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대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대륙은 일반적으로 아메리카 대륙을 지칭하는 용어로, 1503년 아메리고 베스푸치가 "신세계"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 용어는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고 식민화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었으며, 베네치아의 알비세 카다모스토, 스페인의 페터 마르티르 댕기에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등이 신대륙과 관련된 용어를 사용했다. '신세계'라는 용어는 유럽 중심적 관점을 반영하며 식민주의를 연상시킨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생물학, 와인,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세계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생물학에서는 아메리카 대륙 고유의 동식물을, 와인에서는 유럽 외 지역의 와인을, 농업에서는 아메리카 원산 작물을 지칭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리적 지역 - 구세계
    구세계는 유럽 중심적 관점에서 아메리카 대륙을 신세계로 지칭하며, 청동기 시대부터 문화적 접촉을 맺었던 북위 45도선과 25도선 사이의 온대 지역, 특히 지중해 지역을 포함한 아프로-유라시아 대륙을 의미한다.
  • 지리적 지역 - 극동
    극동은 역사적으로 유럽 중심적 관점에서 동쪽 끝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현재는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러시아 극동 지역을 포함하며 지정학적, 문화적 의미를 내포한다.
  • 오세아니아의 문화 - 빵나무
    빵나무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대 과일 나무로, 구운 열매의 질감이 빵과 유사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오스트로네시아인에 의해 태평양 지역으로 전파되었고, 현재는 열대 개발도상국에서 주요 식량 작물로 재배되며 식량 안보에 기여한다.
  • 오세아니아의 문화 - 화물숭배
    화물 숭배는 멜라네시아 지역에서 서구 문명의 물품인 '화물'을 신성시하며 숭배하는 종교적, 사회적 현상으로, 위기 상황 속에서 물질적 풍요, 식민 지배에 대한 저항, 새로운 사회 질서에 대한 열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현대 사회 소비주의와 기술 숭배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는 비유로도 사용된다.
  • 오세아니아 - 오스트랄라시아
    오스트랄라시아는 오세아니아의 한 지역으로, 정의에 따라 범위가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뉴기니섬 및 인근 태평양 섬들을 포함하며, 과거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스포츠 혼성팀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오세아니아 - 멜라네시아
    멜라네시아는 인도네시아 동부에서 피지까지 이르는 태평양의 섬들을 지칭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파푸아 제어 사용자들이 거주하고, 열대 기후와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1,300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된다.
신대륙
지도 정보
명칭
영어New World
라틴어Mundus Novus
기본 정보
정의아메리카 대륙을 지칭하는 용어
사용 시기15세기 후반부터
사용 맥락유럽인의 관점에서
지리적 발견 시대
역사적 배경
발견 이전아메리카 원주민 거주
유럽인의 도착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도착
명칭 사용아메리고 베스푸치가 처음 사용
관련 용어
구세계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서구서구 세계 중심의 관점 반영
특징
지리적 특징광대한 영토
다양한 기후
풍부한 천연자원
문화적 특징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유럽 문화의 영향
다양한 혼합 문화
현재
구성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논란
용어의 한계유럽 중심적 관점
아메리카 원주민 관점 간 괴리
대안 용어아메리카, 아메리카 대륙 등
같이 보기
관련 문서아메리카
구세계
지리적 발견 시대

2. 용어의 기원

"신세계"라는 용어는 유럽 중심적이며 식민주의와 관련하여 비판받고 있다.[25] 아메리카 대륙을 가리키는 "신세계"(Mundus Novus)라는 용어는 피렌체 공화국의 탐험가 아메리고 베스푸치가 1503년 편지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용어가 널리 퍼지게 되었다. 하지만 그 이전에도 유사한 용어들이 사용된 바 있다.

마테우스 메리안 1세(Matthäus Merian the Elder)가 1631년에 출판한 ''Historia antipodum oder newe Welt'', 즉 ''신세계의 역사''

2. 1. 초기 사용

베네치아 공화국의 탐험가 알비세 카다모스토는 1455년과 1456년 포르투갈을 위해 탐험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가리켜 "또 다른 세계"(un altro mondo)라는 용어를 사용했다.[4] 이것은 단순한 문학적 표현이었고, 새로운 "네 번째" 세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카다모스토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가 아프리카 대륙의 일부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스페인에서 활동한 이탈리아 출신 연대기 작가 페터 마르티르 댕기에라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동아시아(인디언들(the Indies))에 도착했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고,[5] 다른 이름을 사용했다. 콜럼버스가 첫 항해에서 돌아온 지 몇 주 후, 마르티르는 콜럼버스가 발견한 땅을 "서쪽 대척점"(antipodibus occiduis, 1493년 5월 14일 편지)[6], "지구의 새로운 반구"(novo terrarum hemisphaerio, 1493년 9월 13일)[7]라고 썼다.

