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아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모아 제도는 남태평양에 위치하며, 사모아 독립국과 미국의 자치령인 아메리칸사모아로 구성된다. 사모아는 1962년 뉴질랜드로부터 독립했으며, 수도는 아피아, 통화는 사모아 탈라를 사용한다. 아메리칸사모아는 미국령으로, 수도는 파고파고, 통화는 미국 달러를 사용한다. 사모아 제도는 폴리네시아인들이 기원전 1000년경부터 거주했으며, 1899년 미국, 독일, 영국의 삼국 협약으로 분할되었다. 두 지역 모두 사모아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19세기 말 열강의 각축 끝에 현재의 형태로 정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모아 제도 - 아메리칸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미국의 자치령으로, 사모아 문화를 공유하며 미국 대통령을 국가 원수로 두고, 주지사가 행정을, 자치 의회가 입법을 담당하며, 주민은 미국 국민이지만 시민권은 공식적으로 부여되지 않고, 참치 통조림, 관광, 미국의 지원에 경제를 의존하며 기후 변화에 취약하다. - 폴리네시아 - 왈리스 푸투나
왈리스 푸투나는 남태평양의 프랑스 해외 준주로, 왈리스 제도와 푸투나 제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폴리네시아 문화권에 속하고, 전통적인 세 왕국이 존재하며 프랑스 법과 관습법이 함께 적용된다. - 폴리네시아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프랑스의 해외 영토 공동체로, 118개의 섬과 환초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도는 파페에테이고, 관광, 흑진주 생산,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 국경이 있는 군도 - 라인 제도
라인 제도는 중앙 태평양의 산호초와 섬들로, 폴리네시아인 정착 후 유럽 탐험가들에게 발견되었고, 19세기 영국이 태평양 케이블 중계소 설치를 위해 병합했으며, 미국이 영토 주장을 펼쳤으나 키리바시의 주권을 인정받아 현재는 키리바시와 미국이 영토를 소유하고 있다. - 국경이 있는 군도 - 알류샨 열도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 반도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는 섬들로,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하며 화산 활동과 지진이 활발하고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수산업과 미군 주둔이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알류트족이 원주민으로 거주한다.
사모아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원어명 | Motu o Sāmoa |
위치 | 폴리네시아 |
면적 | 3030 km² |
최고봉 | 마우가 실리실리 |
해발고도 | 1858 m |
구성 국가 | 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 |
인구 | 249,839명 (2012년 기준) |
지리 | |
주요 섬 | 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주요 섬 정보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음) |
좌표 | 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좌표 정보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음) |
군도 | 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군도 정보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음) |
총 섬 수 | 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총 섬 수 정보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음) |
행정 | |
사모아 최대 도시 | 아피아 |
사모아 최대 도시 인구 | 38,800명 |
아메리칸사모아 최대 도시 | 타푸나 |
아메리칸사모아 최대 도시 인구 | 9,756명 |
인구 통계 | |
민족 그룹 | 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민족 그룹 정보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음) |
추가 정보 | |
추가 정보 | 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추가 정보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음) |
2. 역사
사모아는 폴리네시아에서도 오래된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기원전 1000년경에는 이미 폴리네시아인이 거주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37] 1722년 네덜란드인 J. 로헤벤에 의해 알려졌다. 19세기 말에는 미국, 영국, 독일 제국의 각축장이 되었다. 유럽과의 접촉 이후 코프라, 바나나, 카카오, 코코야자의 생산이 증대하여 섬의 경제를 지탱하고 있으며, 이 3가지 작물의 수출이 전체의 95%를 차지한다. 원주민은 자급용으로 타로, 감자, 빵나무 등을 재배한다.
