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뮤얼 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뮤얼 도는 1951년 라이베리아에서 태어났으며, 1980년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윌리엄 톨버트 대통령을 살해하고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들의 지배를 종식시켰다. 쿠데타 이후 국가 원수가 되었으며, 1982년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으나, 독재적인 통치와 부정 선거 의혹, 부족 간의 갈등으로 인해 내전이 발발했다. 1990년 프린스 존슨에게 체포되어 고문 끝에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은 라이베리아의 오랜 내전의 시작을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새뮤얼 도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요
1982년의 도
1982년의 도
기본 정보
이름새뮤얼 캐니언 도
출생일1951년 5월 6일
출생지라이베리아 투존
사망일1990년 9월 9일
사망지라이베리아 몬로비아
사망 원인고문 살해
안장 장소시신 유실 또는 파괴
배우자낸시 도 (1968년 또는 1969년경 결혼)
자녀5명
직업정치인
모교라이베리아 대학교
군사 경력
소속라이베리아군
복무 기간1969년–1985년
계급상사
참전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
정치 경력
소속 정당라이베리아 국민민주당
라이베리아 대통령
임기 시작1986년 1월 6일
임기 종료1990년 9월 9일
부통령해리 모니바
이전본인 (인민구원평의회 의장으로서)
이후아모스 소여 (임시)
인민구원평의회 의장
임기 시작1980년 4월 12일
임기 종료1986년 1월 6일
부의장토마스 웨 시엔
니콜라스 포디어
이전윌리엄 톨버트 (대통령으로서)
이후본인 (대통령으로서)

2. 초기 생애

새뮤얼 캐년 도는 1951년 5월 6일, 라이베리아 내륙부 그랜드게데 카운티의 작은 마을인 투존(Tuzon)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4] 그의 가족은 이 지역의 주요 원주민 부족 중 하나인 크란족에 속했다.[4] 당시 라이베리아는 19세기부터 이주해 온 아메리코-라이베리아인이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정치 권력을 독점하고 있었으며, 크란족을 포함한 다수의 원주민 부족은 오랫동안 정치적 억압 상태에 놓여 있었다.

도는 16세에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즈웨드루에 있는 침례교 중학교에 입학했다. 그러나 2년 뒤인 1969년에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라이베리아군에 입대했다. 그는 군 복무를 통해 카카타의 고등학교 장학금을 받기를 희망했으나, 대신 군사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후 10년 동안 군사 학교 교육을 받고 몬로비아의 여러 주둔지와 감옥 지휘 등 다양한 보직을 거쳤으며, 군 복무 중 통신 교육을 통해 고등학교 과정을 마쳤다.

1979년 10월 11일, 도는 상사로 진급했으며,[5] 이후 11개월 동안 몬로비아 주둔 제3대대의 행정관으로 근무했다.[5] 또한 미국 육군에서 파견된 미국 육군 특수 부대 (그린베레) 교관들로부터 훈련을 받기도 했다. 그가 상사로 복무할 당시, 훗날 그의 정적이 되는 프린스 존슨이 그의 상관이었다.

3. 1980년 쿠데타와 민족 수복 위원회

윌리엄 톨버트 대통령


크란족 출신의 라이베리아군 상사였던 새뮤얼 도는 1980년 4월 12일, 동료 크란족 군인들을 이끌고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들은 몬로비아의 대통령 관저를 공격하여 윌리엄 톨버트 대통령을 살해했으며, 이 과정에서 톨버트의 지지자 26명도 함께 목숨을 잃었다. 이 쿠데타로 133년간 이어져 온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의 정치적 지배는 막을 내렸다.

쿠데타 직후 열흘 만에 톨버트 내각의 구성원 13명이 공개적으로 처형되었다. 이들은 몬로비아 시내에서 알몸으로 끌려다닌 뒤 해변에서 사형 집행대에 의해 즉결 처형되는 굴욕을 겪었다. 당시 유죄 판결을 받은 이들에게는 변호사를 선임하거나 항소할 권리가 전혀 주어지지 않았다.[6] 수백 명의 정부 관계자들은 국외로 도피했으며, 남은 이들은 투옥되었다.

