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술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술나무는 겨울에 잎이 지는 큰키나무로, 중앙아시아, 동부 시베리아, 몽골, 티베트, 중국 북부, 인도 북부 카슈미르, 한국이 원산지이다. 키는 10~20m까지 자라며, 회색 나무껍질과 타원형 또는 피침 모양의 잎을 가진다. 3월에 꽃이 피고, 5월에 시과 열매를 맺는다. 비술나무는 관상수로 재배되기도 하며, 분재 재료로도 사용된다. 또한 목재, 약재, 식용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느릅나무과 -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정자나무, 가로수 등으로 이용되고 한국에서는 마을을 지키는 상징으로 여겨지는 나무이다. - 느릅나무과 - 당느릅나무
당느릅나무는 느릅나무속의 한 종으로, 중국 자생종인 var. davidiana와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일본 느릅나무 var. japonica 두 가지 품종으로 나뉘며,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에 대한 저항력이 좋아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여러 수목원에서 관리된다. - 관상수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관상수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비술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Ulmus pumila |
명명자 | L. |
보존 상태 | LC |
보존 상태 기준 | IUCN3.1 |
이명 | Ulmus campestris var. pumila Ledeb. Ulmus campestris L. var. pumila (L.) Maxim. Ulmus gobicus Anon. Ulmus humilis Amman ex Steud. Ulmus manshurica Nakai Ulmus microphylla Persoon Ulmus pumila var. genuina Skvort. Ulmus pumila var. microphylla Persoon Ulmus pumila var. transbaicalensis Pallas |
한국어 이름 | 비술나무 |
영어 이름 | Siberian elm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장미군 |
목 | 장미목 |
과 | 느릅나무과 |
속 | 느릅나무속 |
참고 문헌 | |
추가 정보 | |
위치 (한국) | 경복궁 |
2. 생태
한반도에서는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꽃은 3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5월에 시과 형태의 열매가 여문다.
2. 1. 형태
겨울에 잎이 지는 낙엽성 큰키나무이다. 투르키스탄, 동부 시베리아, 몽골, 티베트, 북부 중국, 인도 북부 카슈미르, 한국이 원산지이다.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많이 심어 기르며, 남부 유럽에서도 일부 심는다. 키는 보통 10m에서 20m 정도까지 자라지만, 때로는 25m까지 자라기도 하며, 가슴높이 지름(DBH)은 1m에 이른다. 한반도에서는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나무껍질은 짙은 회색이며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진다. 가지는 황갈색을 띠며, 털이 있거나 없고, 날개나 코르크 층은 없으며, 드문 피목(렌티셀)이 있다. 겨울눈은 짙은 갈색에서 붉은 갈색을 띠며, 모양은 구형에서 난형이다.잎은 어긋나며 앞뒤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가 4mm에서 10mm 정도이고 털이 있다. 잎몸은 타원형-난형에서 타원형-피침형이고, 길이는 2cm에서 8cm, 너비는 1.2cm에서 3.5cm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홑톱니나 겹톱니가 있다. 가을에는 짙은 녹색에서 노란색으로 물든다.[5]
꽃은 3월경 잎이 나기 전에 지난해에 자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모여 다발 형태로 핀다. 완전화이며 꽃잎이 없는(무화판) 풍매화로, 이른 봄 약 일주일 동안 핀다.[6][7] 꽃이 일찍 피기 때문에(2월 초) 때때로 서리 피해를 입기도 한다.[8] 각 꽃의 크기는 약 3mm이며, 녹색 꽃받침은 4~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8개이고 꽃밥은 갈색-붉은색이다.[9] 녹색 암술은 두 갈래의 암술대를 가진다.[7][10] 대부분의 느릅나무와 달리 자가 수분이 가능하다.[11]
5월경에 여무는 열매는 시과(날개열매)이다. 바람에 날려 퍼지며, 흰색을 띤 황갈색이다. 모양은 원형에서 드물게 넓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크기는 길이 1cm~2cm, 너비 1cm~1.5cm로, 너비가 길이보다 긴 경우도 있다. 암술머리 표면을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열매자루는 1mm~2mm이고, 꽃덮이는 열매가 익은 후에도 남아 있다. 씨앗은 시과의 중앙 또는 약간 위쪽에 위치한다. 개화와 결실은 3월에서 5월 사이에 이루어진다.
