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헬름 켐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켐프는 독일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1895년에 태어나 1991년에 사망했다. 그는 60년 동안 활동하며 슈만, 브람스, 슈베르트, 모차르트, 바흐, 리스트, 쇼팽, 베토벤 등의 작품을 녹음했다. 특히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과 피아노 협주곡 전곡을 두 번 녹음했으며, 실내악 연주와 교육 활동도 활발히 했다. 켐프는 작곡가로서도 활동하여 다양한 장르의 곡을 작곡했고, 나치 시대와 전후 활동을 거치며 친일 행적을 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바흐의 음악 부활에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 독일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9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고, 유럽 순회 연주 여행과 빈에서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음악가 경력을 쌓았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 독일의 클래식 작곡가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클래식 작곡가 - 한스 짐머
    독일 출신의 영화 음악 작곡가 한스 짐머는 《레인맨》으로 할리우드에 데뷔하여 《라이온 킹》, 《글래디에이터》, 《다크 나이트》, 《인셉션》, 《인터스텔라》, 《듄》 등의 영화 음악을 작곡하며 아카데미상을 수상했고, 신시사이저와 오케스트라를 결합한 독창적인 스타일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고 있다.
  • 20세기 작곡가 - 에프렘 짐발리스트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육자인 에프렘 짐발리스트는 레오폴트 아우어의 제자로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명성을 얻었고 커티스 음악원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은퇴 후에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20세기 작곡가 - 디지 길레스피
    디지 길레스피는 미국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 밴드 리더, 작곡가로서 찰리 파커와 함께 비밥이라는 새로운 재즈 스타일을 창시하고 아프로-쿠반 재즈 발전에도 기여했으며, 구부러진 트럼펫과 볼이 부풀어 오르는 연주 모습으로도 유명하다.
빌헬름 켐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지휘자 에르네스트 앙세르메(왼쪽)와 의견을 교환하고 있는 빌헬름 켐프(오른쪽), 1965년
이름빌헬름 켐프
영문명Wilhelm Kempff
출생일1895년 11월 25일
출생지독일 위터보크
사망일1991년 5월 23일
사망지이탈리아 포시타노
직업피아니스트, 작곡가
악기피아노
경력
활동 시기불명
관련 인물
관련 활동불명

2. 생애

빌헬름 켐프는 1895년 브란덴부르크 주 위터보크에서 태어나 1991년 이탈리아 포지타노에서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파킨슨병으로 은퇴하기 전까지 피아니스트, 교육자, 작곡가로 활동했다.

어린 시절 포츠담에서 성장했으며, 음악가 집안에서 자라며 아버지로부터 음악 교육을 받았다. 이후 베를린 국립 음악 대학에서 카를 하인리히 바르트에게 피아노를, 로베르트 칸에게 작곡을 배웠다.[1]

1917년 첫 주요 독주회를 시작으로 유럽과 세계 각지에서 연주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일본에는 1936년부터 1979년까지 10번이나 방문했다.[1] 1951년 런던, 1964년 뉴욕에서 첫 공연을 가졌고, 1981년 파리에서 마지막 공개 공연을 하였다.

슈만, 브람스, 슈베르트, 모차르트, 바흐, 리스트, 쇼팽, 베토벤 등 다양한 작곡가의 작품을 녹음했으며, 특히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소나타 전곡 녹음은 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꼽힌다.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60년 이상 협연했고, 예후디 메뉴인, 피에르 푸르니에 등과 함께 실내악 음반도 남겼다.

1924년부터 1929년까지 슈투트가르트 음악 대학 지휘를 맡았고, 1931년 포츠담 마르모르팔레 여름 강좌의 공동 창립자로 활동했다. 1957년에는 포지타노에 켐프 문화 재단의 전신인 오르페오 재단을 설립하여 1982년까지 베토벤 해석 마스터 클래스를 지도했다.[1] 요르크 데무스, 우치다 미츠코, 이딜 비레트 등 많은 피아니스트들이 그의 가르침을 받았다.

작곡가로서도 활동하여 거의 모든 장르의 곡을 작곡했으며,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부터 4번까지의 카덴차를 직접 만들기도 했다. 그의 두 번째 교향곡은 1929년 초연되었고, 바흐의 작품을 편곡하기도 했다.[1]

1933년 나치가 부상한 후, 켐프는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1] 1936년에 독일 문화 사절로 처음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 1940년에는 아헨에서 카라얀과 협연했고, 1943년에는 파리의 베토벤 페스티벌에 출연했다. 켐프는 전후 나치 시대의 경력 때문에 나치 협력 의혹을 받아 연주회를 열 수 없는 시기도 있었으나[1], 전범 혐의가 풀린 1950년대에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전집을 모노럴로 발매했다.

