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하츠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루하츠 작전은 1950년 7월 22일 미 제1기병사단과 미 해병대 연대전투단을 인천에 상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작전 계획이었다. 그러나 전황 악화와 상륙 부대 배치 어려움으로 인해 취소되었고, 미 제1기병사단은 포항에 상륙하여 영동 등으로 전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7월 - 1950년 FIFA 월드컵
1950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브라질에서 개최되었으며, 13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 후 최종 리그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하여 '마라카낭의 비극'을 낳았다. - 1950년 7월 - 대전 전투
대전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 대전 일대에서 조선인민군과 미 제24보병사단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유엔군의 증원군이 부산 교두보를 구축할 시간을 벌기 위해 미군이 지연전을 펼쳤으나 북한군에 패배하여 대전이 점령당하고 미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하게 되었다. - 미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지평리 전투
지평리 전투는 한국 전쟁 중 미 제23연대 전투단이 중공군의 대규모 공격을 격퇴하고 미 제1기병사단의 지원으로 승리하여 UN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전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전투이다. - 미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블루하츠 작전 | |
---|---|
개요 | |
![]() | |
시기 | 1992년 2월 15일 ~ 1992년 2월 17일 |
장소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
원인 | 블루하츠의 해산 |
목표 | 블루하츠의 내한 공연 추진 |
방법 | 신문 광고 게재, 공연 기획사 압박, 일본 블루하츠 팬들과의 연대 |
주최 | 블루하츠 팬클럽 '녹색 평원' |
규모 | 수백 명 |
결과 | 블루하츠의 해산으로 인한 내한 공연 무산 |
배경 | |
블루하츠 | 1985년 결성된 일본의 펑크 록 밴드 단순하고 직접적인 가사와 에너지 넘치는 공연으로 많은 사랑을 받음 1995년 해산 |
팬클럽 '녹색 평원' | 블루하츠의 대한민국 팬클럽 1990년대 초반, 블루하츠의 내한 공연을 추진 |
과정 | |
1992년 2월 15일 | 신문에 블루하츠 내한 공연을 촉구하는 광고 게재 공연 기획사에 블루하츠 섭외 요청 일본 블루하츠 팬들에게 연대 제안 |
1992년 2월 16일 ~ 1992년 2월 17일 | 압구정동에서 블루하츠 내한 공연을 위한 서명 운동 전개 공연 기획사 앞에서 시위 |
결과 및 영향 | |
결과 | 블루하츠의 해산으로 인해 내한 공연은 결국 무산 '녹색 평원'은 해체 |
영향 | 대한민국 록 음악 팬들에게 큰 아쉬움을 남김 이후 일본 음악에 대한 관심 증가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블루하츠 멤버들, '녹색 평원' 회원들 |
관련 단체 | 블루하츠, '녹색 평원', 공연 기획사 |
관련 사건 | 블루하츠 해산 |
2. 실행 계획
블루하츠 작전은 7월 22일 미 제1기병사단과 미 해병대 연대전투단(RCT) 병력을 인천에 상륙시킨다는[3]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담고 있어 실제 인천 상륙 작전의 초기 작전 계획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전황이 악화되고 미국 본토로부터 요청한 상륙부대 배치가 어려워져 블루하츠 작전은 취소되었고 미 제1기병사단은 7월 18일부터 포항에 상륙하여 영동 등으로 전개하였다.[4]
[1]
PDF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https://history.army[...]
3. 취소
참조
[2]
웹사이트
Operation CHROMITE: The Concept and the Plan
https://history.army[...]
[3]
웹사이트
국방부 - 인천상륙작전
https://www.archives[...]
[4]
뉴스
'인천상륙 롤모델' 포항상륙작전…완벽한 최초의 유엔군 상륙작전
https://www.kyongb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