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헬스는 정보통신기술을 의료 분야에 융합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건강 관리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목표는 의료 접근성 향상, 의료 비용 절감, 만성 질환 관리 효율성 증대 등이며, 의료 취약 계층과 일반인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유헬스 영역을 의료, 건강 관리 등으로 분류하고, 삼성경제연구소는 u-Hospital, 홈 & 모바일 헬스케어, 웰니스 등으로 사업 유형을 구분했다. 유헬스 기술은 프라이버시, 건강 불평등, 책임 문제 등 윤리적 쟁점을 가지고 있으며, 헬스케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성장과 함께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기술 발전에 힘입어 더욱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료정보학 - 개인 건강 기록
    개인 건강 기록(PHR)은 개인이 자신의 건강 정보를 수집, 관리 및 공유하는 전자 시스템 또는 도구로서, 환자가 정보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가지며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와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의료정보학 - 병원정보시스템
    병원정보시스템은 환자 정보와 병원 운영 관리를 전자적으로 통합 관리하여 의료진에게 환자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병원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으로, 모바일 기술 융합과 데이터 표준화를 통해 발전하고 있다.
  • 적정기술 - 자전거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페달을 밟아 뒷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두 바퀴 차량으로, 드라이지네에서 시작하여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으며, 통근, 레저,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이다.
  • 적정기술 - 넷북
    넷북은 휴대성과 저렴한 가격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노트북 컴퓨터로, 아수스 Eee PC 출시 이후 개발도상국 교육용 시장을 넘어 일반 소비자 시장으로 확대되었으나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등장으로 쇠퇴하여 크롬북과 울트라북으로 대체되었다.
  • 정보 기술 - 정보기술
    정보기술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축적, 획득, 조작, 전달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분야이며, 다양한 산업에 응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프로젝트 관리의 어려움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정보 기술 - 정보통신기술
    정보통신기술(ICT)은 정보와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생성, 저장, 처리, 전달하는 기술의 총체로서,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개발도상국의 성장에도 기여하지만 디지털 격차 해소 및 환경 문제와의 조화가 필요하다.
유헬스

2. 분야 및 적용

유헬스는 전통적인 의료 영역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서비스 대상과 범위를 넓히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15]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삼성경제연구소는 유헬스 분야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유헬스 분야 분류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8)[1]삼성경제연구소(2007)[15]


2. 1. 주요 목표

유헬스 기술은 시간적 손실 감소, 정보 처리의 신속성, 의료 비용 감소, 부정확한 의료 제공 방지 등을 목표로 한다.[16] 직접 대면 의료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사람들과 의료 취약 계층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의 경우 전체 인구의 12% 수준인 562만 명이 의료 취약 계층으로 추산된다.[17]

최근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 관리에도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2][17] 활력 징후, 심전도 등 기본적인 생체 데이터부터 천식, 파킨슨병 같은 질환이나 응급 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대표적인 응용 분야이다.[4][18]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을 추구하는 일반인들 역시 잠재적 이용 대상이다.[15]

2. 2. 적용 분야

유헬스는 전통적인 의료 영역에서 벗어나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15] 이를 통해 시간 손실 감소, 정보 처리 가속화, 의료 비용 절감, 부정확한 의료 제공 방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6]

특히, 직접 병원에 가기 어려운 사람들이나 의료 취약 계층에게 유헬스는 매우 유용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전체 인구의 약 12%인 562만 명이 유헬스 서비스가 필요한 의료 취약 계층으로 추산된다.[17] 또한, 최근 사회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만성질환 관리에도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2][17]

유헬스는 활력 징후, 심전도 같은 기본적인 생체 정보부터 천식, 파킨슨병과 같은 질환이나 응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4][18] 이러한 환자들뿐만 아니라, 질병 예방이나 건강 증진을 원하는 일반인들도 유헬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15]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08년 보고서에서 유헬스(u-Healthcare) 영역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했다.[1]

