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더커 바라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더커 바라이'는 1930년 일제강점기 대만에서 세데크족이 일본에 항거한 무사 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영화는 세데크족의 문화, 일본의 식민 통치, 모나 루다오를 중심으로 한 봉기를 그린다.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폭력성, 역사 왜곡, 원주민 문화 묘사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역사적 사실과 영화적 허구 사이의 논쟁이 있었다. 이 영화는 제48회 금마장에서 작품상 등을 수상했으며, 한국에서도 개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디크족 - 우서 사건
    우서 사건은 1930년 대만 원주민 세디크족이 일본의 식민 통치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 봉기로, 일본의 차별과 탄압에 불만을 품고 결혼식에서 발생한 사건을 계기로 봉기하여 일본인들을 살해했지만, 일본군의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내고 진압되었다.
  • 세디크족 - 마지상
    마지상은 중국문화대학교 졸업 후 배우 활동을 시작하여 다수의 타이완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감독으로서도 금종장 최우수 감독상과 금마장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등을 수상하며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은 중화민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1930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아티스트 (2011년 영화)
    미셸 아자나비시우스 감독의 흑백 무성 영화 《아티스트》는 1920년대 후반 할리우드를 배경으로 무성영화 시대 스타 조지 발렌타인과 신인 여배우 페피 밀러의 만남과 흥망성쇠를 그린 멜로드라마로, 유성영화 시대 도래에 따른 두 사람의 대비되는 운명을 통해 시대 변화와 영화 산업 변혁을 보여주며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했다.
  • 1930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나쁜 이웃들
    나쁜 이웃들은 신혼부부가 옆집 대학생 사교 모임의 시끄러운 파티로 갈등을 겪다가 결국 부모가 되어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영화이다.
  • 대만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포모서 비트레이드
    포모사 비트레이드는 천원정 교수 사망 사건과 헨리 류 암살 사건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2010년 영화로, FBI 요원이 대만 독립을 주장하던 교수의 살인사건을 수사하며 정치적 음모를 파헤치는 과정을 담고 있다.
  • 대만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화소도
    경찰이 상관의 복수를 위해 교도소에 잠입하여 음모를 파헤치는 내용을 담은 영화 화소도는 성룡, 유덕화, 홍금보, 양가휘 등 당대 최고의 스타들이 출연하였으며, 96분 분량의 홍콩 버전과 125분 분량의 대만 버전 두 가지가 있고, 제목은 교도소로 운영되었던 대만 류큐 향의 '녹도(綠島)'에서 유래했다.
사이더커 바라이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제賽德克·巴萊
로마자 표기Sàidékè Bālái
감독웨이더성
제작오우삼
황즈밍
장자전
각본웨이더성
음악리키 호
촬영친딩창
편집천보원
밀크 수
제작사ARS Film Production
Central Motion Pictures Corporation
배급사Vie Vision Pictures
㈜조이앤컨텐츠그룹 (스크린조이 명의)
太秦 (제공: 마크자무/太秦)
개봉일파트 1: 2011년 9월 9일
파트 2: 2011년 9월 30일 (대만)
상편: 2014년 2월 20일 (대한민국)
2013년 4월 20일 (일본)
상영 시간파트 1: 144분
파트 2: 132분
합본: 276분
단일 버전: 150분
국가타이완
언어세디크어
일본어
타이완어
제작비NT$ 7억 - 7억 5천만 (미화 2300만 - 2500만 달러)
흥행 수익대만: NT$ 8억 8천만 (미화 2900만 달러, 양쪽 파트 합산)
상편 (대한민국): 5,070,000원
출연
출연진놀라이 피호
유키 다키
우민 보야
안도 마사노부
카와하라 사부
키무라 유이치
쉬루윈
란디 웬
이렌 루오
다나카 치에
린칭타이
마즈샹
쉬이판
린위안제
기타
한국 상영 등급청소년 관람 불가

2. 역사적 배경

영화 ''무지개 전사''는 1930년 일제강점기 대만에서 원주민 세데크족이 일으킨 항일 봉기 사건인 우서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67] 영화는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만, 사실과 다른 부분이나 창작도 포함되어 있다.[67]

2. 1. 우서 사건

일제강점기 대만 치라이 산 인근에서 발생한 우서 사건세디크족이 일본 제국의 가혹한 식민 통치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 봉기 사건이다. 세디크족 메헤부 마을의 족장 모나 루다오는 일본군에 맞서 싸운 전사들을 이끌었다.[67]

우서 사건은 1930년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에서 원주민 세데크족이 일으킨 항일 봉기 사건이다. 다만, 영화는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사실과 다른 부분이나 창작도 포함되어 있다.[67]

2. 2. 일제강점기 대만의 상황

청일 전쟁 이후 대만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세데크족을 비롯한 대만 원주민들은 일본군의 감시 아래 일본의 풍습과 언어를 배우고, 일본인이 생각하는 문명을 받아들이도록 강요받았다. 또한, 원주민들은 적은 임금으로 노동을 강요당했으며, 일본인으로부터 멸시, 차별, 여성의 성 착취를 일상적으로 겪었다. 이러한 억압과 차별은 원주민들의 불만을 쌓이게 했고, 결국 우서 사건과 같은 저항 운동으로 이어졌다.[45]

3. 줄거리

1895년 청나라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타이완을 일본 제국에 할양했고, 일본의 대만 침공은 한족의 저항을 물리치고 끝났다.[9] 일본군 관계자들은 원주민을 대만의 자원 확보에 방해되는 존재로 여겼다.[9] 이후 일본 군인 부대가 원주민에게 공격받자, 절벽길에서 일본군과 모나 루다오를 포함한 원주민 간의 전투가 벌어졌다.

1902년 인지관 사건과 1903년 자매원 사건 등 몇 차례 전투[9] 이후 모나 루다오의 아버지 루다오 루헤가 부상을 입고, 마헤부와 인근 마을은 일본의 지배하에 놓였다.

1930년 늦가을, 모나 루다오 마을의 결혼식에서 일본 경찰관 요시무라와 모나 루다오의 아들 타도 모나 사이에 갈등이 발생한다.[10] 요시무라는 타도 모나가 권한 수수술을 비위생적이라며 거부하고, 타도 모나의 손에 묻은 피를 문제 삼아 마을 전체를 처벌하겠다고 위협한다. 모나 루다오는 요시무라에게 사과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이 사건을 계기로 모나 루다오는 일본에 대한 봉기를 결심하고, 다른 마을들과 동맹을 맺어 1930년 10월 27일 우서 사건을 일으킨다.[10]

3. 1. 제1부: 태양의 깃발

1895년, 청나라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타이완을 일본 제국에 할양하면서 일본의 대만 침공은 한족의 저항을 물리치고 끝난다.[9] 일본군 관계자들은 원주민을 대만의 자원 확보에 방해되는 존재로 여겼으며, 이후 일본 군인 부대가 원주민의 공격을 받는다.[9] 이는 절벽길에서 일본군과 모나 루다오를 포함한 원주민 간의 전투로 이어진다.

1902년 인지관 사건과 1903년 자매원 사건 등 몇 차례 전투[9] 이후 모나 루다오의 아버지 루다오 루헤가 부상을 입고, 마헤부와 인근 마을은 일본의 지배하에 놓인다.

