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온지 긴쓰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온지 긴쓰네는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으로, 1179년에 관직을 시작하여 1244년 사망했다. 그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인척 관계를 통해 가마쿠라 막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3대 쇼군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암살 후 외손자를 쇼군으로 옹립하는 데 기여했다. 조큐의 난 때는 막부에 정보를 제공하여 승리에 기여했으며, 이후 태정대신에 올라 조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닌지 3년의 정변을 통해 고사가 천황을 즉위시키는 등 조정 인사를 조종했으며, 지묘인통이 막부와 가까운 관계를 맺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는 많은 장원과 송과의 무역으로 사치를 누렸으나, 막부에 추종하며 사욕을 채우는 간신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도 받았다. 그의 와카는 신칙선화가집과 오구라 백인일수에 수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71년 출생 - 알폰소 9세
알폰소 9세는 레온 왕국의 왕으로, 카스티야 왕국과의 갈등 속에서 코르테스 소집, 살라망카 대학교 설립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사후 그의 아들 페르난도 3세가 레온과 카스티야 왕국을 통합했다. - 1171년 출생 - 프랑스의 아녜스
프랑스의 공주 아녜스는 비잔티움 제국 황제 알렉시우스 2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나, 권력 찬탈로 인해 안드로니코스 1세와 강제로 결혼한 후 테오도르 브라나스와 재혼하며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1244년 사망 - 야율초재
야율초재는 금나라 출신 거란족 유학자로 칭기즈 칸과 오고타이 칸을 섬기며 몽골 제국의 통치 시스템 구축, 정복지 세금 징수, 유학 장려 등을 통해 제국 발전에 기여했다. - 1244년 사망 - 이심전
이심전은 역사에 능통한 진사 출신 역사학자로서 『건염이래계년요록』 편찬에 참여했으나, 그의 역사 서술은 사천 지역을 중시하고 동남 지역을 경시하는 편향성을 보여 진보 역사학계로부터 객관적인 역사 연구를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사이온지가 - 사이온지 긴모치
사이온지 긴모치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공작 작위를 받았으며 두 차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고, 마지막 원로로서 일본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자유주의적 사상을 바탕으로 입헌정치 확립을 추구, 파리 강화 회의 수석 전권대사로 활동했다. - 사이온지가 - 사이온지 하치로
일본 화족이자 공작인 사이온지 하치로는 모리 모토노리의 아들이자 사이온지 긴모치의 양자로, 궁내성에서 쇼와 천황을 보좌하며 '고등 건달'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나, 공작위 계승 후 장남의 사건으로 가독을 박탈당했다.
사이온지 긴쓰네 | |
---|---|
기본 정보 | |
씨명 | 사이온지 |
이름 | 긴쓰네 |
다른 이름 | 이치조 입도 태상국 사이온지 |
시대 | 헤이안 시대 말기 - 가마쿠라 시대 전기 |
