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삵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삵속(''Prionailurus'')은 열대 아시아에 서식하는 고양이과 동물의 속으로, 1858년 니콜라이 세베르초프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 삵속은 점무늬가 특징이며, 두개골 형태가 고양이속과 차이를 보인다. 현재 붉은점살쾡이, 납작머리살쾡이, 고기잡이살쾡이, 살쾡이, 순다 살쾡이 등 5종이 삵속에 속하며,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삵속은 마눌고양이와 함께 Leopard cat lineage를 구성하며, 고양이속과는 약 725만 년 전에 분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삵속 - 쓰시마삵
    쓰시마삵은 쓰시마섬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삵으로, 흰색 귓속 반점을 가지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IUCN 적색 목록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삵속 - 이리오모테삵
    이리오모테삵은 일본 이리오모테섬에 서식하는 삵의 아종으로, 짙은 회색 또는 옅은 갈색 털색과 굵은 다리가 특징인 야행성 육식 동물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일본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삵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Prionailurus 종 콜라주
Prionailurus 종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 표범살쾡이 (P. bengalensis), 순다표범살쾡이 (P. javanensis), 납작머리살쾡이 (P. planiceps), 고기잡이살쾡이 (P. viverrinus)
학명Prionailurus
명명자Severtzov, 1858
화석 범위플라이스토세 - 현재
Prionailurus 분포 범위
모식종Felis pardachrous
모식종 명명자Hodgson, 1844 (= Felis bengalensis Kerr, 1792)
하위 분류군 계급
하위 종
기타 정보
네코과
아과네코아과

2. 분류

고양이과는 크게 표범아과고양이아과로 나뉜다.[27] 삵속(''Prionailurus'')은 고양이아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1858년 러시아의 탐험가이자 박물학자인 니콜라이 세베르초프가 아시아 열대 지역의 살쾡이(당시 학명 ''Felis pardachrous'')를 기준으로 처음 제안하였다.[5] 이후 영국의 동물학자 레지널드 인네스 포코크가 1917년 이 분류를 인정하고 삵속의 형태학적 특징을 연구하였다.[2]

분자생물학적 분석 및 유전적 분석 결과, 고양이과의 진화적 방산은 미오세 시기 아시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핵 DNA 분석은 이 방산이 약 1445만 년 전에서 838만 년 전 사이에,[3][15]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은 약 1676만 년 전에서 646만 년 전 사이에 일어났음을 시사한다.[16]

이러한 연구에 따르면, 삵속은 마눌고양이속(Otocolobus)과 함께 '삵 계통'(Leopard cat lineage)이라는 계통을 형성한다.[3][15][22][23] 이 계통은 고양이속(Felis)을 포함하는 '집고양이 계통'(Domestic cat lineage)과 자매 그룹 관계이며, 두 계통은 약 725만 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17] 삵속 내에서는 붉은점살쾡이(Prionailurus rubiginosus)가 가장 먼저 분기하였고, 이후 납작머리 고양이(P. planiceps)와 고기잡이살쾡이(P. viverrinus)가 분기하였다. 이들 종은 살쾡이(P. bengalensis)와 약 431만 년 전에서 174만 년 전 사이 또는 425만 년 전에서 2만 년 전 사이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3][16]

2. 1. 하위 종

'삵속'(Prionailurus)은 1858년 러시아의 탐험가이자 박물학자인 니콜라이 세베르초프가 아시아 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살쾡이(당시 학명 ''Felis pardachrous'')를 기준으로 처음 제안한 이다.[5] 영국의 동물학자 레지널드 인네스 포코크는 1917년 이 분류를 인정했으며, 1939년에는 가죽과 두개골의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삵속을 상세히 기술했다. 포코크에 따르면, 삵속 동물들은 주로 점무늬를 가지며, 이 점들은 때때로 세로 줄무늬를 이루려는 경향을 보이지만 ''Felis'' 속처럼 명확한 수직 줄무늬를 형성하지는 않는다. 또한 두개골이 ''Felis'' 속보다 낮고 덜 둥글며, 얼굴 부분이 두개골 길이에 비해 짧고, 안와 바닥이 더 긴 등의 특징을 가진다.[2]