1493년 11월 1일자 편지에서 그는 콜럼버스를 "새로운 세계의 발견자"(Colonus ille novi orbis repertor)라고 썼다.[8] 1년 후인 1494년 10월 20일, 페터 마르티르는 다시 "새로운 세계"(Novo Orbe)와 "서반구"(ab occidente hemisphero)를 언급했다.[9]

콜럼버스는 1499년 스페인 가톨릭 군주에게 보낸 편지에서 세 번째 항해의 결과를 보고하면서 남아메리카 오리노코 삼각주의 거대한 물이 파리아 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언급하며,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대륙이 그 뒤에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10] 콜럼버스는 남아메리카 대륙이 "네 번째" 대륙이 아니라 성경 전통의 "지상 낙원"(terrestrial paradise)이며, 기독교 세계에는 알려져 있지만 발견되지 않은 땅이라고 주장했다.[11] 1500년에 쓴 후안 왕자의 유모에게 보낸 또 다른 편지에서 콜럼버스는 "새로운 하늘과 세계"(nuevo cielo é mundo)[12]에 도달했고 스페인 국왕의 지배하에 "또 다른 세계"(otro mundo)[13]를 두었다고 언급했다.

2. 2. ''Mundus Novus''

"신세계"(Mundus Novus)라는 용어는 1503년 봄 아메리고 베스푸치가 그의 친구이자 후원자였던 로렌초 데 메디치(Lorenzo di Pier Francesco de' Medici, 1463–1503)에게 쓴 편지에서 처음 사용되었다.[3] 이 편지는 1503~1504년에 라틴어로 ''Mundus Novus''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베스푸치의 편지에는 유럽 항해사들이 서쪽에서 발견한 땅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주장했던 아시아의 가장자리가 아니라 완전히 다른 대륙이며 "신세계"라는 가설이 처음으로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다.[3]

''Mundus Novus''에 따르면, 베스푸치는 1501년 8월 17일 브라질에 도착하여 그곳의 자연과 사람들을 포르투갈 선원들이 아시아에 대해 이야기한 내용과 비교하면서 자신이 "신세계"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14] 베스푸치가 새로 발견된 브라질 해안을 측량하기 위한 탐험에 나섰을 때, 페드로 알바레스 카브랄이 지휘하는 제2차 포르투갈 인도 함대의 배들이 인도에서 돌아오던 중 오늘날 세네갈다카르에 있는 베제기슈(Bezeguiche)의 급수 정류장에서 두 다른 탐험대가 우연히 만났다.

베스푸치는 이미 수년 전에 아메리카를 방문했기 때문에, 서인도 제도에서 보았던 것과 돌아오는 선원들이 동인도 제도에 대해 이야기한 것을 조화시키기 어려웠을 것이다. 베스푸치는 베제기슈에 정박해 있는 동안 로렌초에게 예비 편지를 썼고, 포르투갈 함대와 함께 이 편지를 보냈는데, 그 편지에는 그의 대화에 대한 어떤 당혹감이 표현되어 있었다.[15] 베스푸치는 1501년부터 1502년까지 동부 브라질의 지도 제작 탐험 중에 확신을 갖게 되었다. 1503년 봄 브라질에서 돌아온 후, 베스푸치는 리스본에서 ''Mundus Novus'' 편지를 작성하여 유명한 서두 단락과 함께 피렌체에 있는 로렌초에게 보냈다.[16]

지난날 저는 포르투갈의 가장 숭고한 왕의 명령과 비용으로 배를 이용하여 발견되고 탐험된 새로운 나라에서 돌아온 것에 대해 당신에게 매우 자세히 썼습니다. 그리고 이 나라들은 우리 조상들에게 알려지지 않았고, 이 나라들에 대해 듣는 모든 사람들에게 완전히 새로운 것이므로, 그것을 신세계라고 부르는 것이 합당합니다. 고대인들의 견해는 적도 이남의 세계 대부분이 육지가 아니라 대서양이라고 부르는 바다뿐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만약 그들이 그곳에 어떤 대륙이 있다고 단언했다 하더라도, 그들이 거주하고 있다고 부정하는 많은 이유를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 견해는 거짓이며 진실과 완전히 반대입니다. 제 마지막 항해가 그것을 증명했는데, 저는 그 남쪽 지역에서 동물들로 가득 차고 우리의 유럽이나 아시아나 아프리카보다 더 인구가 많고, 우리에게 알려진 다른 어떤 지역보다 더 온화하고 쾌적한 대륙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베스푸치의 편지는 유럽에서 출판계의 돌풍을 일으켰고, 곧 다른 여러 나라에서 반복적으로 재판되었다.[17]