출생 | 조안 원년 ( 1171년) |
사망 | 간겐 2년 8월 29일 (1244년 10월 2일) |
관위 | 종1위, 태정대신 |
주인 | 다카쿠라 천황 안토쿠 천황 고토바 천황 쓰치미카도 천황 준토쿠 천황 주쿄 천황 고호리카와 천황 시조 천황 고사카 천황 |
씨족 | 사이온지 가문 |
부모 | 아버지: 후지와라노 사네무네 어머니: 지묘인 모토이에의 딸 |
형제자매 | 산조 기미사다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의 부인 사이온지 긴쓰네 기미나가 후지와라노 긴나카 기미아키 후지와라노 다카타다의 부인 후지와라노 기미쿠니의 부인 |
배우자 | 이치조 젠시 ( 이치조 요시야스의 딸) 승려 한가의 딸 다이라노 지카무네의 딸 미나모토노 사네자이의 어머니 미나모토노 마사요리의 딸 |
자녀 | 린시 사네우지 이치조 사네요시 도인 사네오 도유 요쓰지 사네후지 사네자이 딸 세이시 사네미 사네스케 손에 사네아키라 교안 지조 사네카쓰 산조 사네치카의 부인 가시 기미코 |
![]() | |
기타 정보 | |
신 36가선 | 신 36가선 |
2. 경력
겐큐 9년(1198년), 종3위 산기에 취임하여 공경의 반열에 올랐다. 쇼지 2년(1200년) 겸 에치젠 곤노카미, 겐닌 원년(1201년) 정3위, 겐닌 2년(1202년) 권중납언, 겐닌 3년(1203년) 종2위에 오르고 우에몬노카미, 사에몬노카미를 겸임했다. 겐큐 3년(1206년) 중납언, 겐에이 2년(1207년) 정2위 권대납언, 조겐 5년(1211년) 겸 중궁대부(같은 해 사임), 겐포 6년(1218년) 대납언이 되어 동궁대부를 겸했다.[2]
긴쓰네의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가마쿠라 막부와의 관계, 조정 장악과 권력 강화, 닌지 3년의 정변, 후지와라씨 내부 권력 투쟁, 만년과 죽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항목을 참조.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지쇼 3년(1179년) 종5위 상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치며 빠르게 승진했다. 요와 원년(1181년) 시종, 주에이 2년(1183년) 정5위 하, 분지 원년(1185년) 에치젠 곤노스케, 좌소장, 분지 2년(1186년) 빈젠노스케, 분지 3년(1187년) 종4위 하, 분지 5년(1189년) 사누키 곤노스케, 겐큐 원년(1190년) 정4위 하, 겐큐 4년(1193년) 좌중장, 겐큐 7년(1196년) 구란도노토 등 요직을 역임했다.[2]2. 2. 가마쿠라 막부와의 관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자매와 이치조 요스케 사이에 태어난 딸을 아내로 맞이하고, 자신도 요리토모가 후하게 대우한 다이라노 요리모리의 증손이었기 때문에, 가마쿠라 막부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2] 1219년 3대 쇼군 미나모토노 사네토모가 암살된 후, 외손자 구조 요리쓰네를 쇼군 후계자로 옹립하는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2]1221년 조큐의 난 때 고토바 상황에 의해 유폐되었지만, 사전에 난의 정보를 막부에 알려 승리에 기여했다. 난 이후에는 막부와의 유착을 강화하여 태정대신에 오르고, 종1위까지 승진했다. 사위 구조 미치이에와 함께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고, 간토 신지에 취임하여 막부와 조정 사이의 조정에도 힘썼다.[3]
시조 천황이 사망하고 황위 계승 문제가 발생하자, 미치이에 등은 순토쿠 천황의 아들 주나리 왕을 옹립하려 했지만, 막부는 조큐의 난 관련자인 순토쿠 천황 아들의 옹립에 반대했다. 막부는 난에 소극적이었던 쓰치미카도 천황의 아들 구니히토 왕의 옹립을 지지했고, 이에 공경은 즉시 친척인 시조 다카치카의 저택에 구니히토 왕을 맞아들여 고사가 천황으로 즉위시켰다(닌지 3년의 정변).
