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피는 대한민국 유가증권시장의 주가 지수이며, 1983년 1월 4일 1980년 1월 4일 기준 시가총액을 100으로 소급하여 산출되기 시작했다. KOSPI 200은 유가증권시장의 대형 상장사 200개로 구성되며, KOSPI 지수와 함께 움직인다. 코스피는 837개(2024년 8월 1일 기준)의 종목으로 구성되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시가총액 상위 종목이다. 한국거래소는 코스피 외에도 KOSPI 200, KRX 100 등 다양한 지수를 발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주가 지수 - 코스피 200
코스피200은 주가지수 선물 거래 활성화를 위해 시가총액 상위 200개 종목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코스피200 주가지수선물 및 옵션 거래, ETF, 인덱스펀드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의 기초 지수로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주가 지수 -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코스닥 시장 상장 기업의 주식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비교 시점의 시가총액을 기준 시점의 시가총액으로 나눈 후 1000을 곱하여 계산되고, 2004년에 기준 단위가 100에서 1000으로 변경되었다. -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 -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현대그룹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2001년 IPARK 아파트 브랜드를 론칭하고 HDC그룹의 모회사로 성장했으나, 2021년과 2022년 건물 붕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 - 제일기획
제일기획은 1973년 설립된 삼성그룹의 광고회사로, 하쿠호도와의 제휴를 시작으로 칸 국제광고제 수상 등 여러 국제적 광고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유수 광고대행사 인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 주가 지수에 관한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주가 지수에 관한 -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현대그룹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2001년 IPARK 아파트 브랜드를 론칭하고 HDC그룹의 모회사로 성장했으나, 2021년과 2022년 건물 붕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코스피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80년 |
운영 기관 | 한국거래소 |
거래소 | 한국거래소 |
심볼 | ^KS11 |
구성 종목 수 | 928 |
시가총액 | 2,254조 원 (2023년 1월) |
관련 지수 | KOSPI 200 KOSPI 100 KOSPI 50 |
명칭 | |
한국어 (한글) | 코스피지수 |
한국어 (한자) | 코스피指數 |
로마자 표기 | Koseupi jisu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K'osŭp'i chisu |
다른 한국어 명칭 | 한국종합주가지수 |
일본어 명칭 | 韓国総合株価指数 |
영어 명칭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
기타 정보 | |
명칭 변경 | 2005년 종합주가지수에서 코스피지수로 변경 |
2. 지수의 산출
코스피한국어 지수는 1983년 1월 4일에 1980년 1월 4일 기준 100으로 소급하여 산출되기 시작했다. 1980년 1월 4일의 시가총액을 분모로, 산출 시점의 시가총액을 분자로 하여 지수화한 것이다.
코스피 지수 = X 100
- a: 비교 시점의 시가총액
- b: 기준 시점의 시가총액
지수를 산출할 때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가증권시장 상장 종목 중 유상·무상증자, 주식배당, 합병 등으로 주가에 변동이 발생하거나 상장 주식수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기준 시가총액과 비교 시가총액을 수정한다.
2. 1. 지수 산식의 변화
- 1964년 1월 4일 ~ 1972년 1월 3일: 다우존스식 주가평균을 지수화하여 산출[1]
- 1972년 1월 4일 ~ 1983년 1월 3일: 한국종합주가지수 사용[1]
- 1983년 1월 4일: 시가총액식 도입 - 산업별 주가지수는 1975년까지, 부별주가지수와 자본금 규모별 주가지수는 1980년까지 소급 적용하여 발표[1]
3. 상장 회사
유가증권시장의 상장 종목 수는 837개이다. (2024년 8월 1일 기준)
4. KOSPI 200
KOSPI 200 지수는 유가증권시장의 대형 상장사 200개로 구성된다. 1990년 1월 3일에 기준값 100으로 설정되었다. KOSPI 시가총액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KOSPI 지수와 함께 움직인다. KOSPI 200은 선물 및 옵션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는 지수 중 하나이기 때문에 중요하다.[6] 사상 최저치는 1998년 6월 16일 금융 위기 당시 기록한 31.96이며, 2007년 4월 24일 처음으로 200을 넘어섰다.
4. 1. KOSPI 200 계약 명세
KOSPI 200 선물(티커 심볼 KOS)은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된다. 계약은 지수 포인트로 표시되며 각 계약 규모는 250,000 지수 포인트이다.[7] KOSPI 200 계약 명세는 아래 표와 같다.항목 | 내용 |
---|---|
계약 규모 | 250000point |
거래소 | KRX (한국거래소) |
섹터 | 지수 |
틱 크기 | 0.05 |
틱 가치 | 12500KRW |
계약당 기준 가격 변동량 (BPV) | 250000KRW |
통화 | KRW |
소수점 자릿수 | 2 |
5. KRX 100
KRX영어 100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100개 기업(코스닥 대형주 포함)의 지수이다. 코스피200을 주요 선물지수로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현재까지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한국거래소(KRX영어)의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 시장을 모두 고려한 KRX영어 100 및 기타 KRX영어 지수가 있다.
