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메디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메디슨은 198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의료기기 제조 기업으로, 초음파 진단기 개발을 시작으로 성장했다. 1990년대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코스피에 상장했으나, 2000년대 초 IT 버블 붕괴와 M&A 실패로 부도 처리되었다. 이후 삼성전자에 인수되어 삼성그룹 계열사로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초음파 진단기기, 디지털 X-ray 등을 생산하며 의료기기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삼성그룹의 헬스케어 사업의 일환으로, 의료기기 제조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계열사를 통해 의산복합체로서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5년 설립된 제조 기업 - 일본담배산업
일본담배산업은 1898년 일본 정부의 담배 전매 제도에서 시작되어 민영화 후 JT 인터내셔널을 통해 세계적인 담배 회사로 성장했으며, 담배 사업 외에도 식품, 제약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스포츠 후원, 흡연 에티켓 캠페인 등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85년 설립된 제조 기업 - 포커스라이트
포커스라이트는 루퍼트 네브가 1985년 설립한 오디오 장비 제조 회사로, AIR 스튜디오의 네브 콘솔 확장을 시작으로 필 더더리지에 의해 재설립된 후 노베이션 등 여러 음향 회사를 인수하며 성장하여 2014년 AIM 시장에 상장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기업 - 강원랜드
강원랜드는 폐광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유일의 내국인 출입 가능 카지노 및 복합 리조트이며, 카지노, 호텔, 콘도미니엄, 골프장, 스키장 등을 운영하지만 도박 중독, 범죄 증가, 비리 등 사회적 문제와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기업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삼성메디슨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회사 이름 |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
영문 회사 이름 | Samsung Medison Co., Ltd. |
한글 회사 이름 | 삼성메디슨 |
종류 | 주식회사 |
설립일 | 1985년 7월 2일 |
산업 | 의료기기 연구·제조 |
모기업 | 삼성전자 |
주주 | 삼성전자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68.46% |
직원 수 | 1,040명 (2019.12) |
웹사이트 | 삼성메디슨 |
재무 정보 (2022년) | |
매출액 | 4,851억 원 |
영업이익 | 834억 원 |
순이익 | 692억 원 |
경영진 | |
대표이사 | 유규태 |
주식 시장 정보 | |
장외주식시장 | 018360 |
2. 역사
1985년 이민화 등 7명이 초음파 진단기를 개발하면서 메디슨(현 삼성메디슨)이 설립되었다. 1996년 코스피 상장, 1998년 세계 최초 Live 3D 초음파 진단기 출시 등 벤처기업으로 성장했지만, 2000년대 초 IT 버블 붕괴와 무리한 M&A로 인해 2002년 부도를 맞았다. 이후 2006년 법정관리를 벗어나 재기에 성공했으나, 2010년 삼성전자에 인수되어 2011년 삼성그룹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삼성메디슨은 2013년 프리미엄 산부인과용 초음파 진단기기 WS80A, 2014년 프리미엄 영상의학과용 초음파 진단기기 RS80A, 2018년 프리미엄 산부인과용 초음파 진단기기 HERA W10을 출시했다. 2020년에는 선천성 심장질환 진단보조기능인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01614080870615 HeartAssist]가 AI 의료기기 인허가를 획득했으며, 프리미엄 영상의학과용 초음파 진단기기 RS85 Prestige를 출시했다. 2021년에는 이동형 초음파 진단기기 HM70 EVO와 프리미엄 범용 초음파 진단기기 V8을 출시했다. 2022년에는 지방간 초음파 검사기술(TAI)이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았고, 전립선 초음파 검사용 프로브 'miniER7'을 출시했다.
2. 1. 메디슨 창립과 성장 (1985년 ~ 2002년)
1985년 7월 2일, 이민화 등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원 7명이 초음파 진단기를 개발하면서 메디슨이 창립되었다.[1] 1986년 4월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했고, 1988년 4월 강원도 홍천군 남면 양덕원리 농공단지에 제조공장(현 삼성메디슨 제조1센터)을 준공했다.[1]1990년 삼성와 GE의 합작사인 삼성GE를 제치고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1] 1996년 1월 국내 벤처기업 최초로 코스피에 상장되었고,[1] 같은 해 4월 오스트리아의 Kretztechnik을 인수하여 3차원 초음파 기술을 확보했다.[1] 1996년 아시아 최초로 디지털 초음파 장비를 개발했고, 1998년 세계 최초로 Live 3D 초음파 진단기를 출시했다.[1] 1998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메디슨벤처타워로 본사를 이전했다.[1]
이후 메디슨은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한글과컴퓨터, 비트컴퓨터 등 23개 계열사, 총 40개 회사를 보유하며 '벤처연방제'를 표방했다.[1]
2. 2. 부도와 법정관리 (2002년 ~ 2010년)
2000년, 미국발 IT 버블 붕괴 및 무리한 M&A로 인해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2002년 3월 부도 처리되어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되었다. 이 과정에서 Kretztechnik을 GE에 매각하였고, GE는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초음파 진단기기 세계 시장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1]메디슨은 초음파 진단기기에만 집중하여 2006년 6월 법정관리에서 벗어나 재기에 성공했다.[1] 2009년 10월에는 메디슨헬스케어를 신설하는 등 다시 사업 확장의 모습을 보였으나, 2010년 12월 삼성전자에 인수되었다.[1]
2. 3. 삼성 인수와 현재 (2010년 ~ 현재)
2010년 12월 삼성전자에 인수되었고, 2011년 4월 삼성그룹 계열사로 편입되었다.[4] 2012년 4월 메디슨헬스케어를 합병하였고, 2012년 9월에는 초음파 프로브 제조업체인 프로소닉을 흡수 합병하며 경상북도 구미에 삼성메디슨 제조2센터를 준공하였다.2014년 기준으로 메디슨 기존 라인업인 ACCUVIX, SONOACE, EKO에 더해 삼성 라인업인 UGEO를 생산하고 있다.
