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코 만키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코 만키치는 일본의 부라쿠 출신으로, 전국수평사 창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사회 운동가이자 화가이다. 그는 차별받는 부라쿠민의 해방을 위해 활동했으며, 1922년 전국수평사 창립을 주도하고 수평사 선언을 발표했다. 이후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나 전향하여 국가주의, 극우 운동에 가담하기도 했다. 그는 1970년 사망했으며, 그의 생애는 부라쿠 해방 운동에 대한 헌신과 사상적 변모라는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사회 운동 - 사카모토 세이이치로
    일본의 사회운동가 사카모토 세이이치로는 전국수평사 창립에 참여하여 '수평사'라는 이름을 짓고 중앙 집행 위원으로 활동하며 부락 해방 운동을 이끌었으나, 군국주의 시기에 국가주의로 전향 후 패전 후 다시 부락 해방 운동에 참여하며 부락 해방 동맹과 대립했다.
  • 일본의 사회 운동 - 고마이 기사쿠
    고마이 기사쿠는 일본의 사회 운동가로, 전국수평사 결성에 참여하여 수평사 선언을 낭독하고 중앙집행위원을 맡았으며, 스이고쿠 사건으로 수감된 후 살인 사건으로 복역하다가 위암으로 사망했다.
  • 일본의 기독교인 - 하토야마 이치로
    하토야마 이치로는 15선 중의원 의원, 초대 자유민주당 총재, 제54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한 일본 정치인으로, 소련과의 국교 회복과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으나 선거구 개편 시도와 헌법 개정 추진, 과거 정치 활동과 사상 등으로 복잡한 평가를 받으며, 그의 아들과 손자 또한 일본 정계에서 활동하였다.
  • 일본의 기독교인 - 이시이 시로
    이시이 시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731부대 부대장으로서 중국인 등을 대상으로 생체 실험을 자행한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의관으로, 전후에는 전쟁 범죄 기소를 피하기 위해 미국에 생물 무기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
사이코 만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기요하라 가즈타카
원어이름西光万吉
로마자 표기Saikō Mankichi
인물 정보
국적일본
직업사회 운동가

2. 생애

일본 나라현(奈良県) 고세시(御所市)의 피차별부락(被差別部落)의 사원으로 정토진종 혼간지파(浄土真宗 本願寺派)에 속하는 사이코지(西光寺)에서 태어났다. 청년기 부라쿠민으로써 온갖 차별에 시달리며 학교를 전전하다 고향을 떠나서 화가를 지망하는 등 출신을 둘러싼 고민을 경험했던 그는 1918년 쌀 소동의 영향으로 동향 출신의 맹우인 사카모토 세이이치로(阪本清一郎, 훗날 사이코와 함께 수평사를 공동설립한다), 고마이 기사쿠(駒井喜作) 등과 함께 청년 운동, 사회 개조 운동에 몰두하였다. 이 무렵부터 많은 사회활동가들과 면회하기도 하였는데, 그 계기에 대해서 사이코 만키치는 만년에 「무슨무슨 주의자(主義者)는 부라쿠민을 차별하지 않았으니까」라는 단순한 이유였다고 술회하고 있다. 가가와 도요히코(賀川豊彦)의 사회주의 사상(크리스트교 사상), 사노 마나부(佐野学)의 공산주의 사상 등에 영향을 받아 전국수평사를 창설하기에 이른다.

1922년 2월 대일본평등회 창립대회에서 축사가 끝날 무렵 사이코 만키치는 연단에 서서 혼간지 승려의 축사 내용을 조목조목 따지며 기백 넘치는 연설을 했고, 분위기가 절정에 이르자 수평사 창립을 알리는 '삐라' 1만 장이 뿌려졌다. 대회장은 부락민들의 선전장이 된 셈이었다. 이 일로 3월 3일 교토에서 열린 수평사 창립식은 기대 이상의 성공을 거뒀고, 그 후 수평사는 대표적인 민권단체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일본의 전국수평사는 마찬가지로 조선의 피차별 신분이던 백정들이 조선형평사를 조직해 백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처우 변화에 나서는 데에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형평사와 전국수평사가 공조하기도 하였다.