미국 라이베리아 대사 윌리엄 L. 스윙이 인민 구원 평의회 의장이자 국가 원수인 새뮤얼 K. 도 최고 사령관에게 신임장을 전달하고 있다.


쿠데타 이후, 도는 스스로 장군 계급을 부여받고 자신과 14명의 다른 하급 장교들로 구성된 국가 통치 기구인 인민 구원 평의회(PRC)를 설립했다. PRC 정권 초기에는 톨버트 정부 구성원들에 대한 대량 처형이 자행되었다. 한편, 도는 이전 달의 쌀 폭동 당시 톨버트가 투옥했던 야당 지도자 약 50명의 석방을 명령하기도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도는 톨버트 정권의 관리 91명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며칠 안에 톨버트의 동생 프랭크 톨버트를 포함한 전 내각 구성원 11명이 "고도의 반역, 만연한 부패 및 심각한 인권 침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7] 도는 헌법의 효력을 정지시켰고, 새로운 군사 지도부가 임명한 위원회가 재판을 진행하도록 허용했다. 이 재판에서는 피고인들에게 법적 대리와 배심 재판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 사실상 유죄가 확정된 상태였다.

도의 쿠데타는 라이베리아 건국 이후 처음으로 토착 아프리카인이 국가를 통치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일부 국민, 특히 기존 권력 구조에서 소외되었던 원주민 다수에게 환영받았다. 아메리카-라이베리아 혈통이 아닌 인물들이 이전에도 부통령(헨리 투 웨슬리)이나 각료직을 맡은 적은 있었지만, 국가 권력의 최정점에 오른 것은 도가 처음이었다. 많은 사람들은 이를 국가 건립 이후 오랫동안 정부 참여에서 배제되었던 다수 국민에게 유리한 변화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쿠데타 지도자들이 이끈 PRC는 경험이 부족했고 국가를 통치할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 도는 국가 원수가 되어 헌법을 정지시켰지만, 1985년까지 민간 정부에게 통치권을 이양하겠다고 약속했다.

정권 수립 초기부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1980년 쿠데타 이후 불과 두 달 만에 도 정부에 대한 최초의 음모 혐의로 군인 9명이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1981년 6월에는 또 다른 쿠데타 혐의로 13명이 비공개로 처형되었다. 몇 달 후인 그해 8월 12일, 도의 일부 정책(리비아 외교 공관 폐쇄, 소비에트 대사관 직원 감축 등)에 비판적인 발언을 했던 토마스 웨 사이엔과 다른 장교 4명이 구타당하고 체포되었다. 이들에게 변호인이 약속되었으나 제공되지 않았고, 사흘 만에 처형되어 수도 시민들에게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8][9][10]

2008년 8월, 몬로비아에서 열린 진실 및 화해 위원회(TRC)에서 도 정권의 전 법무부 장관이었던 체아 치피는 쿠데타 당시 미국의 CIA가 반군에게 대통령 집무실 지도를 제공했으며, 톨버트를 직접 쏜 것은 백인 CIA 요원이었다고 주장하며 미국의 책임을 제기했다.[11] 그러나 다음 날, 같은 위원회에서 도의 또 다른 전직 장관인 보마 판불레는 "미국은 도가 이끈 쿠데타를 지지하지 않았다"고 반박 증언을 했다.[12]

쿠데타 당시의 일부 사실은 여전히 불분명하게 남아있다. "미상의 군인"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13] 이 군인이 1980년 국가 전복을 시도했던 "백인" 용병 중 한 명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톨버트의 아내 빅토리아 톨버트는 자서전에서 "백인"의 손을 가진 복면 남자가 남편을 찌르는 것을 목격했다고 기술했다.[14]

4. 대통령

1980년 윌리엄 R. 톨버트 대통령과 진정한 휘그당 정권을 무너뜨리는 군사 쿠데타를 주도했을 때, 도는 라이베리아군 상사였다. 이 쿠데타로 그는 라이베리아 역사상 최초의 비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 출신 지도자가 되었으며, 133년간 이어져 온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들의 지배를 종식시켰다. 집권 후 도는 헌법을 정지시키고, 자신을 의장으로 하는 인민 구제 평의회(People's Redemption Council, PRC)라는 임시 군사 정부를 수립하여 사실상의 국가 원수가 되었다.

