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원식 (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원식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그는 박정희의 권유로 군사정변에 참여했고, 군정 기간 동안 경제 개혁을 주도하며 '혁명정부의 진시황'으로 불렸다. 그러나 김종필과의 갈등으로 증권 파동에 연루되어 실각했다. 이후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 류씨 - 유기정
    유기정은 삼화인쇄 회장, 국회의원,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 최초로 컬러 인쇄를 도입했고, 2010년에 노환으로 사망했다.
  • 전주 류씨 - 유일호
    유일호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의 대한민국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KDI 연구위원과 교수를 거쳐 제18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 새누리당 대표, 대통령 비서실장, 국토교통부 장관,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를 역임하며 박근혜 정부의 핵심 경제 정책을 주도하고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잠시 맡은 친박계 정치인이다.
  • 5·16 군사정변 관련자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5·16 군사정변 관련자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만주국의 군인 - 윤태일 (1918년)
    윤태일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박정희 정권에서 서울특별시장과 대한주택공사 총재,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만주국의 군인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유원식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유원식
생애1914년? ~ 1987년 1월 31일
유원식
태어난 곳경상북도 안동
죽은 곳서울
본관전주
복무일제강점기, 대한민국
복무 기간? ~ 1963년
최종 계급만주군 대위/대한민국 육군 준장
주요 참전 전투/전쟁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기타 이력국가재건최고회의 재경위원장
기타 정보
별세 기사전 최고회의 재경위장 유원식씨 별세
출판사조선일보
10면
날짜1987-02-01

2. 생애

유원식은 경상북도 안동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의 항일 운동가 유림의 아들이다. 유림의 외아들이었으나, 유원식이 만주군 장교가 되었다는 이유로 유림이 부자 관계를 단절하여 평생 다시 만나지 않았다.[2]

일제강점기만주로 건너가 만주군 특임 군의 대위를 지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는 미군정 지역으로 내려왔다. 육군사관학교를 제8기로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군 장교가 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1960년 육군본부 군 개발국 차장이 되었다.

1961년 육군 대령으로 복무 중 박정희의 권유를 받고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정변 직후 청와대를 찾아갔다. 당시 대통령 윤보선박정희와 유원식을 보고 올 것이 왔다고 하여 사실상 군사정변을 승인한 셈이 되었다.[3] 5·16 군사정변 성공 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장으로 활동했다. 1963년 육군 준장으로 예편했다.

군정 기간 동안 통화 및 세제 개혁을 주도하고 한국증권거래소 이사장에 오르는 등 경제 부문의 핵심 인물이었다. 당시 유원식은 "혁명정부의 진시황"으로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컸고, 그가 추진한 정책은 제3공화국 경제 정책의 밑거름이 되었다.[4] 민주공화당 창당 과정에서 김종필의 부상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5] 반김 라인을 이끌던 중[6], 중앙정보부가 적발한 증권파동에 연루되어 구속되면서 정변 세력에서 밀려났다.[7] 한편, 유원식은 아버지 유림의 예지몽을 꾸고 스스로 물러났고, 박정희김종필이 주는 직책이나 회유를 사양했다고 한다.

이후 협화실업 대표 등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경상북도 안동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의 유명한 항일 운동가 유림의 아들이다. 유림의 외아들이었으나, 유원식이 만주군 장교가 되었다는 이유로 유림이 부자 관계를 단절하여 평생 다시 만나지 않았다.[2]

일제강점기만주로 건너가 만주군 특임 군의 대위를 지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는 미군정 지역으로 내려왔다. 육군사관학교를 제8기로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군 장교가 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1960년 육군본부 군 개발국 차장이 되었다.

2. 2. 5.16 군사정변과 군정 참여

1961년 육군 대령으로 복무 중 박정희의 권유를 받고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였고, 정변 직후 바로 청와대를 찾아갔다. 당시 대통령 윤보선박정희와 유원식을 보고 올 것이 왔다고 하여 사실상 군사정변을 승인한 셈이 되었다.[3] 유원식은 1년 뒤 이 내용을 직접 증언했다.

5·16 군사정변 성공 후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참여하여 재정경제위원장이 되었다. 1963년에는 육군 준장으로 예편했다.