1493년 이후로 콜럼버스의 발견에 대해 논평하는 개인 편지를 쓰고 유포해 온 피터 마티어는 아메리카를 신세계로 명명하는 데 베스푸치와 함께 공로를 인정받는 경우가 많다.[18] 피터 마티어는 1511년에 출판되기 시작한 아메리카 발견에 관한 그의 역사의 제목에 "신구"(Orbe Novo)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9]

2. 3. 용어의 수용

위의 베스푸치의 글은 "신세계"라는 용어를 단순히 남아메리카 대륙에만 적용했다.[20] 당시 북아메리카 대륙의 대부분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고, 베스푸치의 논평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이전에 발견한 앤틸리스 제도의 섬들이 여전히 아시아의 동쪽 끝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했다. 콜럼버스는 1506년 사망할 때까지 이러한 주장을 계속했다.[21]

1504년 제작된 타조알 지구본에 묘사된 ''Mundus Novus''(신세계)


1504년 지구본(아마도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제작한 것으로 추정됨)은 북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를 제외하고 신세계를 남아메리카로만 묘사하고 있다.[22] ''후타 데 나베간테스''(Junta de Navegantes)로 알려진 항해사 회의가 1505년 스페인 국왕에 의해 토로에서 소집되었고, 1508년 부르고스에서 계속되어 인디언에 대한 기존 정보를 모두 종합하고, 무엇이 발견되었는지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고, 스페인 탐험의 미래 목표를 설정했다.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두 회의 모두에 참석했으며, 그들에게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부르고스에서 그는 스페인 항해의 책임자인 최초의 ''필로토 마요르''(piloto mayor)로 임명되었다.[23]

토로-부르고스 회의의 회의록은 없지만, 베스푸치가 자신의 최근 '신세계' 논문을 동료 항해사들에게 설명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회의들 동안 스페인 관리들은 앤틸리스 제도와 알려진 중앙아메리카 지역이 그들이 바랐던 인디언이 아니라는 것을 받아들인 것 같다. 비록 콜럼버스는 여전히 그렇다고 주장했지만 말이다. 그들은 스페인 탐험가들을 위한 새로운 목표를 설정했다. 아메리카를 통과하는 해로 또는 해협을 찾아 진정한 아시아로 가는 길을 찾는 것이다.[24]

"신세계"라는 용어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영어로는 비교적 늦게 등장했으며, 최근에는 비판을 받고 있다.[25]

3. 지리적 경계의 확정

아메리고 베스푸치 이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발견이 아시아가 아닌 "신세계"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 간의 지리적 관계는 불분명하게 남아 있었다.[26]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사이에 광대한 바다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은 동아시아 해안선을 따라 광대하고 연속적인 바다가 존재한다는 사실로 암시되었다. 에라토스테네스가 계산한 지구의 크기를 고려할 때, 아시아와 새로 발견된 땅 사이에 넓은 공간이 남게 되었다.

베스푸치 이전에도, 1502년 칸티노 해도와 1504년 카네리오 해도 등 여러 지도에서 지도 동쪽의 중국과 지도 서쪽의 미완성된 대체로 물로 둘러싸인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발견지 사이에 넓은 열린 바다를 표시하였다. 불확실성 때문에, 그들은 아시아 대륙의 한 부분이 지도의 동쪽 가장자리까지 뻗어 서반구로 이어지는 것처럼 묘사하였다. 예를 들어 칸티노 해도는 그린란드를 "푼타 다지아(Punta d'Asia)"—"아시아의 가장자리"—라고 표시하였다.[2]

1506년 콘타리니-로셀리 지도와 1508년 요하네스 루이슈 지도 등 일부 지도는 프톨레마이오스의 권위와 콜럼버스의 주장에 따라 북아메리카 대륙이 서반구로 뻗어 알려진 북아메리카, 라브라도, 뉴펀들랜드 등과 합쳐지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지도들은 일본 섬을 쿠바 근처에 배치하고 남아메리카 대륙—베스푸치의 "진정한 신세계"—을 독립적으로 아래에 떠 있는 것으로 나타낸다.[2]

