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모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모밀은 'Houttuynia cordata'의 한국어 명칭으로, 하트 모양의 잎과 독특한 냄새가 특징인 여러해살이풀이다. 일본에서는 '도쿠다미'로 불리며, 다양한 방언과 한자명, 영명으로도 불린다. 약모밀은 습한 곳에서 자라며, 흰색의 꽃이 피고, 지하경으로 번식한다. 전초는 약재로 사용되며, 해독, 이뇨 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식용으로도 사용되어 잎은 샐러드나 허브차로, 뿌리는 샐러드나 볶음 요리에 활용된다. 또한, 스킨케어 제품의 성분으로도 사용되며, 재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 약용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약용식물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약모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outtuynia cordata |
학명 명명자 | Thunb. |
속 | 약모밀속 |
속 학명 | Houttuynia |
종 | 약모밀 |
명칭 | |
학명 | Houttuynia cordata |
한국어 | 약모밀 |
문화어 | 즙채 |
영어 | fish mint fish plant Vietnamese fish plant fishwort chameleon chameleon plant heartleaf heart-leaved houttuynia heartleaf houttuynia houttuynia edible houttuynia wild houttuynia white chaplu |
일본어 | 도쿠다미 (ドクダミ) 蕺 蕺草 蕺菜 도쿠다미소우 (ドクダミソウ, 蕺草) 도쿠다메 (ドクダメ, 毒溜め, 蕺, 蕺草) 시부키 (シブキ, 蕺, 之布岐, 之布木, 之布支, 志布岐) 지고쿠소바 (ジゴクソバ, 地獄傍) 우마제리 (ウマゼリ, 馬芹) 이샤고로시 (イシャゴロシ, 医者殺) 마마오야 (ママオヤ, 継親) 이누노헤 (イヌノヘ, 犬屁) 키츠네노카라이모 (キツネノカライモ, 狐唐芋) 우마쿠와즈 (ウマクワズ, 馬不食) 고제나 (ゴゼナ, 瞽女菜) 이모구사 (イモグサ, 芋草) 호토케구사 (ホトケグサ, 仏草) 헤비쿠사 (ヘビクサ, 蛇草) 뉴우도우구사 (ニュウドウグサ, 入道草) 핫쵸우구사 (ハッチョウグサ) ギョセイソウ (魚腥草) 슈우사이 (蕺菜) 슈우야쿠 (蕺薬) 쥬우사이 (蕺菜) 쥬우야쿠 (十薬, 重薬, 蕺薬) |
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계통 분류군) | 속씨식물군 |
강 (계통 분류군) | 목련군 |
목 | 후추목 |
과 | 삼백초과 |
속 | 약모밀속 |
이명 |
2. 명칭
약모밀은 습한 음지에서 자라며 특유의 냄새가 난다. 잎은 하트 모양이며, 흰 꽃잎처럼 보이는 포 4개가 붙어 있어서 꽃송이 전체가 하나의 꽃처럼 보인다.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소라치 부근에서 규슈까지 볼 수 있다.
약모밀은 주로 나무 그늘과 같은 어두운 습지에서 자라며, 특유의 냄새가 난다. 가는 뿌리줄기는 땅속에서 가로로 뻗어 나가며, 이것으로 영양 번식을 한다. 잎은 고구마 잎과 비슷한 심장 모양이다. 초여름에는 줄기 위쪽에 엷은 황색의 작은 꽃들이 이삭 모양으로 달리며, 꽃차례 밑에는 4개의 흰 총포 조각이 십자형으로 달려 있어 꽃잎처럼 보인다. 수술은 3개로 씨방 밑쪽에 붙어 있고, 암술은 3개의 심피가 합쳐져 측막 태자리를 형성한다.
이름에 '독'이 있지만, 약모밀은 독이 없다. 잡초로 흔히 볼 수 있지만, 예로부터 민간 요법에 이용되었으며, 생약으로는 '''십약'''(じゅうやく)이라고 불린다.[39][40] 약용 외에도 약모밀차, 식용, 원예용 등으로 이용된다. 별명이 많으며, 약모밀, 독담, 어성초, 지옥소바, 우마제리 등이 있다.