군정 기간 동안 통화 개혁과 세제 개혁을 주도하고 한국증권거래소 이사장에 오르는 등 경제 부문의 핵심 인물이었다. 당시 유원식은 "혁명정부의 진시황"으로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컸으며, 그가 추진한 정책은 제3공화국 경제 정책의 밑거름이 되었다.[4] 그러나 민주공화당 창당 과정에서 김종필의 부상을 공개적으로 비판[5]하며 반김 라인을 이끌던 중[6], 김종필중앙정보부가 적발한 증권파동에 연루되어 구속되면서 정변 세력에서 밀려났다.[7] 한편, 유원식은 꿈에 아버지인 단주 유림이 나타나 적당한 때에 물러나지 않으면 목숨을 보전하기 힘들 것이라는 예지몽을 꾸고 스스로 물러났으며, 박정희김종필이 주는 직책이나 회유를 스스로 사양했다고 한다.

2. 3. 경제 정책 주도 및 정계 퇴출

군정 기간 동안 유원식은 통화 개혁과 세제 개혁을 주도하고 한국증권거래소 이사장에 오르는 등 경제 부문의 핵심 인물이었다. 당시 유원식은 "혁명정부의 진시황"으로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있었고, 그가 추진한 정책은 제3공화국 경제 정책의 밑거름이 되었다.[4] 그러나 민주공화당 창당 과정에서 김종필의 부상을 공개적으로 비판[5]하며 반김 라인을 이끌던 중[6], 곧바로 김종필의 중앙정보부가 적발한 증권파동에 연루되어 구속되면서 정변 세력에서 밀려났다.[7] 한편, 유원식은 꿈에 아버지인 단주 유림이 나타나 적당한 때에 물러나지 않으면 목숨을 보전하기 힘들 것이라는 예지몽을 꾸고 스스로 물러났고, 박정희김종필이 주는 직책이나 회유를 스스로 사양했다고 한다.

이후 유원식은 협화실업의 대표 등을 역임했다.

2. 4. 정계 퇴출 이후

김종필중앙정보부가 적발한 증권 파동에 연루되어 구속되면서 정변 세력에서 밀려났다.[7] 한편, 유원식은 꿈에 아버지인 단주 유림이 나타나 적당한 때에 물러나지 않으면 목숨을 보전하기 힘들 것이라는 예지몽을 꾸고 스스로 물러났으며, 박정희김종필이 주는 직책이나 회유를 스스로 사양했다고 한다.

이후 협화실업 대표 등을 역임했다.

3. 5.16 군사정변과 윤보선 관련 논란

후에 유원식은 5·16 군사 정변 직전에 대통령 윤보선과 만나 정변 계획에 대한 교감을 나누었으며, 정변 소식을 들은 윤보선은 "올 것이 왔다."라는 반응을 보였다는 주장을 내놓아 논란이 일었다.[8][9]

윤보선의 정변 방조 의혹은 1962년 5월 유원식의 진술로 밝혀졌다. 유원식은 인터뷰에서 '윤보선이 이전부터 쿠데타가 일어나리라는 것을 알았고 이를 방조했다'고 주장하자, 윤보선은 이를 부인하며 '혼란한 장면 정부하에서 무슨 사태가 터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는데, 쿠데타가 일어났다기에 그렇게 말했을 뿐'이라고 반박하였다.[3]

국가원수 신분으로서 정치적 라이벌인 장면의 몰락을 바라며 제2공화국 붕괴를 방관했다는 이러한 주장은, 야당 지도자로 활동 중이었던 윤보선에게는 치명적이었다. 윤보선 측은 5·16 군사정변 계획을 사전에 알고 있었으며 이를 사실상 승인했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하여, 유원식의 주장이 사실인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8]

4. 친일 논란 및 평가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 수록을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포함되었다.

5. 저서


  • 《5.16 비록 혁명은 어디로 갔나》 (인물연구소, 1987)

참조

[1] 뉴스 전 최고회의 재경위장 유원식씨 별세 조선일보 1987-02-01
[2] 저널 전설의 아나키스트, 단주 유림의 불꽃 인생 - ‘최대한의 민주주의에서 다 같이 노동하고 사상하는 세계’를… http://www.donga.com[...]
[3] 웹사이트 동아일보 매거진::신동아 http://www.donga.com[...]
[4] 저널 혁명정부의 진시황 유원식이 털어놓는 통화개혁의 내막
[5] 뉴스 李厚洛공보실장과 尹胄榮신당대변인 조선일보 1963-01-17
[6] 서적 한권으로 보는 해방후 정치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9-01-01
[7] 뉴스 의혹사건 관련자 15명을 구속 조선일보 1963-03-07
[8] 저널 [5·16 당시 청와대 대변인이 40년 만에 털어놓은 군사쿠데타의 숨겨진 진상 5] 장면은 장도영의 이중플레이에 속았다 http://www.donga.com[...]
[9] 저널 유원식 회고록에 할 말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