2. 1. 초기 생애 (1895-1917)

켐프는 1895년 브란덴부르크 주 위터보크에서 태어났다.[1] 그는 근처 포츠담에서 자랐는데, 그의 아버지는 왕립 음악 감독이자 성 니콜라이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였다. 그의 할아버지 또한 오르간 연주자였으며, 그의 형 게오르크는 에를랑겐-뉘른베르크 대학교의 교회 음악 감독이 되었다. 켐프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에게 레슨을 받은 후 아홉 살에 베를린 국립 음악 대학에서 처음 음악을 공부했다. 그곳에서 그는 로베르트 칸에게 작곡을, 카를 하인리히 바르트[1](그는 아르투르 루빈스타인도 사사했다)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914년 켐프는 포츠담의 빅토리아 김나지움을 거쳐 베를린으로 돌아와 훈련을 마쳤다.[1]

2. 2. 피아니스트로서의 활동 (1917-1981)

1917년, 켐프는 베토벤하머클라비어 소나타브람스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을 포함한 주요 작품들로 구성된 첫 번째 주요 독주회를 열었다.[1] 켐프는 유럽과 세계 여러 곳에서 광범위하게 순회 공연을 했다. 1936년부터 1979년까지 그는 일본에서 10번 공연했다. 1951년 런던, 1964년 뉴욕에서 처음으로 공연했다. 1981년 파리에서 마지막 공개 공연을 했고, 파킨슨병으로 은퇴했다.[1]

1965년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왼쪽)와 함께 있는 켐프 (오른쪽)


켐프는 약 60년 동안 녹음을 했다. 그의 녹음 유산에는 슈만, 브람스, 슈베르트, 모차르트, 바흐, 리스트, 쇼팽, 특히 베토벤의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다.[1] 그는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전곡을 녹음했으며, 베토벤 소나타 전곡을 두 세트(모노(1951-1956), 스테레오(1964-1965)) 녹음했고, 쉘락(1926-1945)으로 거의 모든 곡을 녹음했다.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전곡을 두 번(1950년대 초 파울 판 켐펜과 모노, 1960년대 초 페르디난트 라이트너와 스테레오) 녹음했다. 예후디 메뉴인, 피에르 푸르니에, 볼프강 슈나이더한, 파울 귐머, 헨리크 셰링 등과 실내악을 녹음했다.

그는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소나타 전곡을 포함하여 자신의 레퍼토리 대부분을 녹음으로 남겼다. 80세가 넘어서도 콘서트를 계속 열며 고령에도 활동을 이어갔으며,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60년 이상 함께 했다.

연주자로서 켐프는 음악에서 서정성과 즉흥성을 강조했는데, 특히 친밀한 곡이나 구절에서 효과적이었다. 그는 항상 노래하는 듯한 서정적인 음질을 추구했다. 그는 극단적인 템포와 과시적인 연주를 지양했다.

피아니스트 알프레드 브렌델은 그의 저서 ''질서의 베일''에서 켐프에 대해 "그는 충동적으로 연주했다... 마치 풍금과 같은 에올리언 하프와 같이 적절한 바람이 불었느냐에 달려있었다. 그러면 다른 곳에서는 결코 들을 수 없는 무언가를 얻을 수 있었다."라고 썼다. 그는 켐프를 그의 동료들 중 "가장 리듬감 있는" 피아니스트로 여긴다.

피아니스트 아르투르 슈나벨은 1930년대에 베토벤 소나타 전곡 녹음을 시도했을 때, EMI에게 자신이 주기를 완성하지 못하면 켐프에게 남은 부분을 완성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켐프가 핀란드에 있었을 때,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는 그에게 베토벤의 하머클라비어의 느린 악장을 연주해달라고 부탁했다. 켐프가 연주를 마치자 시벨리우스는 "당신은 피아니스트가 아니라 인간으로서 그것을 연주했습니다."라고 말했다.

