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티아고 기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티아고 기사단은 12세기에 레온 왕국에서 시작된 스페인의 군사 종교 기사단이다. 이 기사단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레온과 카스티야의 통합 이후 우클레스를 본부로 삼았다. 산티아고 기사단은 아우구스티누스 규율을 따랐으며, 순례자 보호와 군사 활동을 수행했다. 1499년 아라곤 왕 페르난도 2세가 기사단의 이사로 임명되었고, 1522년에는 스페인 왕실에 병합되었다. 현재에도 스페인 왕실의 보호 아래 존재하며, 귀족 출신만 입단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티아고 기사단 - 페란도 2세
    페란도 2세는 이사벨 1세와 결혼하여 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레콩키스타 완수와 스페인 통일,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탐험 후원 등 스페인 발전에 기여했으나, 종교적 강제 개종 정책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산티아고 기사단 - 마르틴 코르테스 엘 메스티소
    에르난 코르테스와 말린체 사이에서 태어난 마르틴 코르테스 엘 메스티소는 누에바 에스파냐에서 태어나 스페인에서 성장하며 상속 분쟁과 음모 연루, 추방, 반란 가담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스페인의 기독교사 - 페란도 2세
    페란도 2세는 이사벨 1세와 결혼하여 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레콩키스타 완수와 스페인 통일,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탐험 후원 등 스페인 발전에 기여했으나, 종교적 강제 개종 정책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스페인의 기독교사 - 레콩키스타
    레콩키스타는 8세기 초 이슬람 세력에 대항하여 기독교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에서 영토를 회복한 과정으로, 종교적, 문화적 의미를 지닌 이념으로 발전하여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산티아고 기사단
기본 정보
기사단에서 사용된 산티아고 십자가
종류명예 종교 기사단 및 군사 기사단
설립1170년
국가스페인
왕가부르봉 왕가 - 스페인
종교로마 가톨릭
수장펠리페 6세 국왕
관련 기사단산티아고 기사단 (포르투갈)
연관 기사단칼라트라바 기사단
알칸타라 기사단
몬테사 기사단
명칭
스페인어 명칭Orden de Santiago
로마자 표기Orden de Santiago
IPA(스페인어)sanˈtjaɣo
갈리시아어 명칭Orde de Santiago

2. 역사

17세기 월터스 미술관(Walters Museum)의 훈장


산티아고 기사단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를 중심으로 발전했지만, 기사단의 발상지나 주요 본거지는 레온과 우클레스 두 도시가 경쟁 관계에 있었다. 당시(1157~1230년) 왕조는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었고, 기사단은 각 왕국에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페르난도 2세와 알폰소 8세는 영지를 하사하면서 수도회의 본거지를 각각의 왕국에 두도록 조건을 달았고, 1230년 페르난도 3세가 두 왕국을 통합하면서 쿠엥카 주의 우클레스가 수도회의 본부로 여겨지게 되었다.

1171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의 특사였던 야친토 추기경(후일의 첼레스티누스 3세)으로부터 첫 번째 규칙을 받았다. 초대 대총장은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카스트로였다.

알바로 데 루나(1388~1390년경; 1453년 6월 2일), 대총장이자 후안 2세 국왕의 총애를 받았다.


칼라트라바 기사단과 알칸타라 기사단이 시토회 베네딕토회의 엄격한 규칙을 따랐던 것과 달리, 산티아고 기사단은 아우구스티누스회 정규회원의 온건한 규칙을 채택했다. 성 엘리지우스 정규회원들에게 성 야고보 순례자들의 성지와 콤포스텔라로 이어지는 길에 있는 순례자 숙소를 보호하는 일을 제공했다. 예루살렘 성 요한 기사단과 같이 병원 기사단과 군사 기사단의 성격을 동시에 지녔으며, 1175년 7월 5일 교황령[1]은 이후 20명이 넘는 교황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수도회는 정규회원, 정규수녀, 종교 기사, 기혼 기사 등 여러 계층으로 구성되었으며, 다른 군사 기사단들이 중세 말기에야 얻었던 결혼권이 처음부터 허용되었다.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이 수니가의 초상화, 수도회의 수놓은 십자가를 착용하고 있으며, 프란스 포르뷔스 장로가 그렸다.