약모밀의 학명인 ''Houttuynia cordata'' 중 속명 ''Houttuynia''는 네덜란드의 박물학자인 마르턴 호투인(1720–1798)에게 헌정된 이름이며, 종소명 ''cordata''는 라틴어로 하트 모양 잎을 뜻한다.[101]
일본어명인 "'''도쿠다미'''"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독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독을 고치다(ためる)"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일반적이다.[49][48] 다른 설로는 "독 통증"의 의미로 독과 통증에 효능이 있어 붙여졌다는 설,[46][51] 특유의 냄새 때문에 독기가 모인 곳을 의미하는 "독 모임(도쿠다메)"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49] 그러나 약모밀 자체에는 독이 없다.[102]
옛날에는 "시부키(之布岐/시후키)"라고 불렸다.[49][107] 그 외에도 다양한 방언이 있으며, 일본 전국에 160여 개의 방언이 있다고 한다.[49] 도호쿠 지방에서 간토 지방에서는 "지고쿠소바", 오이타현에서는 "우마제리" 등으로 불렸다.[106]
한자명은 "즙채(蕺菜)"이다.[50][71][49] 일본에서의 생약명인 "십약"은 민간 약재로 용도가 넓어 응용 범위가 10개에 달한다는 데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49] "어성초(魚腥草)"(腥의 의미는 "비린내"), 베트남어명 "자우잡까" 또는 "자우지에프까"(rau giấp cá/ rau diếp cávie, 의미는 "생선 채소 잎"), 영명 "피쉬 민트"(fish mint), "피쉬 허브"(fish herb), "피쉬워트"(fishwort) 등, 생선 냄새와 관련된 이름도 많다.[107]
3. 생태
어성초는 최대 1m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줄기 아랫부분은 땅을 따라 뻗으며 부정근을 생성하고, 위쪽 부분은 수직으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심장 모양이고, 길이가 4cm, 너비가 3cm이다. 꽃은 녹황색이며, 길이 2cm의 정단 꽃차례에 피며, 4~6개의 크고 흰색의 기저 포를 갖는다.[2][1] 보통 여름에 개화하며, 잎의 어떤 부분에서든 뿌리줄기가 다시 자라나는 능력 때문에 침입성 식물로 여겨진다.[3]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하트 모양이며, 꽃받침이나 꽃잎이 없는 작은 꽃이 밀집되어 있고, 그 기부에 흰 꽃잎과 같은 포가 4개 붙어 있어 꽃송이(꽃차례)가 하나의 꽃처럼 보인다. 전초에서 알데히드 유래의 특유한 냄새가 난다.[44][45][46][47][48]。 지하에는 가늘고 흰 지하경이 옆으로 뻗어 왕성하게 분지하며, 지하경 마디에서 곁뿌리가 돌려 난다.[50]。 키는 20cm이며, 지상 줄기는 자줏빛을 띠며 비스듬히 위로 뻗거나 곧게 서고, 털 유무와 관계없이 드문드문 잎이 어긋나기한다[44][45][47][51][52] (그림 2a, b)。 잎몸은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3–10 cm, 선점을 가지고, 광택이 없는 짙은 녹색으로 특히 뒷면은 자주 자줏빛을 띤다.[44][45][47][52][53] (그림 2). 잎맥은 손바닥 모양, 5–7개이다.[45] (그림 2c). 잎자루는 길이 1–3.5 cm, 털이 없다.[45]。 턱잎은 막질로 둔두이며, 길이 1–2.5 cm, 잎자루 기부에 붙고, 엽초처럼 줄기를 감싸며, 처음에는 새 싹을 감싼다.[44][45][47]。
개화기는 초여름부터 여름 (5–8월)이다.[52] 줄기 끝 또는 줄기 윗부분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1–5 cm의 꽃차례자루를 뻗고, 그 끝에 작은 꽃이 밀집하여 길이 1–3 cm의 수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은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핀다.[44][45][47][52] (위 그림 2a, b, 위 그림 3a, b). 꽃차례 기부에는 장타원형에서 도란형, 길이 1–2 cm의 흰 포가 4개(드물게 5, 6, 7개) 십자형으로 달려있다. 이것이 "꽃잎"처럼 보여 꽃차례 전체가 1개의 꽃처럼 보인다.[44][45][47]。 이 포는 봉오리일 때 꽃차례 전체를 감싸고 있다.[45]。 각 꽃 기부에는 작은 선형의 포(소포)가 있지만, 원예 품종 중에는 이 포가 최하위 포와 마찬가지로 하얗게 대형화된 것도 있다.[44][45] (겹독다미; 위 그림 3c). 개별 꽃은 꽃덮이 (꽃받침, 꽃잎)가 없고, 암술과 수술로 이루어진다.[44][45][48]。 수술은 3–8개, 꽃밥은 노란색으로 눈에 띄고, 꽃실은 가늘고 길며 기부에서 암술의 씨방에 합착하고 있다.[44][45][53]。 암술은 씨방상위이며, 3 또는 4개의 심피로 이루어지고, 합착하여 1실, 측막태좌, 각 태좌에 6–8개의 배주가 붙는다.[44][53]。 암술의 암술대는 3 또는 4개, 흰색, 굽는다.[44] (위 그림 3b).