염색체 수는 2''n'' = 28이다.[5] 뿌리에서 맹아가 쉽게 돋아난다.[12] 온대 기후에서는 수명이 짧아 60년 이상 사는 경우가 드물지만, 원산지 환경에서는 100년에서 150년까지 살 수 있다.[13][14] 고비 사막 남부 칸보그트에서 45km 동남쪽에 있는 한 거대한 표본은 줄기 둘레가 5.55m에 달하며, 250년 이상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3. 분류
이 종은 18세기 표트르 팔라스가 자바이칼 지방의 표본을 바탕으로 처음 기술하였다.
전통적으로 두 개의 변종이 인정되었는데, var. ''pumila''와 var. ''arborea''이다. 이 중 var. ''arborea''는 현재 품종으로 취급되며, ''비술나무'' 'Pinnato-ramosa'로 불린다.
4. 분포 및 서식지
비술나무는 투르키스탄, 동부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 몽골, 티베트, 북부 중국, 인도의 북부 카슈미르, 한국이 원산지이다.[5][6][15] 특히 중앙아시아의 반사막 지역에서 발견되는 마지막 수종 중 하나이다.[16]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는 널리 식재되며, 유럽 남부에서도 일부 심어진다. 한반도에서는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생한다.
5. 생태
겨울에 잎이 지는 큰키나무다. 투르키스탄, 동부 시베리아, 몽골, 티베트, 북부 중국, 인도의 북부 카슈미르, 한국이 원산지이다.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많이 심어 기르며, 많지는 않지만 남부 유럽에서도 심는다. 키는 10m에서 20m까지 자라며, 한반도에서는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색이며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잎은 길이가 7cm이고 어긋나며, 잎의 앞면과 뒷면에는 털이 없다. 잎 모양은 타원형 또는 피침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홑톱니나 겹톱니가 있다. 꽃은 3월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지난해 자란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모여 핀다. 5월에 여무는 열매는 시과(날개열매)이며 털이 없고, 길이는 12mm에서 13mm인데 너비가 길이보다 더 길다.
5. 1. 병충해
비술나무는 네덜란드 버즘나무병에 대한 저항성이 상당히 다양하다. 예를 들어, 중국 북서부와 북동부 지역의 나무는 중국 중부 및 남부 지역의 나무보다 내성이 현저히 높다.[17][18] 비술나무는 수직병에 대한 모든 버즘나무 중 가장 저항성이 높다.[23]그러나 버즘나무잎벌레 Xanthogaleruca luteolalat,[19] 아시아 '지그재그' 잎벌 Aproceros leucopodalat,[20] 버즘나무 황화병,[21] 흰가루병, 궤양,[45] 진딧물, 잎 반점을 포함하여 많은 곤충과 기생충에 의해 피해를 입기 쉽다. 네덜란드에서는 산호반점 곰팡이 Nectria cinnabarinalat에 의한 피해도 보고되었다.[22]
5. 2. 외래종 및 교잡
북아메리카에서 비술나무(''Ulmus pumila'')는 멕시코 중부[24]에서 북쪽으로 미국 동부 및 중부, 캐나다 온타리오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서 침입종으로 자리 잡았다.[25] 특히 미국 중부에서는 토종 미국느릅나무(''U. rubra'')와 자연적으로 교잡하며, 이로 인해 미국느릅나무의 보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26][27] 남미에서는 아르헨티나 팜파스의 대부분 지역으로 퍼져나갔다.[28][29]유럽에서도 스페인을 중심으로 널리 퍼졌으며, 토종 참느릅나무(''U. minor'')와 광범위하게 교잡하여[30] 참느릅나무의 보존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31] 이탈리아에서도 참느릅나무와의 교잡 정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32]
비술나무는 종종 철도변, 버려진 부지, 교란된 땅에서 많이 발견된다. 철도 침목의 자갈은 배수가 잘 되고 영양분이 부족하며 햇빛이 잘 드는 이상적인 생육 조건을 제공하며, 이러한 침목은 비술나무가 퍼져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국 뉴멕시코주의 샌디아 산맥에서는 해발 약 2438.40m 고지까지 발견되며, 그곳의 침엽수림을 침범하고 있다. 뉴멕시코는 북아메리카 내 비술나무 유전자 다양성의 중심지일 가능성이 있다. 비술나무는 햇빛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미 나무가 빽빽하게 자란 성숙한 숲을 침범하는 경우는 드물며, 주로 도시 지역이나 개방된 땅[33][34], 그리고 도로와 같은 교통로를 따라 문제가 된다.