재임 기간 동안 도는 자신의 통치가 "많은 사람들에게 구제를 가져다주기" 위한 것이라며 스스로를 계몽된 지도자로 묘사했다. 1982년에는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과 정상 회담을 가졌다. 이때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서울시립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국내외적으로 자신을 "도 박사(Dr. Doe)"라고 칭하기 시작했다.[5] 7년 후인 1989년에는 라이베리아 대학교에서 정식 학사 학위를 받았다고 발표했다.[15]

도의 통치는 부패, 전체주의, 그리고 자신의 출신 부족인 크란족을 우대하는 정책으로 특징지어졌다. 이는 라이베리아 국민들과 국제 사회, 특히 미국의 반감을 샀다. 경제적으로는 라이베리아의 항만캐나다, 중국, 유럽 등 여러 국가의 선박에 개방하여 상당한 외국 자본을 유치했고, 이로 인해 라이베리아는 조세 회피처라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 외교적으로는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반소련 입장을 취했다.

1984년에는 임시 군사 정부인 인민 구제 평의회(PRC)를 해산하고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해 1985년 선거를 실시했으나, 이 선거는 광범위한 부정 선거 의혹 속에 치러졌으며 도는 51%의 득표율로 승리했다고 발표되었다. 선거 직후인 1985년 11월, 과거 쿠데타 동지였던 토마스 퀴원파가 도의 독재에 반발하여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처형되었다. 이후 도는 퀴원파의 출신 부족인 기오족과 마노족에 대한 잔혹한 탄압을 자행했다.

이러한 억압 통치와 부족 갈등 심화는 결국 1989년 12월, 찰스 테일러가 이끄는 라이베리아 국민 애국 전선(NPFL)이 코트디부아르에서 라이베리아를 침공하면서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이어졌다. 도는 1990년 9월 9일, 반군 지도자 중 한 명인 프린스 존슨에게 체포되어 고문 끝에 처형되었다.

4. 1. 미국과의 관계

1981년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새뮤얼 도는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했다. 레이건 행정부는 라이베리아에 대한 재정 지원을 대폭 늘렸는데, 원조액은 1979년 2000만달러 수준에서 7500만달러로, 1980년에는 9500만달러까지 증가했다. 이를 통해 라이베리아는 다시 미국의 중요한 냉전 동맹국으로 자리매김했다.

미국은 라이베리아를 소련의 아프리카 내 영향력 확산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전략적 파트너로 간주했다.[16] 이에 부응하여 도는 미국의 냉전 외교 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으며, 몬로비아리비아 사절단 개설을 막고 소련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는 등 반공주의, 반소련 노선을 명확히 했다. 또한 라이베리아 내 미국의 주요 시설과 투자를 보호하는 데 힘썼다.

새뮤얼 도(왼쪽)가 1982년 펜타곤에서 당시 미국 국방장관 캐스퍼 와인버거(오른쪽)와 함께 있다.


군사적 협력도 강화되었다. 도는 미국미군이 전 세계 안보 위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창설한 신속 전개 합동 기동 부대(RDF)를 위해, 라이베리아의 영해와 영공, 항만 시설을 24시간 통보만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상호 방위 조약 개정에 동의했다. 미국은 라이베리아군 강화를 지원하기도 했다.

경제적으로는 라이베리아의 항구를 미국, 캐나다, 유럽 선박 등에 개방하여 상당한 외국인 투자를 유치했으며, 이는 라이베리아가 조세 피난처로 알려지는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긴밀한 관계는 영속적이지 않았다.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이 격화되어 1990년 9월 반군에 의해 수도 몬로비아가 함락될 위기에 처하자, 도는 미국 대사관에 신변 보호와 망명을 요청했으나 미국 정부는 이를 거절했다. 이는 당시 미국이 도 정권의 유지가 더 이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음을 시사한다.