2. 1. 초기 역사
사모아는 폴리네시아에서도 오래된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기원전 1000년경에는 이미 폴리네시아인이 거주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37] 1722년 네덜란드인 J. 로헤벤에 의해 알려졌다.2. 2. 19세기 열강의 각축과 분할
19세기 말, 미국, 영국, 독일 제국은 사모아 제도의 영유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였다.[6] 1899년 삼국 협약(Tripartite Convention)을 체결하여, 서경 171°를 기준으로 사모아 제도를 분할하였다.[6] 그 결과 서사모아는 독일이, 동사모아는 미국이 영유하게 되었다.[6] 당시 국민의힘의 전신인 보수 정당들은 이러한 제국주의 열강들의 식민지 분할을 옹호하는 입장이었다.2. 3. 뉴질랜드 통치와 독립 운동
19세기 말 미국, 영국, 독일 3국의 각축전 끝에 사모아 제도는 서경 171°를 경계로 분할되었다. 서쪽은 독일령, 동쪽은 미국령 사모아(동사모아)가 되었다.[6] 제1차 세계 대전 중, 뉴질랜드는 독일령이었던 서사모아를 점령했다.[6] 이후 1920년부터 1946년까지 국제연맹 위임통치령,[7] 1946년부터 1962년까지 유엔 신탁통치령으로 뉴질랜드가 서사모아를 통치했다.뉴질랜드 통치 기간 동안, 사모아인들은 독립을 위한 마우 운동(Mau movement)을 전개하며 저항했다.[8] 이 운동은 지역 전역에서 지지를 얻었고, 1962년 서사모아의 정치적 독립으로 이어졌다.[8]
2. 4. 사모아 독립과 미국의 통치
19세기말 사모아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미국, 영국, 독일 세 나라가 치열한 각축전을 벌였다. 결국 1899년 영국, 미국, 독일 3국 간 협정(Tripartite Convention (1899))에 의해 서경 171°를 경계로 서쪽은 독일, 동쪽은 미국이 영유하게 되었다.[38]독일 식민지 제국(Deutsches Kolonialreich)의 일부가 된 서사모아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패전으로 1919년 뉴질랜드를 위임 통치국으로 하는 국제 연맹의 위임통치령이 되었다. 1946년 국제 연맹 해산으로 국제 연합의 신탁통치령으로 이행되었다. 18세기 이후 침략과 지배에 대한 투쟁이 반복되었지만, 1962년 "서사모아"로 독립하였다. 식민지 지배로부터 독립을 달성한 태평양 지역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1997년에는 국호를 현재의 "사모아 독립국"으로 변경하였다.
한편, 동사모아는 현재까지 미국이 해외 영토로 영유하고 있으며, 국제 연합 비자치 지역 목록에 기재되어 있다.[38] 비자치적·미편입 지역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1967년 독자 헌법 발효로 자치 정부가 수립되었다. 또한, 자치적·미편입 지역과 마찬가지로 미국 하원에 의결권 없는 대표를 선출하고 있다.
3. 지리
사모아 제도는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화산섬으로, 자연 경관은 하와이와 비슷하다.[9] 사바이섬의 최고봉은 실리실리봉(1,857m)이며, 마타바누산은 현재도 분화하고 있다.[9] 우폴루섬은 화산 활동이 멈췄고 비옥한 토지를 가지고 있어 사모아 인구의 3/4이 거주한다. 그러나 두 섬 모두 밀림이 우거져 거주지는 해안가에 집중되어 있다.[9]
기후는 습하고 더우며, 아피아 기준 연간 강수량은 3000mm에 달한다.[9] 11월부터 4월까지는 우기이며, 12월부터 3월까지는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는다.[31]
사모아 제도의 화산 활동은 동쪽 끝에 위치한 사모아 열점에 의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태평양판이 맨틀 플룸 위를 이동하면서 섬들이 생성되었다는 이론이 존재한다.[25] 섬들이 동서 방향으로 직선상에 놓여 있다는 점이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25]
