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동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색동회는 1923년 5월 1일 일본 도쿄에서 창립된 아동문학 단체이다. 윤극영, 방정환 등이 회원으로 참여했으며, 어린이날 제정, 어린이 교육 강연회 개최, 아동문학 잡지 《어린이》 발간 등 아동 문학 운동을 주도했다. 일제강점기 탄압과 방정환의 사망으로 활동이 위축되었으나, 해방 이후 재건되어 어린이날 공휴일 지정, 색동회상 제정 등 아동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현재는 사단법인으로 서울 마포구에 위치하며, 한국동화구연학회 등 산하 단체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사단법인 -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는 1988년 한국프로골프협회에서 독립하여 창립된 대한민국의 여자 프로 골프 단체로, 여자 프로 골프 선수들의 권익 보호와 한국 여자 골프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투어 개최, 선수 지원, 사회 공헌, 국제 교류 등의 활동을 한다. - 대한민국의 사단법인 -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는 한국 정치와 대의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학술단체로서, 학술 연구, 학술지 발간, 연구 발표회 개최, 국내외 교류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대의민주주의 제도 개선과 시민 참여 확대 방안 연구, 진보 정당 정책 연구, 정치 현안 분석 및 정책 결정 근거 제시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교육 - 사법연수원
사법연수원은 법원조직법에 따라 설립된 법조인 양성 기관으로, 사법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법률 이론 및 실무 교육을 실시하며,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고 2년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법조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 대한민국의 교육 - 국민교육헌장
국민교육헌장은 대한민국에서 1968년에 제정된 교육 지표로, 민족 중흥의 사명을 위한 행동 강령과 교육 방향을 제시했으나, 전체주의, 군국주의, 국수주의적 성격으로 비판받으며 권위주의 통치 시기 국가주의 이념 주입 수단으로 활용되다 1994년 폐지되었다. - 1923년 설립 - 타임 (잡지)
《타임》지는 1923년 창간된 미국의 주간 뉴스 잡지로, '인물'을 통한 뉴스 전달, '올해의 인물' 선정, 붉은색 테두리 표지, "타임 100" 특집 기사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현재는 Time USA, LLC가 발행한다. - 1923년 설립 -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는 1920년대부터 시작된 소프트테니스 대회로, 현재 1923년과 1924년 18세 이하부 여자 단체전 우승팀 기록만 일부 남아 있어 상세한 역사 규명을 위한 추가 조사가 요구된다.
색동회 | |
---|---|
세크톤회 | |
기본 정보 | |
이름 | 색동회 |
한글 | 색동회 |
한자 | 色동會 |
가타카나 | セクトンフェ |
표어 | 바른 어린이가 성장하여 바른 어른이 됩니다. |
결성 | 1923년 5월 1일 |
결성 장소 | 도쿄 부 |
유형 | 어린이 운동 단체 |
형태 | 사단법인 (1987년 이후) |
목적 | 어린이권리 보호, 어린이문화 보급, 인성함양 |
본부 | 색동회 |
위치 | 서울특별시 금천구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회원 | 3,000 |
언어 | 한국어 |
수장 명칭 | 이사장 |
초대 수장 | 방정환 |
설립자 | 방정환, 고한승, 윤극영 외 |
현재 수장 | 박금희 |
모기관 | 보건복지부 |
직원 수 | 2 |
웹사이트 | 색동회 웹사이트 |
2. 창립
1923년 5월 1일 일본 도쿄에서 색동회가 창립되었다.[1] 윤극영이 '색동'이라는 명칭을 제안했는데, 이는 저고리 소매에 사용되는 감을 의미한다. 심벌마크는 조재호가 고안했으며, 사랑을 상징하는 하트 모양 안에 태극을 그리고, 태극임을 감추기 위해 입과 눈을 그려 병아리 모양을 만들었다.[4]
2. 1. 창립 과정 (1923년)
1923년 3월 16일, 일본 유학생들이 색동회 설립을 준비했다. 이후 동요 '반달'의 작사가 윤극영 등이 회원으로 참여하였다. 1923년 5월 1일 일본 도쿄에서 창립대회를 열어 색동회가 창립되었다.[1]색동회 창립 회의 기록 문서에 따르면, 1926년 3월 16일 회의에는 방정환, 강영호, 손진태, 고한승, 정순철, 조준기, 진장섭, 정병기 등이 참여하였고, 윤극영과 조재호가 합류하였다.[2]
'색동'이라는 명칭은 윤극영이 제안했으며, 저고리에 사용되는 소맷감을 의미한다.