4. 2. 쿠데타 시도와 억압 정치

1981년부터 1985년 사이에 총 7차례의 쿠데타 미수 사건이 발생했다. 1981년 8월, 는 토마스 웨 시엔을 비롯한 민족수복위원회(PRC) 위원 5명이 자신에 대한 음모를 꾸몄다는 혐의로 체포하여 처형했다.[49] 이 사건 이후 도는 쿠데타에 대한 편집증적인 모습을 보였고, 정부는 점차 억압적으로 변모했다. 정치적 반대 세력을 금지하고, 신문사를 폐쇄했으며, 언론인들을 투옥하는 등 탄압을 강화했다.

도는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민족수복위원회 인사들을 조직적으로 제거하고, 주요 직책에 자신의 측근들을 임명함으로써 권력 기반을 다졌으나 이는 대중의 반감을 샀다. 동시에 경제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도 정권에 대한 지지율은 계속 하락했다.

1985년 11월 12일, 1980년 쿠데타 당시 도의 동지였으나 이후 도의 독재적 행보에 반발하여 망명했던 토마스 퀴원크파 장군이 시에라리온을 통해 잠입하여 쿠데타를 시도했다. 퀴원크파는 기오족 출신으로, 마노족 등과 연합하여 도 정권 타도를 목표로 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그는 몬로비아에서 벌어진 전투 끝에 사망했으며,[22][23] 11월 15일 쿠데타 관련자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쿠데타 시도 직후 도는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통해 오후 6시 이후 통행금지령을 선포하고, 이를 어기는 자는 반군으로 간주하여 즉시 처형하겠다고 발표했다.[22][23]

퀴원크파의 쿠데타 시도 이후, 도 정권의 탄압은 더욱 거세졌다. 특히 퀴원크파의 출신 부족인 기오족(단족)과 마노족에 대한 가혹한 보복 조치가 이루어졌다. 도는 자신의 출신 부족인 크란족으로 구성된 리베리아군(AFL)을 이들 부족이 거주하는 북부 지역에 파견하여 대대적인 파괴와 학살을 자행했다. 이로 인해 이전까지 평화롭게 공존하던 라이베리아 내 부족 간의 분열과 폭력이 심화되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몬로비아로 끌려온 기오족과 마노족 사람들 중 일부는 도가 소유한 고급 맨션에서 애완용 사자의 먹이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도는 이후에도 야당 활동 금지, 언론 탄압 등 압제를 이어갔다.

4. 3. 신헌법과 1985년 대통령 선거

1983년 다당제 공화국을 위한 기초 헌법 초안이 마련되었고, 이는 1984년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17] 국민투표 이후 도는 1985년 10월 15일 대통령 선거를 실시했다. 9개의 정당이 도가 속한 라이베리아 국민 민주당(National Democratic Party of Liberia, NDPL)에 도전하려 했으나, 3개 정당만이 선거 참여를 허락받았다.

선거를 앞두고 도는 자신의 정치적 반대자 50명 이상을 살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대통령 후보의 나이 제한(35세 이상)을 맞추기 위해 자신의 공식 출생년도를 1951년에서 1950년으로 변경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선거 결과, 도는 51%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결선 투표를 간신히 피했다.[18] 도가 이끄는 국민민주당(NDPL)은 상원 26석 중 21석, 하원 64석 중 51석을 차지하며 압승했다. 그러나 이 선거는 심각한 부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도는 투표용지를 비밀 장소로 옮겨 자신의 측근 50명에게만 개표 작업을 맡겼으며, 일부 투표함은 바다에 버려졌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50] 외국 참관인들은 선거가 사기라고 선언하며, 실제로는 라이베리아 행동당의 잭슨 도가 2위를 차지했다고 주장했다.[19] 선거 결과에 반발한 야당 당선자 대부분은 의석 취임을 거부했다.