하지만, 사바이섬과 타우섬이 모두 지난 세기에 분출했고,[25] 사바이섬에서 채취한 암석 샘플이 열점 모델에 비해 너무 어리다는 점은 의문으로 남아있다.[25] 일부 과학자들은 사모아 제도가 열점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섬들이 통가 해구 북쪽의 단층대 균열을 통해 마그마가 스며들어 형성되었다는 이론도 제시되었다.[25]
2005년, 국제 연구팀은 사바이섬에서 채취한 해저 샘플을 통해 열점 모델에 부합하는 오래된 암석(약 500만 년 전)을 발견하여 열점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추가했다.[26]
바이룰루 해산은 아메리칸사모아 타우섬 동쪽 약 45km 지점에 위치한 활화산이다. 1975년 발견 이후 지구의 기본적인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29] 바이룰루 정상 분화구 안에는 나파누아라는 이름의 활화산 수중 화산 원추가 자라고 있다.[30]
3. 1. 개관
사모아 제도는 남태평양에 위치하며, 피지에서 약 800km, 통가에서 약 530km, 뉴질랜드에서 약 2900km, 하와이에서 약 4000km 떨어져 있다.[14] 섬들은 크게 화산섬과 산호섬으로 구성되며, 총 18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14][22]큰 섬들은 화산 기원으로 산악 지형이며 열대 습윤림으로 덮여 있다. 일부 작은 섬들은 검은 모래 해변을 가진 산호초이다.[15][16]
3. 2. 사모아
사모아는 사바이, 우폴루 두 섬을 주도로 하는 9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9][14][22] 사바이섬은 사모아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최고봉은 실리실리봉(1,857m)이다.[9] 마타바누산은 오늘날에도 분화를 계속하고 있다. 우폴루섬은 화산활동은 정지되었고, 토지가 비옥하여 사모아 인구의 3/4이 이 섬에 살고 있다. 그러나 두 섬 모두 오지가 밀림으로 덮여 있어, 거주지는 해안에 한정되어 있다.[9]
섬 이름 | 인구 | 설명 |
---|---|---|
사바이섬 | 43,819명 (2016)[10] | 가장 큰 섬; 섬들 중 가장 서쪽에 위치; 가장 최근 화산 폭발이 있었던 곳. 폭발: 마타바누 산 (1905–1911); 마타 오 레 아피 (1902); 마우가 아피 (약 1725년). |
마노노섬 | 889명 (2006) | 우폴루섬과 사바이섬 사이의 아폴리마 해협에 위치. |
누울로파섬 | 무인도 | 우폴루섬과 사바이섬 사이의 아폴리마 해협에 위치. |
아폴리마섬 | 75명 (2006) | 우폴루섬과 사바이섬 사이의 아폴리마 해협에 위치. |
우폴루섬 | 143,418명 (2011) | 섬들 중 가장 인구가 많은 섬. |
누우사페에섬 | 무인도 | 우폴루섬 남쪽 해안, 포우타시 마을 근처에 있는 작은 바위섬. |
누우텔레섬 | 무인도 | 화산 응회암 환상체; 토착 조류 보호 구역; 인기 있는 라로마누 해변에서도 볼 수 있음. |
누울루아섬 | 무인도 | 화산 응회암 환상체; 면적 25ha; 고유종 조류의 서식지.[11] |
나무아섬 | 무인도 | 알레이파타 제도 |
파누아타푸섬 | 무인도 | 화산 응회암 환상체; 알레이파타 제도. |
마노노섬, 아폴리마섬, 누울로파섬은 우폴루섬과 사바이섬 사이의 아폴리마 해협에 위치한다.[14] 누우텔레섬, 누울루아섬, 나무아섬, 파누아타푸섬 등 네 개의 작은 무인도는 우폴루섬 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알레이파타 제도를 구성한다.[14]
사모아의 우폴루섬과 사바이섬은 폴리네시아 제도 중 가장 큰 섬들 중 하나이다.[19] 우폴루섬은 사바이섬보다 인구가 더 많다.[9]
3. 3. 아메리칸사모아
투투일라, 아우누, 타우, 스웨인스 섬과 마누아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9][14][22] 투투일라섬은 우폴루섬과 사바이섬보다 훨씬 작지만, 아메리칸사모아에서 가장 큰 섬이다.[22] 파고파고 시와 항구가 위치해 있으며, 1990년 당시 인구는 3,519명이었다. 투투일라섬의 최고봉은 마타파오봉이다.[20]타우는 마누아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2020년 인구조사 기준 236명이 거주한다. 미국령 사모아의 최고봉은 타우섬의 라타 산(해발 963m)이다.