심벌마크는 조재호가 고안하였다.[3] 사랑을 뜻하는 하트 모양 안에 태극을 그리고, 태극임을 감추기 위해 입과 눈을 그려 병아리 모양을 만들었다.[4]
3. 주요 활동
색동회는 방정환이 창간한 아동문학 잡지 《어린이》에 기고하고 편집에 참여했으며, 이 잡지는 사실상 색동회의 회보 역할을 했다.[1] 1923년 7월 23일부터 7월 30일까지 전국소년지도자대회라는 어린이 교육 강연회 활동을 했다.[1] 1928년 10월에는 세계아동예술전람회를 개최했다.[1]
3. 1. 일제강점기 (1923년 ~ 1945년)
색동회는 1923년 3월 16일 방정환을 중심으로 도쿄에서 결성되었다. 5월 1일부터 활동을 시작했는데(이를 회의 공식 창립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창립 당시 회원은 방정환, 손진태, 윤극영, 정순철, 고한승, 진장섭, 조재호, 정병기였다.[1] 이후 최진순, 마해송, 정인섭, 이헌구, 윤석중 등이 합류했다. 회원들은 도쿄 유학생들이었다. "색동회"라는 명칭은 어린이용 저고리(색동저고리)에서 유래했으며, 윤극영이 회의 명칭으로 제안했다.[1]조선의 아동문학은 천도교의 "소년회"가 시초이지만, 본격적인 활동은 색동회부터 시작되었다. 방정환이 아동문학 잡지 《어린이》를 창간했고, 사실상 색동회의 회보가 되었다.[1] 《어린이》는 1934년에 폐간되었으나, 광복 후인 1946년에 복간되었다. 또한 아동 교육과 아동문학의 중요성을 설파하기 위해 동화·동요회를 열거나, 아동 예술 전람회를 개최하기도 했다.[1] 1923년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정했다.[1] 1927년에는 "어린이날"이 5월 첫째 월요일로 변경되었고, 1937년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어린이날" 행사는 금지되었다.[1] 방정환이 1931년에 사망하면서 어린이 운동도 점차 약해졌다.[1]
색동회의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활동 내용 | 내용 |
---|---|
잡지 《어린이》 기고 및 편집 참여 | 방정환이 아동문학 잡지 《어린이》를 창간, 색동회의 회보 역할[1] |
어린이 교육 강연회 | 전국소년지도자대회 활동 (1923년 7월 23일 - 7월 30일)[1] |
어린이들의 작품전시회 | 세계아동예술전람회 개최 (1928년 10월)[1] |
3. 2. 광복 이후 (1945년 ~ 현재)
해방 후 조재호, 마해송, 강소권 등이 어린이 운동을 계속했고, 어린이날은 1946년에 "5월 5일"로 변경되었으며, 《어린이》도 복간되었다. 1969년에 조재호가 색동회를 이어받아, 단체로서의 활동이 재개되었다. 색동회의 강력한 주장으로 1975년부터 "어린이날"이 공휴일이 되었다. 1976년에는 "색동회상"을 설립하여, 아동 교육 분야에서 뛰어난 활동을 한 사람을 표창하고 있다. 1987년에 사단법인 인가를 받았다.현재, 색동회에는 지방 지회 외에, 한국동화구연학회, 색동회동화구연연구회, 색동어머니구연가회 등의 산하 단체가 있다.
4. 조직
색동회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 176-13에 있다.
4. 1. 현재 조직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 176-13에 있다.참조
[1]
뉴스
少年問題硏究의 색동회발회식
동아일보
1923-04-30
[2]
뉴스
어린이날 제정의 母體 색동회는 抗日단체
경향신문
1987-05-02
[3]
뉴스
색동회 발기인 曺在浩옹 여든넷에도 萬年 어린이
경향신문
1986-05-03
[4]
간행물
어린이날
학원
195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