도는 만약 선거에서 패배할 경우 권력을 이양하지 않을 것이며, 군대가 2주 안에 또 다른 쿠데타를 일으킬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발언하여 국제 사회와 야당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미국 아프리카 담당 국무 차관보였던 체스터 크로커는 미 의회 증언에서 해당 선거가 불완전했지만 민주주의를 향한 과정의 일부라고 평가하며, 당시 아프리카의 모든 선거가 부정하게 치러졌다는 점을 들어 도의 상황을 두둔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미국 국무부는 공식적으로 선거 과정에서 광범위한 부정이 있었다고 발표했다.[21]

논란 속에서 도는 1986년 1월 6일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했다.[20]

4. 4. 부족 억압

1985년 11월, 이전 부사령관이었던 토마스 퀴원크파가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관련자 대부분이 사망했다. 지오족 출신인 퀴원크파의 쿠데타 시도는 이후 새뮤얼 도 정권의 부족 탄압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1986년 1월 6일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한 도는 쿠데타 음모에 가담했던 이들이 주로 속했던 북부의 지오족과 마노족에 대한 본격적인 탄압을 시작하였다. 도 정권의 특정 부족에 대한 노골적인 탄압과 학대는 이전까지 비교적 평화롭게 공존하던 라이베리아 내 여러 부족 사이에 심각한 분열과 폭력을 야기했다.

특히 1985년 11월 퀴원크파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간 직후, 도는 보복 조치로 자신의 부족인 크란족으로만 구성된 라이베리아군(AFL)을 동원했다. 이들은 지오족과 마노족이 주로 거주하는 님바 주 등 북부 지역에 파견되어 무자비한 파괴와 학살을 자행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으며, 일부 북부 주민들은 국경을 넘어 코트디부아르로 피난해야만 했다. 수도 몬로비아로 끌려온 지오족과 마노족 사람들 중 일부는 도가 사적으로 키우던 사자의 먹이가 되었다는 끔찍한 증언도 전해진다.

이러한 도 정권의 잔혹한 통치 방식, 인권 유린, 그리고 자신의 출신 부족인 크란족을 노골적으로 우대하는 정책은 라이베리아 국민들의 거센 반발을 샀을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의 비판에 직면하게 만들었다. 198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미국은 자국의 재정 긴축 정책과 더불어 냉전 시대가 완화됨에 따라 공산주의 확산에 대한 위협 인식이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과거 반소련 정책의 일환으로 도 정권을 지원했던 미국은 점차 도 정권에 환멸을 느끼고 경제 원조를 중단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지원 중단은 국내의 거센 반발과 맞물려 도 정권의 정치적 입지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5.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 발발

1980년대 후반, 정부에 대한 국내외의 반대가 커지고 경제는 붕괴 상태에 이르렀다. 도는 내부 반대 세력을 강력하게 억압해왔으나, 1985년 11월 12일, 과거 쿠데타 동지였지만 도의 독재 강화에 반발하여 망명 중이던 지오족 출신의 토마스 퀴원파가 시에라리온에서 잠입하여 다시 쿠데타를 시도했다. 그러나 이 쿠데타는 실패로 돌아갔고, 11월 15일 퀴원파를 비롯한 관련자들은 처형되었다.

도는 쿠데타 주모자인 퀴원파의 출신 부족인 북부의 지오족과 마노족에게 잔혹한 보복을 가했다. 도 자신의 부족인 크란족으로 구성된 라이베리아군(AFL)은 특히 님바 카운티 등지에 파병되어 다른 부족들을 공격하고 파괴와 학살을 자행했다. 이로 인해 라이베리아 북부의 많은 주민들이 군의 탄압을 피해 코트디부아르로 피난했다.