  • 의료-처치
  • 의료-평가
  • 건강관리-처치
  • 건강관리-평가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각 서비스들을 연계하여 다양한 영역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유헬스를 "u-Health 환경 구축을 통해 실현 가능해진 부가가치적 보건의료 서비스"로 정의하고, u-Health 환경의 개념을 설명했다. u-Health 환경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1][7]

  • 기술적/의료적 환경: EHR(평생전자건강기록), CDSS(임상의사결정지원), 패턴마이닝 기반 임상진료지침, u-Healthcare 표준 인터페이스, USN 기반 생체신호 처리, 의료영상 처리, RFID 기반 병원정보시스템 (스마트카드, 약품·환자·경영관리 등), 임상-바이오-생체정보 융합기술 (환자 안전 증진, 질병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등)
  • 제도적 환경: u-Health 특별법, u-Health 표준화 시스템, u-Health 인증 시스템
  • 사회문화적 환경: u-Health 전문인력 양성체제 (융합 교육 프로그램 및 다학제 교육과정 등), u-Health 산업체 지원체제, u-Health 인식도 및 수용성 제고체제 (홍보 등)


삼성경제연구소는 2007년 보고서에서 유헬스 관련 사업을 다음과 같이 3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15]

  • u-Hospital 군: 의료기관의 모바일화 및 네트워킹 확대 (모바일 병원정보 제공, 예약 관리, 원격 진료, 의료 스마트 카드, 모바일 병원 등)
  • 홈 & 모바일 헬스케어 군: 노인만성질환자를 위한 모바일 원격 관리, 실버타운 건강관리, 위치추적 서비스, 모바일 처방전 등
  • 웰니스 군: 일반인 대상 건강 통합 관리 서비스 (모바일 운동량 체크, 모바일 스트레스·비만관리, 카운셀러 건강상담, u-Fitness 등)

2. 3. 분류 체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08년 보고서에서 유헬스(u-Healthcare) 영역을 다음 4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였다.[1]

  • 의료-처치
  • 의료-평가
  • 건강관리-처치
  • 건강관리-평가


이러한 대분류 영역에 각각의 서비스를 분류하고, 이 서비스들을 서로 연계하여 여러 영역에 걸친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유헬스를 "u-Health 환경의 구축을 통해 실현가능해진 부가가치적 보건의료서비스"로 정의하고, u-Health 환경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u-Health 환경의 구체적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1][7]

u-Health 환경의 구성 요소
구분내용
기술적/의료적 환경EHR (평생전자건강기록), CDSS (임상의사결정지원), 패턴마이닝 기반 임상진료지침, u-Healthcare 표준 인터페이스, USN 기반 생체신호 처리, 의료영상 처리, RFID 기반의 병원정보시스템 (스마트카드, 약품·환자·경영관리 등), 임상-바이오-생체정보 융합기술 (환자 안전 증진, 질병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등)
제도적 환경u-Health 특별법, u-Health 표준화 시스템, u-Health 인증 시스템
사회문화적 환경u-Health 전문인력 양성체제 (융합 교육 프로그램 및 다학제 교육과정 등), u-Health 산업체 지원체제, u-Health 인식도 및 수용성 제고체제 (홍보 등)



삼성경제연구소는 2007년 보고서에서 u-Health 관련 사업을 다음과 같은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15]


  • u-Hospital 군
  • 홈 & 모바일 헬스케어 군
  • 웰니스 군


u-Hospital 군은 의료기관의 모바일화 및 네트워킹 확대를 의미하며, 모바일을 이용한 병원정보 제공, 예약 관리, 원격 진료, 의료 스마트 카드, 모바일 병원 등을 예시로 들었다. 홈 & 모바일 헬스케어 군은 노인만성질환자를 중심으로 모바일 원격 관리, 실버타운 건강관리, 위치추적 서비스, 모바일 처방전 등을 예시로 들었다. 웰니스 군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가정 및 이동 공간에서의 건강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로, 모바일 운동량 체크, 모바일 스트레스·비만관리, 카운셀러 건강상담, u-Fitness 등을 예시로 하였다.

