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우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우깡은 1971년 농심에서 출시한 대한민국 최초의 스낵으로, 농심 신춘호 회장의 딸이 아리랑을 잘못 발음한 것에서 착안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일본의 갓파 에비센을 참고하여 개발되었으며, 출시와 동시에 큰 성공을 거두어 농심의 성장에 기여했다. 2022년에는 575억 8200만원의 판매 기록을 세우며 한 해 가장 많이 팔린 과자로 기록되었다. 갓파에비센 표절 논란, 쥐머리 혼입 사건 등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 다양한 종류의 새우깡이 판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도입 - 스우시
    1971년 캐롤린 데이비슨이 디자인한 스우시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 니케의 날개에서 영감을 받아 움직임과 속도감을 상징하며 나이키의 핵심적인 상표가 되었다.
  • 1971년 도입 - 모비우스 (마블 코믹스)
    노벨상 수상 경력의 생화학자 마이클 모비우스는 희귀 혈액 질환 치료 중 흡혈귀와 유사한 존재가 된 마블 코믹스 캐릭터이다.
  • 대한민국의 과자 - 농심 포테토칩
    농심 포테토칩은 1980년 농심에서 처음 생산된 감자칩으로, '크레오파트라 포테토칩'에서 시작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정착되었으며, 오리온 포카칩과 경쟁하고 수미칩을 자매품으로 두고 있고, 오리지널, 사워크림 어니언, 콘치즈맛 등 다양한 맛이 출시되었으며, 과거에는 가루비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김치맛, 피자맛 등 단종된 제품도 있다.
  • 대한민국의 과자 - 레이즈
    레이즈는 1932년 허먼 레이가 설립한 감자칩 브랜드로, 펩시코의 자회사인 프리토레이에서 생산 및 판매하며, "딱 한 개만 먹을 순 없지"라는 슬로건으로 유명하지만 환경 문제, 쓰레기 문제, 농부와의 분쟁 등 논란도 있다.
  • 농심 제품 - 농심 포테토칩
    농심 포테토칩은 1980년 농심에서 처음 생산된 감자칩으로, '크레오파트라 포테토칩'에서 시작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정착되었으며, 오리온 포카칩과 경쟁하고 수미칩을 자매품으로 두고 있고, 오리지널, 사워크림 어니언, 콘치즈맛 등 다양한 맛이 출시되었으며, 과거에는 가루비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김치맛, 피자맛 등 단종된 제품도 있다.
  • 농심 제품 - 감자면
    감자면은 감자전분을 주 원료로 하여 면을 만들고 소고기, 야채, 향신료 등으로 맛을 낸 스프와 건더기 재료를 더해 식감을 풍부하게 한 면 요리이다.
새우깡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새우깡
새우깡
종류스낵
제조사농심
출시일1971년
영양 정보 (1회 제공량 100g 기준)
열량435kcal
지방23g
단백질6g
탄수화물56g
공식 웹사이트새우깡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농심은 1971년 12월 대한민국 최초의 스낵 새우깡을 선보였다. 이후 바나나킥(1978년), 꿀꽈배기(1979년), 포테토칩(1980년) 등 다른 스낵 제품들을 연이어 출시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2021년 10월에는 새우깡 출시 50주년을 기념하여 새우깡 블랙을 출시하였다. 2022년에는 575억 8200만원의 판매 기록을 세우며 한 해 동안 가장 많이 팔린 과자로 기록되었다.[21]

일본에서는 가루비의 갓파 에비센과 매우 흡사하여 표절 논란이 있었으며, TV 보도 프로그램에서도 여러 차례 다루어졌다.[13][14] 갓파 에비센은 1964년에 출시되었고, 새우깡은 이보다 7년 늦게 출시되었다.

2019년 상반기까지 새우깡은 81억 봉지 이상 판매되었으며,[15] 같은 해 기준으로 세계 70개국 이상에 수출되고 있다.[15] 일본에서는 수입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일본 법인 농심 재팬에서 "매운 새우깡"이라는 이름으로 일본판 제품도 판매하고 있다.