2. 3. 교육 활동 (1924-1982)

1924년부터 1929년까지 켐프는 막스 파우어의 뒤를 이어 슈투트가르트 음악 대학의 지휘를 맡았다.[1] 1931년에는 포츠담 마르모르팔레 여름 강좌의 공동 창립자가 되었다.[1] 1957년 켐프는 이탈리아 남부 도시 포지타노에 오르페오 재단(현재: 켐프 문화 재단)을 설립하고, 이 목적을 위해 특별히 건립한 카사 오르페오에서 첫 번째 베토벤 해석 마스터 클래스를 열었다.[1] 그는 1982년까지 1년에 한 번씩 그곳에서 가르침을 이어갔다.[1] 그의 아내는 1986년에 사망했다.[1]

켐프에게 사사한 다른 유명 피아니스트로는 요르크 데무스, 노먼 셸틀러, 우치다 미츠코, 마리아 조앙 피레스, 페터 슈말푸스, 이딜 비레트, 벤치슬라프 얀코프 등이 있다.[1] 그의 제자로는 이딜 비렛이 있으며, 비렛은 켐프의 작품을 모아 녹음했다.[1] 비렛 또한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협주곡, 교향곡(리스트 편곡) 전곡을 녹음하여 베토벤 연주가로 이름을 알렸다.[1] 카르멘 피아치니(es:Carmen Piazzini)는 그의 만년 제자에 해당하는 피아니스트인데, 그녀는 베토벤이 아닌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전집을 완성했다.[1]

2. 4. 작곡가로서의 활동

켐프는 작곡가로서도 활동했다. 그는 거의 모든 장르의 곡을 작곡했으며,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부터 4번까지의 카덴차를 직접 만들었다.[1] 그의 제자인 이딜 비레트는 그의 피아노 작품들을 CD로 녹음했다.[1] 그의 두 번째 교향곡은 1929년 빌헬름 푸르트벵글러의 지휘로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에서 초연되었다.[1] 그는 또한 바흐의 여러 곡을 편곡했는데, 여기에는 플루트 소나타 E-flat 장조의 시칠리아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켐프와 다른 연주자들이 녹음했다.[1] 그의 오페라 《고치 가족》은 3막으로 구성된 희극 작품으로, 1934년에 쓰여졌다.[1]

2. 5. 나치 시대와 전후 활동 (1933-1991)

1933년 나치가 부상한 후, 켐프는 십자 훈장(Ritterkreuz des Griechischen Erlöserordens)을 수여받았다.[1] 켐프는 나치를 피해 망명한 독일 예술가에게 비판적인 말을 하거나, 1936년에 독일 문화 사절로 처음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 1940년에는 아헨에서 카라얀과 협연했고, 1943년에는 파리의 베토벤 페스티벌에 엘리 나이, 알프레드 코르토, 지네트 뇌뵈, 헤르만 아벤트로트와 함께 출연했다.

이 시기에도 켐프는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전집(후기: 1935-1936년, 초기: 1940년, 중기: 1943년), 피아노 협주곡 제3~5번(1942년) 등을 녹음했다. 1945년 10월에는 함부르크 방송국에서의 리사이틀 녹음도 남아있다. 1944년 나치 정권의 선전을 위해 병역 면제 명단에 있었지만, 1945년 베를린의 국민 돌격대로 소집되어 바이에른의 추르나우 성으로 피난하여 종전을 맞이했다.

이 시기에 켐프는 작곡가로서의 삶을 거의 포기하고 전업 피아니스트로 전환했으며, 오페라 작곡은 1940년대에 중단되었다.

켐프는 전후 나치 시대의 경력 때문에 나치 협력 의혹을 받아 연주회를 열 수 없는 시기도 있었다.[1] 전범 혐의가 풀린 1950년대에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전집을 모노럴로 발매했다.

생전에는 도이치 그라모폰의 전속 아티스트로서 스튜디오 녹음으로 평가받았지만, 피에르 푸르니에와 라이브 녹음한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 전집이 1964년에 발매되었고, 탄생 100주년인 1995년을 기점으로 세계 각지의 방송국에 남아있던 라이브 녹음[9]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알프레트 브렌델은 켐프를 그의 세대에서 "가장 리드미컬한" 피아니스트로 평가하고, 리스트의 피아노곡 "새들에게 설교하는 아시시의 성 프란체스코" (1950년, 영국 데카 수록)를 미스터치 없이 녹음하는 데 성공한 최초의 피아니스트로 평가하기도 했다.