이러한 온건한 규칙은 수도회의 빠른 확장을 이끌었으며, 1200년 이전에도 그 권력이 해외에까지 알려져 있었다. 전성기에는 칼라트라바와 알칸타라 기사단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재산을 소유했다. 스페인에서 83개의 수도원, 2개의 도시, 178개의 자치구와 마을, 200개의 교구, 5개의 병원, 5개의 수녀원, 그리고 살라망카에 1개의 대학을 포함했다. 당시 기사의 수는 400명이었고, 1000명이 넘는 기병대를 동원할 수 있었다. 포르투갈, 프랑스, 이탈리아, 헝가리, 팔레스타인에도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포르투갈의 첫 번째 수도원인 아브란테스는 1172년 아폰수 1세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산티아고 기사단은 무슬림 축출과 전투에 참여했으며, 현대 포르투갈의 알가르베 정복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이베리아의 기독교인들을 괴롭히고 수도회 내에 여러 차례의 분열을 초래한 치명적인 불화에도 관여했으며, 무슬림에 대한 해상 원정에도 참여했다. 지원자들에게 갤리선에서 6개월간 복무해야 한다는 의무가 부과되었는데, 이는 18세기에도 여전히 존재했지만, 면제를 쉽게 구입할 수 있었다. 권력은 13인 평의회의 지원을 받는 대총장이 행사했으며, 대총장을 선출하고 정당한 이유로 그를 폐위할 권한이 있었다.

초대 대총장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카스트로는 1184년에 사망했다. 1499년 페르디난드 2세가 교황을 설득하여 그에게 수도회의 행정을 맡기기 전까지, 그에게는 여러 스페인 왕족(인판테)를 포함하여 39명의 후임자가 있었다.

카를 5세 치세에, 아드리아누스 6세는 세 개의 주요 군사 기사단(알칸타라, 칼라트라바, 산티아고)을 스페인 왕관에 병합했다(1522년). 그 후 세 기사단은 하나의 정부 아래 통합되었지만, 각 기사단의 명칭과 소유물은 별개로 남았다. 카를 5세는 왕을 대표하는 왕이 임명한 의장과 각 기사단에서 두 명씩 선출된 6명의 기사로 구성된 특별 부처인 기사단 평의회(Council of Orders)를 설립하여 기사단의 자치권은 종식되었지만, 그 권위는 여전히 유지되었다.

17세기, 산 그레고리오 영주 가르시아 데 메드라노 이 카스테혼은 1603년에 출판된 "'''산티아고 검 기사단의 규칙과 설립: 그 역사와 기원'''"(규칙과 설립)과 1605년 그가 사망한 후 마드리드에서 출판된 "'''검 기사단 산티아고 기사단의 장 규칙 편찬, 왕립 사법평의회 가르시아 데 메드라노 면허소지자 편찬 및 정리'''"(편찬)를 저술했다. 가르시아 데 메드라노는 산티아고 기사단 내의 법률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3]

2. 1. 중세 시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갈리시아)는 산티아고 기사단의 중심지였지만, 기사단의 발상지이자 본거지는 아니었다. 레온 왕국의 수도 레온과 카스티야 왕국의 도시 우클레스가 발상지 후보로 거론된다. 당시(1157년 - 1230년) 왕가는 레온과 카스티야 두 집안으로 나뉘어 대립했고, 이 분열이 기사단의 발상지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산티아고 기사단은 두 나라 모두에 재산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레온 왕 페르난도 2세와 카스티야 왕 알폰소 8세가 각각 수여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1230년 페르난도 3세가 즉위하여 레온과 카스티야의 통합이 완료되자, 쿠엥카주의 우클레스는 기사단의 본부로 여겨졌다. 기사단장은 그곳에 거주하게 되었고, 입단을 희망하는 자는 우클레스에서 수습 기간을 보냈다. 풍부한 고문서는 1869년까지 마드리드의 국립고문서관에 보관되어 있었다. 1171년, 기사단은 로마 교황 알렉산데르 3세의 특사 하신토 추기경(후에 교황 첼레스티누스 3세가 됨)에 의해 최초의 규율을 받았다.

