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모토 세이이치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카모토 세이이치로는 일본의 부라쿠민 출신으로, 전국수평사 창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사이코 만키치, 고마이 기사쿠와 함께 전국수평사를 결성하고, '수평사'라는 이름을 제안했다. 그는 부라쿠 운동에서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며 활동하다가, 군국주의 시기에는 국가주의에 경도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부락 해방 동맹과 대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사회 운동 - 사이코 만키치
사이코 만키치는 일본의 피차별 부락 출신 화가이자 사회 운동가로, 수평사 창립을 주도하여 차별 철폐를 주장했으나, 사상 전향 후 국수주의 성향을 보였고, 전후에는 반전 운동에 참여했으며, 만년에는 화가로 활동했다. - 일본의 사회 운동 - 고마이 기사쿠
고마이 기사쿠는 일본의 사회 운동가로, 전국수평사 결성에 참여하여 수평사 선언을 낭독하고 중앙집행위원을 맡았으며, 스이고쿠 사건으로 수감된 후 살인 사건으로 복역하다가 위암으로 사망했다. - 1892년 출생 - 제임스 M. 케인
제임스 M. 케인은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 저널리스트로, 《우편배달부는 두 번 벨을 울린다》, 《이중 배상》 등의 필름 누아르 스타일 소설로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 작가 연맹 설립 운동에도 참여했다. - 1892년 출생 - 줄리아 페이
줄리아 페이는 무성 영화와 유성 영화 시대에 활동한 미국의 배우로, 특히 세실 B. 드밀 감독의 영화에 다수 출연하여 《십계》에서 네페르타리와 엘리셰바 역을 맡았으며, 영화 산업에 기여한 공로로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이름을 올렸다. - 1987년 사망 - 유원식 (군인)
유원식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장을 역임했으며, 박정희의 권유로 군사정변에 참여하여 경제 개혁을 주도했으나 김종필과의 갈등으로 실각하고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1987년 사망 - 이병철
대한민국 기업인인 이병철은 삼성그룹의 창업주로, 무역업을 시작으로 제조업, 전자산업, 금융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사카모토 세이이치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사카모토 세이이치로 |
원어 이름 | 坂本清一郎 |
로마자 표기 | Sakamoto Seiichirō |
출생 | 1912년 1월 28일 |
사망 | 1996년 1월 20일 (향년 83세) |
출생지 | 일본 히로시마현 |
사망지 | 일본 |
국적 | 일본 |
직업 | 기업인, 정치인 |
학력 | |
모교 | 게이오기주쿠 대학 경제학부 |
경력 | |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
정계 입문 | 1963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 (구 히로시마 1구) |
의원 활동 | 중의원 의원 (9선) |
주요 직책 | 운수대신 자유민주당 총무 |
기타 활동 | 일한의원연맹 회장 |
수상 | |
훈장 | 훈1등 욱일대수장 |
2. 경력
1920년 일본 사회주의 동맹에 사이코 만키치와 함께 가맹했다.[2] 1922년 전국수평사 창립 대회에서 창립자 중 한 명으로서 경과 보고를 하고, '수평사' 명칭을 고안했다. 중앙 집행 위원으로서 각 지방 수평사 창립을 돕고, 차별 규탄 투쟁을 지도했다.[2]
이후 운동 내에서 중간적인 입장을 취하며 조직의 중재 역할을 했다. 1927년 노동농민당 중앙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29년 와키가미촌 의원에 당선되었다.
사이코 만키치와 함께 대일본국가사회당에 들어가 국가주의에 경도됨과 동시에 경제 갱생 운동과 협동조합 운동에 관여했다.
전후 부락 해방 동맹 중앙 위원이 되었으나,[3] 부락 해방 동맹과 전국수평사 출신자 간의 대립이 심화되자, 1965년 키무라 쿄타로 등과 함께 가시면류관의 모임을 결성하고, 1975년 키타하라 타이사쿠 등과 국민 융합을 도모하는 부락 문제 전국 회의를 결성하여 부락 해방 동맹과 대립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나라현 미나미가쓰라기 군(南葛城郡) 와키가미 촌(掖上村, 오늘날의 고세시)에서 지주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출신지는 일본 내에서 에타(穢多) 또는 히닌(非人)이라 불리는 피차별부락이었다.[16][17] 할아버지 사카모토 세이고로(阪本清五郎)는 에타 신분의 쇼야(庄屋)였고,[16][17] 야마토 동지회(大和同志会) 회장이었던 마쓰이 쇼고로(松井庄五郎)는 그의 친척이었다.[18]사이코 만키치(西光万吉), 고마이 기사쿠(駒井喜作)와는 같은 고향 출신으로, 이들은 전국수평사 창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으며 '가시하라의 세 청년'으로 불렸다. 사카모토가 가장 나이가 많았고, 세 살 아래인 사이코, 사이코보다 두 살 아래인 고마이 순이었다. 이들 세 명의 생가는 사이코 만키치의 출생지인 사이코지를 기점으로 사이코지 절 문 앞에 고마이 기사쿠의 생가, 절의 동쪽으로 사카모토의 본가인 쇼야 가옥, 그리고 그 동쪽으로 사카모토의 생가가 인접해 있었다.