열매는 삭과로 아구형이며, 길이 2–3 mm, 잔존성 암술대 사이에서 갈라진다.[44][45]。 씨앗은 난형, 길이 약 0.5 mm, 갈색이다.[44][45]。 일본의 약모밀은 유성생식을 하지 않고, 배주가 무성적으로 씨앗이 된다고 생각된다.[45][58]。 또한 지하경의 분단화 등에 의한 영양번식도 빈번하게 한다.[48][49]。 염색체 수에 변이가 커서, 2n = 24, 52–56, 72, 80, 96, 100–104, 112, 128 등이 보고되고 있다.[59]。 일본에 많은 약모밀(2n = 96)은 삼배체로 여겨지기도 하지만,[58] 이들 염색체 수로부터 12배체라고도 한다(염색체 기본수 ''x'' = 8).[59]
식물체 전체에 기름세포나 분비세포, 선모가 존재하며, 알데히드와 케톤, 플라보노이드, 페놀 화합물, 타닌 등을 생성하여 식충자나 기생 미생물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삼는다고 생각된다.[60]
습한 반음지(半陰地)를 좋아하며, 주택 주변의 정원이나 공터, 길가, 황무지, 숲, 산야에서 잘 군생한다. 번식력이 강하며, 잘린 지하경에서도 번식하기 때문에 방치하면 온통 약모밀 천지가 되어 다른 잡초가 자라지 못한다. 강한 냄새가 나고 지하경을 뻗어 번지기 때문에 제거하기 어려운 잡초로 여겨진다.[48][49]
일본에서는 약모밀을 식초로 하는 동물은 많지 않지만, 광식성 동물(대만점박이애벌레, 일본원숭이 등)이 먹는 경우가 있다.[64][65] . 한편, 광식성 파밤나방은 약모밀을 기피한다.[66] .
약모밀에서는 내생균(병원성을 나타내지 않고 식물체 내에 공생하는 균류나 세균)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 , (자낭균문)가 보고되었다.[67][68]
3. 1. 분포
일본, 대한민국, 중국 (중부에서 남부), 히말라야, 방글라데시, 타이완, 인도차이나 반도에 분포한다.[13] 또한 북미와 유럽 일부 지역에도 침입했다.[13][61]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남부, 혼슈, 시코쿠, 규슈,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보고되었다.[13][51][52][62] 홋카이도의 것은 혼슈에서 이입된 것으로 여겨진다.[63]
4. 성분
약모밀은 정유를 0.005% 함유하고 있는데, 메틸노닐케톤, 미르센 등이 주성분이다. 데카노일 아세트 알데하이드와 라우린 알데하이드 때문에 불쾌한 냄새가 난다. 잎에는 쿠에르시트린이, 꽃과 열매 이삭에는 아이소쿠에르시트린이 들어 있다.[10][11][12]
생잎과 줄기의 독특한 냄새는 정유 성분인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 및 라우릴알데히드 등의 지방족 알데히드에서 유래하며, 이는 항균 작용이 있지만 휘발성이므로 건조하면 사라진다.[46][79][80][81] 잎과 꽃차례에는 퀘르세틴,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아프제린, 히페린, 루틴 등의 플라보노이드 또는 그 배당체도 포함되어 있다.[79][82] 미네랄로는 칼륨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46][83][84]
약모밀의 주요 성분과 그 효능은 다음과 같다.