일본에서는 현재 일본에 정착했거나 야생에서 발견된 외래종으로 지정되어 있다.[35]
6. 재배
비술나무는 관상수로 스페인에 도입되었는데, 아마도 펠리페 2세 (1556–98) 시대에 도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36] 1930년대부터는 이탈리아에도 도입되었다.[32] 이들 나라에서는 비술나무가 자생하는 갯버들(''U. minor'')과 자연적으로 교배되기도 했다. 이탈리아에서는 1950년대까지 포강 계곡을 비롯한 포도 재배 지역에서 포도 덩굴을 지탱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었으나, 농업 기계화가 진행되면서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902년, 독일의 베를린 스패스 묘목장에서 비술나무 세 그루가 영국 왕립 식물원 에든버러(RBGE)에 공급되었다.[37][38] 큐 가든은 1908년 미국의 아놀드 수목원과 1910년 윌리엄 퍼덤을 통해 비술나무 표본을 확보했다.[39] 영국에서는 한때 햄프셔의 힐리어 앤 선스 묘목장에서 번식 및 판매되었으나,[42][43] 최근에는 주로 분재 소재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성숙한 나무는 일부 수목원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영국에서 기록된 큰 나무로는 요크셔의 토프 페로 수목원(2004년 기준 높이 19m, 둘레 70cm)과 서식스의 세인트 앤 웰 가든, 호브(2009년 기준 높이 20m, 둘레 60cm)에 있는 나무들이 있다.[44]
미국에는 1905년 존 조지 잭 교수와 이후 프랭크 니콜라스 마이어에 의해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미국 농무부(USDA)는 노스다코타주 만단의 실험 기지에서 비술나무를 재배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47] 이를 바탕으로 USDA는 더스트볼 시기에 대평원 지역의 방풍림 조성을 위해 비술나무를 선정했다. 빠른 성장 속도와 가뭄 및 추위에 대한 강한 내성 덕분에 초기에는 성공적이었으나, 이후 여러 질병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드러났다. USDA는 더 적합한 품종을 찾기 위해 1997년부터 콜로라도와 네브래스카에 실험 농장을 설립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2011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가장 큰 비술나무는 미시간주 베리언 카운티에 있으며, 높이는 33.5m에 달한다.[48][49]
비술나무 씨앗은 성숙 후 적절한 발아 조건에 두거나 건조하여 저온 보관하지 않으면 빠르게 생존력을 잃는다.[50] 이 나무는 햇빛을 많이 필요로 하며 그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빛이 충분하면 빠르게 성장한다.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선호하며, 물 빠짐이 나쁜 토양에는 비교적 약하다. 가뭄과 심한 추위에는 매우 강하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자랄 수 있다. 그러나 휴면기가 짧고 이른 봄에 꽃이 피며 가을 첫서리가 내릴 때까지 계속 성장하는 특성 때문에[51] 서리 피해를 입기 쉽다.