같은 시대의 다른 두 기사단, 시토회의 성 베네딕투스의 규율을 사용한 칼라트라바 기사단과 알칸타라 기사단과 달리, 산티아고 기사단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온건한 규율을 채택했다. 레온에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가는 순례길 도중의 병원과 성 야고보 대성당을 방문하는 순례자 보호 등의 활동을 했다. 기사단은 예루살렘의 성 요한 기사단처럼 군사 활동과 복지 활동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기사단은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규율, 성찬 관리, 순례자 보호 등이었다. 신심 깊은 기사들은 이 공동체에 거주했고, 기혼 기사도 있었다. 결혼의 합법화는 중세 말부터 다른 기사단에서도 볼 수 있었지만, 교황의 인가를 받아 초기부터 인정받았다.

초대 단장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푸엔테 엔카라토가 1184년에 사망한 후, 여러 명의 왕자를 포함한 39명의 단장에게 계승되었다. 1499년, 가톨릭 이스파니아의 한쪽인 아라곤 왕 페르난도 2세는 기사단의 이사로 자신을 추천해 줄 것을 교황에게 요청했다. 그의 손자 카를로스 1세 치하에서 교황 하드리아누스 6세는 세 개의 위대한 기사단(알칸타라, 칼라트라바, 산티아고)을 스페인 왕 밑에 병합시켰다. 그 이후, 세 기사단은 칭호와 재산은 분리된 채 스페인 왕 밑에 놓였다. 이들의 관리를 위해 카를로스 1세는 기사단성이라는 특별 부서를 설치하고, 왕의 이름으로 선출된 장이 그 직책을 맡았다.

3. 상징

산티아고 기사단의 휘장은 클라비호 전투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손잡이와 팔 부분에 플뢰르드리 (fleur-de-lis) 모양이 있는 검 모양의 붉은 십자가이다.[1] 기사들은 왕실 깃발과 흰 망토에 이 십자가를 새겨 착용했다. 왕실 깃발의 십자가는 중앙과 각 팔의 끝에 지중해 가리비 조개 모양이 있었다.

세 개의 플뢰르드리는 사도의 도덕적 특성을 나타내는 "결점 없는 명예"를 상징한다.

검은 야고보가 검으로 참수되었기 때문에 그의 기사도적 성격과 순교자적 삶을 나타낸다. 어떤 의미에서는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검을 드는 것을 상징하기도 한다.[1]

이 형태는 십자군 전쟁 시대에 기사들이 땅에 꽂아 매일 기도를 올리기 위해 날카로운 바닥을 가진 작은 십자가를 가지고 다녔던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2]

4. 조직

카를 5세 치세에, 아드리아누스 6세는 여성 계승까지 허용하는 세 개의 주요 군사 기사단(알칸타라 기사단, 칼라트라바 기사단, 산티아고 기사단)을 스페인 왕관에 병합했다(1522년).[4] 그 후 세 기사단은 하나의 정부 아래 통합되었지만, 각 기사단의 명칭과 소유물은 별개로 남았다. 이러한 행정의 세부 사항을 처리하기 위해, 카를 5세는 왕을 대표하여 왕이 임명한 의장과 각 기사단에서 두 명씩 선출된 6명의 기사로 구성된 특별 부처인 기사단 평의회(Council of Orders)를 설립했다. 이 평의회는 공석인 수도원장직에 기사를 임명하는 권한과, 교회 고위 성직자들이 관할하는 순수한 영적인 사건을 제외한 모든 민사 또는 교회 사건에 대한 사법권을 가지고 있었다. 이로써 기사단의 자치권은 종식되었지만, 그 권위는 여전히 유지되었다.[4]

훈장을 착용한 3대 과아키 백작 (호세 마누엘 데 고예네체)


산티아고 기사단은 남녀 수도원을 운영했다. 우클레스와 레온의 산 마르코스 수도원 외에도, 빌라르 데 도나스(팔라스 데 레이, 루고 주), 팔멜라(포르투갈), 몬탄체스(카세레스 주), 테루엘의 몬탈반(테루엘 주), 세구라 데 라 시에라(하엔 주)에 다른 수도원들을 소유하고 있었다.

우클레스 수도원, 기사단의 본부, 쿠엥카 주, 스페인


1275년, 기사단은 수녀들을 위한 여섯 개의 수도원도 가지고 있었는데, 수녀들은 자신들을 수녀원장(Mothers Superior)이라고 불렀다. 전쟁에 나가거나 사망한 기사들의 아내와 가족들은 그곳에 머물 수 있었다. 기사들은 종신 독신 서약을 하지 않았고, 따라서 수도원을 떠나 결혼할 수 있었다. 언급된 수도원은 다음과 같다.