6. KRX 파생상품
(출력 결과 없음)
7. 외국인을 위한 투자 절차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거래소(KRX)에 상장된 선물 및 옵션 계약을 거래하려면 수탁은행을 지정 대리인으로 지정해야 한다. (수탁은행 계약 및 지정 대리인 계약을 통해 거래를 용이하게 함)
지정 대리인으로서 수탁은행은 외환은행과 선물회사에 계좌를 개설하고, 투자자의 자금을 입출금하며, 투자자 자산을 모니터링한다. 외국인 투자자는 외환 거래 및 이체를 실행하기 위해 외환거래 계약을 통해 외환은행을 지정해야 한다. 대부분의 외환은행은 수탁은행 및 지정 대리인 업무도 수행한다. 외국인 투자자는 KRX에서 거래되는 선물 및 옵션을 거래하기 위해 증권 및 선물회사를 지정해야 한다.
8. 역사
코스피(KOSPI)는 1983년 다우 지수 방식의 KCSPI(한국종합주가지수)를 대체하며 도입되었다. 수년 동안 코스피는 1,000선 아래에서 움직였으며, 1989년 4월, 1994년 11월, 2000년 1월에 1,000선을 돌파했다. 1998년 6월 17일, 코스피는 아시아 외환 위기의 바닥에서 회복하며 8.50%(23.81포인트)의 사상 최대 일일 상승률을 기록했다. 2001년 9월 12일, 코스피는 9.11 테러 직후 12.02%(64.97포인트)의 사상 최대 일일 하락률을 기록했다. 2005년 2월 28일, 코스피는 1,011.36으로 마감했지만 4월에는 902.88까지 급락했다. 그러나 이전의 불장 함정과 달리 상승세를 이어가며 오랫동안 1,000포인트 저항선을 돌파했다.
2005년 11월, 코스피 지수의 한국어 명칭이 공식적으로 '코스피지수'(Koseupi jisu)로 변경되었다.
2007년 7월 24일, 코스피는 사상 처음으로 2,000선을 돌파했으며, 7월 25일에는 2,004.22로 마감했다. 2007년 8월 20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할인율을 인하한 후 지수는 93.20(5.69%) 상승하며 사상 최대 일일 포인트 상승을 기록했다. 2008년 10월 16일,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7.87% 하락한 후 지수는 126.50(9.44%) 하락했다.
2020년 11월 23일,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으로 3월에 저점을 기록한 후 코스피는 2,602.59포인트로 2018년 기록을 처음으로 경신했다.[1]
9. 주요 기록
코스피 시장은 개장 이후 여러 중요한 기록들을 남겼다.
;최고치(종가)
: 2021년 7월 6일 3,305.21[10]
;최대 상승치
: 2008년 10월 30일 +115.75
;최대 하락폭
: 2008년 10월 16일 -126.50[10]
코스피는 1980년 1월 4일 100.00포인트로 시작하여 꾸준히 성장했으며, 특히 1980년대 후반과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다음은 코스피 주요 지수 돌파 기록(종가 기준)이다.