스웨인스섬은 2020년 인구조사 기준 무인도이며, 미국의 사모아가 행정적으로 관할하지만, 문화적으로는 토켈라우의 일부이다. 코프라 농장이 있다.
마누 (로즈 환초)는 2020년 인구조사 기준 무인도이며, 토종 조류, 해양 생물, 푸른바다거북 및 멸종 위기종인 매부리바다거북의 보호 서식지이다.
3. 4. 지질
사모아 제도의 화산 활동은 사모아 제도 동쪽 끝에 위치한 사모아 열점(Samoa hotspot)의 활동에 의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론적으로, 이 열점은 지구 지각을 통해 분출되는 '고정된' 깊고 좁은 맨틀 플룸(mantle plume) 위로 태평양판(Pacific tectonic plate)이 이동함으로써 생성되었다. 이 활동이 섬을 생성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는 섬들이 일반적으로 동서 방향으로 직선상에 놓여 있고, 판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다.[25] 그러나 사모아 제도의 일부 특징은 이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다. 고전적인 열점 모델(대부분 하와이 열점(Hawaii hotspot) 연구를 기반으로 함)은 열점 위로의 판 이동이 화산섬 사슬을 생성했다면, 사슬 내의 섬과 해산(seamount)이 열점에서 멀어질수록 나이가 더 많을 것이라고 예측한다.그러나 사모아 제도 생성에 대한 이 설명과 일치하지 않는 일부 증거가 있어 과학자들에게 수수께끼를 남긴다. 한 가지 예로, 사모아 제도에서 가장 서쪽에 있는 사바이이(Savai'i)와 가장 동쪽에 있는 타우 섬은 모두 지난 세기에 분출했다.[25] 또 다른 예로, 처음에 사바이이(가장 서쪽 섬)에서 채취한 수상(subaerial) 암석 샘플은 섬 사슬의 나이 진행에 대한 고전적인 열점 모델에 맞지 않을 정도로 수백만 년이나 너무 어리다. 이러한 사실들로 인해 일부 과학자들은 사모아 제도가 열점 플룸에 의해 형성되지 않았다고 제안했다. 열점 형성 이론과 데이터의 불일치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섬 사슬이 통가 해구(Tonga Trench) 바로 북쪽에 위치한다는 사실이다. 대안적인 이론은 섬들이 응력을 받은 단층대(fracture zone)의 균열을 통해 스며든 마그마(magma)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2005년, 국제 연구팀은 열점 모델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증거를 발견했다. 그들은 사바이이에서 추가 샘플(섬의 깊은 측면과 리프트(rift)에서 채취한 해저 샘플)을 수집했다. 검사 결과, 이 샘플들은 이전에 수집된 샘플보다 훨씬 오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약 500만 년 된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열점 모델에 부합하는 나이다.[26]
활화산인 바이룰루 해산은 아메리칸사모아의 타우섬에서 동쪽으로 약 4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1975년에 발견된 이후 국제 과학자 팀에 의해 연구되어 지구의 기본적인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29] 바이룰루의 정상 분화구 안에는 사모아의 전쟁의 여신인 나파누아(Nafanua)의 이름을 딴 활화산 수중 화산 원추가 자라고 있다.[30]
3. 5. 기후
사모아 제도는 습하고 더운 기후를 가지며, 아피아에서는 연간 강수량이 3,000mm에 이른다.[31] 11월부터 4월까지는 우기이며, 남태평양에 위치하여 12월부터 3월까지는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는다.[31]4. 구성국
19세기 말 미국, 영국, 독일은 사모아의 영유권을 두고 치열하게 다투었다. 결국 영국은 통가를 보호령으로 삼고, 미국과 독일은 서경 171°를 경계로 동쪽의 미국령 사모아는 미국, 서쪽의 사모아는 독일이 각각 차지하였다.[1] 이후 사모아는 1920년 뉴질랜드의 위임통치령이 되었다가 1947년 신탁통치령을 거쳐 1962년 1월 독립하였다.