  • 1502년에 설립된 산타 에우페미아 데 코수엘로스(팔렌시아)
  • 1233년 기사단에 넘겨진 산티 스피리투스 수도원(살라망카)
  • 1212년에 설립된 산 비센테 데 훈케라스(바르셀로나)
  • 레리다에 있는 산 페드로 데 라 피에드라(1260)
  • 리스본에 있는 산토스-오-벨료(1194)
  • 레온 주에 있는 데스트리아나


시우다드 레알의 멤브리야 수도원과 마드리드의 수녀원장(1650)은 이후에 생겨났다.

산티아고 기사단은 카스티야와 레온을 포함하여 여러 교구(ecclesiastical province)로 나뉘었는데, 각 교구는 소유지와 봉신(vassal)의 수에 따라 중요도가 달랐다. 각 교구의 수장은 군사령관이었으며, 카스티야의 세구라 데 라 시에라(Segura de la Sierra)와 레온의 세구라 데 레온(Segura de León)에 본부를 두었다. 레온 교구는 메리다와 례레나 두 지역으로 나뉘었고, 각 지역에는 여러 개의 엔콤미엔다(encomiendas)가 있었다.

군사 기사단의 가장 중요한 내부 구분은 "엔콤미엔다(encomienda)"였는데, 이는 기사단 기사가 지휘하는 지역 단위였다. 엔콤미엔다는 기사단 기사의 본부 또는 거주지를 성(castle)이나 요새(fortress), 또는 작은 마을에 두었으며, 해당 엔콤미엔다에 관련된 영지와 재산의 지대가 지불되고 수령되는 행정적 또는 경제적 중심지였다. 또한 기사단 기사와 다른 기사들의 상주지이기도 했다.

라즐로(Philip de László)가 그린 아스투리아스 공 아폰소(Alfonso, Prince of Asturias (1907–1938)) 초상화. 기사단의 수놓은 십자가를 착용하고 있다.


각 엔콤미엔다는 거기에 거주하는 기사단 기사와 다른 기사들을 부양하고, 적절하게 장비를 갖추고 기사단장의 호출에 따라 군사 행동에 참여해야 하는 일정 수의 창병(spearmen)을 지급하고 무장해야 했다. 이들은 모두 기사단의 무장 수행원 또는 군대를 구성했으며, 기사단장의 명령에 따랐다. 기사단의 수입은 토지, 목초지, 산업, 통행세와 통행권, 세금, 십일조에서 나왔다. 수입은 각 엔콤미엔다와 기사단장의 재정을 담당하는 이사회에 배분되었다.

1185년까지 이 기사단은 프랑스, 영국, 카린티아 공국까지 멀리 떨어진 곳에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산티아고 기사단의 중심지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갈리시아)였지만, 기사단의 발상지이자 본거지는 아니었다. 레온 왕국의 수도 레온과 카스티야 왕국의 도시 우클레스가 발상지 후보로 경쟁하고 있다. 당시(1157년 - 1230년) 왕가는 레온과 카스티야 두 집안으로 나뉘어 대립했고, 이 분열이 기사단의 발상지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산티아고 기사단은 두 나라 모두에 재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1230년 페르난도 3세가 즉위하여 레온과 카스티야의 통합이 완료되자, 쿠엥카 주의 우클레스는 기사단의 본부로 여겨졌다. 기사단장은 그곳에 거주하게 되었고, 입단을 희망하는 자는 우클레스에서 수습 기간을 보냈다. 풍부한 고문서는 1869년까지 마드리드의 국립고문서관에 보관되어 있었다.

1171년, 기사단은 로마 교황 알렉산데르 3세의 특사 하신토 추기경(후에 교황 첼레스티누스 3세가 됨)에 의해 최초의 규율을 받았다.

같은 시대의 다른 두 기사단, 시토회의 성 베네딕투스의 규율을 사용한 칼라트라바 기사단과 알칸타라 기사단과 달리, 산티아고 기사단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온건한 규율을 채택했다. 레온에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가는 순례길 도중의 병원과 성 야고보 대성당을 방문하는 순례자 보호 등의 활동을 했다. 기사단은 예루살렘의 성 요한 기사단처럼 군사 활동과 복지 활동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기사단은 규율, 성찬 관리, 순례자 보호 등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신심 깊은 기사들은 이 공동체에 거주했고, 기혼 기사도 있었다. 결혼의 합법화는 중세 말부터 다른 기사단에서도 볼 수 있었지만, 교황의 인가를 받아 초기부터 인정받았다.