한편, 과거 도 정부에서 일했으나 횡령 혐의로 미국으로 도피했다가 감옥에서 탈출한 찰스 테일러는[25] 라이베리아 민족 애국 전선(NPFL)을 조직했다. 1989년 12월 24일, 테일러는 코트디부아르를 통해 님바 카운티를 침공하며 도 정권에 대항하는 게릴라전을 시작했다.[24] 라이베리아군은 이에 반격하며 해당 지역 주민 전체에게 보복 공격을 가했다. 이 사건은 곧바로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확대되었다.[26]

1990년 중반에 이르러 내전은 도의 크란족과 테일러를 지지하는 지오족, 마노족 사이의 부족 전쟁 양상으로 격화되었고, 양측 모두 수천 명의 민간인을 학살했다. 테일러의 NPFL은 라이베리아 영토 대부분을 장악했으며, 1990년 6월에는 수도 몬로비아를 포위하기 시작했다.[26]

1990년 7월, 테일러의 부하였던 프린스 존슨은 NPFL에서 이탈하여 지오족을 기반으로 한 라이베리아 독립 국민 애국 전선(INPFL)을 별도로 창설했다. 이후 NPFL과 INPFL 두 반군 세력은 몬로비아를 함께 포위 공격했으며, 수도는 극심한 유혈 사태에 휩싸였다.

1990년 맘바 역의 반군


내전 중인 1990년 7월 29일에는 몬로비아 싱코르 지역의 한 교회에서 끔찍한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도에게 충성하는 크란족 출신 정부군 약 30명이 교회에 피신해 있던 민간인 약 600명을 살해했다.[27] 희생자 대부분은 반군을 지지하는 것으로 여겨진 지오족과 마노족이었다.[28]

6. 암살

1990년 8월,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리베리아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해 ECOMOG라 불리는 4,000명 규모의 군사 중재 군대를 파견했다. 당시 대통령이었던 새뮤얼 도와 반군 지도자 중 한 명인 프린스 존슨은 이 중재안에 동의했으나, 또 다른 주요 반군 지도자인 찰스 테일러는 동의하지 않았다.

9월 9일, 도는 몬로비아 자유 항구에 새로 설치된 ECOMOG 사령부를 방문했다. ECOMOG 사령관인 아놀드 콰이누 장군은 도에게 회의 참석을 권유하며 안전을 보장했다.[29] 그러나 도가 도착한 시점은 상대적으로 경계가 허술한 감비아 파견대로 경비 근무가 교대되는 불안정한 시간대였다.[30] 도가 콰이누 장군의 사무실에서 환영받는 동안, 그의 경호원 대부분은 밖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이때 프린스 존슨이 이끄는 리베리아 독립 국민 애국 전선(INPFL) 소속 반군이 예고 없이 현장에 나타나 도의 경호 병력을 손쉽게 제압하고 무장 해제시켰다.[31] 반군은 도의 경호원들을 사살했고, 밖에서 총성이 들리자 도는 콰이누에게 우려를 표했지만 괜찮다는 답변만 들었다. 콰이누와 그의 보좌관 코커 대위는 상황을 파악하러 나갔다가 몸을 숨겼다. 존슨의 부하들은 사무실 안으로 들어와 도의 남은 병력을 처리하고, 도의 다리에 총을 쏜 뒤 그를 생포했다.[32] 이 과정에서 도의 부하 80명 이상이 사망했으나, ECOMOG 병력은 아무런 피해 없이 방관했다. 코커 대위는 이 사건을 전투가 아닌 학살이라고 규정했다.

도는 존슨의 군 기지로 끌려갔다. 존슨은 도가 흑마술의 보호를 받는다는 소문을 불식시키기 위해[33] 그의 귀를 자르라고 명령했다.[34] 이 장면은 비디오로 촬영되었는데, 영상에는 도가 수갑에 채워지고 고문당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약 12시간 동안 귀, 손가락, 발가락 등이 잘리는 끔찍한 고문을 당한 끝에[35] 도는 결국 살해되었다. 그의 시신은 머리카락이 밀리고 담배로 지져진 채 나체로 몬로비아 거리에 전시되었다가 나중에 매장되었다. 도의 고문과 살해 장면을 담은 비디오[36] 전 세계 뉴스 보도를 통해 퍼져나갔다. 이 비디오에는 존슨이 도의 귀가 잘리는 동안 맥주를 마시는 충격적인 모습도 담겨 있다.[37][38][39][40][41]

7. 유산

새뮤얼 도는 1980년 라이베리아군 상사 시절 윌리엄 R. 톨버트 대통령과 진정한 휘그당 정권을 무너뜨리는 쿠데타를 일으켜 집권했다.[43][44][45] 이로써 133년간 이어져 온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의 지배를 끝내고 라이베리아 역사상 최초의 원주민 출신 국가 지도자가 되었다. 집권 후 도는 헌법을 정지시키고 자신을 사실상 국가 원수로 하는 임시 군사 정부인 인민구속평의회(People's Redemption Council|피플스 리뎀션 카운실영어)를 수립하여 통치했다.