3. 윤리적 쟁점

프라이버시 문제, 불평등 문제, 건강 행태 변화에 대한 책임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19]

4. 현황

2003년 이후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유헬스 시스템이 구축되기 시작하였고,[20][21] 2005년 대전광역시를 시작으로 공공부문에서도 유헬스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2] 이후 모바일 건강관리, 웨어러블 컴퓨터, 온라인 진료상담, 의료 텔레메틱스 등의 다양한 기술이 유헬스에 접목되었다.[17]

4. 1. 대한민국의 유헬스 산업

2003년 이후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유헬스 시스템이 구축되기 시작하였다.[20][21] 2005년 대전광역시를 시작으로 공공부문에서도 유헬스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2] 이후 모바일 건강관리, 웨어러블 컴퓨터, 온라인 진료상담, 의료 텔레메틱스 등의 다양한 기술이 유헬스에 접목되었다.[17]

5. 전망

헬스케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매년 20% 이상의 성장률이 기대되는 등, 유헬스 분야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22] 특히 AI, IoT, 빅데이터 개념의 대중화와 함께 기술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23] 유헬스를 활용한 산업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발전, 사회적인 환경 및 인프라 조성, 관련 정책의 확립이라는 세 가지 사안이 조화롭게 해결되어야 한다.[7][24]

참조

[1] 웹인용 국내 u-Health 등장에 따른 정책 대응방안 연구 https://www.khidi.or[...]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9-10-01
[2] 저널 u-Healthcare 이슈 및 연구동향 http://kiss.kstudy.c[...] 2019-10-01
[3] 저널 유-헬스케어(u-healthcare)의 현황 및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9-10-01
[4] 저널 Ubiquitous Healthcare: A New Frontier in EHealth https://aisel.aisnet[...] 2019-10-01
[5] 저널 The Role of Trust in Ubiquitous Healthcare IEEE 2019-10-01
[6] 서적 u-Health를 활용한 보건의료체계 선진화 방안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7] 저널 Ubiquitous Health in Korea: Progress, Barriers, and Prospects 2019-10-01
[8] 웹인용 국내외 U-헬스 산업 최근 동향 https://www.bioin.or[...] 2019-10-01
[9] 저널 U-Health Service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A Case Study on Managing Metabolic Syndrome in a Health Center in South Korea 2019-10-01
[10] 저널 Ubiquitous Healthcare를 기반으로 한 당뇨병관리 시스템 https://synapse.kore[...] 2019-10-01
[11] 저널 A Comprehensive Ubiquitous Healthcare Solution on an Android™ Mobile Device 2019-10-01
[12] 저널 Development of a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combined with non-conscious and ambulatory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its application to medical care IEEE 2019-10-01
[13] 서적 Global difusion of eHealth: making universal health coverage achievable. Report of the third global survey on eHealth https://apps.who.int[...] 2019-10-01
[14] 저널 u-Health 서비스의 소비자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2019-10-01
[15] 저널 유헬스(u-Health) 시대의 도래 http://www.pharmacis[...] 삼성경제연구소 2019-10-01
[16] 저널 Ubiquitous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Assessment of its Impacts to Patient’s Information https://scinapse.io/[...] 2019-10-01
[17] 저널 국내 유헬스 현황 분석과 발전방향 https://synapse.kore[...] 2019-10-01
[18] 저널 특수상황에서의 유헬스의 적용 https://synapse.kore[...] 2019-10-01
[19] 저널 The ethical challenges of ubiquitous healthcare http://www.i-r-i-e.n[...] 2019-10-01
[20] 뉴스 U헬스 시대, 의료계 새로운 패러다임 열리나 https://www.joongang[...] 2019-10-01
[21] 뉴스 U-헬스케어시대, 개념부터 바로잡자 http://www.monews.co[...] 2019-10-01
[22] 뉴스 Global Healthcare Cloud Computing Market 2019-2023; Current Industry Status & Growth Opportunities in Enterprise Application sector expected to reach CAGR of 21.65 %. https://web.archive.[...] 2019-10-01
[23] 뉴스 '[기획특집]헬스케어 새가치 창출하는 ‘빅데이터’' http://www.comworld.[...] 2019-10-01
[24] 저널 u-Health 현황과 정책과제 2019-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