2. 6. 한국과의 인연

빌헬름 켐프는 친일파였으며, 1936년 첫 일본 방문 이후 10번이나 일본을 방문했다. 1954년에는 히로시마 평화 기념 성당에서의 오르간 제막식과 함께 녹음을 진행하여 판매 수익금 전액을 피폭자에게 기부했다. 조율사로 오이시 유키하루라는 일본인을 기용했다. 1970년에는 베토벤 탄생 200주년 기념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피아노 소나타 및 피아노 협주곡 전곡 연주회를 모리 마사시[10]와 함께 개최했다. 자서전[11]의 '일본어판 서문'에서는 "(일본을 접하면서) 가장 훌륭했던 것은 서로 간에 사랑이 생겼다는 것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

2. 7. 만년과 죽음 (1981-1991)

켐프는 1981년 파리에서 마지막 공개 공연을 한 후, 파킨슨병으로 은퇴했다.[1] 그는 1991년 이탈리아 포지타노에서 9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1926년에 결혼한 아내보다 5년 먼저 세상을 떠났다.[1]

은퇴 몇 년 전에는 "더 이상 병 때문에 연주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9]

3. 작품

켐프는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였을 뿐만 아니라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그는 거의 모든 장르의 곡을 작곡했으며,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부터 4번까지의 카덴차를 직접 만들기도 했다.[1] 그의 제자인 이딜 비레트는 그의 피아노 작품들을 CD로 녹음했다. 그는 또한 바흐의 여러 곡을 편곡했는데, 여기에는 플루트 소나타 E-flat 장조의 시칠리아노 등이 포함된다.[1]

그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22번,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전곡, 라모, 프랑수아 쿠프랭, 헨델, 모차르트의 작품을 음반으로 남기기도 했다.

3. 1. 무대 작품

빌헬름 켐프의 무대 작품은 다음과 같다.[12]

작품 번호제목형식대본초연
22주님의 탄생의 신비무대 오라토리오?
35상수시의 플루트오페라헤르만 헤펠레서곡 초연: 1929년 슈투트가르트 (지휘: 빌헬름 켐프)
33미다스 왕1막 오페라빌헬름 켐프 (크리스토프 마르틴 빌란트 원작)1931년 쾨니히스베르크
39고치 가문3막 오페라빌헬름 켐프 (에리히 뇌트케 원작)1934년 슈테틴 (베니토 무솔리니에게 헌정)
40독일의 운명드라마틱 칸타타에른스트 비헤르트의 텍스트를 바탕으로 함1937년 레므샤이트 (1938년 금지)
41로트바일의 사육제3막 오페라빌헬름 켐프1937년 하노버 (지휘: 루돌프 크라젤트)
66햄릿의 거울발레1947년 함부르크
죽은 자의 대관식오페라 (단편)1947년


3. 2. 성악곡

작품 번호제목초연(UA) 정보텍스트
작품 1시편 841913/1914년 베를린 왕립 궁정 및 돔 합창단
작품 7가곡고트프리트 켈러, 하인리히 자이델,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1. 저녁 노래켈러
2. ?
3. 검은 방울새자이델
4. 봄 인사아이헨도르프
작품 16가곡1923년하인리히 하이네,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 리하르트 데멜
1. 전나무하이네
2. 이제 감사비에른손 (독일어 번역: ?)
3. 죄수의 노래하이네
4. 추수 노래리하르트 데멜
작품 26테 데움베를린 국립 및 돔 합창단합창, 금관악기, 팀파니 및 오르간
작품 27저녁 환상곡1926년한스 페터 아이젠만 (성악, 비올라 및 오르간)
작품 52가곡콘라트 페르디난트 마이어 (외?)
작품 53가곡콘라트 페르디난트 마이어 (외?)
작품 55가곡콘라트 페르디난트 마이어 (외?)
작품 56가곡콘라트 페르디난트 마이어 (외?)
작품 61가곡1947년요한 볼프강 폰 괴테 (외?)
작품 62가곡1947년요한 볼프강 폰 괴테 (외?)
작품 63가곡1947년요한 볼프강 폰 괴테 (외?)
에우리피데스의 노래1947년 함부르크 (음악당; 디아나 유스트라티 성악, 빌헬름 켐프 피아노)


3. 3. 관현악 작품

켐프는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그는 거의 모든 장르의 곡을 작곡했으며,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부터 4번까지의 카덴차를 직접 만들었다. 그의 제자인 이딜 비레트는 그의 피아노 작품들을 CD로 녹음했다. 그의 두 번째 교향곡은 1929년 빌헬름 푸르트벵글러의 지휘로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에서 초연되었다. 그는 또한 바흐의 여러 편곡을 준비했는데, 여기에는 플루트 소나타 E-flat 장조의 시칠리아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켐프와 다른 연주자들에 의해 녹음되었다. 그의 오페라 《고치 가족》은 3막으로 구성된 희극 작품으로, 1934년에 쓰여졌다.