포코크의 분류는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IUCN SSC Cat Specialist Group (2017)에서는 다음 5종을 삵속으로 인정하고 있다.[6][17][19][24]

이름학명명명자분포이미지IUCN 상태비고
살쾡이Prionailurus bengalensis[7]Kerr (1792)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대한민국, 쓰시마, 시베리아, 중국, 대만 등 포함)[13]--관심대상 (LC)2개 아종 인정: P. b. bengalensis, P. b. euptilura.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 북부 개체군(P. b. euptilura)과 동남아시아 개체군 간 뚜렷한 유전적 차이가 확인되어 별도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다.[13] 일본이리오모테삵(P. bengalensis iriomotensis)은 과거 별도 종으로 제안되었으나, 현재는 살쾡이의 아종으로 간주된다.[14]
순다 살쾡이Prionailurus javanensis[8]Desmarest (1816)순다랜드 (자바, 발리, 보르네오, 수마트라), 필리핀--평가되지 않음2개 아종 인정: P. j. javanensis, P. j. sumatranus
납작머리 고양이Prionailurus planiceps[9]Vigors & Horsfield (1827)말레이 반도, 보르네오, 수마트라--위기 (EN)아종 없음
물고기 고양이Prionailurus viverrinus[10]Bennett (1833)남아시아, 동남아시아--취약 (VU)아종 없음
녹슨 고양이Prionailurus rubiginosus[11]Geoffroy Saint-Hilaire (1834)네팔, 인도, 스리랑카--준위협 (NT)아종 없음



또한, 중국의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서는 화석 종인 ''프리오나일루루스 쿠르테니''(''Prionailurus kurteni'')가 발견되었다.[12]

분자 계통수 분석에 따르면, 삵속은 마눌고양이( ''Otocolobus'' 속)와 함께 '삵 계통'(Leopard cat lineage)이라는 계통을 형성한다. 이 계통은 고양이속( ''Felis'' 속)을 포함하는 '집고양이 계통'(Domestic cat lineage)과 약 725만 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22][23][17]

3. 계통 분류

삵속(''Prionailurus'')은 고양이과(Felidae) 고양이아과(Felinae)에 속하는 속이다.[27] 분자 계통학적 분석에 따르면, 삵속은 마눌(''Otocolobus manul'')과 함께 '삵 계통'(Leopard cat lineage)을 형성하며, 이 그룹은 고양이속(''Felis'', Domestic cat lineage)과 자매군 관계에 있다. 삵 계통은 약 725만 년 전에 고양이속 계통과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17][22][23]

'프리오나일루루스(''Prionailurus'')'라는 속명은 1858년 러시아의 탐험가이자 박물학자인 니콜라이 세베르초프가 처음 제안했다. 그는 아시아 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당시 학명 ''Felis pardachrous'')을 기준으로 이 속을 설정했다.[5] 영국의 동물학자 레지널드 인네스 포코크는 1917년 이 분류를 인정하고, 1939년 삵속의 특징을 상세히 기술했다. 포코크에 따르면 삵속 동물들은 몸에 점무늬가 있으며, 이는 때때로 창 모양이나 장미꽃 모양을 띠고 세로 줄무늬를 이루려는 경향을 보인다. 두개골은 고양이속( ''Felis'')에 비해 낮고 덜 둥글며, 얼굴 부분이 짧고 안와 바닥이 더 길다는 특징이 있다.[2] 포코크는 , 붉은점박이삵, 고기잡이삵을 삵속으로 분류했다.[2]

핵 DNA 분석 결과, 고양이과의 진화적 분기는 마이오세 시기 아시아에서 시작되어 약 1445만 년 전에서 838만 년 전 사이에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3][15]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는 약 1676만 년 전에서 646만 년 전 사이에 분기가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16] 두 분석 모델 모두 삵속 내에서는 붉은점박이삵(''P. rubiginosus'')이 가장 먼저 분기했으며, 그 뒤를 납작머리삵(''P. planiceps'')과 고기잡이삵(''P. viverrinus'')이 따랐다고 본다.[3][16] 이들 종은 (''P. bengalensis'')과 약 431만 년 전에서 174만 년 전 사이 또는 약 425만 년 전에서 2만 년 전 사이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3][16]

