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백초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백초과는 지하경이 발달한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 남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꽃은 수상 또는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꽃차례 기부의 포가 백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약용, 식용, 관상용으로 사용되며, 특히 한국에서는 어성초(약모밀)가 피부 질환 치료에, 삼백초는 차나 식용으로 활용된다. 분류학적으로는 후추목에 속하며, 어성초과에는 4속 6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백초과 - 약모밀
    약모밀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며 약재 및 식용으로 활용되고 다양한 원예 품종으로 관상용으로도 재배된다.
  • 1826년 기재된 식물 - 난초아과
    난초아과는 난초과의 아과로,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에 따라 분류가 수정되고 있으며, 육상에서 자라고 절단성이거나 과립 형태의 꽃가루덩이, 곧추선 꽃밥을 가지며, 다양한 서식지에서 독립 영양 또는 종속 영양 생활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 1826년 기재된 식물 - 자금우
    자금우는 한반도 남부 산지 숲 밑에서 자라는 상록 관목으로, 붉은색 열매와 흰색 꽃이 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삼백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이백초(Saururus cernuus)
학명Saururaceae
권위자Martynov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미분류 군목련군
후추목
삼백초과
타입 속삼백초속(Saururus)
하위 분류
아네모프시스속(Anemopsis)
김노테카속(Gymnotheca)
약모밀속(Houttuynia)
삼백초속(Saururus)
분포
화석 범위캄파니아절(Campanian) - 현재
기타 정보
영명lizard's tail family

2. 특징

삼백초과는 지하경이 발달한 여러해살이풀이다.[30][4][5][31][32] 잎은 어긋나기를 하고 홑잎이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턱잎이 있다.[30][4][5][31][32][6] 잎맥은 손바닥 모양 또는 깃 모양이다.[28][7] 정유 세포를 가지고 있으며,[5][31][32] 결정체, 플라보노이드, 로이코안토시아니딘 등을 함유한다.[28][7]

2. 1. 꽃과 열매

꽃차례는 수상 또는 총상이며, 정생 또는 잎과 대생적으로 붙는다.[30][28] 종종 꽃차례 기부에 있는 가 백색으로 꽃잎 모양이 되어, 꽃차례 전체가 1개의 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4][5][31][32]

'''3a'''. 의꽃차례: 기부의 포가 크고, 상부 꽃의 포도 보인다


은 소형이며 양성이고, 기부에 (소포, 때로는 불명확)가 붙고, 화피는 없다.[30][4][5][31][32] 수술은 3–8개이며, 꽃실은 실 모양이고, 때로는 기부에서 암술에 합착한다.[30][4][5][31][32][28][7] 은 2실이며 세로로 갈라진다.[4][5][31][32] tapetum 조직은 분비형이다.[7] 소포자 형성은 동시형이다.[28] 꽃가루는 보트 모양이고, 소형(20 µm 이하)이며, 2세포성이다.[28][7] 암술은 떨어져 있거나 합착(1실)하고, 심피는 3–5(–7)개이며, 수술과 대생하며, 자방은 상위에서 하위이다.[30][4][5][31][32][28] 주두는 건성이다.[28][7] 배주는 직생 또는 반전생이고, 1심피당 2–13개이며, 변연 태좌 또는 측막 태좌이다.[30][4][5][31][32][7]

열매는 삭과 또는 분리과(단위가 되는 분과는 불열개과)이다.[30][4][5][31][32][7] 씨앗은 거의 구형이고, 종피는 막질이며, 외배유(주유)가 발달하고, 는 작다.[30][4][5][31][32]

3. 분포 및 생태

북아메리카 남부 및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온대에서 열대 지역에 분포한다.[3][28]

대부분 습한 곳에서 생육한다.[30][31]

4. 인간과의 관계

약모밀은 일본에서 잡초로 잘 알려져 있지만, 허브나 식용 채소로 이용되기도 한다(삼백초차, 상켄비차, 베트남 요리 등)[12][13][14][15][16]. 약모밀이나 반하는 때때로 생약으로 사용되며[15][16][17],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하고 원예 품종도 존재한다[18][19].

5. 분류

APG IV 분류 체계에서 삼백초과는 후추목에 속하며, 4속 6종으로 구성된다.[3][28]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아네모프시스속과 약모밀속, 삼백초속과 짐노테카속이 각각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28][27] 다만, 아네모프시스속과 약모밀속의 관계는 다른 연구에서는 지지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29]

삼백초과는 단순한 꽃의 특징 때문에 예전부터 후추과와 함께 후추목으로 분류되었다 (엥글러 시스템, 크론키스트 시스템 등).[20][21][22][23] 후추목 식물은 목련과녹나무과 등 원시적인 목본류와 마찬가지로 정유를 가지므로 "원시적"인 피자식물의 일군으로 여겨져 고초본류(paleoherb)라고도 불렸다.[24]

이후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어성초과는 후추과와 근연 관계임이 확인되었으며, 쥐방울덩굴과 또한 근연 관계임이 밝혀졌다. 2020년 현재 이들 3과는 후추목으로 묶여 있다.[28][25][26] 또한 후추목은 목련목, 녹나무목 등과 함께 단일 계통군을 구성하며, 피자식물의 초기 분기군 중 하나로 목련류(magnolids)라고 불린다.[28][6][26]

5. 1. 하위 분류

2020년 현재 삼백초과에는 4속 6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3][28]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는 아네모프시스속과 어성초속, 삼백초속과 김노테카속이 각각 단일 계통군을 구성하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28][27] 단, 전자의 단일 계통성은 지지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29]