5. 이용
약모밀은 예로부터 민간 요법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잎을 말려 달인 '도쿠다미 차'는 차 외 음료나 허브티로 널리 마셔지고 있다.[92] 청량 음료인 爽健美茶에도 약모밀이 원료 중 하나로 사용된다.[93] 약모밀차는 5-7월경 개화기의 지상부를 이용하여 만든다.
약모밀에는 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성분은 열에도 강해 조리 과정에서 파괴되지 않는다. 따라서 식용으로 섭취하는 경우에도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 도쿠다미 차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약모밀을 건조 가공하면 살균 작용의 근원이 되는 냄새 성분이 사라지므로, 살균 및 소독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베트남 요리에서는 약모밀을 향신료(허브)로 반쎄오나 까오라우 등 다양한 요리에 곁들여 생식하거나 샐러드로 먹는다.[85][94][95] 중국 서남부 (구이저우 성, 쓰촨 성, 후난 성 등)에서는 약모밀을 식재료로 널리 이용하며, 특히 지하경은 "절이근(저얼건, )"이라고 불리며 볶음 요리나 무침으로 먹는다.[96][97]
일본에서는 『와묘루이쥬쇼』(935년경)에 약모밀이 채소로 기록되어 있으며, 『호오즈키 일기』(974년경)에는 유자를 얹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98] 근현대 일본에서도 식량난 시대에 지하경을 삶아 식량으로 삼았다고 한다.[53]
5. 1. 약용
약모밀은 전초를 약으로 쓰며, 즙채 또는 중약이라고 부른다. 여름철 꽃이 필 때 전초를 뜯어 그늘에서 말려 사용한다. 곪는 데, 치질, 자궁염에 해독제로 쓰이며, 임질, 요도염 등에 이뇨제로 사용된다. 동맥경화증에는 차로 달여 마시면 효과가 좋다. 민간에서는 생초 즙을 내어 헌데, 무좀, 치질, 뱀독, 옻 등에 바른다.[7]중의학에서는 어성초가 SARS[7] 및 다양한 질환[8] 치료에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사용의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고품질 임상 연구는 없다. 어성초를 주사로 투여 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9]
약모밀은 예로부터 생약, 민간약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쥐손이풀, 센브리와 함께 일본 3대 민간약 중 하나로 꼽힌다. 약모밀차, 허브, 채소로 이용되기도 하며, 상업적으로 재배되기도 한다.[99]
꽃이 피는 시기의 지상부를 그늘에 말려 건조시킨 것을 일본에서는 생약으로 '''쥬야쿠'''(重薬, 즙약이라고도 쓴다)라고 부른다.[71] 쥬야쿠는 이뇨 작용, 완하 작용, 고혈압·동맥 경화 예방, 항염증·진정 작용, 구충 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46][47][76][91] 민간에서는 쥬야쿠를 달여 하루에 3잔 정도 복용한다.[46][47][76] 단, 임산부의 복용이나 과다 섭취, 장기간 사용은 피해야 한다.[71][73][76]
습진, 알레르기, 여드름, 부스럼, 무좀, 백선, 치질 등에는 생잎을 으깨거나 끓여 연고처럼 만들어 환부에 바른다.[46][47][76][91][74] 축농증, 만성 비염, 질염에는 생잎즙을 사용하기도 하며,[46][47][75] 땀띠나 여드름에는 입욕제로 활용한다.[47][76]
중국에서는 '''어성초'''(yú xīng cǎo)라고 불리며 해열, 해독, 진통 등에 사용되며, 여러 한방 처방에 포함된다.[42][77][78]
생 잎과 줄기의 냄새는 정유 성분인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 및 라우릴알데히드 등의 지방족 알데히드에서 유래하며, 항균 작용이 있지만 건조하면 사라진다.[46][79][80][81] 잎과 꽃차례에는 퀘르세틴,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등의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칼륨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79][82]
약모밀의 주요 성분과 효능은 다음과 같다.