2. 1. 개발 배경

농심은 1971년 12월 대한민국 최초의 스낵 새우깡을 선보였다. 농심의 주장에 따르면 연구 기간만 1년이 걸렸으며, 실험에 4.5ton 트럭 80대 분량의 밀가루를 사용했다. "우리의 제품은 우리의 기술력으로 만든다"라는 각오로 개발해낸 새우깡은 출시와 동시에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으며, 이러한 성공은 라면 업계 후발주자로서 낮은 점유율과 이익률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던 농심이 성장하는 불씨가 되었다.[21]

농심신춘호 회장은 새우 과자에 적절한 이름을 찾던 중, 딸이 아리랑을 '아리깡'이라고 잘못 발음하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3] 신춘호는 "새우깡"이라는 상품명을 직접 작명했다.[15]

농심은 일본 가루비의 갓파 에비센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농심은 갓파 에비센 과자를 역설계하기 위해 1년 이상을 투자했으며, 제품을 굽는 적절한 온도를 찾는 데 특히 어려움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약 360톤의 밀가루를 사용했다.[4]

2. 2. 출시와 성공

농심은 1971년 12월 대한민국 최초의 스낵 새우깡을 선보였다. 농심의 주장에 따르면 연구 기간만 1년이 걸렸으며, 실험에 4.5ton 트럭 80대 분량의 밀가루를 사용했다. "우리의 제품은 우리의 기술력으로 만든다"라는 각오로 개발해낸 새우깡은 출시와 동시에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으며, 이러한 성공은 라면 업계 후발주자로서 낮은 점유율과 이익률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던 농심이 성장하는 불씨가 되었다.[21] 출시 후 불과 3개월 만에 농심의 매출은 350% 증가했다. 늘어난 수입으로 농심은 1978년 바나나킥, 1979년 꿀꽈배기, 1980년 포테토칩 등 다른 성공적인 스낵들을 출시할 수 있었다.

2013년 기준으로 새우깡의 판매량은 75억 개를 넘어섰으며, 2019년 상반기까지 81억 봉지 이상이 판매되었다.[15] 현재 새우깡은 미국 월마트[5] 및 중국 타오바오와 같은 매장에서 76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2019년 시점에서 세계 70개국 이상에 수출되고 있다.[15]

2. 3. 다양한 제품 출시

(왼쪽부터) 새우깡, 매운 새우깡, 쌀 새우깡, 새우깡 블랙


농심은 일반 새우깡 외에도 다양한 맛의 새우깡을 출시했다. 1995년 7월에는 오징어먹물 새우깡, 1996년 11월에는 코코아맛 새우깡을 출시했으나 단종되었다. 2000년엔 매운 새우깡, 2004년엔 쌀 새우깡, 2018년 5월 31일에는 깐풍 새우깡을 출시하였다. 2021년 10월 12일에는 새우깡 출시 50주년을 맞아 트러플(송로버섯)을 첨가한 새우깡 블랙을 출시하여 프리미엄 라인을 구축하였다.[27]

농심은 새우깡의 인기에 힘입어 감자깡(1972년 출시), 고구마깡(1973년 출시), 양파깡(1973년 출시), 옥수수깡(2020년 출시), 먹태깡(2023년 6월 26일 출시) 등 다양한 깡 시리즈 과자를 출시하였다.

농심은 일반 포장(90g) 외에도 미니 새우깡 (30g), 대용량 새우깡 (400g)을 출시했으며, 매운 새우깡, 쌀 새우깡, 닭고기 새우깡 (단맛 & 신맛)도 제공한다.

