광률 외(2019)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양산시 웅상 일대의 동래 단층 중부 지역의 단층 지형과 지형 발달을 연구하였다. 이 일대 여러 지역에서 변위·굴절 하도, 단층 와지, 단층 구릉, 삼각말단면, 벤치, 선상지, 하안단구 등의 단층 관련 지형이 확인되었다. 또한 웅상 분지의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회야강과 수영강 유역의 분수계에서 수영강에 의한 하천쟁탈 현상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웅상 분지 일대에서 단층 작용과 관련하여 지반 융기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에 대한 지형적 증거가 될 수 있다.[9]5. 동래 단층 주변 지역별 노두(Outcrop)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 일대에 넓은 계곡 지형을 형성하고 있어 이곳에는 부산광역시 시가지가 발달한다. 이곳 단층 계곡부는 차별적인 침식작용과 함께 제4기 동안 상당 기간동안 해침을 받아 해수면 아래에 놓여 있었으며[11], 일제시대 이후에는 항만 시설의 확충 등 도시 개발을 위해 활발한 매립 사업이 실시된 바 있다. 따라서 이곳에는 제4기 지층이 퇴적되어 있으며 그 하부의 기반암의 경우에도 동래 단층의 영향에 의해 파쇄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부산 시내에서, 동래 단층은 양정 교차로 서편에서 서면 교차로 동편 그리고 자성대공원 서편을 지나 부산만으로 연장될 것으로 추정된다. 경부고속철도 노선을 따른 지질 단면상에서는 총 9곳에서 기반암 파쇄대가 인지되는데, 시추공들을 조사한 결과 동래 단층의 파쇄대 폭이 남쪽으로 갈수록 50 m 에서 250 m로 넓어진다. 이러한 동래 단층 파쇄대 폭의 변화는 부산진구 서면 교차로와 양정 교차로 사이 지역에서 분절(segment)될 것으로 판단되며, 지형적으로 양정 교차로와 서면 교차로 사이의 계곡 폭이 좁으며 남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고 있는 사실과 부합한다.[1] 부산 도심지를 지하로 통과하는 경부고속철도 14-3 공구의 경우, 이 구간 내 동래 단층대의 모암(母巖)은 안산암질 응회암으로 단층 점토 입자를 함유하고 있으며 최대 주 응력 방향은 터널 노선 방향과 유사한 남-북 방향이다.[13]
부산진구 범천동 부근에서 동래 단층과 교차하는 북북서 주향의 단층은 2002년 금정산 지구 단열조사에서 보고된 바 있는 금성동 단층[14]의 남쪽 연장인 것으로 보인다. 금성동 단층은 경사가 수직에 가까운 남-북 방향의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으로서 금정산성 남문 부근을 중심으로 북쪽 산성마을 방면으로 여러 개로 분기되나 남쪽으로는 하나의 단층으로 만덕고개를 지나 연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층은 서면 교차로보다 남쪽에서 고속철도 노선과 거의 인접하게 나란히 달리고 있어 여러 곳에서 이 단층의 영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는 파쇄대들이 인지된다.[1]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회동교차로와 회동2교 동쪽의 정관산업로 절개사면에는 데사이트질 화산쇄설암 및 용결응회암으로 구성되고 미문상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해 열변성을 받은 대규모의 노두가 드러나 있으며, 단층 운동에 의해 다수의 단열대가 발달해 있다. 단층의 주향은 북서 50~45°, 경사는 남서 70~80°이며 단층대는 8 m의 폭으로 단층각력암과 두께 3 cm의 단층비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점의 단층은 동래 단층에서 분지된 단층으로 판단된다.[1]
부산광역시 동래구 신청사 건립공사 터파기 시공시 동래 단층에 수반된 단층대가 발견되었다. 이곳에 발달한 단층파쇄대에는 단층점토와 소규모 단층이 발달하며 피쇄대 틈으로 지하수가 유출되었다.[15]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다대포해수욕장-몰운대 해안가에는 다대포층과 산성암맥, 해안단구층, 충적층이 분포하며 기존의 정단층이 재활성화되어 하부의 다대포층 및 산성암맥의 균열로 인해 상부의 미고결 해안단구층이 균열을 충전한 기하가 관찰된다. 이러한 암맥은 인장응력 하에서 발생한 지진성 균열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해안단구층 생성 이후로 추정된다.[1]
5. 1. 경주시
황학수(2017) 등은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일대에서 지표 지질조사와 지구물리탐사를 수행하고 이 지역에서 동래 단층의 주향(走向; 단층면이 수평면과 만나 이루는 선의 방향)이 북동 14°임을 확인하였다. 주 방향성에 의하면 동래 단층은 외동읍 입실리 입실교 부근에서 울산 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전기 비저항 탐사 결과 낮은 전기 비저항대가 관측되었고 지구물리탐사 결과 이 지역 내에서 단층 파쇄대의 폭은 약 200 m 이상이며 그 폭은 북부보다 남부에서 더 넓은 것으로 해석되었다.[7]5. 2. 울산광역시~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삼정초등학교 남쪽 계곡은 단층 운동에 의해 파쇄대가 매우 심하게 발달한 북북동 방향의 단층곡(斷層谷)이다. 폭 60 m의 단층선곡을 따라 기반암인 경상 누층군 울산층(대구층)의 파쇄각력암이 있다. 주 단층면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제4기 단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곳이다. 동일 고도에서 단층곡의 동편은 경상 누층군의 단층각력암들이 분포하나 서편은 제4기 산록퇴적물이 분포하여 단층선곡의 서쪽 지괴가 침강한 지형을 나타낸다.[1]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곡천리(용연사 가는 도로가 계곡)에는 안산암질 화산암 및 응회암에 주향 10~5°, 경사 남서 75~85°의 단층이 발달하고 있다. 단층대 폭은 약 3 m로 단층각력과 두께 3cm의 단층비지로 구성된다. 다수의 단열대를 수반한 이 단층은 동래 단층에 분지된 소규모의 단층으로 보인다.[1]