이후, 손녀이자 적남 사이온지 사네우지의 딸 사이온지 기시를 고사가 천황의 황후로 삼고, 1243년에는 기시 소생의 히사히토 친왕(훗날의 고후카쿠사 천황)을 황태자로 삼았다. 이후, 사이온지 가문에서 황후를 배출하는 관례가 시작되었고, 지묘인통(고후카쿠사 천황의 계보)이 막부와 가까운 관계를 맺는 계기가 되었다.
많은 장원과 송과의 무역으로 막대한 수입을 올렸지만, 막부에 추종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4]
2. 3. 조정 장악과 권력 강화
조큐의 난 이후 가마쿠라 막부와의 유착을 강화하여 1221년 내대신(51세)이 되었고, 1222년에는 태정대신에 올랐다. 이듬해 1223년 종1위에 오르고(같은 해 태정대신 사임), 사위인 구조 미치이에와 함께 조정의 실권을 장악했다.[2] 또한, 간토 신지에 취임하여 막부와 조정 사이의 조정 역할도 수행했다.2. 4. 닌지 3년의 정변 (1242년)
시조 천황이 닌지 3년(1242년)에 붕어하자 황위 계승 문제가 제기되었다. 미치이에 등은 순토쿠 천황의 황자인 충성왕을 옹립하려 했지만, 막부는 조큐의 난 관계자인 순토쿠의 황자 옹립에 반대하며, 난에 소극적이었던 쓰치미카도 천황의 황자인 방인왕의 옹립을 지지했다. 긴쓰네는 이 상황을 보고, 즉시 친척인 시조 다카치카의 저택에 방인왕을 맞아 고사 천황으로 즉위시켰다(닌지 3년의 정변).[2]정무나 인사의 방침을 둘러싸고 미치이에와 불화했지만, 미치이에의 딸 사위인 간파쿠고노에 가네쓰네를 사임시키고, 미치이에와 불화하여 긴쓰네가 양육했던 미치이에의 차남 니조 요시자네를 그 후의 섭관으로 앉히는 등 조정 인사를 마음대로 조종했다. 더욱이 손녀(적남 사네우지의 딸) 사이온지 기시를 고사 천황의 주궁으로 삼고, 간겐 원년(1243년)에는 기시 소생의 구니 친왕(후의 고후카쿠사 천황)을 황태자로 삼았다. 이후, 사이온지가에서 중궁을 내는 관례의 선구자가 됨과 동시에, 지묘인통 (고후카쿠사 천황의 계보)이 막부와 가까운 관계를 맺는 계기가 되었다.[3]
2. 5. 후지와라 씨 내부 권력 투쟁
조큐의 난 이후 막부와 유착을 강화하여 구조 미치이에와 함께 조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간토 신지에 취임하여 막부와 조정 사이의 조정에도 힘썼다.[2]미치이에의 외손인 시조 천황이 닌지 3년(1242년)에 붕어하자 황위 계승 문제가 제기되었는데, 미치이에 등은 순토쿠 상황의 황자인 다다나리 왕을 옹립하려 했지만, 막부는 조큐의 난 관계자인 순토쿠의 황자 옹립에 반대했다. 막부는 난에 소극적이었던 쓰치미카도 상황의 황자인 구니히토 왕의 옹립을 지지했고, 긴쓰네는 이 상황을 보고 즉시 친척인 시조 다카치카의 저택에 구니히토 왕을 맞아 고사가 천황으로 즉위시켰다(닌지 3년의 정변).[3]
정무나 인사의 방침을 둘러싸고 미치이에와 불화했지만, 미치이에의 딸 사위인 관백 고노에 가네쓰네를 사임시키고, 미치이에와 불화하여 긴쓰네가 양육했던 미치이에의 차남 니조 요시자네를 그 후의 섭관으로 앉히는 등 조정 인사를 마음대로 조종했다. 더욱이 손녀(적남 사네우지의 딸) 사이온지 기시(기시)를 고사가 천황의 중궁으로 삼고, 겐겐 원년(1243년)에는 기시 소생의 히토히토 친왕(후의 고후카쿠사 천황)을 황태자로 삼았다. 이후, 사이온지가에서 중궁을 내는 관례의 선구자가 됨과 동시에, 지묘인통 (고후카쿠사 천황의 계보)이 막부와 가까운 관계를 맺는 계기가 되었다.[4]
2. 6. 만년과 죽음
겐겐 2년(1244년) 8월 29일에 훙거하였다. 향년 74세였다.[3]많은 장원과 송과의 무역으로 막대한 수입을 거두어 호화로운 생활을 하였으나, 막부에 추종하여 자신의 안위와 사욕을 채우는 데 급급했던 간신이라는 평가도 있다.[4] 다이라노 쓰네타카는 자신의 일기에 "세상의 간신"이라고 기록하였다.
3. 와카
사이온지 긴쓰네는 오구라 백인일수에서 入道前太政大臣|뉴도사키노다이죠다이진|입도전태정대신일본어으로 불린다. 그의 대표적인 와카는 다음과 같다.