초대 단장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푸엔테 엔카라토가 1184년에 사망한 후, 여러 명의 왕자를 포함한 39명의 단장에게 계승되었다. 1499년, 가톨릭 이스파니아의 한쪽인 아라곤 왕 페르난도 2세는 기사단의 이사로 자신을 추천해 줄 것을 교황에게 요청했다. 그의 손자 카를로스 1세 치하에서 교황 하드리아누스 6세는 세 개의 위대한 기사단(알칸타라, 칼라트라바, 산티아고)을 스페인 왕 밑에 병합시켰다. 그 이후, 세 기사단은 칭호와 재산은 분리된 채 스페인 왕 밑에 놓였다. 이들의 관리를 위해 카를로스 1세는 기사단성이라는 특별 부서를 설치하고, 왕의 이름으로 선출된 장이 그 직책을 맡았다.

4. 1. 입단 조건

산티아고 기사단 입단 조건은 처음에는 까다롭지 않았으나, 13세기 중반 이후 점차 복잡해졌다.

초기에는 알렉산더 3세 교황의 인가를 받아 결혼이 허용되었고, 아우구스티누스회의 온건한 규칙을 따랐다. 기사단원은 정규회원, 정규수녀, 종교 기사, 기혼 기사 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되었다. 기혼 기사는 대림절, 사순절, 특정 축제 기간에 수도원에서 칩거하며 금욕을 지켜야 했다.[4]

레콩키스타 완료 후, 기사단 입단을 위해서는 지원자와 그의 직계 4대 조상(부모, 조부모 포함) 모두가 혈통 귀족이며, 육체 노동이나 산업에 종사한 적이 없음을 증명해야 했다.

기사단 입단 자격이 영구적으로 제한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 유대인, 무슬림, 이단자, 기독교로 개종한 자 또는 그들의 혼혈 후손 (시기와 관계없이)[4]
  • 가톨릭 신앙에 반하는 행위로 처벌받은 사람
  • 변호사, 사채업자, 공증인, 소매상인 또는 자신의 직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던 사람
  • 불명예를 입었거나, 명예의 법을 무시했거나, 신사답지 못한 행동을 한 사람
  • 생계 수단이 부족한 사람


입단 지원자는 3개월간 갤리선에서 복무하고, 한 달간 수도원에서 규칙을 배우는 수련 기간을 거쳐야 했다.

1653년까지는 외조부모의 가계만 귀족 여부를 확인했으나, 이후 모계 조부모까지 확인하도록 변경되었다. 1655년에는 성모 마리아의 무염시태 신앙 옹호 의무가 추가되었다.[4]

시간이 지나면서 국왕과 기사단 평의회는 이러한 요건 중 상당수를 완화했다.

2014년 기준으로 기사 35명, 수련 기사 30명이 있으며, 여전히 귀족 출신 지원자에게만 입단이 허용된다. 지원자는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여야 하며, 부모와 조부모 모두 정통 출생이어야 하고, 비기독교인의 후손이 아니어야 한다. 또한, 합법적인 결혼을 통해 각 조부모로부터 최소 200년 이상 혈통 귀족(특권 귀족이 아님)임을 증명해야 한다.

산티아고 기사단의 상징은 칼 모양의 붉은 피치십자인 산티아고 십자(성 야고보 십자)이다.

4. 2. 여성 단원

여성들은 처음부터 수도회에 받아들여졌는데, 이는 수도회원들이 결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성 수도회원은 귀족 출신이어야 했고, 관련 기록으로 혈통의 순수성(''limpieza de sangre'')을 증명해야 했다. 이들의 일은 기사들의 자녀 교육에 국한되었으나,[5] 일부는 특정 업무에 대한 권한을 부여받기도 했다.[5]

5. 현대의 산티아고 기사단

산티아고 기사단은 여전히 스페인 왕실의 보호 아래 존재한다. 2014년 기준으로 기사는 35명, 수련 기사는 30명이었다. 기사단 입단은 귀족 출신 지원자로 제한되었다. 1653년까지는 외조부모의 가계만 확인하여 귀족 여부를 판정했으나, 이후 모계 조부모도 귀족 혈통 확인에 포함하도록 변경되었다. 지원자는 실천적 로마 가톨릭 신자여야 하며, 부모와 조부모 모두 정통 출생이어야 하고, 비기독교인의 후손이 아니어야 한다.[4] 또한 각 조부모 모두로부터 최소 200년의 확실한 출생 귀족(특권 귀족이 아님)임을 합법적인 결혼을 통해 증명해야 한다. 1655년에 추가된 의무에는 성모 마리아의 무염시태 신앙 옹호가 포함되었다.