경상남도 양산시 주남동, 정족산 기슭 임도 사면에는 화강암 및 유문암질의 산성암맥이 발달하고 있으며, 암맥 및 단층 운동에 의해 화강암이 열수 변질을 받은 노두로 산성암맥에 주향 북동 70°, 경사 남동 80°~수직의 단층이 발달하고 있다. 단층대 폭은 2m로 단층각력암과 두께 10 cm 이상의 단층비지로 구성되어 있다.[1]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에는 데이사이트질 화산쇄설암 및 응회암의 노두에 주향 북동 60°, 경사 북서 70~80°의 단층이 발달한다. 단층대 폭은 약 5 m로 단층각력과 두께 5 cm 이상의 단층비지로 구성되며 동래 단층에서 분지된 법기 단층에 의해 절단된다.[1]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의 동래 단층에서 분지된 법기 단층에 발달한 노두에는 단층의 주향은 북동 65°, 경사는 북동 80°~수직이고, 단층대 폭은 약 2 m 이상으로 단층각력대와 두께 20cm 이상의 단층비지, 석영세맥 등이 발달한다.[1]
양산시 덕계동 산업단지 일원(현재의 양산두산위브1차아파트 남동쪽)에는 안산암질 화산쇄설암 및 응회암으로 염기성 암맥이 발달하였으며 동래 단층의 운동에 의해 파쇄된 대규모 노두가 있다. 단층의 주향은 북서 42°및 북서 10°이며 경사는 북동 70~75°및 북동 80~84°이고 후자의 단층이 전자를 절단한다. 이 단층들은 주변 산록퇴적물의 분포 및 기반암과의 경계를 고려할 때 제4기에 재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 택지개발 서쪽사면(양산두산위브2차2단지아파트 서측)은 앞서 말한 동쪽사면의 건너편 사면으로 안산암질암 및 응회암이 드러난 대규모의 단층 파쇄대 노두이며 수 조의 단층들이 발달하고 주 단층의 주향은 북동 20~30°, 경사는 북서 75~80°이다. 본 단층대에는 횡인장력에 의한 꽃구조(positive flower structure)가 나타난다. 이 노두는 현재 택지개발로 완전 소멸되어 더 이상 관찰할 수 없다.[1]
손문 외(2003)는 경상남도 양산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 일대의 천성산과 정족산 일원을 대상으로 정밀 지질조사를 실시하였고, 양산 단층과 동래 단층에 평행하고 연속성이 좋은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인 '''법기 단층'''과 이와 사교하는 북서 방향의 우수향 횡인장성 단층 그리고 크고 작은 규모의 단층들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법기 단층은 천성산-정족산 지역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12 m의 단층파쇄대와 수십 cm의 단층비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단층은 단층곡(斷層谷, Fault valley)으로 판단되는 북북동 방향의 계곡을 따라 도처에서 관찰된다. 수직의 단층면에서는 단층조선이 뚜렷이 발달하고 있으며 단층면상에 돌출된 부위와 단층파쇄대를 따라 주입된 방해석 맥들의 기하학적 형태는 이 단층의 우수향 주향 이동 운동을 지시한다. 북서 방향의 단층은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조계암 남쪽 계곡에서 양호한 노두로 드러나 있는데 폭 5m의 파쇄다와 폭 5cm의 단층비지대가 관찰된다. 거의 수직의 단층면을 가지며 우수향 주향이동 운동과 함께 남서쪽 지괴가 북동쪽 지괴에 비해 침강된 사교 이동(oblique slip)의 운동감각을 보인다. 이 단층은 화강암과 호온펠스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법기 단층에 의해 그 연장이 절단된다.[8]
5. 3.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도심 내에서 동래 단층은 넓은 계곡 지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경부고속철도 노선 건설 과정에서 여러 곳의 파쇄대가 확인되었다. 금정구 회동동, 동래구 신청사 부지, 사하구 다대동 다대포해수욕장-몰운대 해안가 등에서 단층 노두가 확인되었다. 부산진구 범천동 부근에서 동래 단층과 교차하는 북북서 주향의 단층은 금정산성 남문 부근에서 확인된 금성동 단층의 남쪽 연장으로 추정된다.[1]6. 동래 단층의 활동 시기 및 활성단층 논란
동래 단층한국어은 양산 단층과 함께 오랜 기간 동안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지질학적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동래 단층한국어이 마지막으로 활동한 시기와 현재도 활동하고 있는 활성단층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논란이 있다.