성분 | 효능 |
---|---|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 라우릴알데히드 | 항균, 백선균, 포도상구균 살균[40][86][85] (건조 시 휘발) |
퀘르세틴 | 모세 혈관 강화, 이뇨 작용, 항산화[46][73] |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 이뇨 작용, 완하 작용, 강심 작용, 혈관 수축[73][86] |
칼륨염 | 이뇨 작용, 동맥 경화 예방[46] |
5. 2. 식용
약모밀은 주로 잎채소로 재배되며, 신선한 허브 고명으로 사용된다.[2] 잎은 특유의 "생선 냄새" 때문에 "생선 민트"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인도 북동부에서는 샐러드, 살사 등에 사용하거나, 다른 채소와 함께 요리하여 사이드 디쉬 위에 고명으로 얹는다. 부드러운 뿌리는 마른 고기나 생선, 고추, 타마린드와 함께 처트니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샐러드로 생으로 먹거나 생선 카레에 넣어 요리하기도 한다. 일본과 한국에서는 말린 잎을 허브차로 우려 마시는데, 일본에서는 ''도쿠다미차''(どくだみ茶일본어), 한국에서는 ''어성초차''(어성초차한국어)라고 부른다.
베트남 요리에서는 ''지에프 까''(diếp cá)라고 불리며, 구운 고기나 국수 샐러드 요리에 사용된다.[5] ''고이 꾸온'', 어성초 샐러드를 곁들인 볶음 소고기, ''반쎄오'' 등에 고명으로 사용된다.[6]

''저얼근''(Zhé'ěrgēn, 折耳根중국어)은 ''Houttuynia cordata''(''yúxīngcǎo'', 魚腥草중국어)의 식용 뿌리줄기로, 맵고 후추 맛이 난다. 구이저우, 쓰촨, 윈난 등 중국 남서부 요리에 사용되며, 잎은 쓰촨에서, 뿌리는 구이저우에서 주로 먹는다. ''저얼근''을 절인 돼지 삼겹살과 함께 볶은 요리는 구이저우의 대표 음식 중 하나이다.
저얼근 사용법:
약모밀의 잎은 가열하면 냄새가 줄어들어, 일본에서는 튀김 등으로 먹기도 한다.[46][90][91] 4-6월경에 딴 어린 싹과 잎은 냄새가 강하므로, 삶아서 물을 여러 번 갈아주며 충분히 물에 담가둔 후, 된장 무침이나 초된장 무침으로 먹으면 냄새가 덜하다. 나물, 깨 무침, 국, 초절임, 기름 볶음으로도 먹을 수 있다. 말리거나 열을 가하면 냄새가 사라지기 때문에, 말린 잎을 삶아 우려낸 후 물에 담가두면 일반적인 잎채소처럼 먹을 수 있다.
지하경은 일년 내내 이용할 수 있으며, 된장 절임, 볶음 요리, 조림 요리, 킨피라, 초절임, 솥밥 등으로 먹는다. 지하경도 삶아 우려내면 냄새가 제거된다. 섬유질이 강하므로, 굵은 것은 2-4개로 쪼개면 먹기 쉽다.
약모밀은 민간 요법으로 잎을 건조시킨 것을 달인 '''도쿠다미 차'''가 차 외 음료, 허브티로 널리 음용된다.[92] 爽健美茶의 원료 중 하나로도 사용된다.[93] 5-7월경 개화기의 지상부를 이용하여 차를 만든다. 약모밀에는 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열에도 강해 조리해도 없어지지 않아, 식용 시에도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 도쿠다미 차 이상의 효과가 기대된다.
베트남 요리에서는 약모밀을 향신료(허브)로 반쎄오, 까오라우 등 다양한 요리에 곁들여 생식하거나 샐러드로 먹는다.[85][94][95] 중국 서남부 (구이저우 성, 쓰촨 성, 후난 성 등)에서는 식재료로 널리 이용되며, 지하경은 "절이근(저얼건, )"이라고 불리며 볶음 요리나 무침으로 먹는다.[96][97]
일본에서는 『와묘루이쥬쇼』(935년경)에 채소로 기록되어 있으며, 『호오즈키 일기』(974년경)에는 유자를 얹어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98] 근현대 일본에서도 식량난 시대에 지하경을 삶아 식량으로 삼았다고 한다.[53]
5. 3. 기타
이 식물의 추출물은 한국 스킨케어 제품의 주요 성분이다. 일본에서는 잡초로 친숙한 존재이지만, 예로부터 생약, 민간약으로 이용되어 쥐손이풀, 센브리(센토리)와 함께 일본 3대 민간약의 하나로 꼽힌다[48][69]。 도쿠다미 차나 허브, 채소로 이용되기도 하며, 이러한 수요 때문에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99]。 또한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하며, 구미에서도 동양의 허브로서 인기가 있다[48][51]。 건강 식물로서의 평가가 높으며, 시노하라 (2008)는 "그늘지고 약간 습한 곳에 군생하며 독특한 냄새를 풍기지만, 이토록 유능하고 버리기 아까운 식물도 드물다"고 평했다.6. 재배
약모밀은 햇빛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노출되는 한, 습하거나 젖은 토양 또는 물 속에 약간 잠긴 상태에서 잘 자란다.[2][1] 정원에서 뿌리가 깊고 활발하게 퍼져 제거하기 어려워 침입종이 될 수 있으며, 분주로 번식한다.