20년 후인 1930년 늦가을, 모나 루다오 마을의 결혼식에서 일본 경찰관 요시무라와 모나 루다오의 아들 타도 모나 사이에 갈등이 발생한다.[10] 요시무라는 타도 모나가 권한 수수술을 비위생적이라며 거부하고, 타도 모나의 손에 묻은 피를 문제 삼아 마을 전체를 처벌하겠다고 위협한다. 모나 루다오는 요시무라에게 사과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이 사건을 계기로 모나 루다오는 일본에 대한 봉기를 결심하고, 다른 마을들과 동맹을 맺어 1930년 10월 27일 우서 사건을 일으킨다.[10]

3. 1. 1. 세데크족의 전통과 문화

세데크족은 자연 속에서 사냥을 하고, 선조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가야(규율)에 따라 살아가는 민족이었다. 부족 간의 항쟁과 살육도 있었지만, 그들만의 세계를 구축하며 살아왔다. 세데크족에게는 출초(首狩り, 머리 사냥) 풍습이 있었는데, 이는 그들만의 종교와 가치관에 기반한 것이었다.[15]

청일 전쟁 이후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세데크족은 포로로 잡혔다. 이후 경찰의 감시 아래 일본의 풍습과 언어를 배우고, 일본인이 생각하는 문명을 받아들이도록 강요받았다. 또한, 더 적은 임금으로 노동을 강요당했으며, 일본인으로부터 멸시, 차별, 여성의 성적 착취를 일상적으로 겪어야 했다. 이러한 억눌린 불만은 날마다 높아졌고, 결국 경찰에 대한 린치 사건을 계기로 다른 마을과 함께 무장 봉기를 결의하게 된다. 이는 처음부터 승산이 없는 싸움이었지만, 부족으로서의 자존심을 되찾기 위한 선택이었다.[15]

3. 1. 2.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

청일 전쟁 이후 일본 제국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타이완을 식민지로 지배하게 되었다.[9] 일본은 타이완 원주민들을 자원 확보에 방해되는 존재로 여겼다. 원주민들은 일본의 지배에 저항했지만, 결국 여러 전투 끝에 일본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9]

일본 통치 하에서 원주민들은 많은 억압과 차별을 겪었다.

  • 남자들은 저임금 벌목 노동에 종사해야 했고, 전통적인 사냥과 머리 사냥이 금지되었다.[9]
  • 여성들은 일본인들의 집에서 일해야 했고, 전통적인 직조 일을 포기해야 했다.[9]
  • 얼굴에 문신을 새기는 것이 금지되었는데, 이는 세이디크족에게 죽은 후 "무지개 다리를 건너 저 세상으로 가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었다.[9]
  • 일본 경찰의 감시 아래 일본의 풍습과 언어를 배우고, 일본인이 생각하는 문명을 받아들이도록 강요받았다.[9]
  • 일본인으로부터 멸시, 차별, 여성의 성적 착취가 일상적으로 행해졌다.[9]


이러한 억압과 차별은 원주민들의 불만을 쌓이게 했고, 결국 1930년 우서 사건으로 이어진다.

3. 1. 3. 모나 루다오의 등장

모나 루다오는 세데크족 메헤부 마을의 족장이자, 일제강점기 대만에서 일어난 우서 사건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운 전사들을 이끈 지도자였다. 영화는 젊은 모나 루다오가 부눈족과의 영역 다툼에서 승리하고 멧돼지를 빼앗는 장면으로 시작하며 그의 용맹함을 보여준다.[9]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대만이 일본에 할양된 후, 일본은 원주민들을 자원 확보에 방해되는 존재로 여겼다. 모나 루다오는 일본군과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으며, 특히 1902년 인지관 사건과 1903년 자매원 사건에서 그의 아버지 루다오 루헤가 부상을 입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9]

20년 후, 모나 루다오와 그의 마을은 일본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전통적인 사냥과 문신이 금지되고, 남자들은 저임금 벌목 노동에 종사하는 등 억압적인 정책에 시달렸다. 특히 문신은 세이디크족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녔는데, 이는 죽은 후 "무지개 다리를 건너 저 세상으로 가기" 위한 조건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10]

1930년 늦가을, 모나 루다오는 결혼식에서 일본 경찰관 요시무라와 갈등을 겪는다. 요시무라는 모나 루다오의 맏아들 타도 모나가 권한 수수술을 비위생적이라며 거부하고, 타도 모나의 손에 묻은 피를 문제 삼았다. 이 사건은 결국 싸움으로 번지고, 요시무라는 마을 전체를 처벌하겠다고 위협한다. 모나 루다오는 사과하려 했지만 요시무라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사건을 계기로 모나 루다오는 일본에 대한 저항을 결심한다. 그는 다른 마을들과 동맹을 맺고, 1930년 10월 27일 우서 마을 운동회에서 일본인들을 공격할 계획을 세운다.

3. 1. 4. 봉기의 준비

모나 루다오는 1930년 늦가을, 일본 경찰관 요시무라와의 갈등을 겪은 후, 대량 처벌의 위협을 느끼고 봉기를 결심한다.[10] 그는 승산이 없음을 알면서도, 세이디크족의 전통과 명예를 지키기 위해 싸우기로 한다.

모나 루다오는 며칠 후, 동맹을 맺은 마을들에 힘을 합칠 것을 요청한다.[10] 이들은 10월 27일, 일본인들이 기타시라카와 요시히사 친왕을 기리는 운동 경기에 참석하기 위해 우서 마을 운동장에 모일 때 공격하기로 계획한다.

모나 루다오의 맏딸 마훙 모나를 포함한 여성들은 남자들의 전쟁 계획을 알고 슬퍼한다. 한편, 일본식 이름 하나오카 이치로를 채택하고 경찰관이 된 젊은이 다키스 노민은 모나 루다오의 전쟁 준비를 눈치채고 그를 설득하려 하지만, 오히려 모나 루다오에게 협력을 설득당한다.

모나 루다오는 루다오 루헤의 영혼과 노래를 부르며 전쟁을 결심하고, 전날 밤 마훙 모나는 부족의 규칙을 어기고 남편을 유혹하여 다음 날 전쟁에 나가지 못하게 하려 한다. 원주민들은 경찰 초소를 공격하고, 모나 루다오는 마을을 돌며 젊은이들을 모은다. 마침내 호고 마을의 족장 타다오 노간이 모나 루다오에 합류하기로 동의한다.[10] 연합한 전사들은 수치스럽게 사는 것보다 명예롭게 죽기로 결심한다.

3. 1. 5. 우서 사건의 발발

1930년 10월 27일, 모나 루다오가 이끄는 세디크족 전사들이 우서 지역에서 일본인들을 공격했다. 세디크족 전사들은 운동회에 참석하기 위해 우서 마을 운동장에 모여 있던 일본인들을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모두 살해했다.[10] 파완 나위와 다른 소년들은 일본인 교사와 그의 가족을 죽였다.[10] 이 공격으로 일본 경찰관 한 명이 탈출하여 외부에 소식을 알렸다.[10]

3. 2. 제2부: 무지개 다리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 제국청나라에게서 타이완을 할양받았다. 일본의 대만 침공 이후, 일본은 한족의 저항을 물리치고 타이완을 식민 통치했다. 일본 군인들은 원주민들을 자원 확보에 방해되는 존재로 여겼다.[9]

이후 일본 군인 부대가 원주민에게 공격받는 사건이 발생했고, 절벽길에서 일본군과 모나 루다오를 포함한 원주민 간의 전투가 벌어졌다. 모나 루다오는 테무 왈리스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일본은 모나 루다오와의 거래를 금지하고, 일부 부눈족과 협력하여 모나 루다오의 부하들에게 술을 먹여 잠든 사이 매복 공격을 가했다. 1902년 인지관 사건과 1903년 자매원 사건 등 몇 차례 전투 후[9] 루다오 루헤가 부상당하고, 마헤부를 포함한 인근 마을은 일본 지배하에 놓였다.