동래 단층한국어의 활동 시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단층 주변에서 발견되는 제4기 퇴적층과 단층 파쇄대의 특징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동래 단층한국어이 제4기 동안 여러 차례 재활동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하기도 한다.
활성단층은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는 단층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제4기(약 260만 년 전~현재) 동안 활동한 적이 있는 단층으로 정의된다. 동래 단층한국어이 활성단층인지 여부는 지진 재해 예측 및 대비에 중요한 정보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동래 단층한국어의 활성 여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은 상태이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7. 동래 단층과 도시 개발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면 다시 시도해주세요.)
8.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동래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지질 구조와 지형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단층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동래 단층의 정확한 활동 시기, 활성단층 여부, 지진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참조
[1]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10-01
[2]
웹인용
梁山 地質圖幅說明書 (양산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4-01-01
[3]
웹인용
彦陽 地質圖幅說明書 (언양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2-01-01
[4]
웹인용
東萊·月內 地質圖幅說明書 (동래·월내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8-01-01
[5]
저널
동래단층 지역 단층비지의 생성과정과 K-Ar 연령 (Formation Processes of Fault Gouges and their K-Ar Ages along the Dongnae Fault)
https://kiss.kstudy.[...]
1998-08-01
[6]
웹인용
An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capable faul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활성단층 조사평가 연구: 한반도 동남부 지역)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98-01-01
[7]
저널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일대 동래단층 연장성 확인을 위한 물리탐사 적용 (Application of geophys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ongrae Fault in the Oedong-eup area, Gyeongju City)
https://www.dbpia.co[...]
[8]
저널
천성산과 정족산 일원의 지질과 단열 분포 (Geology and Fracture Distribution in the Vicinities of the Cheonseong and Jeongjok Mountains)
https://kiss.kstudy.[...]
2003-03-01
[9]
저널
동래 단층 중부 지역 웅촌-웅상 일대의 단층 지형과 지형 발달 Fault-related Landforms and Geomorphological Processes Around Ungchon-Ungsang Areas in the Middle Part of the Dongrae Fault
https://kiss.kstudy.[...]
2019-03-01
[10]
저널
지형 분석을 통한 활성 단층 추적 연구 (Tracing of Active Fault Using Geomorphic Markers)
https://kiss.kstudy.[...]
2019-12-01
[11]
저널
The buried landform of Pusan bay
1988-01-01
[12]
저널
부산시 도심지의 지하 지질구조와 단층손상과 관련된 지질위험도 분석 (Analysis of Subsurface Geological Structures and Geohazard Pertinent to Fault-damage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https://www.dbpia.co[...]
2007-01-01
[13]
저널
경부고속철도 14-3공구 도심지 터널의 보조 보강공법 설계적용사례
https://scienceon.ki[...]
2007-01-01
[14]
저널
부산시 금정산 일원의 지하수 유동 해석을 위한 단열계 분석 (Fracture Analysis for Evaluation of Groundwater Flow around the Geumjeong Mountain, Busan)
https://www.dbpia.co[...]
2002-01-01
[15]
웹인용
동래단층파쇄대에서의 흙막이 안정성 사례 검토 연구 (Case study on soil retention stability in the Dongrae fault fracture zone)
https://www.riss.kr/[...]
한양대학교
2024-01-01
[1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