1984년에는 임시 군사 정부를 해산했지만,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해 1985년 선거를 실시했고, 부정 선거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의혹 속에서도 승리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경제적으로 도 정권은 라이베리아의 항만캐나다, 중국, 유럽 선박에 개방하여 상당한 규모의 외국 자본을 유치했으며, 이로 인해 라이베리아는 조세 회피처로서의 명성을 얻기도 했다. 외교적으로는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반소련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도의 통치는 부패전체주의적 성격이 강했으며, 특히 자신의 출신 부족인 크란족(Krahn people|크란족영어)을 노골적으로 우대하는 정책은 라이베리아 국민과 미국의 큰 반감을 샀다. 이러한 부패부족주의, 권위주의적 통치는 결국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의 불씨가 되었다. 1989년 12월, 찰스 테일러가 이끄는 반군 라이베리아 국민 애국 전선(NPFL)이 코트디부아르에서 라이베리아로 침공하면서 내전이 시작되었고, 도는 1990년 9월 9일 프린스 존슨이 이끄는 반군 세력에게 체포되어 잔혹하게 처형되었다.

도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라이베리아는 극심한 혼란과 오랜 내전에 시달렸다. 2000년 11월, 도의 아들 새뮤얼 캐년 도 주니어는 부인 낸시 도와 함께 종교 집회에 참석하여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심을 버리고 화해의 뜻을 밝히기도 했으며, 이는 나이지리아 목사 TB 조슈아의 중재로 이루어졌다.[43][44][45] 이는 도 정권이 남긴 깊은 상처와 그 치유 과정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8.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85년 선거라이베리아의 대통령21대라이베리아 국민민주당50.95%264,364표1위당선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iber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0-12-20
[2] 웹사이트 Samuel K. Doe {{!}} president of Liberia https://www.britanni[...] 2019-05-14
[3] 웹사이트 Liberia : Samuel Doe, death washed down with a Budweiser https://www.theafric[...] 2021-11-10
[4] 간행물 "Hail to the Chief: Happy Birthday!" Express Special 1982-05-06
[5] 간행물 "Happy Birthday!! Dr. Doe is 34 TODAY" Sunday Express 1984-05-06
[6] 뉴스 My Verbal Sparring with Charles Taylor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4-26
[7] 간행물 LIBERIA: After the Takeover, Revenge http://www.time.com/[...] 1980-04-18
[8] 뉴스 Liberia Executes 5 Members of Ruling Council https://www.washingt[...] 1981-08-15
[9] 웹사이트 Liberian Criminal Justice System: In Retrospect and Reforms https://www.thepersp[...] 2021-09-12
[10] 웹사이트 Liberia's Truth Commission Holds First Public Hearings in the US {{!}} Voice of America - English https://www.voanews.[...] 2021-09-12
[11] 뉴스 CIA Agents Executed 1980 Coup http://thenews.com.l[...] The News 2008-08-06
[12] 뉴스 Harry Greaves, Tom Kamara, Others Linked http://www.thenews.c[...] The News 2008-08-07
[13] 서적 Liberia The Land, Its People,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New Africa Press 2010
[14] 문서 Victoria Tolbert, Lifted Up https://www.amazon.c[...] Macalester Park Publishing Company 2010-10-12
[15] 간행물 "Congrats Mr. President!" Monrovia Tribune 1989-05
[16] 서적 The Dictator's Handbook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11
[17] 서적 Europa World Year Book 1985
[18] 서적 Liberia: The Violence of Democrac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8
[19] 서적 Christianity and Politics in Doe's Liber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20] Youtube president doe https://www.youtube.[...]
[21]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Liberia https://www.ictj.org[...] 2006-05
[22] 뉴스 LIBERIA SAYS IT FOILED COUP ATTEMPT (Published 1985) https://www.nytimes.[...] 1985-11-13
[23] 웹사이트 Liberian Troops Kill Leader of Attempted Coup https://www.latimes.[...] 1985-11-16