3. 광고

1988년 윤형주오란씨의 CM 송을 작곡한 경험을 바탕으로 새우깡 CM송을 작곡하고 직접 불렀으며, 가사는 카피라이터 이만재가 작사하였다. 이 CM송은 현재까지도 사용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한 CM송으로 알려져 있다.[22]

손이 가요 손이 가 새우깡에 손이 가요

아이 손, 어른 손 자꾸만 손이 가

언제든지 새우깡 어디서나 맛있게

누구든지 즐겨요 농심 새우깡

  • 새우깡 CM 송 가사


과자 출시 이후 "손이 가요~ 손이 가~ 새우깡에 손이 가요"라는 슬로건이 사용되었고,[6] 이는 매우 성공적이어서 현재까지도 새우깡 광고에 사용되고 있다.[15]

광고에는 김희갑, 송해, S.E.S., 이종석 등이 출연했다.[15] 2020년에는 (본명 정지훈)가 2017년에 발표한 노래 이 뒤늦게 화제가 되면서 새우깡 광고 모델로 발탁되었다.[22]

4. 논란

새우깡은 여러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 1964년에 출시된 일본의 과자 갓파에비센과 유사하여 '짝퉁' 과자 논란이 일었으며,[23] 2005년에도 이와 관련한 비판이 제기되었다.[7]

2008년에는 노래방 새우깡에서 쥐머리가 발견되었다는 제보가 있었으나, 농심은 식약청 조사가 시작될 때까지 한 달간 은폐하고 제품 회수도 하지 않았다.[24] 식약청 조사 결과 제조 과정에서 쥐머리 혼입 경위는 발견되지 않았다.[25]

2010년에는 쌀벌레가 발견되었는데, 식약청 조사 결과 제조 과정이 아닌 소매점 유통 과정에서 유입된 것으로 결론났다.[26]

2019년, 농심은 해양 오염을 이유로 군산산 새우 사용 중단을 계획했으나, 군산 어민과 국회의원들의 항의로 상위 10% 품질의 군산 새우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11]

4. 1. 갓파에비센 표절 논란

농심의 새우깡은 1964년에 출시된 일본 가루비의 갓파에비센과 모양 및 포장지까지 유사하여 '짝퉁' 과자라는 논란이 있었다.[23] 일본 TV 보도 프로그램에서도 표절 상품으로 여러 번 다루어졌다.[13][14] 갓파에비센은 새우깡보다 7년 আগে인 1964년에 출시되었으며, 원재료, 제조법, 형태, 포장까지 매우 흡사하다.

4. 2. 쥐머리 혼입 사건

2008년 3월 17일, 새우깡에서 쥐의 머리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발견되었다.[17] 농심은 소비자의 신고 접수 후,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의 공식 조사가 시작되기 전까지 한 달 동안 이 사실을 은폐하고 제품을 회수하지 않았다.[8] 또한, 국산으로 표시되었음에도 실제로는 중국에서 제조된 사실 등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되었다.[17] 식약처는 부산과 칭다오에 있는 농심 공장을 조사했으나, 같은 해 4월까지 제조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다는 결론을 발표했다.[9]

4. 3. 기타 논란


  • 1964년에 출시된 일본의 과자 갓파에비센과 모양 및 포장지까지 유사하여 '짝퉁' 과자 논란이 일었다.[23] 2005년에도 이 과자의 모양과 포장이 갓파 에비센과 유사하다는 비판이 다시 제기되었다.[7]
  • 2008년 노래방 새우깡 제품에서 쥐머리가 발견되었다는 소비자의 제보가 있었지만, 농심은 식약청의 조사가 시작될 때까지 한 달간 사실을 은폐하였으며, 실태 조사나 제품 리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24] 식약청은 농심의 부산공장과 칭다오공장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실태조사를 벌였으나 쥐머리의 혼입경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25] 같은 해 4월까지 제조 과정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발표했다.[9]
  • 2010년 제품에서 쌀벌레가 발견되어 식약청이 현장조사를 벌인 결과, 제조과정이 아니라 소매점 유통과정에서 유입되었다고 결론내렸다.[26],[10]
  • 2019년, 농심은 국내 해양 오염을 이유로 새우깡 생산에 군산산 새우 사용을 중단할 계획을 세웠다. 미국과 한국산 새우를 모두 사용해 온 농심은 군산산 새우의 품질이 48년 전부터 저하되었다고 주장했다.[11] 그러나 군산 어민과 국회의원들의 항의와 불만 제기로 인해 농심은 상위 10% 품질의 군산 새우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참조