온대 정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재배된 형태로 발견된다. '카멜레온' 품종(''H.cordata'' 'Court Jester', 'Tricolour', 'Variegata'와 동의어)은 모종보다 약간 덜 왕성하며, 노란색과 붉은색이 얼룩진 짧은 잎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품종인 'Flore Pleno'는 흰색 포엽이 많으며 모종의 왕성함을 유지한다.
- -----
약모밀은 약용이나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어 상업적인 재배도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특산 농산물 협회에 따르면, 일본에서의 재배 면적은 국산 약용 식물의 수요 증가를 배경으로 2016년 200a 미만에서 2018년에는 666a로 급증했다. 효고현(253a)과 도쿠시마현(250a)이 2대 산지이다.[99]
약모밀을 농작물로 재배하는 경우, 정식 직후에 손으로 잡초를 제거하여 밀식하면 다른 잡초가 생기기 어려워진다.[99]
약모밀은 원예용으로도 재배되고 있으며, 다양한 원예 품종이 있다.[100] 많은 꽃의 포가 최하부의 포와 마찬가지로 대형화된 겹약모밀(Houttuynia cordata|la f. ''plena''), 잎에 흰색이나 분홍색 등의 반점이 있는 것은 얼룩약모밀(Houttuynia cordata|la f. ''variegata'')이라고 불린다.[45] 반입종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며, 오색약모밀('카멜레온', '트리컬러'), 금약모밀(백색부가 많음), '프레임'(복륜 무늬), '조커즈 골드'(명황색 반입) 등이 있다.[100]
참조
[1]
웹사이트
"''Houttuynia cordata'', Thunb."
http://powo.science.[...]
KewScience,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UK
2018
[2]
웹사이트
"''Houttuynia cordata'' Thunb."
https://www.pfaf.org[...]
Plants for a Future
2012
[3]
웹사이트
Houttuynia cordata (Chameleon Plant, Rainbow Plant) {{!}} North Carolina Extension Gardener Plant Toolbox
https://plants.ces.n[...]
2020-09-29
[4]
웹사이트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Houttuynia cordata
http://www.issg.org/[...]
2008-07-06
[5]
웹사이트
Vietnamese Herbs: Fish Mint
https://vietherbs.co[...]
2018-10-09
[6]
웹사이트
NPR Inc.:Banh Xeo (Sizzling Crepes)
https://www.npr.org/[...]
2018-10-10
[7]
논문
Immunomodulatory and anti-SARS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8]
논문
A current update on the phytopharmacological asp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9]
논문
Adverse events to Houttuynia injection: A systematic review
[10]
논문
Variation i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Two Species of Houttuynia Thunb
[11]
논문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the Essential Oil of Houttuynia cordata Thunb by Using On-Column Methylation with Tetramethylammonium Acetate
[12]
논문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after extraction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flash evaporation and steam distillation
http://ir.rcees.ac.c[...]
2020-10-07
[13]
웹사이트
"''Houttuynia cordata''"
http://www.plantsoft[...]
Kew Botanical Garden
2023-02-10
[14]
웹사이트
蕺草
2021-08-30
[15]
웹사이트
蕺菜
2021-08-30
[16]
웹사이트
度久太美
2021-08-30
[17]
웹사이트
止久陀三
2021-08-30
[18]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weblio.j[...]
エーザイ
2021-09-14
[19]
웹사이트
蕺
2021-08-30
[20]
웹사이트
之布岐
2021-08-30
[21]
논문
薬草散歩 (4) ドクダミ (十薬・ドクダミ科)
http://common3.pref.[...]