핵 DNA 분석에 기반한 계통 발생 관계에 따르면, 삵속 내에서는 붉은점박이삵이 가장 먼저 분기했고, 이후 납작머리삵, 고기잡이삵, 순서로 분기한 것으로 나타난다. 삵속은 마눌속(Otocolobus)과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3][15][22][23]

현재 IUCN SSC Cat Specialist Group (2017) 등에서는 다음 5종을 삵속으로 인정하고 있다.[6][17][19][24]

이름(학명)이미지서식 범위IUCN 상태비고
(Prionailurus bengalensis)[7]--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
관심 불필요 (LC)2개 아종: P. b. bengalensis, P. b. euptilura
순다삵 (Prionailurus javanensis)[8]--자바, 발리, 보르네오, 수마트라, 필리핀순다랜드
--
2개 아종: P. j. javanensis, P. j. sumatranus
납작머리삵 (Prionailurus planiceps)[9]--말레이 반도, 보르네오, 수마트라
--
멸종 위기 (EN)
고기잡이삵 (Prionailurus viverrinus)[10]--남아시아, 동남아시아
고기잡이삵 분포도
취약 (VU)
붉은점박이삵 (Prionailurus rubiginosus)[11]--네팔, 인도, 스리랑카
--
취약 근접 (NT)



화석 종으로는 중국의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서 발견된 ''Prionailurus kurteni''가 있다.[12]

삵 개체군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 쓰시마섬, 대한민국, 시베리아, 중국, 대만 등 북부 개체군과 동남아시아 개체군 사이에 뚜렷한 유전적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차이가 종 수준의 구분이라면, 북부 개체군을 나타내는 ''P. b. euptilura''는 별도의 종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13] 이리오모테삵(''P. bengalensis iriomotensis'')은 과거 형태학적 특징을 근거로 별개의 종으로 제안되기도 했으나, 유전적 분석 결과 삵의 아종으로 분류된다.[14]

참조

[1] MSW3
[2]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Mammalia. – Volume 1 London: Taylor and Francis
[3]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4] 서적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s://portals.iucn[...]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5] 논문 Notice sur la classification multisériale des Carnivores, spécialement des Félidés, et les études de zoologie générale qui s'y rattachent https://archive.org/[...]
[6]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7] 서적 The Animal Kingdom or zoological system of the celebrated Sir Charles Linnaeus. Class I. Mammalia A. Strahan & T. Cadell
[8] 서적 Nouveau dictionnaire d'histoire naturelle, appliquée aux arts, à l'agriculture, à l'économie rurale et domestique, à la médecine. Tome 6 Chez Deterville
[9] 논문 Descriptions of two species of the genus ''Felis'', in the collections of the Zoological Society https://archive.org/[...]
[10] 논문 ''Felis viverrinus'' http://www.archive.o[...]
[11] 서적 Voyage aux Indes-Orientales par le nord de l'Europe, les provinces du Caucases, la Géorgie, l'Arménie et la Perse, suivi des détails topographiques, statistiques et autre sur le Pégou, les Iles de Jave, de Maurice et de Bourbon, sur le Cap-de-bonne-Espérance et Sainte-Hélène, pendant les années 1825, 1826, 1827, 1828 et 1829. Tome 3: Zoologie Arthus Bertrand
[12] 논문 ''Prionailurus kurteni'' (Felidae, Carnivora), a new species of small felid from the late Middle Pleistocene fossil hominin locality of Hualongdong, southern China
[13] 논문 Molecular Diversity and Phylogeography of the Asian Leopard Cat, Felis bengalensi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Y-Chromosomal DNA Sequences
[14] iucn Prionailurus bengalensis ssp. iriomotensis https://www.iucnredl[...]
[15]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16] 논문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17] 뉴스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18] 웹사이트 Mammal Specie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 간행물 遺伝子からみたイリオモテヤマネコとツシマヤマネコの渡来と進化起源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21] 간행물 日本産食肉目の種名検討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2] 뉴스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doi.org/10.1[...]
[23] 뉴스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https://doi.org/10.1[...]
[24] 서적 世界哺乳類和名辞典 平凡社
[25] 문서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26] MSW3
[27] 저널 인용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