제목연도초연 정보
《교향곡 1번 내림 마장조》 ("Tannenberg-Sinfonie": 육군 원수 파울 폰 힌덴부르크 헌정)1915대규모 오케스트라와 여러 대의 피아노를 위한 곡
《피아노 협주곡 b단조》1915
클라이스트의 "헤르만 전투" 서곡》1917베를린 (베토벤홀; 베를린 필하모닉, 지휘: 헤르만 헨체)
《잃어버린 낙원》1921교향시
《디베르티멘토》1923?
《교향곡 2번 라단조》 (작품 19)1924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지휘: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죽음의 무도》 (작품 37; 1931)1932베를린 (Ufa-Palast; 지휘: 막스 폰 실링스). 피아노, 현악 오케스트라, 타악기, 혼성 합창을 위한 모음곡 형식의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사단조》 (작품 38)1932다름슈타트 (게오르크 쿨렌캄프프 바이올린; 지휘: 한스 슈미트-이서슈테트)
《아르카디아 모음곡》 (작품 42)1939드레스덴.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전설》 (작품 65; 1947)1947하노버 (지휘: 프란츠 콘비츠니).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묘비명》 (작품 72,1)1959마인츠 (시립 극장; 지휘: 빌헬름 켐프).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포지타노 모음곡》 (작품 73,1; 1958)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3. 4. 피아노 작품

켐프는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그는 거의 모든 장르의 곡을 작곡했으며,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부터 4번까지의 카덴차를 직접 만들었다.[1] 그의 제자인 이딜 비레트는 그의 피아노 작품들을 CD로 녹음했다.[1] 그의 두 번째 교향곡은 1929년 빌헬름 푸르트벵글러의 지휘로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에서 초연되었다.[1] 그는 또한 바흐의 여러 곡을 편곡했는데, 여기에는 플루트 소나타 E-flat 장조의 시칠리아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켐프와 다른 연주자들에 의해 녹음되었다.[1] 그의 오페라 《고치 가족》은 3막으로 구성된 희극 작품으로, 1934년에 쓰여졌다.[1]

켐프의 주요 피아노 작품은 다음과 같다.[1]

  • 《올림바장조 피아노 소나타》(1912?)
  • 《바다의 시편》(작품 9). 라단조 환상곡
  • 《두 개의 피아노 환상곡》(작품 12; 1921)
  • 《서정 모음곡》(작품 17, 1)
  • 《광시곡적 전주곡》(작품 44)
  • 《사단조 피아노 소나타》(작품 47; 1944–1947)
  • 《프랑켄 지방 화집》(작품 48). 6개의 피아노 소품. 초연 1947년 함부르크(음악당)
  • 《이탈리아 모음곡》(작품 68)
  • 《코랄》
  • 《아르헨티나 세레나데》
  • 《스웨덴 결혼 축가》
  • 《러시아 부활절 아침》
  • 《가정 음악집》
  • 《밤》. 환상곡(오페라 《고치 가문》에 의거)

3. 5. 실내악

켐프는 실내악 작곡에도 힘을 쏟아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제목연도
바이올린 소나타 A장조1911년 초연
피아노 삼중주 g단조1911
현악 사중주 d단조1917년 베를린 초연
사중주 G장조 (플루트,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1919/20
봄의 음악
현악 사중주 d단조1942
현악 사중주 E플랫 장조


3. 6. 편곡

켐프는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그는 거의 모든 장르의 곡을 작곡했으며,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부터 4번까지의 카덴차를 직접 만들었다. 그의 제자인 이딜 비레트는 그의 피아노 작품들을 CD로 녹음했다. 그의 두 번째 교향곡은 1929년 빌헬름 푸르트벵글러의 지휘로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에서 초연되었다. 그는 또한 바흐의 여러 곡을 편곡했는데, 여기에는 플루트 소나타 E-flat 장조의 시칠리아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켐프와 다른 연주자들에 의해 녹음되었다. 그의 오페라 《고치 가족》은 3막으로 구성된 희극 작품으로, 1934년에 쓰여졌다.[1]