1907년 나라 시립 상업학교에 입학했으나, 폐교로 인해 오사카시의 성기상업학교로 전학하여 졸업했다.[2] 1909년에는 가시와라에 청년공화단을 조직하여 부락의 생활 개선에 힘썼다.[2]
가업이었던 아교 제조업을 잇기 위해 도쿄 공과학교(東京工科学校, 지금의 일본공업대학)에서 화학을 배우러 상경하였다.[2][6] 도쿄에서는 같은 고향 출신인 사이코 만키치와 하숙을 함께 했으며, 야마카와 히토시, 사카이 토시히코, 오스기 사카에 등을 방문하여 그들의 영향을 받았다.[2] 1919년경에 사이코, 고마이 기사쿠 등과 함께 가시와라에 연회를 결성하여 촌정 개혁에 나섰다.[2]
2. 2. 전국수평사 창립과 활동
1922년 사이코 만키치, 고마이 기사쿠 등과 함께 전국수평사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가시하라의 세 청년'으로 불렸으며, 사카모토 세이이치로는 이들 중 맏형 역할을 했다. 세 사람의 생가는 사이코 만키치의 출생지인 사이코지를 중심으로 인접해 있었다.[16][17][18] 전국수평사 창립 대회에서 사카모토 세이이치로는 경과 보고를 했다.[2] "수평사"라는 이름을 고안한 것도 사카모토 세이이치로였다. 그는 중앙 집행 위원으로서 각 지방 수평사의 창립을 돕고, 차별 규탄 투쟁을 지도했다.[2]사카모토 세이이치로는 전국수평사 운동 내에서 중간적인 입장을 취하며 조직의 중재 역할을 했다. 이 무렵 1927년에 노동농민당의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29년 와키가미 촌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일본의 군국주의가 심화되면서 수평사 활동도 점차 극우로 기울었다. 사카모토 세이이치로는 투옥 후 전향서를 쓰고 풀려난 사이코 만키치와 함께 대일본국가사회당에 들어가 국가주의에 경도되는 한편, 경제재생운동이나 협동조합 운동에도 관여하였다.
패전 후, 부락 해방 동맹의 중앙위원이 되었지만, 부락해방동맹과 수평사 출신자 간의 파벌 대립이 심각해졌다. 1965년에 기무라 교타로 등과 함께 가시면류관의 모임(荊冠友の会)을 결성,[3] 1975년 기타하라 다이사쿠 등과 함께 국민융합을 도모하는 부락문제전국회의(国民融合をめざす部落問題全国会議)를 결성해 해방동맹과 대립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2. 3. 중도적 입장과 정치 활동
1922년 전국수평사(全国水平社) 결성 당시 사카모토 세이이치로는 '수평사'라는 명칭을 고안했다.[16] 이후 부라쿠 운동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하며 조직의 중재 역할을 맡았다. 1927년 노동농민당(労働農民党)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29년 와키가미 촌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17]하지만 일본의 군국주의 심화와 함께 수평사 활동도 점차 극우화되었다. 사카모토는 투옥 후 전향서를 쓰고 풀려난 사이코 만키치와 함께 대일본국가사회당(大日本国家社会党)에 들어가 국가주의에 경도되었고, 경제재생운동 및 협동조합 운동에도 관여했다.
패전 후, 부락 해방 동맹(部落解放同盟) 중앙위원이 되었으나, 부락해방동맹과 수평사 출신자 간 파벌 대립이 심화되었다. 1965년 기무라 교타로(木村京太郎) 등과 함께 가시면류관의 모임(荊冠友の会)을 결성했고, 1975년 기타하라 다이사쿠(北原泰作) 등과 국민융합을 도모하는 부락문제전국회의(国民融合をめざす部落問題全国会議)를 결성하여 해방동맹과 대립했다.[18]
2. 4. 국가주의 경도와 해방 이후
일본의 군국주의가 심화되면서 수평사 활동도 점차 극우로 기울었고, 투옥되었다가 전향서를 쓰고 풀려난 사이코 만키치와 함께 대일본국가사회당에 들어가 국가주의에 경도되는 한편, 경제재생운동이나 협동조합 운동에도 관여하였다.[2] 패전 후 부락해방동맹의 중앙위원이 되었지만,[3] 그 뒤 부락해방동맹과 수평사 출신자 간의 파벌 대립이 심각해졌다. 1965년 기무라 교타로 등과 함께 가시면류관의 모임(荊冠友の会)을 결성하고,[2] 1975년 기타하라 다이사쿠 등과 함께 국민융합을 도모하는 부락문제전국회의(国民融合をめざす部落問題全国会議)를 결성해 해방동맹과 대립하는 움직임을 보였다.[2]2. 5. 말년
1965년 기무라 교타로(木村京太郎) 등과 함께 가시면류관의 모임(荊冠友の会)을 결성했고, 1975년 기타하라 다이사쿠(北原泰作) 등과 함께 국민 융합을 도모하는 부락 문제 전국 회의(国民融合をめざす部落問題全国会議)를 결성해 부락해방동맹과 대립하는 움직임을 보였다.[16][17][18]1970년대에는 동대부락연(東大部落研)의 만행을 듣고 "수평 운동은 인간을 존경함으로써 스스로 해방되려는 자의 집단 운동이었다. 아무렇지도 않게 사람을 죽이는 살인자 같은 집단에 부락 해방을 입에 올릴 자격은 없다."라고 하였다.[19][20][21]