관상수로서 비술나무는 수명이 짧고 가지가 약하며 수형이 불규칙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빠른 성장 속도와 그늘을 제공하는 능력 때문에 어느 정도 인기를 얻었다. 일각에서는 "세계 최악의 관상수 중 하나"라는 혹평을 받기도 했다.[52]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 미국에서는 쥐똥나무를 대체할 빠른 성장 울타리로 널리 홍보되어, 현재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흔히 볼 수 있다.[47]
6. 1. 품종
일부 비술나무 품종은 느릅나무 시들음병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보여 가치가 있다. 내한성이 강한 관상용 재배 품종을 만들기 위해 12개 이상의 품종이 개발되었지만, 이 중 일부는 더 이상 재배되지 않을 수도 있다.중국에서는 크림색, 짙은 녹색, 밝은 녹색의 다양한 얼룩 무늬를 가진 수양 형태의 느릅나무인 ''Ulmus pumila'' 'Variegata'|울무스 푸밀라 '바리에가타'lat가 재배된다.[53][54][55][56]
일부 전문가들은 'Berardii' 품종을 비술나무(''U. pumila''|울무스 푸밀라lat)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한다.[57][58] 한편, 리처드 후크 리첸스가 네덜란드느릅나무(''Ulmus × hollandica''lat)의 한 품종으로 분류한 노팅엄 느릅나무는 19세기부터 '시베리아 느릅나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6. 2. 잡종 품종
- 안드로소비이
- ''율.'' × ''아르부스쿨라''
- 푸엔테 움브리아
- 카라가치
- 톨레도
비술나무는 미국과 이탈리아에서 네덜란드 느릅나무병(Dutch elm disease)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가지면서 토착 품종과 유사한 외관을 지닌 튼튼한 나무를 만들기 위해 널리 교배되었다. 이를 통해 개발된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 아르노
- 카테드랄
- 쿨쉐이드
- 피오렌테
- 홈스테드
- 링컨
- 모튼 플레인스맨 뱅가드(Vanguard)
- 모튼 스탈워트 코멘데이션(Commendation)
- 뉴 호라이즌
- 플리니오
- 레보나
- 레갈
- 레세르타
- 로즈힐
- 산 자노비
- 어반
- 윌리스
- 네덜란드 클론 '260' (상업적으로 출시되지 않음)
비술나무(''Ulmus pumila'')를 직접 교배하여 개발된 다른 잡종 품종들도 있다.
- 덴 헤이그
- 삿포로 오텀 골드
7. 쓰임새
비술나무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분재 재료로 잘 쓰이며, 가로수, 녹음수, 공원수로 심기도 한다.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선박재 등으로 사용된다.
어린잎은 국으로 끓여 먹기도 하며, 열매는 사료로 사용한다. 덜 익은 씨앗은 오랫동안 만주 지역 사람들이 먹어왔으며, 중국 대기근 시기에는 하얼빈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식량 중 하나였다. 잎 또한 수집되었는데, 이는 나무에 해를 끼쳐 당국이 금지령을 내렸지만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생으로 먹는 잎은 맛이 별로 없지만, 고량 또는 수수와 함께 끓여 요리하면 더 맛있는 포만감을 주는 식사가 된다.[59]
약재로도 사용되는데, 한방에서는 회백색으로 변한 가지를 통증 완화나 대소변 불통 등의 치료제로 사용한다. 또한 나무껍질(수피, 樹皮) 및 뿌리껍질(근피, 根皮)은 유백피(楡白皮), 잎은 유엽(楡葉), 꽃은 유화(楡花)라 하여 각각 약용으로 쓰인다.[66]
8. 문학 작품 속 비술나무
북캅카스 지역에서 '난쟁이'[60] 또는 '관목 참나무'[61]로 불리던 식물 중 하나로, 레프 톨스토이의 단편 소설 '습격'(1853) 첫 부분에 등장한다.