20년 후, 마헤부를 비롯한 마을들은 일본에 의해 전통 관습을 폐지하도록 강요받았다. 남자들은 저임금 벌목 노동에 종사하고, 총기 소지와 전통 사냥이 금지되었다. 여성들은 일본인 집에서 일하고 전통 직조 일을 포기해야 했다. 파완 나위 등 아이들은 우서 마을 학교에 다녔다. 남자들은 한족이 운영하는 식료품점에서 술과 약을 사면서 빚을 지게 되었고, 얼굴 문신이 금지되었다. 이는 세데크족이 죽은 후 "무지개 다리"를 건너기 위한 조건이었기에 큰 반발을 샀다. 다키스 노민, 다키스 나위, 오빙 나위, 오빙 타다오 같은 젊은이들은 일본식 이름, 교육, 생활 방식을 채택했지만, 갈등은 계속되었다.

3. 2. 1. 일본군의 반격

일본군은 압도적인 현대식 무기와 독가스를 사용하여 세데크족을 궁지로 몰아넣었다.[10]

3. 2. 2. 세데크족의 저항

1930년년 늦가을, 모나 루다오의 마을에서 젊은 부부의 결혼식이 열렸다. 모나 루다오는 사냥터를 두고 일본 경찰관 코지마 겐지와 동행한 테무 왈리스와 다퉜다. 결혼식에서 일본 경찰관 요시무라가 마을을 점검했는데, 타도 모나가 권한 수수술을 비위생적이라며 거절하고, 타도 모나의 손에 묻은 동물의 피를 문제 삼았다. 이로 인해 싸움이 벌어졌고, 요시무라는 마을 전체를 처벌하겠다고 위협했다. 모나 루다오는 관계 회복을 시도했지만, 요시무라는 사과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호고 마을 출신 피호 사포를 포함한 젊은이들은 일본과의 전쟁을 촉구했고, 모나 루다오는 결국 싸울 것을 결심했다.[10]

며칠 후, 모나 루다오는 동맹을 맺은 마을들과 함께 10월 27일에 일본을 공격하기로 계획했다. 이들은 우서 마을 운동장에 모인 일본인들을 공격하기로 했다. 마훙 모나를 포함한 여성들은 남자들의 계획을 알고 슬퍼했다. 다키스 노민은 모나 루다오에게 전쟁을 시작하지 말라고 설득하려 했지만, 오히려 모나 루다오의 설득에 협력하게 되었다.

전날 밤, 마훙 모나는 부족의 규칙을 어기고 남편을 유혹하여 다음 날 전쟁에 나가지 못하게 하려 했다. 원주민들은 경찰 초소를 공격했고, 모나 루다오는 마을을 돌며 젊은이들을 모았다. 호고 마을의 족장 타다오 노간도 합류하기로 했다.[10] 이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싸우기로 결심하며, "조상의 땅"에 들어가기 위해 명예로운 죽음을 택했다.

10월 27일, 공격이 시작되어 일본인 남녀노소가 살해되었다. 파완 나위와 소년들은 일본인 교사와 가족을 죽였다. 오빙 나위는 남편 다키스 노민 덕분에 목숨을 건졌고, 오빙 타다오는 창고에 숨어 살아남았다. 한족 상인은 살아남았고, 원주민들은 경찰서를 공격하여 총을 탈취했다. 탈출한 일본 경찰관은 외부에 공격 사실을 알렸다. 영화는 모나 루다오가 시체가 가득한 운동장에 앉아 있는 장면으로 끝났다.

타이완의 세데크족은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일본의 풍습과 언어를 강요받고, 낮은 임금으로 노동을 강요당했다. 일본인으로부터 멸시, 차별, 여성의 성적 착취를 당하며 불만이 높아졌고, 경찰 린치 사건을 계기로 무장 봉기를 결의했다. 이들은 파출소 경찰을 습격하고, 운동회에 모인 일본인들을 무차별 학살한 후, 산속에서 게릴라전을 벌였다. 그러나 일본군은 독가스와 적대 부족을 동원하여 이들을 궁지로 몰아넣고 궤멸시켰다.

3. 2. 3. 비극적인 희생

마훙 모나를 포함한 세데크족 여성들은 남자들이 전쟁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미래를 슬퍼한다. 전날 밤, 마훙 모나는 남편을 유혹하려 하는데, 이는 부족의 규칙을 어기는 것이며 다음 날 그가 전쟁에 나가는 것을 금지할 것이다.[10]

3. 2. 4. 모나 루다오의 최후

모나 루다오는 세데크족의 지도자로서 일본에 저항했지만, 결국 패배하고 죽음을 맞이했다.

1930년 10월 27일, 모나 루다오는 연합한 부족들과 함께 우셔 마을을 공격하여 일본인들을 살해했다. 이들은 경찰서를 공격하여 무기를 탈취하기도 했다.[10] 이 공격으로 일본인 남녀와 어린이들이 사망했다. 한족 상인 등 일부는 살아남았지만, 원주민들은 경찰서를 공격해 총을 탈취했다. 한 일본 경찰관이 탈출하여 외부에 이 사실을 알렸다.

다키스 노민은 모나 루다오가 전쟁을 준비하고 있음을 알고 그를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모나 루다오는 전쟁을 결심하고, 원주민 전사들은 명예롭게 죽음을 택했다.[10]

영화는 모나 루다오가 시체가 가득한 운동장에 앉아 있는 장면으로 끝을 맺으며 그의 최후를 암시한다.

4. 등장인물

영화 '사이더커 바라이'는 우서 사건을 배경으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주요 인물로는 세디크족 메헤부 마을의 족장 모나 루다오와 그의 가족 및 부족민들, 그리고 그들과 대립하는 일본군 및 다른 부족 인물들이 있다.


  • '''모나 루다오''': 영화의 주인공으로, 일본의 통치에 저항하는 세디크족 지도자이다. 장년의 모나 루다오는 린칭타이가, 청년 시절의 모나 루다오는 다칭이 연기했다.
  • '''테무 왈리스''': 마즈샹이 연기. 모나 루다오의 적으로, 일본과 협력.
  • '''파완 나위''': 린위안제가 연기. 마헤부 마을의 어린 소년으로, 일본 통치하에서 성장하며 봉기에 참여.
  • '''타도 모나'''(톈쥔)와 '''바소 모나'''(리스자): 모나 루다오의 아들들.
  • '''비호 사포'''(장즈웨이): 호고 마을 출신의 젊은이로, 모나 루다오와 함께 일본에 맞서 싸운다.
  • '''마훙 모나'''(원란): 모나 루다오의 딸.
  • '''다키스 노민'''(쉬이판)과 '''오빙 나위'''(뤄메이링): 일본식 교육을 받은 세디크족 남녀. 각각 하나오카 이치로와 가와노 하나코라는 일본 이름을 가지고 있다.
  • '''오빙 타다오'''(비비안 수): 가와노 하나코의 사촌. 다카야마 하츠코라는 일본 이름을 가지고 있다.
  • '''고지마 겐지'''(안도 마사노부)와 '''가마다 야히코'''(가와하라 사부): 일본군 측 인물.
  • '''사츠카 아유'''(키무라 유이치): 우서의 경찰관.
  • '''고지마 마츠노'''(다나카 치에): 고지마 겐지의 아내.


이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복잡한 관계와 갈등을 보여준다.