표 1. 삼백초과의 종까지의 분류 체계의 예[3][30][31][32]
삼백초과
아네모프시스속줄기는 직립하고 은 기부에 근생한다. 꽃차례는 밀생하며 짧고, 꽃잎 모양의 가 기부에 붙는다. 수술은 3+3 또는 4+4개, 암술에 붙는다. 암술은 3(–4)개의 심피로 이루어져 있고, 합생, 자방은 꽃차례 축에 묻혀 자방 하위. 배주는 1심피당 6–10개. 열매는 삭과. 북미 남부에 분포한다. 단 1종만 알려져 있다.
어성초속줄기는 직립 또는 사상하고, 은 줄생한다. 꽃차례는 밀생하며 짧고, 꽃잎 모양의 (보통 4장, 드물게 6, 8장)가 기부에 붙는다. 수술은 3(–8)개, 자방 기부에 붙어있다. 암술은 3개의 심피로 이루어져 있고, 합생, 자방 상위. 배주는 1심피당 6–9개. 열매는 삭과.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어성초 1종만 알려져 있다.
삼백초속줄기는 직립 또는 사상하고, 은 줄생한다. 꽃차례는 비교적 성기며 긴 총상화서, 기부에 꽃잎 모양의 포는 붙지 않지만, 삼백초에서는 근방의 잎이 하얗게 된다. 수술은 3–8개, 때로는 암술에 착생. 암술은 (3–)4–5(–7)개의 이생 심피로 이루어져 있고, 자방 상위. 배주는 1심피당 2개. 열매는 비열개성의 분리과이며, 각 분과는 1종자를 포함한다. 북미 동부에 분포하는 미국삼백초와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삼백초 2종이 알려져 있다.
김노테카속 (짐노테카속[6])포복성. 엽병이 길고, 엽신과 동장 이상. 꽃차례는 비교적 성기며 긴 총상화서, 때로는 꽃잎 모양의 가 기부에 붙는다. 수술은 (5–)6(–7)개, 암술에 착생하며, 꽃주보다 짧다. 암술은 (2–)4개의 심피로 이루어져 있고, 합생, 자방 하위. 배주는 1심피당 9–13개. 열매는 삭과. 중국 남부에서 베트남에 분포한다. 2종이 알려져 있다.


5. 2. 계통 분류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삼백초과를 목련군 후추목 아래에 분류하며,[34]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35][36][37]

20세기 말 이후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어성초과는 후추과와 근연 관계임이 확인되었으며, 쥐방울덩굴과 또한 근연 관계임이 밝혀졌다. 2020년 현재 이들 3과는 후추목으로 묶여 있다.[28][25][26] 후추목은 목련목, 녹나무목 등과 함께 단일 계통군을 구성하며, 피자식물의 초기 분기군 중 하나로 목련류(magnolids)라고 불린다.[28][6][26]

참조

[1] 웹사이트 Piperales http://www.mobot.org[...] 2023-06-18
[2] 논문 Tiny pollen grains: first evidence of Saururaceae from the Late Cretaceous of western North America
[3] 웹사이트 "'Saururaceae'" http://www.plantsoft[...] Kew Botanical Garden 2021-08-28
[4] 서적 Plant Systematics Academic Press
[5] 서적 改訂新版 日本の野生植物 1 平凡社
[6] 웹사이트 모クレン類/コショウ目/ドクダミ科 http://www.nibb.ac.j[...] 基礎生物学研究所 2021-08-29
[7] 웹사이트 Saururaceae A. Rich. https://www.delta-in[...] 2021-08-29
[8] 서적 野に咲く花 増補改訂新版 山と渓谷社
[9]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10] 웹사이트 ドクダミ科 https://staff.fukuok[...] 2021-09-04
[11] 웹사이트 花弁とがくの違いについて https://jspp.org/hir[...] 日本植物生理学会 2021-09-04
[12] 웹사이트 【どくだみの効果的な駆除方法!】 https://kurashi-no.j[...] 2021-09-04
[13] 웹사이트 ベトナム香草その9 ドクダミ (Rau diếp cá) https://xn--eckp3dub[...] 2021-08-30
[14] 웹사이트 製品情報 https://www.sokenbic[...] 日本コカ・コーラ株式会社 2021-08-30
[15]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pharm.or[...] 公益社団法人日本薬学会 2021-08-30
[16]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takeda.c[...]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2021-08-30
[17] 웹사이트 ハンゲショウ https://www.pharm.ku[...] 2021-09-04
[18]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shuminoe[...] NHK出版 2021-08-30
[19] 웹사이트 ハンゲショウ https://www.shuminoe[...] NHK出版 2021-08-30
[20] 서적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Nutzpflanzen nebst einer Übersicht über die Florenreiche und Florengebiete der Erde. I. Band: Allgemeiner Teil. Bakterien bis Gymnospermen
[21] 서적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22] 서적 植物系統分類の基礎 北隆館
[23] 서적 바이오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2) 植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24] 서적 바이오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2) 植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25] 웹사이트 모クレン類/コショウ目/ドクダミ科 http://www.nibb.ac.j[...] 基礎生物学研究所 2021-08-29
[26]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27] 논문 Increased sampling of both genes and taxa improves resolution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Magnoliidae, a large and early-diverging clade of angiosperms
[28] 웹사이트 Saururaceae http://www.mobot.org[...] 2021-08-29
[29] 논문 Phylogeny of Saururaceae based on morphology and five regions from three plant genomes
[30] 논문 日本のドクダミ科・コショウ科・センリョウ科植物
[31] 웹사이트 Saururaceae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21-08-29
[32] 웹사이트 Saururaceae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21-08-29
[33] 문서 Richard, Louis Claude Marie. ex: Lestiboudois, Thémistocle Gaspard. Botanographie Élémentaire 453. 1826.
[34]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s://academic.oup[...]
[35]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s://academic.oup[...]
[36]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https://academic.oup[...]
[37] 논문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http://www.bergian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