4. 참고 문헌


  • 켐프, 빌헬름. 《심벌즈 아래에서: 피아니스트의 젊은 날의 추억》. 라버: 라버 출판사, 1978.
  • 빌헬름 켐프, 《울려 퍼지는 별 아래 - 빌헬름 켐프 청춘 회상록》, 츠치다 슈요 역, 하쿠스이샤, 1981년.
  • 키무라 사토시, 《정신 의학에서 임상 철학으로》, 미네르바 서방, 2010년.
  • 알프레드 브렌델, 《음악 속의 말》
  • 코이시 타다오, 《세계의 명 피아니스트》, 음악지우샤, 1978.
  • ''나의 첫 번째 전선 콘서트'', in: Die Musik 32. Jg. 1939-40, 1. Halbjahr, Heft 1, S. 10-11
  • ''징벨슈테른 아래: 한 음악가의 성장''. 슈투트가르트: Engelhornverl., 1951
  • * 개정판: 부제 ''피아니스트의 청소년 시절 회상''. 뮌헨: 파이퍼, 1985.
  • * 프랑스어판: ''이 낮은 음표: 한 음악가의 수련 시절''. 파리: 플롱, 1955.
  • ''내가 들은 것, 내가 본 것: 피아니스트의 여행기''. 뮌헨: 파이퍼, 1981
  • * 개정판(페이퍼백): 뮌헨: 파이퍼, 1985.
  • 로제 하우어트(사진)와 베르나르 가보티(글): ''빌헬름 켐프''. 제네바: 키스터, 1954. (위대한 연주가)
  • 클라우스 린젠마이어: ''빌헬름 켐프: 위대한 피아니스트의 생애 스케치''. 빌헬름스하펜: 노에첼, 2006.
  • 프레드 K. 프리베르크: ''1933-1945년 독일 음악가 핸드북''. 킬 2004, CD-ROM 렉시콘, S. 3619–3622.
  • 에른스트 클레: ''켐프, 빌헬름''. In: ''제3제국 문화 사전. 1945년 전후의 인물''. S. 피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2007, S. 301.
  • ''"나는 낭만주의자가 아니다": 피아니스트 빌헬름 켐프 1895–1991 ; 삶과 작품에 대한 문서''.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 전시회, 포츠담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역사 하우스와 협력, 포츠담, 2008년 11월 22일~2009년 2월 1일] / 예술 아카데미의 의뢰로 베르너 그룬츠바이크가 편집... [저자: 베르너 그룬츠바이크...]. 호프하임: 볼케, 2008.
  • 얀 브라흐만: ''베토벤의 공기의 정령은 페달을 정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2008년 12월 16일
  • 단테의 "10장의 베토벤 사이클"에 실린 라이너 노트.

참조

[1] 뉴스 Wilhelm Kempff Is Dead at 95 https://www.nytimes.[...] 1991-05-25
[2] 서적 Complete Piano Sonatas Deutsche Grammophon 1976
[3] 서적 Great Pianists of Our Time Herder and Herder 1971
[4] 문서 Complete Beethoven Sonatas sleevenotes
[5] 서적 88 notes pour piano solo Neva Ed. 2015
[6] 서적 ピアニストガイド 青弓社 2006-02-10
[7] 문서 1人目はアルトゥール・シュナーベル
[8] 문서 DANTEに収録できなかったソナタ番号は、1,3,16,17,19,20,22,25,27,28。ただしDANTEは「78回転時代にリリースできなかったのは、3,11,13,15,17,28のみ」と主張している。
[9] 문서 独BR、NHK、英BBC、墺ORF、仏ORTFなど
[10] 문서 このピアノソナタ全曲演奏がCD復刻された場合、ケンプは生涯5度の全集が揃う。
[11] 문서 『鳴り響く星のもとに』(上記参考文献)
[12] 문서 „Ministerpräsident Mussolini hat den bekannten deutschen Pianisten Wilhelm Kempf empfangen, der dem Duce seine neue komische Oper ''Die Familie Gozzi'', die dem italienischen Regierungschef gewidmet wurde, überreichte“ (''Völkischer Beobachter'', Wien, 20/XII/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