4. 1. 주요 인물


  • 모나 루다오 (장년): 린칭타이 (Nolay Piho)
  • 모나 루다오 (청년): 다칭 (Yuki Daki)
  • 테무 왈리스: 마즈샹 (Umin Boya)
  • 파완 나위: 린위안제 (Umin Walis)
  • 타도 모나: 톈쥔 (Yakau Kuhon)
  • 바소 모나: 리스자 (Pawan Neyung)
  • 비호 사포: 장즈웨이 (Pihu Nawi)
  • 마훙 모나: 원란 (Landy Wen)
  • 다키스 노민 (하나오카 이치로): 쉬이판 (Bokeh Kosang)
  • 오빙 나위 (가와노 하나코): 뤄메이링 (Yokuy Utaw)
  • 오빙 타다오 (다카야마 하츠코): 비비안 수 (Vivian Hsu)
  • 코지마 겐지: 안도 마사노부
  • 가마다 야히코: 가와하라 사부

4. 2. 일본 제국 측 인물


  • 고지마 겐지: 안도 마사노부[61]
  • 가마다 야히코: 가와하라 사부[61]
  • 사츠카 아유: 키무라 유이치[61]
  • 고지마 마츠노: 다나카 치에 (특별 출연)[61]

5. 제작

《'''사이더커 바라이'''》는 1930년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에서 일어난 원주민 세데크족에 의한 항일 봉기 사건인 무사 사건을 배경으로 제작되었다.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만, 사실과 다른 부분이나 창작도 포함되어 있다.[67]

대만 영화 사상 최고액인 7억신 대만 달러가 투입되었다.[68] 전 2부작으로, 제1부는 143분, 제2부는 131분으로 구성되었다. 2011년 9월 9일 제1부가, 9월 30일 제2부가 공개되었다. 같은 해 11월 26일, 제48회 금마장에서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최우수 오리지널 음악, 최우수 음향 효과, 관객상 등 5개 부문을 수상했다.

일본에서는 2012년 3월 제7회 오사카 아시안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대만 이외의 국제 영화제에 출품된 인터내셔널 버전(155분)이 아닌, 2부작 합계 4시간 반에 달하는 풀 버전(제1부 《세데크 발레 태양의 깃발》, 제2부 《세데크 발레 무지개 다리》)으로 3월 13일과 14일에 각각 상영되어 경쟁 부문 관객상을 수상했다.[69] 2013년 4월 20일에는 일본에서 《세데크 발레 제1부 태양의 깃발》과 《세데크 발레 제2부 무지개 다리》가 동시 개봉되었다.


  • 감독·각본: 웨이 더성
  • 제작: 오우삼, 테렌스 창, 황즈밍
  • 촬영 감독: 친딩창
  • 프로덕션 디자인: 타네다 요헤이
  • 미술 프로듀서: 아카즈카 요시히토
  • 음악: 리키 호
  • 액션 감독: 양길영, 심재원

5. 1. 기획 및 개발

웨이더성 감독은 1996년 대만 원주민들이 정부에 토지 반환을 요구하는 뉴스와 홍콩 주권이 중화민국으로 반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사를 접하고 영화 제작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13][14] 그는 이 상황이 아이러니하다고 생각했고, 원주민에 관한 책을 찾던 중 추약룡(邱若龍)의 우서 사건 만화책을 읽고 모나 루다오와 그의 동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3][14] 이후 웨이더성 감독은 시나리오를 쓰고 수정하며 역사적 배경을 조사했다.[13][14]

2000년에 웨이더성은 시나리오를 완성하여 행정원 신문국에서 우수 영화 시나리오상을 수상했다.[15][16][17][18] 2003년에는 250만신 대만 달러를 모금하여 5분짜리 데모 영화를 촬영했다.[15][16][17][18] 이 데모 영화에는 뚜 두즈가 사운드를, 천 보웬이 편집을 맡았으며, 랴오 진성, 쩡 위춘 등이 출연했다.[15][16][17][18] 당초 목표는 700만달러(약 2.5억신 대만 달러)를 모금하는 것이었으나,[15][16][17][18] 상영회를 통한 자금 모금에 실패하고 웨이더성 감독의 가족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웨이더성은 2억신 대만 달러의 예산을 고집했다.[20][21]

2008년 인터뷰에서 천궈푸 감독은 웨이더성에게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다른 영화를 먼저 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고, 이에 웨이더성은 ''해각 7번지''를 제작하게 되었다.[18] ''해각 7번지''의 성공으로 웨이더성은 자금과 명성을 얻었고, ''무지개 전사''의 홍보를 재개했으나, 자금 모금은 여전히 어려웠다.[14] 2009년 웨이더성은 ''해각 7번지''의 성공이 새로운 투자자들을 끌어들였지만, 그들이 불확실성에 대해 불편해한다고 지적했다.[14] 2011년에는 투자자들이 ''세데크 발레''보다 ''해각 8번지''를 더 찾고 있으며, ''세데크 발레''의 주제에 대해 회의적이라고 회고했다.[15]

2009년 2월, 텅 수에펑은 영화 예산이 3.3억신 대만 달러이며, 웨이더성이 이미 예산의 3분의 1을 확보했다고 보도했다.[14] 또한 ''해각 7번지''의 성공으로 정부 신문국으로부터 약 1.04억신 대만 달러의 보조금을 받았다고 밝혔다.[14] 같은 해 5월에는 원주민 엑스트라와 배우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어 정부가 20명의 징집병을 영화에 출연시키는 특별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23]

2009년 8월 태풍 모라깟으로 영화 세트가 파괴되면서 추정 예산이 2억신 대만 달러에서 6억신 대만 달러로 증가했다.[17] 2011년 11월에는 예산이 7억신 대만 달러이며, GIO로부터의 보조금이 1.3억신 대만 달러라고 보도되었다.[24][25]

제작진은 1930년대 우서 마을 장면을 재현하기 위해 린커우에 있는 애로우 스튜디오에 세트를 건설했다.[26][27] 타네다 요헤이가 미술팀을 총괄했으며, 세트에는 36채의 집이 있었고, 제작 비용은 8000만신 대만 달러였다.[26][27]

촬영에는 일본, 대만, 홍콩에서 온 400명의 기술자와 1,500명의 비전문 배우가 고용되었다.[28][29] 촬영은 2009년 10월에 시작되어 2010년 9월 5일에 완료되었다.[28][29] 친 팅창 촬영 감독은 많은 짧은 테이크로 촬영하는 "할리우드 방식"을 사용하고, 대만 영화 최초로 와이어 캠 사용을 설계했다.[11] 사운드 녹음 및 디자인은 투 두즈와 탕 시앙주가 맡았고, 푸 싱충은 디지털 효과를 담당했다.[11] 한국인 제작진으로는 양길영, 심재원, 이치윤 등이 참여했다.[11] 오리지널 음악은 싱가포르 작곡가 릭 호가 작곡했으며, 가사는 웨이더성 감독과 장 지더가 썼다.[11] 영화 대본은 중국어로 작성되었으며, 이완 나위와 다키스 파완에 의해 세디크어로 번역되었다.[11][30]

촬영 중 비, 추위, 미끄러운 경사 등으로 인해 제작진과 배우 모두 어려움을 겪었고, 부상도 잦았다.[15] 재정적인 문제도 지속되어 웨이더성 감독은 영화를 연출하면서 자금을 모아야 했고, 회사에 급여 및 소품 비용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15] 2010년, 중앙 영화 공사가 3.5억신 대만 달러를 투자하여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했다고 알려졌으나,[15] 2023년 웨이더성 감독과 CMPC는 이 투자를 놓고 분쟁을 벌였다. 저우제룬, 옌청쉬, 장샤오옌, 뉴청저 등 대만 유명인사들도 투자에 참여했다.