[24] 서적 Clausewitz and African Wa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4
[25] 서적 African Democratization and Military Coups https://books.google[...] Praeger 1998
[26] 간행물 Candles in the Wind: Resisting Repression in Liberia https://www.jstor.or[...] null
[27] 간행물 Managing Chaos in the West African Sub-Region: Assessing the Role of ECOMOG in Liberia https://ciaotest.cc.[...] 2003
[28] 간행물 Policing and the Legacies of Wartime State Predation: Evidence from a Survey and Field Experiment in Liberia https://journals.sag[...] 2021-05-12
[29] 간행물 The Politics and Diplomacy of Peacekeeping in West Africa: The Ecowas Operation in Liberia https://www.cambridg[...] 2008-11-11
[30] 웹사이트 On a momentous note, what has befallen our military? https://www.thecable[...] The Cable 2021-08-31
[31]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savage rise and Fall of Master Sergeant Samuel Doe of Liberia https://www.maravipo[...] Malawi 24
[32] 서적 The Mask of Anarchy Updated Edition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06
[33] 뉴스 Liberian Strife Is Traced To Turbulent Past: Some Blame Turmoil On Its American Roots http://www.genocidew[...] Washington Post 2003-08-10
[34] Youtube The Execution of former Liberian President Samuel K Doe YouTube https://www.youtube.[...]
[35] 웹사이트 6 Assassinations of African leaders (that were caught on film) https://owaahh.com/6[...] 2015-03-04
[36] 웹사이트 The Execution of former Liberian President Samuel K. Doe https://www.youtube.[...]
[37] 뉴스 Meeting the hard man of Liberia http://news.bbc.co.u[...] BBC 2021-02-27
[38] 간행물 The Comeback https://newrepublic.[...] 2011-09-28
[39] 서적 The Mask of Anarchy: The Destruction of Liberia and the Religious Dimension of African Civil War https://archive.org/[...] Hurst & Company
[40] 웹사이트 Exhibition of Samuel Doe's Body During the Civil War in Liberia https://globalpublis[...] 2019-07-05
[41] 웹사이트 Scooper - Nigeria News: A TYRANT FALLS: Gruesome Story Of How The First Indigenous President Of Liberia Was Tortured To Death On Video And Laid Naked In State https://m.scooper.ne[...] 2021-12-20
[42] 뉴스 Doe Joins Providence Baptist Church Here SunTimes 1985-12-02
[43] 웹사이트 How TB Joshua Reconciled The Son Of Liberia's President With The Man Who Murdered His Father https://frontpageafr[...] 2019-11-18
[44] 웹사이트 TB Joshua the peacemaker: How SCOAN leader reconciled the son of Liberia's president with the man who murdered his father {{!}} Malawi 24 - Malawi news https://malawi24.com[...] 2019-11-17
[45] 웹사이트 Nigeria: How TB Joshua Reconciled the Son of Liberia's President With the Man Who Murdered His Father https://allafrica.co[...] 2019-11-18
[46] 백과사전 Samuel K. Doe {{!}} president of Liberia https://www.britanni[...] 2019-05-14
[47] 서적 외교청서 우리 외교의 근황 대장성인쇄국 1992-01
[48] 논문 Summary Report DOE Grant No. FG02-88ER60742. Final Report, December 1, 1998 - November 30, 1999 2001-05-10
[49] 뉴스 Around the World; Liberia Executes Four Charged in Plot on Doe http://www.nytimes.c[...] 1981-08-15
[50] 웹사이트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Liberia 의 경우{{~}} http://eigo.be/cultu[...] 2010-06-07
[51] 웹사이트 Samuel Doe https://www.findagra[...] 2015-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