[22]
웹사이트
地獄傍
2021-08-30
[23]
웹사이트
医者殺
2021-08-30
[24]
웹사이트
継親
2021-08-30
[25]
웹사이트
犬屁
2021-08-30
[26]
웹사이트
狐唐芋
2021-08-30
[27]
웹사이트
馬不食
2021-08-30
[28]
웹사이트
瞽女菜
2021-08-30
[29]
웹사이트
芋草
2021-08-30
[30]
웹사이트
仏草
2021-08-30
[31]
웹사이트
蛇草
2021-08-30
[32]
웹사이트
入道草
2021-08-30
[33]
웹사이트
ドクダミ
2021-08-30
[34]
웹사이트
蕺菜
2021-09-14
[35]
웹사이트
十薬
2021-08-30
[36]
Kotobank
ドクダミ
2021-09-14
[37]
Kotobank
蕺薬
2021-08-30
[38]
웹사이트
Houttuynia cordata
https://www.iplantz.[...]
2021-08-30
[39]
웹사이트
生薬の玉手箱 No.036 十薬(ジュウヤク)
https://www.uchidawa[...]
ウチダ和漢薬
2021-09-14
[40]
웹사이트
生薬百選30 「ドクダミ」
https://www.yomeishu[...]
養命酒製造株式会社
2006-09
[41]
웹사이트
十薬
https://www.kotaro.c[...]
小太郎漢方製薬株式会社
2021-09-14
[42]
웹사이트
ジュウヤク(十薬)
https://www.fukudary[...]
福田龍株式会社
2021-09-16
[43]
Kotobank
十薬
2021-09-14
[44]
서적
改訂新版 日本の野生植物 1
平凡社
[45]
논문
日本のドクダミ科・コショウ科・センリョウ科植物
[46]
서적
効きめと使い方がひと目でわかる 薬草健康法
講談社
[47]
서적
薬草500種 -栽培から効用まで
誠文堂新光社
[48]
서적
ルーペで発見! 雑草観察ブック
世界文化社
[49]
서적
植物和名の語源探究
八坂書房
[50]
웹사이트
Houttuynia cordata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08
[51]
서적
花色でひける山野草・高山植物
成美堂出版
[52]
서적
野山で見つける草花ガイド
主婦と生活社
[53]
서적
花と葉で見わける野草
小学館
[54]
서적
野に咲く花 増補改訂新版
山と渓谷社
[55]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56]
웹사이트
ドクダミ科
https://staff.fukuok[...]
2021-09-04
[57]
웹사이트
花弁とがくの違いについて
https://jspp.org/hir[...]
日本植物生理学会
2013-10-21
[58]
서적
したたかな植物たち ―あの手この手のマル秘大作戦
エスシーシー
[59]
논문
Intraspecific polyploidy of Houttuynia cordata and evolution of chromosome number in the Saururaceae
[60]
논문
Structures, components and functions of secretory tissues in Houttuynia cordata
[61]
웹사이트
Houttuynia cordata Thunb.
https://www.gbif.org[...]
2021
[62]
논문
小笠原試験地の植生遷移とフロラ
[63]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bluelist.pref[...]
北海道
2021-09-04
[64]
논문
クワゴマダラヒトリの食餌植物とその選択性について
[65]
논문
ニホンザル採食植物リスト
[66]
논문
ハスモンヨトウ幼虫の植物選好性
[67]
논문
Studies on antagonistic effect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from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Hottuynia cordata Thunb and screening for Siderophore and indole-3-acetic acid production
[68]
논문
Endophytic fungi stimulate the concentration of medicinal secondary metabolites in Houttuynia cordata Thunb
[69]
웹사이트
ゲンノショウコ
https://www.pharm.ku[...]
2021-09-18
[70]
웹사이트
ジュウヤク
https://www.tokyo-sh[...]
公益社団法人 東京生薬協会
2017-03-02
[71]
서적
日本の薬草
小学館
[72]
서적
第十八改正日本薬局方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73]
웹사이트
十薬と呼ばれる万能薬 ドクダミ
https://www.yakusou-[...]
山下薬草店
2021-09-16
[74]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pharm.ku[...]