:花さそふ嵐の庭の雪ならでふりゆくものはわが身なりけり|하나사소후 아라시노 니와노 유키나라데 후리유쿠모노와 와가미나리케리|세찬 바람에 벚꽃잎 흩날리네 지는 것은 눈송이가 아니라 바로 이 몸일세일본어
3. 1. 신칙선화가집과 오구라 백인일수
그의 와카는 《신칙선화가집》에 수록되었으며, 《오구라 백인일수》에도 채택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오구라 백인일수》에서 그는 入道前太政大臣|뉴도사키노다이죠다이진|입도전태정대신일본어으로 불린다. 대표적인 와카는 다음과 같다.:花さそふ嵐の庭の雪ならでふりゆくものはわが身なりけり|하나사소후 아라시노 니와노 유키나라데 후리유쿠모노와 와가미나리케리|꽃을 부르는 폭풍우 속 정원의 눈이 아니라 떨어져 가는 것은 바로 나의 몸이로구나일본어
4. 계보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후지와라노 사네무네 | |
어머니 | 지묘인 모토이에의 딸 | |
정실 | 이치조 요스의 딸 이치조 젠시 | |
첩 | 승려 한가(範雅)의 딸 | |
첩 | 다이라노 지나무네의 딸 | |
첩 | 시라뵤시 | 사네자이 모친, 본래 다이라노 친키요의 첩 |
첩 | 미나모토노 마사요리의 딸 | |
장녀 | 사이온지 린시 | 구조 미치이에의 정실, 구조 노리자네, 니조 요시자네, 후지와라노 요리쓰네, 이치조 사네쓰네의 모친, 종1위 준삼후[5] |
장남 | 사이온지 사네우지 | |
차녀 | (이름 미상) | [6] |
차남 | 이치조 사네아리 | 시미즈다니 가 |
3남 | 도인 사네오 | |
4남 | 요쓰지 사네후지 | |
5남 | 사이온지 사네자이 | |
3녀 | 사이온지 나리코 (대납언 이위국) | 고후카쿠사 천황의 비 |
기타 자녀 | 사네이, 사네스케, 손에, 도유, 사네아키, 교안, 지조, 사네카츠[7], 산조 사네치카의 처, 사이온지 요시코, 사이온지 기시(대납언 삼위국) | 사네카츠를 제외한 나머지는 생모 불명. 사이온지 요시코는 구조 노리자네의 처(종3위). 사이온지 기시는 고사가 천황의 비. |
4. 1. 부모
- 부친: 후지와라노 사네무네(1145-1214)
- 모친: 지묘인 모토이에의 딸 (?-1216)
4. 2. 처와 자녀
- 정실: 이치조 요스의 딸 이치조 젠시(?-1227)
- * 딸: 사이온지 린시(1192-1252) - 구조 미치이에의 정실, 구조 노리자네, 니조 요시자네, 후지와라노 요리쓰네, 이치조 사네쓰네의 모친, 종1위 준삼후[5]
- * 아들: 사이온지 사네우지(1194-1269)
- * 딸 (?-1227)[6]
- 처: 승려 한가(範雅)의 딸
- * 아들: 이치조 사네아리(1203-1260) - 시미즈다니 가[5]
- 처: 다이라노 지나무네의 딸
- * 아들: 도인 사네오(1219-1273)
- 처: 시라뵤시 - 사네자이 모친, 본래 다이라노 친키요의 첩
- * 넷째 아들: 요쓰지 사네후지(1227-1298)
- * 다섯째 아들: 사이온지 사네자이(1229-1267)
- * 딸: 사이온지 나리코 (대납언 이위국) - 고후카쿠사 천황의 비
- 처: 미나모토노 마사요리의 딸
- 생모 불명의 자녀
- * 아들: 사네이
- * 아들: 사네스케
- * 아들: 손에
- * 아들: 도유 (1224-1281)
- * 아들: 사네아키
- * 아들: 교안
- * 아들: 지조
- * 아들: 사네카츠[7]
- * 딸: 산조 사네치카의 처 (?-1235)
- * 딸: 사이온지 요시코 - 구조 노리자네의 처, 종3위
- * 딸: 사이온지 기시(대납언 삼위국) - 고사가 천황의 비
5. 평가
사이온지 긴쓰네는 많은 장원과 송과의 무역으로 막대한 수입을 얻어 호화로운 생활을 누렸다. 처세술은 뛰어났지만, 가마쿠라 막부에 추종하여 자신의 보신과 사욕을 채우는 데 급급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이라노 쓰네타카는 자신의 일기 헤이도키에 "세상의 간신"이라고 기록했다.[4]
5. 1. 긍정적 평가
花さそふ嵐の庭の雪ならでふりゆくものはわが身なりけり일본어그는 오구라 백인일수에서 입도전태정대신으로 불린다. 신칙선화집 13:1054에 수록된 그의 96번째 시는 다음과 같다.
- 꽃을 부르는 폭풍우 속 정원의 눈이 아니라 떨어져 가는 것은 바로 나의 몸이구나
5. 2. 부정적 평가
가마쿠라 막부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자신의 보신과 욕심을 채우는 데 급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4] 다이라노 쓰네타카는 자신의 일기 헤이도키에 긴쓰네의 죽음에 대해 "세상의 간신"이라고 기록했다.[4]참조
[1]
웹사이트
Saionji Kintsune • . A History . . of Japan . 日本歴史
https://historyofjap[...]
2022-12-29
[2]
서적
史伝 北条義時
小学館
[3]
서적
北条重時
吉川弘文館
[4]
서적
鎌倉時代 その光と影
[5]
서적
平安朝の女性と政治文化 宮廷・生活・ジェンダー
明石書店
[6]
서적
平安の春
[7]
문서
三宝院伝法血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