이 영화는 젊은 모나 루다오와 나이든 모나 루다오를 포함하여 많은 비전문 배우를 고용했으며, 영화에서 일본어와 세디크어를 사용한 것도 비전문 배우들에게는 어려운 과제였다.[15]

5. 2. 자금 조달

2003년, 웨이더성 감독은 250만신 대만 달러를 들여 5분짜리 데모 영화를 촬영했다. 이 영화는 뚜 두즈가 사운드를 맡고 천 보웬이 편집했으며, 랴오 진성, 쩡 위춘 등이 출연했다. 웨이 감독의 목표는 700만달러 (약 2.5억신 대만 달러)를 모금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당시 대만 영화로서는 매우 큰 예산이었다.[15][16][17][18] 상영회를 통해 자금을 모으는 데는 실패했지만, 웨이 감독은 예산을 2억신 대만 달러로 고집했다.[20][21]

2008년, 천궈푸 감독은 웨이 감독에게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다른 영화를 먼저 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고, 이에 웨이 감독은 ''해각 7번지''를 제작했다.[18] ''해각 7번지''의 성공으로 웨이 감독은 자금과 명성을 얻었고, ''무지개 전사'' 프로젝트를 다시 추진했다. 그러나 여전히 자금 조달은 쉽지 않았다. 2009년 웨이 감독은 ''해각 7번지''의 성공으로 새로운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졌지만, 그들은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를 망설인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14] 2011년에는 투자자들이 ''세데크 발레''의 주제에 회의적이며, ''해각 7번지''의 성공이 재현될 수 있을지 의문을 품고 있다고 회고했다.[15]

2009년 2월, 텅 수에펑은 영화 예산이 3.3억신 대만 달러이며, 웨이 감독이 이미 예산의 3분의 1을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해각 7번지''의 성공으로 정부신문국(GIO)에서 약 1.04억신 대만 달러의 보조금을 받았다고 밝혔다.[14] 그러나 2009년 8월 태풍 모라깟으로 영화 세트가 파괴되면서, 예상 제작비는 2억신 대만 달러에서 6억신 대만 달러로 증가했다.[17] 2011년 11월, 펑은 예산이 7억신 대만 달러이며, GIO의 보조금이 1.3억신 대만 달러라고 보도했다.[24][25]

5. 3. 촬영

賽德克·巴萊중국어 (사이더커 바라이)의 촬영은 신베이시 린커우 구에 있는 애로우 스튜디오에 1930년대 우서 마을을 재현하는 세트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세트에는 36채의 집이 있었고, 당시의 인테리어 장식과 소품으로 꾸며졌으며, 제작 비용은 8000만신 대만 달러였다. 촬영이 끝난 후 세트는 한동안 일반에 공개되었다.[26][27]

타네다 요헤이가 미술팀을 총괄하는 예술 감독을 맡았다.[26] 촬영에는 일본, 대만, 홍콩에서 온 400명의 기술자와 1,500명의 비전문 배우가 참여했다.[28] 2009년 10월에 시작된 촬영은 10개월 동안 진행되어 2010년 9월 5일에 완료되었다.[28][29]

촬영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배우들의 몸매 유지, 사생활 보호를 위한 의상 조정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29] 친딩창 촬영 감독은 웨이 더성 감독과 여러 영화에서 함께 작업했으며, 편집에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실패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짧은 테이크를 많이 사용하는 "할리우드 방식"을 선택했다. 또한 대만 영화 최초로 와이어 캠 사용을 설계했다.[29]

사운드 녹음 및 디자인은 두독지와 탕샹주(湯湘竹)가 담당했다.[29] 디지털 효과는 푸싱충(胡陞忠)이 담당했으며, 베이징의 Crystal CG와 협력했다. 원래 한국 회사가 고용되었으나 파산으로 인해 Crystal CG로 변경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그 결과에 불만을 표했다.

무술 감독은 양길영(AKA 양길영, 梁吉泳)과 심재원이 맡았으며, 특수 효과 감독은 이치윤이 참여했다.[11] 처음에는 한국 스턴트팀을 고용했지만, 비용 문제로 중국 스턴트팀으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중국 스턴트팀의 근로 허가 기간이 짧아 대만 스턴트팀으로 다시 교체되었다.[11] 한국 회사인 Cel Art가 신체 부품 소품을 제공했다.[11]

영화의 오리지널 음악은 싱가포르 작곡가 리키 호가 700만신 대만 달러의 비용으로 작곡했다.[11] 가사는 웨이 감독과 장지더가 썼고, 후에 번역되었다. 영화 대본은 원래 중국어로 작성되었으며, 이완 나위와 다키스 파완에 의해 세디크어로 번역되었다. 이완 나위는 대본 번역본을 출판했으며, 다키스 파완은 대본 번역과 지도용 대사 발음을 녹음했다. 다키스 파완, 이완 페린, 증츠위셩(루다오 루허 역 배우)은 출연진에게 언어를 지도하고 촬영 현장에서 통역을 맡았다.[11][30]

일부 장면은 배우들이 옷을 거의 입지 않은 채 산비탈이나 강에서 촬영되어 비, 추위, 미끄러운 경사, 달리기 등으로 인해 제작진과 배우 모두에게 어려움을 주었다. 부상도 빈번하게 발생했다.[15]

재정적인 문제도 끊이지 않았다. 웨이 감독은 영화를 연출하면서 자금을 모아야 했고, 회사에 급여 및 소품 비용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영화가 완성되지 못할 것이라는 보도도 있었다.[15] 폴리 펑은 "웨이 감독의 영화사는 종종 제작진에게 제때 급여를 지급하지 못했고, 대만 풍경 디자이너들은 파업을 했으며, 한국 무술팀은 떠났고, 일본 미술팀은 완성된 디자인을 넘겨주기를 거부했다...."라고 보도했다.[15]

이 영화는 젊은 모나 루다오와 나이든 모나 루다오를 포함하여 많은 비전문 배우를 고용했다. 영화에서 일본어와 세디크어를 사용하는 것도 비전문 배우들에게는 어려운 과제였다.[15]

6. 평가

영화에 대한 초기 반응은 전투 묘사의 역사적 정확성과 대만 민족주의 정서를 언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는 "아마도... 어떤 영화보다도 가장 많은 장면의 참수를 보여준다. 하지만 그것들은 충실한 역사적 묘사이다."라고 평가했다.[39] 월터 러셀 미드는 이러한 종류의 영화가 민족적 자부심을 고취하고 민간 영웅의 중요성을 강화하며, 외국인을 희생시키면서 사람들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40]

반면, ''상하이 모닝 포스트''의 천원(Chen Wen)은 "피에 대한 갈증이 서사시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라고 비판하며, 영화가 너무 길고 세딕족의 폭력 묘사가 저항의 정당성을 약화시킨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웨이더성 감독의 일본에 대한 양가적인 태도와 연관시켰다. 제작자 존 우는 웨이더성 감독이 폭력을 "원래 세딕 문화와 역사"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고, 영화 속 전쟁은 오직 존엄성, 자유, 죽음을 추구한다고 설명했다.[41]

대만과 중국 언론 보도에서는 양안 관계의 정치적 문제가 거론되었다. 미국의 소리는 중국 언론이 영화 내용보다 폭력성에 대해 비판하고 대만 언론과 네티즌이 정서적으로 옹호하여 적대감이 고조되었다고 보도했다. 강사 천웨이즈는 중국 기자들이 영화를 오해한다면 감독에게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논란이 정치화되었다고 언급하며, 영화가 다른 중국 서사시처럼 일본을 고정관념으로 악마화하는 중국 민족주의적 태도로 고통받을 수 있다고 평했다.[32] ''차이나 타임스''의 장즈렝(Jiang Zhileng)은 중국 본토 언론의 비판이 중국 본토 네티즌의 관심을 더욱 증가시켰다고 언급했다.[42]

앨런 해리스는 별 다섯 개 중 세 개를 주며 "매우 피에 굶주린 영화로, 많은 참수 장면과 학살 장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스토리는 복잡성을 좋아하지 않는다 – 일본인은 거의 보편적으로 거만하고 야유를 받는 악당이나 불쌍한 소모품으로 묘사된다"고 말했다.[46] 뉴욕 타임스의 스티븐 홀든은 "속도감은... 어색하고, 전투 장면은 혼란스럽고, 컴퓨터 효과는 싸구려다"라고 비판했다.[34]