지수 | 날짜 | 종가 |
---|---|---|
100 | 1980년 1월 4일 | 100.00 |
200 | 1986년 4월 1일 | 200.15 |
300 | 1987년 1월 21일 | 301.93 |
400 | 1987년 3월 31일 | 405.13 |
500 | 1987년 8월 19일 | 500.73 |
600 | 1988년 1월 26일 | 602.32 |
700 | 1988년 5월 24일 | 705.51 |
800 | 1988년 11월 24일 | 805.86 |
900 | 1988년 12월 12일 | 911.35 |
1,000 | 1989년 3월 31일 | 1,003.31 |
1,100 | 1994년 10월 14일 | 1,103.37 |
1,200 | 2005년 9월 26일 | 1,206.41 |
1,300 | 2005년 12월 1일 | 1,305.98 |
1,400 | 2006년 1월 4일 | 1,402.11 |
1,500 | 2007년 4월 9일 | 1,501.06 |
1,600 | 2007년 5월 11일 | 1,603.56 |
1,700 | 2007년 5월 31일 | 1,700.91 |
1,800 | 2007년 6월 18일 | 1,806.88 |
1,900 | 2007년 7월 12일 | 1,909.75 |
2,000 | 2007년 7월 25일 | 2,004.22 |
2,100 | 2011년 1월 14일 | 2,108.17 |
2,200 | 2011년 4월 25일 | 2,216.00 |
2,300 | 2017년 5월 22일 | 2,304.03 |
2,400 | 2017년 7월 13일 | 2,409.49 |
2,500 | 2017년 10월 30일 | 2,501.93 |
2007년 10월 2일에는 시가총액이 1007조 2580억 원에 달해 처음으로 1000조 원을 돌파했다.[11]
2020년에는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코스피 지수가 급락하기도 했다. 2020년 3월 15일에는 1,771.44로 마감되었으며, 이에 금융감독원은 거의 9년 만에 처음으로 6개월간 공매도를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3]
9. 1. 최대 상승·하락률 기록
코스피 시장 개장 이후 일간 최대 변동치를 기록한 날짜는 다음과 같다.'''일간 최대 퍼센트 상승'''
순위 | 날짜 | 종가 | 등락 | |
---|---|---|---|---|
대비 | % | |||
1 | 2008년 10월 30일 | 1,084.72 | 115.75 | 11.95 |
2 | 2020년 3월 24일 | 1,609.97 | 127.51 | 8.60 |
3 | 1998년 6월 17일 | 303.81 | 23.81 | 8.50 |
4 | 2000년 3월 2일 | 894.66 | 66.28 | 8.00 |
5 | 1998년 12월 10일 | 567.61 | 41.09 | 7.80 |
'''일간 최대 퍼센트 하락'''
순위 | 날짜 | 종가 | 등락 | |
---|---|---|---|---|
대비 | % | |||
1 | 2001년 9월 12일 | 475.60 | −64.97 | −12.02 |
2 | 2000년 4월 17일 | 707.72 | -93.17 | −11.63 |
3 | 2008년 10월 24일 | 938.75 | −110.96 | −10.57 |
4 | 2008년 10월 16일 | 1,213.78 | -126.50 | −9.44 |
5 | 2024년 8월 5일 | 2,441.55 | -234.64 | -8.77 |
'''일간 최대 포인트 상승'''
순위 | 날짜 | 종가 | 등락 | |
---|---|---|---|---|
대비 | % | |||
1 | 2023년 11월 6일 | 2,502.37 | 134.03 | 5.66 |
2 | 2020년 3월 24일 | 1,609.97 | 127.51 | 8.60 |
3 | 2021년 1월 8일 | 3,152.18 | 120.50 | 3.97 |
4 | 2008년 10월 30일 | 1,084.72 | 115.75 | 11.95 |
5 | 2020년 3월 20일 | 1,566.15 | 108.51 | 7.44 |
'''일간 최대 포인트 하락'''
순위 | 날짜 | 종가 | 등락 | |
---|---|---|---|---|
대비 | % | |||
1 | 2024년 8월 5일 | 2,441.55 | -234.64 | -8.77 |
2 | 2020년 3월 19일 | 1,457.64 | -133.56 | -8.39 |
3 | 2008년 10월 16일 | 1,213.78 | -126.50 | -9.44 |
4 | 2007년 8월 16일 | 1,691.98 | -125.91 | -6.93 |
5 | 2011년 8월 19일 | 1,744.88 | -115.70 | -6.22 |
9. 2. 역대 지수의 추이
코스피는 1980년 1월 4일 100.00포인트로 시작하여 꾸준히 성장했다. 특히 1980년대 후반과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지수 | 날짜 | 종가 |
---|---|---|
100 | 1980년 1월 4일 | 100.00 |
200 | 1986년 4월 1일 | 200.15 |
300 | 1987년 1월 21일 | 301.93 |
400 | 1987년 3월 31일 | 405.13 |
500 | 1987년 8월 19일 | 500.73 |
600 | 1988년 1월 26일 | 602.32 |
700 | 1988년 5월 24일 | 705.51 |
800 | 1988년 11월 24일 | 805.86 |
900 | 1988년 12월 12일 | 911.35 |
1,000 | 1989년 3월 31일 | 1,003.31 |
1,100 | 1994년 10월 14일 | 1,103.37 |
1,200 | 2005년 9월 26일 | 1,206.41 |
1,300 | 2005년 12월 1일 | 1,305.98 |
1,400 | 2006년 1월 4일 | 1,402.11 |
1,500 | 2007년 4월 9일 | 1,501.06 |
1,600 | 2007년 5월 11일 | 1,603.56 |
1,700 | 2007년 5월 31일 | 1,700.91 |
1,800 | 2007년 6월 18일 | 1,806.88 |
1,900 | 2007년 7월 12일 | 1,909.75 |
2,000 | 2007년 7월 25일 | 2,004.22 |
2,100 | 2011년 1월 14일 | 2,108.17 |
2,200 | 2011년 4월 25일 | 2,216.00 |
2,300 | 2017년 5월 22일 | 2,304.03 |