화가이자 탐험가인 니콜라스 레리히는 몽골 여행 중 발견한 비술나무('카라가치') 표본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62]
우리는 몽골 사막에 있습니다. 어제는 덥고 먼지가 많았습니다. 멀리서 천둥이 다가왔습니다. 우리의 친구들 중 일부는 시레트 오보의 돌로 된 신성한 언덕을 오르느라 지쳤습니다. 이미 캠프로 돌아가던 중, 우리는 멀리서 거대한 느릅나무 - '카라가치'를 발견했습니다. - 끝없는 사막 속에서 외롭게 우뚝 솟아 있었습니다. 나무의 크기와 다소 익숙한 윤곽이 우리를 그늘로 끌어당겼습니다. 식물학적 고려 사항으로 인해 거대한 나무의 넓은 그늘 아래에 흥미로운 풀이 있을 수 있다고 믿게 되었습니다. 곧 모든 동료들이 카라가치의 두 개의 강력한 줄기 주위에 모였습니다. 나무의 깊고 깊은 그림자는 약 약 15.24m에 걸쳐 드리워졌습니다. 강력한 나무 줄기는 환상적인 혹 성장으로 덮여 있었습니다. 풍성한 잎사귀 속에서 새들이 노래하고 아름다운 가지는 모든 순례자에게 쉼터를 제공하려는 듯 모든 방향으로 뻗어 있었습니다.
참조
[1]
간행물
"''Ulmus pumila''"
2023-06-06
[2]
BONAP
[3]
논문
Intra- and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invasive Siberian elm
[4]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5]
간행물
Ulmaceae, in Wu, Z. & Raven, P. (eds) ''Flora of China'', Vol. 5 (Ulmaceae through Basellaceae)
http://flora.huh.har[...]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US
[6]
eFloras
Ulmus pumila
[7]
eFloras
Ulmus pumila
[8]
간행물
The Dutch Elm Disease – Summary of fifteen years' hybridization and selection work (1937–1952)
[9]
Illinois Wildflowers
Siberian Elm (Ulmus pumila)
2023-06-06
[10]
eFloras
Ulmus
[11]
논문
Crossability patterns and morphological variation among elm species and hybrids
[12]
간행물
'Mass clonal propagation of elm as a way for replacement of endangered autochthonous species'
[13]
웹사이트
Untitled
http://www.northern.[...]
2008-01-04
[14]
웹사이트
Pictures
http://www.picsearch[...]
[15]
GRIN
2016-09-08
[16]
논문
Seasonal changes in wood formation of ''Ulmus pumila'' and ''U. minor'' and its relation with Dutch elm disease
2005
[17]
논문
Breeding elms for resistance to Dutch elm disease
[18]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among Dutch elm disease tolerant ''Ulmus pumila'' L. Accessions from China
[19]
논문
Resistance of Temperate Chinese Elms (''Ulmus'' spp.) to Feeding of the Adult Elm Leaf Beetle (Coleoptera: Chrysomelidae)
[20]
논문
Zig-zagging across Central Europe: recent range extension, dispersal speed and larval hosts of Aproceros leucopoda (Hymenoptera, Argidae) in Germany
https://www.research[...]
2013
[21]
논문
The history of elm breeding
https://revistas.ini[...]
2023-06-06
[22]
논문
Elm breeding in the Netherlands
http://edepot.wur.nl[...]
2023-06-06
[23]
서적
Verticillium Wilts
CABI Publishing
[24]
논문
A new species of ''Ulmus'' (Ulmaceae) from southern Mexico and a synopsis of the species in Mexico
[25]
간행물
Siberian Elm: A Tough New Invader of Grasslands
Weed Science Society of America & Allen Press
[26]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red elm (''Ulmus rubra'' Muhl.) and cross-species amplification with Siberian elm (''Ulmus pumila'' L.)
2008-06-28
[27]
간행물
A morphological analysis of a hybrid swarm of native ''Ulmus rubra'' and introduced ''U. pumila'' (Ulmaceae) in southern Nebraska
[28]
기타
Red de información sobre especies exóticas invasoras – I3N-Argentina
Universidad Nacional del Sur Bahía Blanca, Argentina
[29]
기타
Is hybridization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evolution of invasiveness in non-native Siberian elm?