중국에서 상영된 국제 버전에 대해 ''난팡 데일리''의 정자오쿠이(郑照魁)는 세딕 문화가 부족하여 깊이를 잃었다고 평했다.[37] 영화 평론가 리지안(Li Jian)은 문명과 야만성의 비교를 중요 주제로 언급하며, 일본 식민주의와 세딕족의 문명에 대한 역설을 제시했다. 그는 "자유가 문명의 핵심"이라고 주장하며, 모나 루다오와 가마다가 일본의 압제가 문명화되지 않았다는 데 동의한다고 제안했다.[51]

중국 언론은 영화의 마케팅 실패와 관련하여 짧은 홍보, ''어벤져스''와의 개봉 시기 충돌, 검열된 "국제 버전"의 불완전성 등을 지적했다.[50]

6. 1. 긍정적 평가


  • ''버라이어티''의 저스틴 창은 이 영화를 "야심 찬 정글 속 전투 서사시"라고 묘사하면서도, "결과가 덜 조잡하고 더 일관되기를 바란다"고 평했다. 그러나 그는 "영화 제작에는 감탄하지 않을 수 없는 거친 육체성과 엄청난 신념이 있다"고 덧붙였다.[43] 또한, 창은 "최근의 서사시 영화 측면에서, ''무지개 전사''의 원시적인 전쟁은 멜 깁슨의 속도감과 기술이 빠진 ''아포칼립토''를 연상시킨다"고 언급했다.[43] 긍정적인 면으로, 그는 "수많은 참수(세딕족의 주요 방식)에서 그들이 너무나 잘 아는 열대 지형에서의 게릴라 공격에 이르기까지 무기와 전투 기술에 인상적인 정도의 다양성과 인류학적 세부 사항이 있다"고 평가했다.[43]

  • ''할리우드 리포터''의 데보라 영은 이 영화를 "보기에 놀랍고, 흠잡을 데 없이 진실하며, 따라가기에 약간 지루하다"고 평가했다. 그녀는 액션 장면에 대해 "화려하고, 거의 멈추지 않는 섬뜩한 백병전 장면"과 "여기에는 무술이 없지만, 창과 칼, 총과 대포를 사용한 숙련된 현실적인 전투가 있으며, 누구도 봐주지 않는다"고 칭찬했다. 그러나 영은 "얼마나 독창적으로 변주되든, 멈추지 않는 싸움은 장기적으로 압도적으로 느껴진다"고 지적하며, 영화의 가장 좋은 장면은 "더 조용한 순간"이라고 말했다.[45]

  • 영화 평론가 쳉리안(鄭秉泓)은 영화가 대만의 역사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것을 칭찬했으며, 모나 루다오의 노래 장면을 할리우드 영화 ''꿈의 구장''과 비교하며 가장 고무적인 부분이라고 평했다.[47]

  • 작가 추앙화탕은 모나 루다오가 일부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고 파완 나위라는 인물이 허구인 점 등 영화의 역사적 편차를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이 영화가 다큐멘터리가 아니며 현실에서 민족 집단의 관계에 해를 끼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48]

  • 웨이더성(魏德聖) 감독의 영화 ''해각7번''과 이 영화가 대만 영화 산업의 부활 신호탄으로 여겨지면서 영화의 서사시 스타일, 투자, 흥행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 베이징에 기반을 둔 영화 평론가 위원거(Yuwen Ge)는 이 영화가 대만 관객의 "향수"에 의해 지지받는다는 믿음에 반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 역사에 익숙하지 않고 "따라잡고" 싶어하며, 따라서 실제 지지는 지역 정체성의 각성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그는 영화가 반식민주의 공식을 따르지만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모나 루다오가 미화되지 않았고 세딕족의 살인이 죄책감과 악마적인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일본인이 희생자로 묘사되었다고 느꼈다. 그러나 그는 이것이 대만인들이 가지고 있다고 믿는 단순한 "친일" 태도가 아니라 탈식민지 문화의 결과라고 평했다.[49]

6. 2. 비판적 평가

이 영화는 초기부터 폭력성 묘사와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그리고 원주민 문화 왜곡 가능성 등으로 인해 여러 비판을 받았다.[39]

  • 과도한 폭력 묘사: ''이코노미스트''는 이 영화가 "아마도... 어떤 영화보다도 가장 많은 장면의 참수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39] ''버라이어티''는 "수많은 참수" 장면과 "피투성이 혼란"이 장기간 시청을 지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43] ''할리우드 리포터'' 역시 "멈추지 않는 싸움"이 장기적으로 압도적이라고 평가했다.[45]
  •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영화의 자문역인 다키스 파완(세디크족 남성이며, 궈밍청으로도 알려짐)은 영화 내용과 역사 연구 사이에 많은 차이점이 있다고 지적했다.[52][53][54] 예를 들어, 마헤부 마을을 되찾기 위한 마지막 공격은 허구이다.
  • 원주민 문화 왜곡 가능성: 영화 속 폭력적인 묘사가 원주민 이미지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62] 또한, 영화가 세디크족의 특정 관습과 역사적 세부 사항을 부정확하게 묘사했다는 비판도 있었다.[58]
  • 특정 부족에 대한 부정적 묘사: 영화 개봉 후, 아타얄족 원로는 우서 사건 1년 전 모나 루다오가 일본과 협력하여 자신의 마을을 공격한 칭산 사건을 언급하며, 모나 루다오가 영화에서처럼 영웅이 아니라 잔혹한 인물이었다고 주장했다.[56]


이 외에도, 영화는 중국에서 상영된 국제 버전이 세딕 문화를 충분히 담아내지 못해 깊이를 잃었다는 평가를 받았다.[37] 또한, 영화의 서사, 연출, 특수 효과 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34][43][47]

7. 논란

이 영화는 일제강점기 대만에서 일어난 우서 사건을 다루고 있어, 역사적 정확성과 묘사에 대한 여러 논란이 있었다.

초기에는 영화 속 폭력의 사실성과 대만 민족주의적 요소를 언급하는 반응이 나왔다. ''이코노미스트''는 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묘사했다고 평가했지만,[39] ''상하이 모닝 포스트''는 너무 길고 폭력적이며, 세딕족의 폭력 묘사가 저항의 정당성을 약화시킨다고 비판했다.[41] 중국 언론은 영화의 폭력성에 대해 비판했고, 대만 언론과 네티즌은 영화를 옹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의 소리는 이러한 반응이 양안 간의 적대감을 고조시켰다고 보도했고,[32] ''차이나 타임스''는 중국 본토 언론의 비판이 오히려 중국 네티즌의 관심을 증가시켰다고 언급했다.[42]

영화 평론가들은 기술적 완성도와는 별개로, 역사적 묘사에 대해 비판했다. 버라이어티는 특수 효과가 "전반적으로 수준 미달"이라고 비판했고,[43] 할리우드 리포터는 액션 장면이 훌륭하지만, 반복적인 전투 장면은 압도적이라고 평가했다.[45]

영화 자문역 다키스 파완은 제작진의 노력을 인정하면서도 역사 연구와 영화 내용에 차이가 있음을 지적했다.[52][53][54] 특히 모나 루다오의 영웅화에 대한 이견이 있었으며, 아타얄족 원로는 모나 루다오가 우서 사건 이전에 일본과 협력하여 자신의 마을을 공격한 사건이 있었다고 주장했다.[56]

대만 교수 이안 잉크스터는 영화가 당시 원주민 여성의 역할을 단순화하고, 한족 정착민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했다고 주장했다.[57] 세디크 문화 묘사에 대해서도 유혈과 폭력이 원주민 이미지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영화 번역가는 많은 관습과 역사적 세부 사항이 부정확하다고 지적했다.[58]

7. 1. 역사 왜곡 논란

이 영화는 일제강점기 대만에서 일어난 우서 사건을 다루고 있어, 역사적 정확성과 묘사에 대한 여러 논란이 있었다.