사이코 만키치는 노동농민당(労働農民党), 제2차 일본 공산당에도 참가하였으나 일본의 군국주의가 갈수록 심해지는 가운데 민족주의 성향을 띠기 시작하던 조선형평사가 일제의 탄압으로 1935년 해체당하고, 사이코 만키치 자신도 3·15 사건으로 검거되어 투옥되었고, 사상 전향을 강요당하였다. 결국 사이코는 전향서를 제출하고서야 가석방되었으며, 전국수평사 역시 우익 국수주의로 기울어 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2년에는 아예 활동을 중지하였다. 국수주의에 경도된 사이코는 황국농민동맹(皇国農民同盟) 등 극우 단체를 지휘하기도 하였으며, 국가주의의 관점에서 대일본청년당(大日本青年党)과 협동하고 천황제 아래서의 부라쿠 의식(部落意識)의 해소를 도모한다는 「신생운동」(新生運動)을 일으켰다. 나아가 사카모토와 함께 이시카와 준주로(石川準十郎)의 대일본국가사회당(大日本国家社会党)에 입당해 국가사회주의 운동에도 가담하였다. 이러한 사이코 만키치의 융화주의적 자세는 「수평사」 시절의 사상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제국이 패망한 뒤, 사이코 만키치는 다시 한 번 일본의 재군비에 반대하였고 전쟁 지역 또는 빈곤 지역에 비무장집단 「화영대」(和栄隊)를 파견해 「부전화영」(不戦和栄)을 호소하였다.[8] 원자폭탄이나 수소폭탄 금지운동에도 가담하는 등 사회 운동에도 힘쓰는 것은 여전했지만, 부라쿠 문제에 관한 것은 없었고, 생애에 공적인 자리에서 부라쿠 해방운동에 투신했던 것을 포함한 자신의 반생을 회고할 기회도 없이 화가로써 여생을 보냈다.

후세에 사이코 만키치에 대한 평가는 부라쿠 해방 운동에 있어서 사이코 만키치의 수평사 선언이 주목되는 한편으로 사상 전향 뒤의 경력은 취급하지 않는 경향이 많다. 일본의 라디오 방송DJ이기도 했던 에이 로쿠스케(永六輔)는 1968년경 예능사(芸能史) 관련 취재로 사이코와 만난 적이 있는데 「혹시 당신이 그 수평사 선언을 쓰신 분이신가요?」(ひょっとしてあなたは、水平社宣言をお書きになった先生ですか)라는 질문에 사이코는 만면에 굉장히 곤혹스러워 하는 빛을 띄었다고 한다.[9]