그들의 상징은 산티아고 십자(성 야고보 십자)로, 검 모양의 붉은 십자가(플뢰리십자 피치십자)이며, 이는 그들의 칭호 ''De la Espada''를 상기시킨다.

6. 대중문화

패러독스 인터랙티브가 제작한 그랜드 전략 게임 시리즈인 ''크루세이더 킹즈 2''와 ''크루세이더 킹즈 3''에서 산티아고 기사단은 템플 기사단과 유사한 군사 기관으로 생성될 수 있다.

산티아고 기사단은 크리에이티브 어셈블리(Creative Assembly)가 제작한 게임 ''미디블 II: 토탈 워''에서 스페인 세력이 징집할 수 있는 독특한 십자군 군사 유닛이다.

7. 역대 기사단장

재임 기간이름
1170년 - 1184년페드로 페르난데스
1184년 - 1186년페르난도 디아스
1186년 - 1193년산초 페르난데스
1193년 - 1204년곤살로 로드리게스
1204년 - 1206년수에로 로드리게스
1206년 - 1210년페르난도 곤살레스 데 마라니온
1210년 - 1212년페드로 아리아스
(나바스 데 토로사 전투에서 입은 중상으로 사망)
1214년 - 1217년가르시아 곤살레스 데 칸다미오
1218년 - 1221년마르틴 페라에스 바라간
1222년 - 1224년가르시아 곤살레스 데 칸다르모 (재임)
1224년 - 1226년페르난 페레스 차친
1227년 - 1237년페드로 곤살레스
1239년 - 1242년로드리고 이니게스
1243년 - 1275년펠라요 페레스 코레아
1275년 - 1279년곤살로 루이스 히론
1279년 - 1286년페드로 누녜스
1286년곤살로 마르테이
1286년 - 1293년페드로 페르난데스 마타
1293년 - 1310년후안 오소레스
1310년 - 1318년디에고 무니에스
1318년 - 1327년가르시아 페르난데스
1327년 - 1338년바스코 로드리게스
1338년바스코 로페스
1338년 - 1442년알론소 멜렌데스 데 구스만
1342년 - 1358년파드리케 알폰소 데 카스티야
1359년 - 1366년가르시아 알바레스 데 트레도
1366년 - 1371년곤살로 메히아
1371년 - 1383년페르난도 오소레스
1383년 - 1384년페드로 페르난데스 카베사 데 바카
1384년로드리고 곤살레스 메히아
1384년 - 1385년페드로 무니에스 데 고도이
1385년 - 1387년가르시아 페르난데스 데 비야갈시가
1387년 - 1409년로렌소 수아레스 데 피게로아
1409년 - 1445년엔리케 데 카스티야
1445년 - 1453년알바로 데 루나
1453년후안 2세 (관리자)
1453년 - 1462년엔리케 4세 (관리자)
1462년 - 1463년베르트랑 데 라 쿠에바
1463년 - 1467년알폰소 데 카스티야
1467년 - 1474년후안 파체코
1474년 - 1476년알론소 데 카르데나스 (레온)
1474년 - 1476년로드리고 만리케 (카스티야)
1476년 - 1477년아라곤 왕 페르난도 2세 (관리자)
1477년 - 1493년알론소 데 카르데나스 (재임)


참조

[1] 웹사이트 The symbolic power of the Way of St. James https://fsensations.[...] 2015-08-25
[2] 뉴스 Santiago's Golden Legend https://www.nytimes.[...] 1989-10-01
[3] 웹사이트 TITULO https://biblioteca3.[...] 2024-11-21
[4] 웹사이트 The Military Order of Santiago (n.d) http://www.chivalric[...] 2007-12-07
[5] 웹사이트 Las mujeres en las órdenes de Caballería https://erroreshisto[...] 2022-04-20
[6] 문서 Peter Linehan, 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