초기 반응은 영화 속 폭력의 사실성과 대만 민족주의적 요소를 언급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영화가 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묘사했다고 평가했지만,[39] ''상하이 모닝 포스트''의 천원(Chen Wen)은 영화가 너무 길고 폭력적이며, 세딕족의 폭력 묘사가 저항의 정당성을 약화시킨다고 비판했다.[41]

중국 언론은 영화의 폭력성에 대해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고, 대만 언론과 네티즌은 영화를 옹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의 소리는 이러한 반응이 양안 간의 적대감을 고조시켰다고 보도했다.[32] ''차이나 타임스''는 중국 본토 언론의 비판이 오히려 중국 네티즌의 관심을 증가시켰다고 언급했다.[42]

영화 평론가들은 영화의 기술적 완성도와는 별개로, 역사적 묘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버라이어티의 저스틴 창은 영화의 특수 효과가 "전반적으로 수준 미달"이라고 비판했다.[43] 할리우드 리포터의 데보라 영은 액션 장면이 훌륭하지만, 반복적인 전투 장면이 장기적으로는 압도적이라고 평가했다.[45]

영화의 자문역인 다키스 파완(세디크족 남성, 궈밍청으로도 알려짐)은 영화 제작진의 노력을 인정하면서도, 역사 연구와 영화 내용의 많은 차이점을 지적했다.[52][53][54] 예를 들어, 마헤부 마을을 되찾기 위한 마지막 공격은 허구라고 밝혔다.

특히 모나 루다오의 영웅화에 대한 이견이 있었다. 《애플 데일리》는 아타얄족 원로의 증언을 인용하여, 모나 루다오가 우서 사건 1년 전 일본과 협력하여 자신의 마을을 공격한 칭산 사건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그 원로는 모나 루다오가 영화에서 묘사된 영웅이 아니라 잔혹한 인물이었다고 주장했다.[56]

대만 교수인 이안 잉크스터는 영화가 사건 당시 원주민 여성의 역할을 단순화하고, 한족 정착민들이 원주민에게 미친 영향력을 과소평가했다고 주장했다.[57]

세디크 문화 묘사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었다. 영화에서 묘사된 유혈과 폭력이 원주민들의 이미지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62] 영화 번역가인 이완 페링은 많은 관습과 역사적 세부 사항이 부정확하다고 지적했다.[58]

7. 2. 원주민 문화 묘사 논란

이 영화는 우서 사건을 배경으로 세디크족의 문화를 묘사하고 있으나, 그 정확성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영화 자문역인 다키스 파완(세디크족 남성, 궈밍청으로도 알려짐)은 영화 제작진의 노력과 드라마 연출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역사 연구와 영화 내용 사이에 많은 차이점이 있음을 지적하며 책을 출판했다.[52][53][54] 그는 마헤부 마을을 되찾기 위한 마지막 공격은 허구이며, 파완 나위와 그의 소년단 캐릭터의 모티브가 된 일부 세디크족 소년들의 이야기는 한 원로의 회고록에서 비롯되었으나 이 소년들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고 밝혔다.[55]

영화 개봉 후, 《애플 데일리》는 아타얄족 원로의 증언을 인용하여 우서 사건 1년 전 모나 루다오가 일본과 협력하여 자신의 마을을 공격한 칭산 사건을 보도했다. 그 원로는 모나 루다오가 영화에서 묘사된 영웅이 아니라, 공격으로 여성, 어린이, 노인 26명을 살해한 잔혹한 인물이라고 주장했다.[56] 전 입법위원 왈리스 펠린과 난터우의 지역 단체 회장 치우 홍슈이는 그 원로의 이야기를 확인하며, 모나 루다오가 일본의 "오랑캐를 오랑캐로 다스린다"는 정책에 의해 강요받았다고 덧붙였다.[56] 그러나 다키스 파완은 모나 루다오 가족의 대변인과 족장의 양녀의 말을 인용하여 그녀는 칭산 사건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56]

대만 교수 이안 잉크스터는 영화가 사건 당시 원주민 여성의 역할을 단순화했으며, 한족 정착민들이 장기간에 걸쳐 원주민에게 미친 영향력을 과소평가했다고 주장했다.[57]

테무 왈리스와 토다족이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단순화되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토다족 출신의 젊은 학생 와탄 노민은 세디크족 간의 갈등이 전통의 결과일 뿐만 아니라 이 지역에 "변경 방어선"(隘勇線)을 설치하려는 일본 정책의 영향도 받았다고 말했다.[58][59]

토다족 출신 TV 리포터 와탄은 영화가 그들의 "가야" 관습을 묘사하지 않고, 역사적 세부 사항의 변화와 오류를 지적하며 영화를 비판했다. 또한 와탄은 세디크족 사이의 트라우마는 영화로 다루기에는 너무 민감하며, 영화는 평화와 화해의 측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60] 교수 천장 페이룬(陳張培倫)은 사람들이 영화에 감동받지만, 영화를 원주민의 현재 상황과 연결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60][61]

세디크 문화 묘사와 관련하여, 신문 기고문은 영화에서 묘사된 유혈과 폭력이 원주민들의 이미지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62] 다키스 파완, 선밍런(일명 파완 타나, 학교 교장) 등은 영화가 세디크족을 대표하지 않으며, 살해는 역사, 국방, 세디크 관습("가가"라고 불림)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답했다.[63] 영화 번역가 이완 페링은 많은 관습과 역사적 세부 사항이 부정확하며,[58] 모나 루다오가 그의 부족의 규칙에 의해 금지되었기 때문에 다른 부족의 영토를 침략하여 사냥감을 빼앗을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64] 다키스 파완은 또한 그의 책에서 세디크족의 규칙은 엄격하고 집단 중심적이므로 세디크족은 영화에서처럼 자유롭고 자기 중심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특히 모나 루다오가 영화에서 묘사된 방식으로 테무 왈리스와 다툴 가능성은 낮았다고 한다.[52]

8. 수상

는 2011년 제48회 금마장에서 작품상, 남우조연상, 음악상, 음향효과상, 관객투표 올해의 영화상을 수상했다.[67] 2012년에는 제6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에서 UNESCO상을 수상했다.

9. 한국 개봉

賽德克·巴萊, Seediq Bale|싸이더커 바라이중국어2011년에 제작된 타이완 영화로, 2014년 대한민국 개봉 당시 일제강점기라는 공통된 역사적 경험을 가진 한국 관객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9. 1. 크레딧

賽德克·巴萊, Seediq Bale|싸이더커 바라이중국어는 2011년에 제작된 타이완 영화이다.