3. 가족 및 친족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사카모토 세이고로(阪本清五郎) | 에타 신분의 쇼야(庄屋)[16][17] |
부친 | 사카모토 세이자부로(阪本清三郎) | 아교 제조, 사카모토 아교 제조장 대표 |
처 | 카즈에(数枝) | 오사카 출신, 나카이 토시스케(中井利助)의 차녀[11] |
사촌 형 | 사카모토 기요토시(阪本清俊) | 융화 운동가, 야마토 동지회 부회장, 미나미카쓰라기 군 의원[19] |
처의 형 | 나카이 토시스케(中井利助) | 아교 제조업, 지주 |
친척 | 나카이 토시노스케(中井利之助) | 나니와 화학공업 사장 |
친척 | 마쓰이 쇼고로(松井庄五郎)[12] | 융화 운동가, 야마토 동지회 회장 |
친척 | 요네다 쇼타로(米田庄太郎) | 일본의 사회학자, 처 카즈에의 친척[13][20] |
4. 평가
사카모토 세이이치로는 일본 나라현 미나미가쓰라기 군(오늘날의 고세시) 출신의 피차별부락민으로, 전국수평사 창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사이코 만키치, 고마이 기사쿠와 더불어 '가시하라의 세 청년'으로 불리며, 부라쿠 해방 운동을 주도했다.[16][17][18]
어린 시절부터 사이코 만키치와 형제처럼 친밀하게 지냈으며,[6] 도쿄에서 함께 기거하며 독서와 토론을 하였다.[6] "수평사"라는 명칭을 고안한 인물도 바로 사카모토 세이이치로였다. 그는 부라쿠 운동에서 중도적 입장을 견지하며 조직 내 중재자 역할을 담당했다.
1927년에는 노동농민당 중앙위원, 1929년에는 와키가미 촌의회 의원으로 선출되는 등 정치 활동에도 적극 참여했다. 그러나 일본 군국주의가 강화되면서 수평사 활동 역시 극우적 성향으로 변질되었고, 사카모토 세이이치로는 사이코 만키치와 함께 대일본국가사회당에 입당하여 국가주의에 경도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해방 이후 부락해방동맹 중앙위원을 역임했으나, 부락해방동맹과 수평사 출신 인사들 간의 파벌 갈등이 심화되자, 1965년에는 기무라 교타로 등과 함께 가시면류관의 모임을 결성했고, 1975년에는 기타하라 다이사쿠 등과 함께 국민융합을 지향하는 부락문제전국회의를 결성하여 해방동맹과 대립각을 세웠다.
1970년대 동대부락연의 만행을 전해 듣고는 "수평 운동은 인간 존경을 통해 스스로 해방되고자 하는 사람들의 집단 운동이었다. 사람을 아무렇지 않게 죽이는 살인자 집단에게 부락 해방을 말할 자격은 없다"라며 강하게 비판했다.[7][21]
부락 해방 운동가 기무라 쿄타로는 자신의 저서에서 사카모토 세이이치로를 나라현 피차별 부락 출신으로 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언급했다.[1]
참조
[1]
간행물
部落(43)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4-12-04
[2]
간행물
日本社会運動人名辞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4-12-07
[3]
웹사이트
阪本 清一郎とは
https://kotobank.jp/[...]
2018-06-09
[4]
서적
水平社運動の思い出
[5]
서적
証言・全国水平社
日本放送出版協会
1985
[6]
간행물
西光万吉著作集 第1巻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4-12-08
[7]
서적
資料集 怒りと友情のスクラム
部落問題研究所
[8]
서적
同和教育の歴史的研究
[9]
간행물
帝国信用録 第32版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0-08-31
[10]
간행물
全国工場通覧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1-12-21
[11]
논문
阪本数枝にみる水平社とジェンダー
http://dlisv03.media[...]
大阪市立大学
2024-12-08
[12]
서적
水平社運動の思い出
[13]
서적
時に聴く: 反骨対談
[14]
서적
水平社運動の思い出
[15]
서적
証言・全国水平社
日本放送出版協会
1985
[16]
문서
[17]
서적
同和教育の歴史的研究
[18]
서적
水平社運動の思い出
[19]
웹사이트
코토뱅크 - 사카모토 세이이치로(일본어)
https://kotobank.jp/[...]
[20]
서적
時に聴く: 反骨対談
[21]
서적
資料集 怒りと友情のスクラム
部落問題研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