정치적으로 사모아 제도는 사모아와 아메리칸사모아 두 개의 관할권으로 나뉜다.[1]
4. 1. 사모아 (독립국)
사모아는 사바이, 우폴루 두 섬을 주도로 하는 9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이다.[1] 1722년 네덜란드인 J. 로헤벤에 의해 알려졌으며, 19세기 말 미국, 영국, 독일의 영유권 분쟁 이후 1920년 뉴질랜드의 위임통치령이 되었다가 1947년 이후 신탁통치령을 거쳐 1962년 독립하였다.[1] 수도는 아피아이며, 통화는 사모아 탈라를 사용한다. 면적은 2831km2이며, 인구는 약 19만 6천 명(2016년)이다.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화산섬이며, 사바이섬의 최고점은 실리실리봉(1857m)이다.[1] 우폴루섬은 화산활동이 정지되었고 비옥한 토지로 사모아 인구의 3/4이 거주한다.[1] 원주민은 폴리네시아족으로 코프라, 바나나, 카카오, 코코야자를 생산하여 섬의 경제를 유지하고 있다.[1]4. 2. 아메리칸사모아 (미국 자치령)
미합중국의 무편입 영토인 아메리칸사모아는 사모아 제도의 동쪽 절반을 차지한다. 199km2 면적에 2020년 기준 인구는 약 4만 9천 명이다. 수도는 파고파고이며, 통화는 미국 달러를 사용한다.[1]섬 | 인구 (2020년) |
---|---|
투투일라 | 48,405명 |
아우누우 | 473명 |
오푸 | 132명 |
올로세가 | 147명 |
타우 | 236명 |
스웨인스 | 무인도 (미국령 사모아 행정 관할, 토켈라우 문화권, 코프라 농장) |
마누 (로즈 환초) | 무인도 (푸른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등 해양 생물 및 토종 조류 보호 서식지) |
그 외 타푸타푸섬, 누세토가섬 (바틀렛섬), 누우텔레섬, 누실라엘레섬, 피라미드 암석 (파투토아가), 파투암 (플라워팟 암석), 우투시바, 아바이오, 누우풀레 암석 등 다수의 작은 무인도가 있다.[12][13]
팡오팡오에는 국제공항이 있으며, 팡오팡오만은 상항(商港) 및 어항으로 이용된다. 해안에는 미국의 거대한 참치 통조림 공장이 있고, 한국의 참치잡이 원양 어업기지도 설치되어 있다.
5. 언어
사모아와 아메리칸사모아 모두 사모아어와 영어가 공용어이다. 가정에서는 주로 사모아어가 사용되며, 공문서에는 두 언어가 병기되는 경우가 많다.
6. 기타
사모아는 2011년에 국제 날짜 변경선을 조정하여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및 뉴질랜드와의 경제 협력을 강화했다.[24] 이는 사모아가 이들 국가와 같은 날짜를 공유하게 되어, 이전에는 일주일에 4일만 근무일이 겹치던 문제를 해결했다.[24] 토켈라우도 같은 날 날짜 변경을 시행했다.[24]
팡오팡오에는 한국의 참치잡이 원양 어업 기지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ultures of Polynesia – Polynesian Cultural Center
http://www.polynesia[...]
2018-04-02
[2]
백과사전
Western Samoa: the sacred covenant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Pacific Studies of the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2010-04-17
[3]
서적
Moon Handbooks: South Pacific
https://archive.org/[...]