제목워리어스 레인보우:항전의 시작
시간144분
수입 / 배급 / 홍보㈜조이앤컨텐츠그룹(스크린조이 명의)


참조

[1] 간행물 Part of Taiwanese sources
[2] 뉴스 《賽德克》2011稱霸十大華語電影 國片暴衝橫掃15億 http://www.appledail[...] 蘋果日報 2011-11-22
[3] 웹사이트 Taiwan buzzing before release of ‘Warriors’ epic http://www.themalays[...]
[4] 웹사이트 'Seediq Bale' depicts Taiwanese natives' fight for dignity http://www.culture.t[...]
[5] 뉴스 Academy Releases Foreign-Language Oscar List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11-10-14
[6] 웹사이트 'Seediq Bale' to vie for Oscars' best foreign film http://focustaiwan.t[...] 2011-09-07
[7] 웹사이트 63 Countries Vie for 2011 Foreign Language Film Oscar http://www.oscars.or[...] 2011-10-14
[8] 웹사이트 9 Foreign Language Films Vie for Oscar http://www.oscars.or[...] 2012-01-19
[9] 웹사이트 Subjective, objective and indigenous history: Seediq Bale's take on the Wushe Incident http://savageminds.o[...] 2012-01-04
[10] 블로그 賽德克巴萊之荷歌社頭目 塔道諾幹.....巴蘭社頭目寫了半個月 這次希望能不要超過.... http://tw.myblog.yah[...] 2011-12-25
[11] 서적 영화·巴萊
[12] 블로그 塞德克.巴萊人物側寫 http://blog.yam.com/[...] 2011-10-12
[13] 뉴스 魏德聖訪問 帶根帶土的藝文故事 http://www.mingpaova[...] 2012-02-28
[14] 학술지 Biggest Production in Taiwan Film History-Seediq Bale http://www.taiwan-pa[...] 2012-02-28
[15] 학술지 Fighting the Good Fight: The Bloody Battleground of Seediq Bale http://www.taiwan-pa[...] 2012-02-28
[16] 뉴스 魏德聖 籌拍 霧社事件 掏光存款和人情 「賽德克巴萊」5分鐘樣帶花 250萬 盼募 2億完成史詩片 2003-11-25
[17] 뉴스 INTERVIEW:'Director's charisma turned film dream into reality http://www.taipeitim[...] 2012-02-28
[18] 웹사이트 海角七號:專訪魏德聖 http://4bluestones.b[...] 2012-02-28
[19] 웹사이트 導演日誌:想當年,怎麼拍得成賽德克巴萊 http://cape7.pixnet.[...] 《海角七號》電影官方部落格 2011-02-22
[20] 뉴스 「賽德克巴萊」 沒有2億不拍 http://www.libertyti[...] 2011-02-28
[21] 간행물
[22] 뉴스 FILM REVIEW: Art designer aims high with ambitious film plan http://www.taipeitim[...] 2008-11-28
[23] 뉴스 Director drafts Aboriginal servicemen for new film http://www.taipeitim[...] 2012-02-28
[24] 웹사이트 Seediq Bale is Taiwan director Wei's dream project http://www.culture.t[...] 2012-02-28
[25] 뉴스 賽德克.巴萊 凱道首映 魏德聖惹哭馬英九 http://tw.nextmedia.[...] 2012-02-28
[26] 뉴스 Famed film designer discusses upcoming epic http://www.taipeitim[...] 2011-02-28
[27] 뉴스 Set from 'Seediq Bale' in Linkou will open to public http://www.taipeitim[...] 2011-02-28
[28] 뉴스 Filming of Sediq resistance epic completed http://www.taipeitim[...] 2011-02-28
[29] 뉴스 Seediq uprising epic to hit theaters this fall: Wei Te-sheng http://www.taipeitim[...] 2011-02-28
[30] 웹사이트 Crew http://www.seediqbal[...]
[31] 뉴스 魏德聖:賽德克純正臺灣片-監製黃志明已去函 要求威尼斯影展更正 http://www.libertyti[...] 自由電子報 2011-09-04
[32] 뉴스 中国媒体猛批臺湾电影《赛德克巴莱》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3-05-21
[33] 뉴스 《賽德克•巴萊》定檔5月10日 上映154分鐘國際版 http://www.m1905.com[...] 新京報 2012-04-17
[34] 뉴스 Machismo, Obtained via Machete http://movies.nytime[...] 2012-11-25
[35] 뉴스 Epic War Film "Seediq Bale" Premieres in Beijing http://www.chinesefi[...] 2012-05-07
[36] 뉴스 《赛德克•巴莱》首映 陈国富:有灵魂的大片 http://yule.sohu.com[...] 2012-05-07
[37] 뉴스 《赛德克•巴莱》删节2小时 网友惋惜少了文化味 http://www.chinataiw[...] 2012-05-08
[38] 논문 Korean Audiences' Attitude toward Wei Te-sheng Films 2016-09
[39] 뉴스 A Taiwan blockbuster: Blood-stained rainbow http://www.economist[...] 2011-09-17
[40] 웹사이트 Taiwanese Film Stirs Romantic Nationalism http://blogs.the-ame[...] 2011-09-17
[41] 뉴스 最先亮相华语参赛片《赛德克•巴莱》遭冷场——嗜杀,不能成就一部史诗片 http://newspaper.jfd[...] 新闻晨报
[42] 뉴스 《賽德克》反動思想 中國網友好想看 http://showbiz.china[...] 2013-05-20
[43] 웹사이트 Warriors of the Rainbow: Seediq Bale https://www.variety.[...] 2011-09-01
[44] 간행물 Warriors of the Rainbow: Seediq Bale The Austin Chronicle 2012-04-27
[45] 웹사이트 Warriors of the Rainbow: Seediq Bale: Venice Film Review https://www.hollywoo[...] 2011-09-01
[46] 웹사이트 Warriors of the Rainbow: Seediq Bale (2011) http://www.gluedtoth[...] Glued to the Seat 2011-09-16
[47] 논문 寫在激情過後--《賽德克巴萊》 2011-10
[48] 논문 Gaya魔咒下的男性復仇--賽德克巴萊評析 2011-10
[49] 웹사이트 后殖民主义视域下的《赛德克•巴莱》[''Seediq Bale'' in Postcolonial Scope] http://i.mtime.com/a[...] 2011-12-03
[50] 웹사이트 《賽德克-巴萊》的困惑 http://big5.huaxia.c[...] 北京晚報 2012-05-16
[51] 웹사이트 自由,才是文明的核心 [Freedom is the Core of Civilization] http://www.nbweekly.[...] 南都周刊 [Southern Metropolis Weekly] 2012-05-29
[52] 블로그 英雄、英雄崇拜及其反命題-dakis-pawan郭明正《真相%E2%80%A7巴/ 英雄、英雄崇拜及其反命題: Dakis Pawan郭明正《真相‧巴萊》周序
[53] 블로그 1902.人止關之役
[54] 서적 真相·巴萊 台北:遠流 2010
[55] 문서 Kuo's book. Page 170
[56] 뉴스 屠村殺26婦孺「莫那魯道不是英雄」 http://www.appledail[...] 2012-11-21
[57] 뉴스 'Seediq Bale' and pride in Taiwan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2-03-08
[58] 방송 『賽德克‧巴萊』族人怎麼看?
[59] 백과사전 Frontier Guard Line http://taiwanpedia.c[...] 2012-11-22
[60] 문서 第 91 場 《賽德克•巴萊》所說/沒說的台灣原住民:原住民觀點
[61] 방송 太陽旗下的傷痕
[62] 뉴스 「賽德克」血腥殺戮 反給壞印象 2011-09-16
[63] 방송 영화「賽德克‧巴萊」Utux祖靈信仰、Gaya與獵首
[64] 뉴스 殺來殺去?《賽》片出草多  族人要魏德聖交待清楚! 2011-09-26
[65] 웹사이트 'Seediq Bale' to vie for Oscars' best foreign film http://focustaiwan.t[...] 2011-09-07
[66] 웹사이트 63 Countries Vie for 2011 Foreign Language Film Oscar http://www.oscars.or[...] 2011-10-14
[67] 웹사이트 魏德聖の物語  侯映竹 http://web.thu.edu.t[...] 2020-05-13
[68] 웹사이트 資金援助も話題に 「セデック・バレ」で台湾先住民演じたビビアン・スー https://eiga.com/new[...] 映画.com 2013-04-10
[69] 웹사이트 大阪アジアン映画祭コンペティション部門 受賞結果一覧 http://www.oaff.jp/2[...]
[70] 웹사이트 부산국제영화제 공식홈페이지 영화소개 http://www.biff.k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