熊本大学薬学部 薬草園 植物データベース
2021-09-04
[75]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pharm.ku[...]
熊本大学薬学部 薬草園 植物データベース
2021-09-04
[76]
웹사이트
どくだみ
https://asoyakusouen[...]
阿蘇薬草園
2021-09-17
[77]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takeda.c[...]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2021-09-16
[78]
논문
Composition and variability of the essential oil of ''Houttuynia'' of China
[79]
논문
ドクダミクッキーの官能評価と抗酸化能について
https://hdl.handle.n[...]
仁愛女子短期大学
[80]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medicalh[...]
特定非営利活動法人 日本メディカルハーブ協会
2021-09-14
[81]
논문
ドクダミの精油成分について
https://doi.org/10.1[...]
日本化学会
[82]
논문
ドクダミ中のフラボノ-ル配糖体に関する研究
[83]
논문
ドクダミ茶の採取時期における無機構成成分
https://dl.ndl.go.jp[...]
日本調理科学会
[84]
웹사이트
ドクダミ茶の副作用-高カリウム血症
http://www.drugsinfo[...]
2021-09-15
[85]
논문
未利用植物の有効利用と調理科学への期待
https://dl.ndl.go.jp[...]
日本調理科学会
[86]
논문
ドクダミ Houttuynia cordata Thunb.(ドクダミ科 Saururaceae)
[87]
논문
精度管理研修記録 個人データの変動要因 ―健診結果の解釈―
https://doi.org/10.7[...]
[88]
서적
毒草・薬草事典
SBクリエイティブ
[89]
웹사이트
薬用植物として有名な「どくだみ」の育て方・効用・副作用・駆除方法などをご紹介
https://gardenstory.[...]
GardenStory
2021-09-16
[90]
논문
野草の食べ方
http://id.nii.ac.jp/[...]
[91]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kigusuri[...]
2021-09-18
[92]
웹사이트
どくだみ茶の売れ筋ランキング
https://www.amazon.c[...]
Amazon
2021-09-16
[93]
웹사이트
「爽健美茶」に含まれる『どくだみ』について教えてください。
https://j.cocacola.c[...]
日本コカ・コーラ
2020-10-10
[94]
웹사이트
ベトナム香草その9 ドクダミ
https://xn--eckp3dub[...]
2021-08-30
[95]
웹사이트
ベトナム&ハーブのおいしい関係
https://www.vietnam-[...]
2021-09-18
[96]
웹사이트
ドクダミは根っこがおいしい!? 貴州・四川・湖南のドクダミ料理と食の境界線
https://80c.jp/colum[...]
2021-09-16
[97]
웹사이트
火鍋は赤いスープのみ!ドクダミを大量に食べるのが当たり前!?日本人の知らない四川料理の世界
https://retty.news/2[...]
2021-09-16
[98]
웹사이트
ドクダミの白い花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21-09-21
[99]
뉴스
【滋賀・JAこうか移動編集局】ドクダミ産地化「忍者の里」動く 手間かからず"半永久的"放棄地解消へ一手
https://www.agrinews[...]
日本農業新聞
2020-10-06
[100]
웹사이트
ドクダミ
https://www.shuminoe[...]
NHK出版
2021-08-30
[101]
서적
Medicinal Plants of China, Korea, and Japan: Bioresources for Tomorrow's Drugs and Cosmetics
CRC Press
[102]
뉴스
ドクダミの完全な駆除対策方法7つ。除草剤を使用しない方法も。
https://taskle.jp/me[...]
2018-10-03
[103]
논문
資料別・草木名初見リスト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日吉紀要刊行委員会
[104]
Kotobank
蕺
2021-09-22
[105]
Kotobank
馬芹
2021-09-15
[106]
서적
日本植物方言集成
八坂書房
[107]
웹사이트
美しい肌Vol.373
http://sara2162.info[...]
医療法人社団永徳会 皿沼クリニック
2020-01-23
[108]
웹사이트
どくだみ
https://kigosai.sub.[...]
2021-09-22
[109]
웹사이트
ドクダミの花言葉
https://lovegreen.ne[...]
STROBOLIGHT.inc.
2021-09-23
[110]
웹인용
약모밀 (어성초)
http://hidream.or.kr[...]
한글동의보감
2010-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