2,400 | 2017년 7월 13일 | 2,409.49 |
2,500 | 2017년 10월 30일 | 2,501.93 |
3,000 | 2021년 1월 7일 | 3,031.68 |
3,300 | 2021년 6월 25일 | 3,302.84 |
2021년 7월 6일에는 종가 기준 3,305.21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8년 10월 30일에는 하루 동안 115.75포인트 상승하여 최대 상승치를, 2008년 10월 16일에는 126.50포인트 하락하여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10]
2020년에는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코스피 지수가 급락하기도 했다. 2020년 3월 15일에는 1,771.44로 마감되었으며, 이에 금융감독원은 거의 9년 만에 처음으로 6개월간 공매도를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3]
2007년 10월 2일에는 시가총액이 1007조 2580억 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0조 원을 돌파했다.[11]
10. 역대 코스피 지수
다음 표는 1981년 이후 코스피 지수의 연간 변동을 보여준다.[4][5]
연도 | 연말종가 | 등락률 (%) |
---|---|---|
1981 | 131.30 | |
1982 | 128.99 | -1.76 |
1983 | 121.21 | -6.03 |
1984 | 142.46 | 17.53 |
1985 | 163.37 | 14.68 |
1986 | 272.61 | 66.87 |
1987 | 525.11 | 92.62 |
1988 | 907.20 | 72.76 |
1989 | 909.72 | 0.28 |
1990 | 696.11 | -23.48 |
1991 | 610.92 | -12.24 |
1992 | 678.44 | 11.05 |
1993 | 866.18 | 27.67 |
1994 | 1027.37 | 18.61 |
1995 | 882.94 | -14.06 |
1996 | 651.22 | -26.24 |
1997 | 376.31 | -42.21 |
1998 | 562.46 | 49.93 |
1999 | 1028.07 | 82.78 |
2000 | 504.62 | -50.92 |
2001 | 693.70 | 37.47 |
2002 | 627.55 | -9.54 |
2003 | 810.71 | 29.19 |
2004 | 895.92 | 10.51 |
2005 | 1379.37 | 53.96 |
2006 | 1434.46 | 3.99 |
2007 | 1897.13 | 32.25 |
2008 | 1124.47 | -40.73 |
2009 | 1682.77 | 49.65 |
2010 | 2051.00 | 21.88 |
2011 | 1825.74 | -10.98 |
2012 | 1997.05 | 9.38 |
2013 | 2011.34 | 0.72 |
2014 | 1915.59 | -4.76 |
2015 | 1961.31 | 2.39 |
2016 | 2026.46 | 3.32 |
2017 | 2467.49 | 21.76 |
2018 | 2041.04 | -17.28 |
2019 | 2197.67 | 7.67 |
2020 | 2873.47 | 30.75 |
2021 | 2977.65 | 3.63 |
2022 | 2236.40 | -24.89 |
2023 | 2655.28 | 18.73 |
11. 구성 종목
코스피는 2024년 2월 기준으로 880개가 넘는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2. 기타 지수
- 코스피 200, 코스피 100, 코스피 50
- 시가총액 기반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지수
- KOGI 기업지배구조지수
- KODI 배당지수
- 화학, 전기·전자장비, 운송장비 또는 은행과 같은 업종 지수
- 한국거래소(KRX)의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 시장을 모두 고려한 KRX 100 및 기타 KRX 지수

참조
[1]
웹사이트
Kospi hits record 2,602.59 as optimism continues after U.S. election result
https://koreajoongan[...]
2020-11-23
[2]
웹사이트
South Korea stocks drop nearly 4% as country raises coronavirus alert to 'highest level'
https://www.cnbc.com[...]
2020-02-23
[3]
웹사이트
Coronavirus Hits South Korean Markets Despite Easing Of Crisis
https://www.forbes.c[...]
2020-03-15
[4]
웹사이트
Historical data: KOSPI Index - South Korea (^KOSPI)
https://stooq.com/q/[...]
[5]
웹사이트
KOSPI Composite Index (South Korea) Yearly Stock Returns
http://www.1stock1.c[...]
[6]
웹사이트
KOSPI 200 weighting methodology via Wikinvest
null
[7]
웹사이트
Historical Kospi Intraday Data (KOS)
https://portaracqg.c[...]
[8]
뉴스
종합주가지수 명칭 `코스피지수'로 변경
http://www.ksdaily.c[...]
한국증권신문
2005-10-20
[9]
웹사이트
Historical Kospi Intraday Data (KOS)
https://portaracqg.c[...]
[10]
뉴스
126 P↓ 주가 사상 최대폭 추락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8-10-17
[11]
뉴스
종합주가지수 명칭 `코스피지수'로 변경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7-10-03
[12]
뉴스인용
종합주가지수 명칭 `코스피지수'로 변경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5-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