[30]
웹사이트
"''U. carpinifolia'' × ''U. pumila'', Morton Arboretum, Illinois, cirrusimage.com"
http://www.cirrusima[...]
[31]
논문
Identification of native and hybrid elms in Spain using isozyme gene markers
[32]
논문
Hybridization and introgression between the exotic Siberian elm, ''Ulmus pumila'', and the native Field elm, ''U. minor'', in Italy
2013-05-14
[33]
서적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Trees
[34]
웹사이트
"''Ulmus pumila'' (PIER species info)"
http://www.hear.org/[...]
[35]
웹사이트
Invasive Alien Species in Japan: The Status Quo and the New Regulation for Prevention of their Adverse Effects
http://www.airies.or[...]
2011-03-30
[36]
논문
Identification of native and hybrid elms in Spain using isozyme gene markers
2000-08-01
[37]
간행물
U. pumila herbarium leaf-specimens, RBGE 1902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38]
서적
Accessions book
https://commons.wiki[...]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1902
[39]
문서
Elwes and Henry
1913
[40]
웹사이트
rystonhall.co.uk/
http://www.rystonhal[...]
[41]
서적
Ryston Hall Arboretum catalogue
https://commons.wiki[...]
1920
[42]
간행물
Catalogue of Trees & Shrubs
Hillier & Sons
1977
[43]
간행물
Sales inventory 1962 to 1977
Hillier & Sons
[44]
서적
Champion Trees of Britain & Ireland
Royal Botanic Gardens, Kew, London
2011
[45]
논문
Chinese and Siberian elms
http://joa.isa-arbor[...]
2023-06-06
[46]
간행물
Catalogue of ornamental trees & shrubs, evergreens and climbing plants
https://archive.org/[...]
Hovey & Co.
1855
[47]
문서
Plant of the Week: Siberian Elm
University of Arkansas, Division of Agriculture
1999
[48]
문서
The 2012 National Register of Big Trees
American Forests
2012
[49]
웹사이트
americanforests.org
http://www.americanf[...]
[50]
논문
Germination performance of native and non-native Ulmus pumila populations
2012-12-14
[51]
서적
A provenance test with elm (Ulmus pumila L.) in China
Silvae Genetica
[52]
서적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Stipes Publishing LLC.
[53]
웹사이트
Tree photo, Ulmus pumila 'Variegata', China
http://ppbc.iplant.c[...]
Plant Photo Bank of China
[54]
웹사이트
Leaves photo 1, Ulmus pumila 'Variegata', China
http://ppbc.iplant.c[...]
Plant Photo Bank of China
[55]
웹사이트
Leaves photo 2, Ulmus pumila 'Variegata', China
http://ppbc.iplant.c[...]
Plant Photo Bank of China
[56]
웹사이트
Leaves photo 3, Ulmus pumila 'Variegata', China
http://ppbc.iplant.c[...]
Plant Photo Bank of China
[57]
논문
Registration of cultivar names in Ulmus
https://archive.org/[...]
Arnold Arboretum, Harvard University
2017-02-16
[58]
서적
Manual of Cultivated Broad-Leaved Trees & Shrubs
1984
[59]
논문
On the economic use of wild plants in N. E. China
1962
[60]
서적
'The Cossacks' and 'The Raid': a new translation by A.R. MacAndrew
1961
[61]
서적
A Prisoner in the Caucasus and Other Stories
1983
[62]
서적
Trails to Inmost Asia
Yale University Press
1931
[63]
웹사이트
List of plants in the {elm} collection
http://www.brighton-[...]
Brighton & Hove City Council
2016-09-23
[64]
웹사이트
Herbarium specimen, sheet labelled U. pumila, from tree in Alemeya Agricultural University, Ethiopia
https://www.botanica[...]
Botanical Collections Belgium
[65]
웹사이트
Flora of Ethiopia and Eritrea 1: 1-305
https://powo.science[...]
2009
[66]
웹인용
비술나무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