  • 1895년(메이지 28년) - 나라현 미나미가쓰라기 군(南葛城郡) 와키가미 촌(掖上村, 지금의 고세시)의 에지(穢寺, 피차별사원)였던 정토진종 혼간지파 사이코지(西光寺)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 1901년(메이지 34년) - 와키가미 촌립 심상소학교(掖上村立尋常小学校)에 입학하였다. 어렸을 때부터 그림에 재능이 뛰어났다고 한다.
  • 1905년(메이지 38년) - 고세 고등소학교(御所高等小学校) 입학
  • 1909년(메이지 42년) - 나라 현립 우네비 중학교(畝傍中学校, 지금의 현립 우네비 고교) 입학
  • 1911년(메이지 44년) - 교토시(京都市) 헤이안 중학교(平安中学校, 지금의 류코쿠 대학龍谷大学 부속 헤이안 고교平安高校)에 편입학、이듬해 중퇴。
  • 1913년(다이쇼 2년) - 도쿄의 일본미술원(日本美術院)에서 일본화를 배우고 같은 해 일본 국민미술전람회(国民美術展覧会)에서 입상하였다.
  • 1914년(다이쇼 3년) - 니카전 입선. 이름을 자신의 생가를 따서 사이코 만키치(西光万吉)로 바꾸었다.
  • 1916년(다이쇼 5년) - 사카모토 세이이치로와 공동생활에 들어 갔다.
  • 1917년(다이쇼 6년) - 병으로 나라로 돌아옴.
  • 1919년(다이쇼 8년) - 마을에서 『흑조회』(黒潮会, 가시와바라 청년공화단柏原青年共和団)을 발기하고 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 섬으로 이주를 시도하였다. 동향인 사카모토, 고마이가 참가하였다.
  • 1920년(다이쇼 9년) - 가가와 도모히코의 초비조합(消費組合) 운동에 영향을 얻어 향리에서 사카모토가 제비 모임(燕会)을 발기하고 사이코는 초비조합부(消費組合部) 담당을 맡았다. 사회주의 동맹에 참가하였다.
  • 1921년(다이쇼 10년) - 『특수부락민해방론』(特殊部落民解放論)의 저자인 사노 마나부(佐野学)와 만나기 위해 상경하였으며 돌아온 뒤에 사카모토, 고마이와 함께 사회주의 단체인 「청년동지회」(青年同志会)를 발족하고 수평사 창립을 준비하였다.
  • 1922년(다이쇼 11년) - 오사카 시내 나카노지마 공회당(中之島公会堂)에서 개최한 대일본평등회(大日本平等会) 발회식(2월 21일)에서 수평사 창립의 취지를 널리 선전하였다. 3월 3일 교토 오카자키 공회당(岡崎公会堂)에서 전국수평사 창립대회를 열고 수평사 선언을 발표하였다.
  • 1924년(다이쇼 13년) - 일본농민조합(日本農民組合) 상임위원으로 취임해 주로 나라 현에서의 무산정당(無産政党) 조직화 활동에 나섰다.
  • 1926년(다이쇼 15년) - 노동농민당 결성에 참가해서 중앙위원으로 취임하였다.
  • 1928년(쇼와 3년) - 일본공산당에 입당하였으나 3.15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 1933년(쇼와 8년) - 공산주의에서 전향해 가석방 된 뒤에 사카모토와 함께 『가두 신문』(街頭新聞)을 발간하였으며, 언론활동과 함께 대일본국가사회당(大日本国家社会党)에 입당하였다.
  • 1939년(쇼와 14년) - 나라현 의회회원으로 보차(補欠) 당선되었다.
  • 1941년(쇼와 16년) - 주거지를 와카야마 현(和歌山県) 우치타 정(打田町, 지금의 기노카와시紀の川市)로 옮겼다.
  • 1970년(쇼와 45년) - 와카야마 적십자 병원(和歌山赤十字病院)에서 사망. 향년 76세.


전국수평사 설립의 중심 인물로, 수평사기의 의장 고안자 및 수평사 선언의 기안자로 알려져 있다. 사촌 동생인 가메모토 겐주로도 수평사에서 활동했다[2]

2. 1. 초기 생애와 차별 경험

사이코 만키치는 1895년 나라현 미나미가쓰라기 군 와키가미 촌(지금의 고세시)의 에타 절(피차별 사찰)이었던 정토진종 혼간지파 사이코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1년 와키가미 촌립 심상소학교(지금의 고세 시립 와키가미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어렸을 때부터 그림에 재능을 보였다. 1905년 고세 고등소학교에 입학, 1909년에는 나라 현립 우네비 중학교(지금의 나라현립 우네비 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1911년 교토 시 류코쿠 대학 부속 헤이안 고등학교에 편입학했으나 이듬해 중퇴했다. 1913년 도쿄의 일본 미술원에서 일본화를 배우고 같은 해 일본 국민미술전람회에서 입상하였다. 1914년에는 니카전에 입선하고, 이름을 자신의 생가를 따서 사이코 만키치(西光万吉)로 바꾸었다. 1916년 사카모토 세이이치로와 공동생활을 시작했고, 1917년 병으로 나라로 돌아왔다.

1919년 마을에서 『흑조회』(黒潮会, 가시와바라 청년공화단)을 발기하고 술라웨시 섬으로의 이주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20년 가가와 도모히코의 소비조합 운동에 영향을 받아 고향에서 사카모토가 제비 모임(燕会)을 발기하고, 사이코는 소비조합부(消費組合部) 담당을 맡았다. 또한 사회주의 동맹에 참가하였다. 1921년 『특수부락민해방론』(特殊部落民解放論)의 저자인 사노 마나부와 만나기 위해 상경하였으며, 돌아온 뒤에 사카모토, 고마이와 함께 사회주의 단체인 「청년동지회」(青年同志会)를 발족하고 수평사 창립을 준비하였다.