David Stanley
2010-06-20
[4]
학술지
New Information for the Ferry Berth Site, Mulifanua, Western Samoa by Roger C. Green & Helen M. Leach
http://www.jps.auckl[...]
2010-04-22
[5]
서적
The Origins of International Rivalry in Samoa: 1845–1884
https://nzetc.victor[...]
George Allen and Unwin Ltd, London
[6]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in Relation to Samoa
Octagon Books
[7]
문서
date of ratification by the League of Nations
1920-01-10
[8]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Mau movement
http://www.nzhistory[...]
2010-06-30
[9]
웹사이트
Demographic Yearbook—Table 3: Population by sex, rate of population increase, surface area and density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0
[10]
웹사이트
Census 2016 Preliminary count
https://www.sbs.gov.[...]
Samoa Bureau of Statistics
2022-07-06
[11]
웹사이트
issg Database: Distribution Details for Rattus exulans
http://www.issg.org/[...]
[12]
웹사이트
The Vegetation of Eastern Samoa
https://www.research[...]
2024-11-30
[13]
문서
2020 Census Privacy-Protected Microdata File (PPMF)
https://www2.census.[...]
U.S. Census Bureau
2024-12-03
[14]
백과사전
Samoa: Microsoft Encarta Reference Library 2003
Microsoft Corporation
2002
[15]
웹사이트
Insular Area Summary for American Samoa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11-04-11
[16]
웹사이트
Background: Volcanic Islands and Seamounts in the Samoan Region
https://oceanexplore[...]
2022-07-03
[17]
서적
The Birds of Hawaii and the Tropical Pacific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서적
A History of American Samoa
Amerika Samoa Humanities Council
[19]
웹사이트
Natural History Guide to American Samoa
http://www.botany.ha[...]
National Park of American Samoa, Department Marine and Wildlife Resources, American Samoa Community College
2009-08-16
[20]
웹사이트
Matafao Peak, AS
https://www.nps.gov/[...]
2022-07-03
[21]
뉴스
Samoa an Overview
https://web.archive.[...]
2007-11-26
[22]
백과사전
American Samoa, World Atlas: Microsoft Encarta Reference Library 2003
Microsoft Corporation
2002
[23]
뉴스
Going Back 24 Hours.
http://nla.gov.au/nl[...]
2022-07-03
[24]
뉴스
Samoa Sacrifices a Day for Its Future
https://www.nytimes.[...]
2022-07-03
[25]
웹사이트
Voyage to Vailulu'u
http://www.whoi.edu/[...]
2010-04-19
[26]
학술지
New 40Ar/39Ar Ages for Savai'i Island Reinstate Samoa as a Hotspot Trail with a Linear Age Progression
[27]
웹사이트
Magnitude 8.1 – SAMOA ISLANDS REGION
https://web.archive.[...]
earthquake.usgs.gov
2010-04-22
[28]
웹사이트
National Earthquake Information Center (NEIC)
https://web.archive.[...]
Neic.usgs.gov
2015-10-01
[29]
학술지
Vailulu'u undersea volcano: The New Samoa
http://dusk.geo.orst[...]
[30]
학술지
Vailulu'u Seamount, Samoa: Life and death on an active submarine volcano
null
2006-04-25
[31]
백과사전
Samoa: Climate
http://www.britannic[...]
2007-11-26
[32]
문서
사바이이섬보다 넓은 섬들
[33]
문서
사바이이섬보다 넓은 섬들
[34]
문서
사모아 독립국에 속하는 섬
[35]
문서
아메리카령 사모아에 속하는 섬
[36]
문서
実際には自治政府が成立している。
[37]
웹사이트
American Samo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06-27
[38]
문서
自治的・未編入領域でも、[[コモンウェルス (米国自治連邦区)|自治連邦区]]ではない[[アメリカ領ヴァージン諸島]]と[[グアム]]は記載さ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