[1] 문서 A method that does not fry with oil, but fries with heated salt
[2] 웹사이트 국내 최초 스낵 새우깡 http://www.yonhapmid[...] 2020-12-08
[3] 웹사이트 창업 원로들 "이것만은 내가 챙긴다" https://news.naver.c[...] 2020-11-24
[4] 웹사이트 국민 스낵 '새우깡' 75억 봉 판매 돌파 http://www.thinkfood[...] 2020-11-24
[5] 웹사이트 Nongshim Shrimp Cracker Spicy, 2.64 Oz, 12 Ct https://www.walmart.[...] 2020-11-26
[6] 웹사이트 GLOBAL NONGSHIM http://eng.nongshim.[...] 2020-11-24
[7] 웹사이트 새우깡도 빼빼로도 '짝퉁'이었다 http://www.hani.co.k[...] 2020-11-24
[8] 웹사이트 농심, '죽은 쥐 새우깡' 한달간 은폐-유통 https://www.viewsnne[...] 2020-11-24
[9] 웹사이트 식약청 "'생쥐깡' 中 제조공정 문제없다" https://www.hankyung[...] 2020-11-24
[10] 웹사이트 새우깡, 소매점 유통과정서 쌀벌레 혼입 http://news.kukinews[...] 2020-11-24
[11] 웹사이트 "48년전 그 꽃새우가 아니다"···국산 포기한 '새우깡' 속사정 https://news.naver.c[...] 2020-11-24
[12] 뉴스 【噴水台】国民菓子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08-03-23
[13] 뉴스 企業vsニセモノ 終わりなき攻防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WBS 2005-01-26
[14] 뉴스 新報道プレミアA フジテレビ 2007-07-02
[15] 뉴스 <韓国の長寿ブランド>中年になった「セウカン」 https://web.archive.[...] 中央日報日本語版 2019-09-29
[16] 뉴스 イ・ジョンソク、セウカン広告モデルに http://www.wowkorea.[...] WoW! Korea 2013-04-10
[17] 뉴스 “セウカンからネズミの頭?”スナック菓子に異物混入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08-03-18
[18] 문서 기름에 튀기지 않고 가열된 소금 위에 굽는 공법
[19] 뉴스인용 국내 최초 스낵 새우깡 http://www.yonhapmid[...] 월간 마이더스 2014-08-05
[20] 뉴스인용 창업 원로들 "이것만은 내가 챙긴다"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5-04-20
[21] 뉴스인용 50년 넘은 농심 ‘깡’ 시리즈…새우깡 인기 비결은? https://www.ezyecono[...] 2024-05-29
[22] 웹인용 '깡 열풍' 비, 진짜 농심 새우깡 모델 발탁 https://biz.chosun.c[...] 2021-04-25
[23] 뉴스인용 새우깡도 빼빼로도 ‘짝퉁’이었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4-08-05
[24] 뉴스인용 농심, '죽은 쥐 새우깡' 한달간 은폐-유통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14-08-05
[25] 뉴스인용 [식약청]생쥐깡 中 제조공정 문제없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4-12-09
[26] 뉴스인용 “새우깡, 소매점 유통과정서 쌀벌레 혼입” https://web.archive.[...] 쿠키뉴스 2014-08-05
[27] 뉴스인용 세계 3대 진미 ‘트러플’ 만난 새우깡… 농심, 50주년 맞아 ‘새우깡 블랙’ 출시 https://www.donga.co[...] 2024-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