2. 2. 수평사 창립과 부락 해방 운동

1919년 고향에서 '흑조회'(가시와바라 청년공화단)를 발기하고, 술라웨시 섬 이주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가가와 도요히코의 소비 조합 운동에 영향을 받아 1920년 고향에서 사카모토 세이이치로가 '제비 모임(燕会)'을 발기할 때 소비조합부 담당을 맡았고, 사회주의 동맹에 참가하였다. 1921년에는 『특수부락민해방론』(特殊部落民解放論)의 저자인 사노 마나부를 만나기 위해 상경하였으며, 귀향 후 사카모토, 고마이 등과 함께 사회주의 단체인 '청년동지회'를 발족하고 수평사 창립을 준비하였다.

1922년 3월 3일 교토 오카자키 공회당에서 전국수평사 창립대회를 열고, 수평사 선언을 발표하였다. 이에 앞서 2월 21일 오사카 시 나카노시마 공회당에서 개최된 대일본평등회 발회식에서 수평사 창립의 취지를 널리 선전하였다.

2. 3. 조선형평사와의 관계

사이코 만키치는 1922년 오사카시 나카노시마 공회당에서 열린 대일본평등회 발회식에서 전국수평사 창립의 뜻을 널리 선전하였다. 1922년 3월 3일, 교토의 오카자키 공회당에서 전국 수평사 창립 대회를 열고, 수평사 선언을 발표하였다. 1921년에는 '특수 부락민 해방론'의 저자 사노 마나부를 만나기 위해 상경하였고, 귀향 후에는 사카모토 세이이치로, 고마이 기사쿠 등과 함께 사회주의 단체인 '청년 동지회'를 발족하여 수평사 창립을 준비하였다.

1920년에는 가가와 도모히코의 소비조합 운동에 영향을 받아 고향에서 사카모토 세이이치로가 '제비 모임(燕会)'을 발기하였고, 사이코 만키치는 소비조합부 담당을 맡았다. 또한, 사회주의 동맹에도 참가하였다. 1919년에는 '흑조회'(가시와바라 청년공화단)을 발기하고 술라웨시 섬으로의 이주를 시도하였으나, 이는 실패로 끝났다.

2. 4. 사상적 전향과 융화 운동

사이코 만키치는 1928년 일본공산당에 입당했으나 3·15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1933년 공산주의에서 전향하고 가석방된 뒤에는 사카모토 세이이치로와 함께 『가두 신문』(街頭新聞)을 발간하였으며, 언론활동과 함께 대일본국가사회당에 입당하였다. 1939년에는 나라현 의회 의원으로 보궐 당선되었다.

2. 5. 해방 이후의 활동과 사망

1933년 공산주의에서 전향하여 가석방된 후, 사카모토 세이이치로와 함께 '가두 신문'을 발행하였다. 언론 활동을 하는 동시에 대일본국가사회당에 입당하였다. 1939년 나라현 의회 의원에 보궐 당선되었다. 1941년에는 주거를 와카야마현 나카군 우다정(현 기노카와시)으로 옮겼다.

1970년 와카야마 적십자 병원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76세였다.

3. 평가

4. 기타

사이코 만키치는 유년기부터 회화에 재능을 보여 여러 상을 받았으며, 만년에는 화가로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청년 시절에는 교사와 급우들의 출신 차별을 피해 전학을 반복했으며, 이러한 경험은 훗날 술라웨시섬 이주 계획의 복선이 되었다. 스미 스에의 소설 『다리가 없는 강』에 등장하는 무라카미 히데아키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와카야마현 기노카와시의 자택터에는 "부전화영의 비 - 사이코 만키치가 영주하던 터" 비석이 세워져 있다. 오사카 인권 박물관에는 수평사 선언을 기념한 "사이코 만키치 기념실"이 마련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融和事業年鑑(大正15年) 中央融和事業協会 1926-07-30
[2] 서적 水平社運動の思い出
[3] 서적 水平社宣言起草者西光万吉の戦後 明石書店
[4] 웹사이트 僕は水平社宣言の執筆者、西光万吉さんと逢ったんだ 永六輔さん 1(ふらっと 人権情報ネットワーク) https://www.jinken.n[...] 2016-03-14
[5] 뉴스 訃報欄 西光万吉(水平社創設者の一人) 朝日新聞 1970-03-20
[6] 간행물 エスペラントと西光万吉 1999
[7] 서적 水平社運動の思い出
[8] 서적 水平社宣言起草者西光万吉の戦後 明石書店
[9] 웹인용 僕は水平社宣言の執筆者、西光万吉さんと逢ったんだ 永六輔さん1(일본어) https://www.jinken.n[...] 2019-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