2016년, 삼성은 삼성메디슨과 협력하여 생산 및 개발한 FDA 승인을 받은 GM85 모바일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북미 방사선 학회(RSNA) 제102회 과학 총회 및 연례 회의에서 선보였다.[4]
2017년, 삼성메디슨은 산부인과 진단에 최적화된 HS40 초음파 시스템을 출시했다. HS40을 통해 삼성메디슨은 의료 장비의 전체 라인업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5]
2018년, 시카고에서 열린 북미 방사선 학회 2018년 연례 회의(RSNA 2018)에서 삼성전자와 그 계열사인 삼성메디슨은 여러 종류의 진단 영상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6]
2019년, 삼성메디슨은 HERA I10 콤비네이션 초음파 시스템을 출시했다. HERA I10 콤비네이션 초음파 시스템은 초음파 검사 의자뿐만 아니라 진단을 위한 IT, 반도체 영상 처리 및 통신 기술을 갖추고 있다.[7]
2020년, 선천성 심장질환 진단보조기능인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01614080870615 HeartAssist]가 AI 의료기기 인허가를 획득하였으며, 프리미엄 영상의학과용 초음파 진단기기 RS85 Prestige를 출시했다.
2021년에는 이동형 초음파 진단기기 HM70 EVO를 출시했으며, 2021년 9월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3009055951322 프리미엄 범용 초음파 진단기기 V8]을 출시했다.
2022년 9월에 [https://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52155 지방간 초음파 검사기술(TAI)]이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았으며, 2022년 11월에는 헤드 부피를 63% 줄인 [https://www.etnews.com/20221121000034 전립선 초음파 검사용 프로브 'miniER7']을 출시했다.
3. 사업장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077 이스트센트럴타워에 서울 본사가 있으며, 본점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남면 한서로 3366 (옛 주소: 강원도 홍천군 남면 양덕원리 114)에 위치한 홍천사업장이다. 경상북도 구미시 1공단로 244 (공단동) (옛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259)에 구미사업장이 있다. 또한, 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 지방 사무소를 두고 있다.
4. 삼성그룹과 헬스케어 산업
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병원 영리화 정책으로 삼성그룹이 가장 큰 혜택을 볼 것이라는 논란이 있었다. 삼성그룹은 2009년부터 삼성의료원,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메디슨, 삼성바이오로직스, 365홈케어, 삼성전자, 삼성SDS 등 헬스케어 관련 계열사를 통해 헬스케어 산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왔다.[8]
4. 1. 의산복합체로서의 삼성
삼성그룹은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의산복합체로 불린다. 의산복합체는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 아널드 렐먼이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의사와 병원, 보험회사, 제약기업, 의료기기업체 등 다른 사업체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해 만드는 이해관계 네트워크를 뜻한다.[1]계열사 | 사업 분야 |
---|---|
삼성의료원 | 의료업 |
삼성생명, 삼성화재 | 보험업 |
삼성메디슨 | 의료기기 제조 |
삼성바이오로직스 | 신약 생산 |
삼성바이오에피스 | 신약 연구개발 |
삼성전자, 삼성SDS | U-헬스케어산업 |
365홈케어(현 오픈타이드코리아) | 건강관리 |
케어캠프 | 의료용품 MRO |
4. 2. 의료민영화 논란
박근혜 정부가 추진 중인 병원 영리화 정책의 최대 수혜자가 삼성그룹이 될 것이라는 논란이 있다.[8] 삼성그룹은 삼성의료원을 필두로 삼성생명(금융업), 삼성화재(금융업), 삼성메디슨(의료기기), 삼성바이오로직스(제약), 365홈케어(건강관리), 삼성전자/삼성종합기술원/삼성테크윈/삼성SDS(U-health) 등의 계열사를 소유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 헬스케어산업에 매우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8] 이번 병원 영리화 정책은 자본이 부족해 의료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는 대형병원이 자본 투자를 받아 헬스케어 산업에 뛰어들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삼성, 현대와 같이 이미 진출해 있는 기업이 보다 손쉽게 기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준 것이라는 평가이다.[8]참조
[1]
뉴스
Samsung buys Medison in major push to healthcare
https://www.reuters.[...]
Reuters
2010-12-14
[2]
웹사이트
Samsung buys Medison in major push to healthcare
https://www.livemint[...]
2010-12-14
[3]
웹사이트
Samsung Medison aiming to become leading devicemaker by 2020
https://www.fiercebi[...]
[4]
웹사이트
Samsung Showcases FDA-Cleared GM85 Mobile Digital Radiography System at RSNA 2016
https://www.business[...]
2016-11-27
[5]
웹사이트
Samsung Medison introduces highly efficient ultrasound system
https://www.koreatim[...]
2017-04-17
[6]
웹사이트
Samsung applies AI to medical imaging
https://www.zdnet.co[...]
[7]
웹사이트
Samsung Medison Exhibits New HERA I10 Combination Ultrasound System
https://www.hospimed[...]
2019-11-21
[8]
뉴스인용
"의료민영화정책과 한의계"
http://www.mjmedi.co[...]
민족의학신문
2014-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