베스푸치의 편지를 재인쇄한 ''코스모그라피아이 인트로덕시오'' 책과 함께 출판된 1507년 발트제뮬러 지도는 동쪽의 아시아와 신세계 사이에 뻗어나가는 육지가 없이 완전히 열린 바다를 배치함으로써 현대에 가장 근접한다. 이 지도는 같은 지도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두 번 표현되어 있다. 현재 중앙아메리카로 명명된 지역 중앙에 해협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이다. 현재 남아메리카로 명명된 지역에서 이 지도는 유명하게도 간단히 "아메리카"라고 표시한다. 마르틴 발트제뮬러의 1516년 지도는 이전 지도에서 상당히 후퇴하여 고전적인 권위로 돌아가 아시아 대륙이 북아메리카와 합쳐지는 것으로 나타내며, 이제 그는 그것을 ''테라 데 쿠바 아시에 파르티스(Terra de Cuba Asie partis)''라고 부르고 남아메리카에서 "아메리카"라는 이름을 조용히 삭제하고 단순히 ''테라 인코그니타(Terra incognita)''라고 부른다.[2]

디오고 리베이루(Diogo Ribeiro)가 감독한 1529년 파드롱 레알 지도에는 아메리카 대륙을 "신세계"라고 표기하고 남아메리카 대부분과 북아메리카의 동부 해안을 나타낸다.


바스쿠 누녜스 데 발보아는 콜럼버스의 최초 항해 20년 후인 1513년 태평양을 포함한 신세계의 서해안을 발견하였다.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1519년부터 1522년까지의 항해를 통해 태평양이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을 분리하는 단일한 거대한 수역을 형성한다는 것이 확정될 때까지 몇 년 더 걸렸다. 몇 년 후, 북아메리카의 태평양 연안이 지도에 표시되었다. 18세기 초 베링 해협의 발견은 아시아와 북아메리카가 육지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1533년 요하네스 셰너 지구본을 포함하여 16세기의 일부 유럽 지도는 여전히 북아메리카가 아시아와 육교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묘사하였다.[2]

1524년, "신세계"라는 용어는 조반니 다 베라자노가 당시 캐나다와 미국에 있는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을 따라 항해한 기록에서 사용되었다.[27]

4. 현대적 용법과 비판

"신세계"라는 용어는 유럽 중심적이며 식민주의와 관련하여 비판을 받고 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항해와 그 이후의 아메리카의 유럽 식민지화에 대해 논의할 때 "신세계"라는 용어가 여전히 흔히 사용되지만, 이는 발견에 대한 식민주의적 관점을 적용하고 세계의 역사적, 지리적 복잡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여겨진다. 두 '세계'와 서구 식민주의 시대는 오히려 '근대 세계'에서처럼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28]

기독교 사회가 형성되기 이전 시대에 이주하여 정착한 민족이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한 지역도 많았다. 과거에는 문화의 유사성에 따라, 오늘날에는 거기에 더해 유전자의 공통성으로 인해, 멀리 떨어진 지역에 사는 민족이 동일한 조상을 가졌다고 추측되는 경우가 있다.

오늘날 이들 지역에서는 서구의 언어인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서구인의 후손들이 지배권을 유지하는 사회가 형성되어 있다.

4. 1. 생물학

생물학적 맥락에서 종은 구세계(구북구, 아프로열대구)와 신세계(신북구, 신열대구)로 나눌 수 있다. 생물 분류학자들은 아메리카에서만 발견되는 종 그룹에 "신세계"라는 명칭을 붙여 "구세계"(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의 상대 종과 구별한다. 예를 들어 신세계 원숭이, 신세계 독수리, 신세계 휘파람새 등이 있다.[29]

이 명칭은 농업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은 신석기 혁명에서 비롯된 공통된 농업 역사를 공유하며, 동일한 재배 식물과 가축이 수천 년 전 이 세 대륙으로 퍼져 나가 이들을 "구세계"로 분류하는 것이 대체로 모호하지 않고 유용하게 되었다. 보리, 렌틸콩, 귀리, 완두콩, 호밀, 과 같은 일반적인 구세계 작물과 , , 염소, , 돼지, 과 같은 가축은 1490년대 콜럼버스 이후의 접촉을 통해 도입될 때까지 아메리카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콜럼버스 이후의 접촉 이후 전 세계로 퍼지기 전에 아메리카에서 처음으로 재배된 많은 작물들은 "신세계 작물"로 불린다.

지역작물 및 가축
중앙아메리카강낭콩(phaseolus), 옥수수, 스쿼시(세 자매), 아보카도, 토마토, 피망류(피망, 고추 등), 칠면조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지역카사바, 땅콩, 감자, 퀴노아, 알파카, 기니피그, 라마



다른 신세계 작물로는 고구마, 캐슈, 코코아, 고무, 해바라기, 담배, 바닐라, 구아바, 파파야, 파인애플 등이 있다. 표주박, 면화, 야와 같이 구세계와 신세계 모두에서 따로 재배되었거나 초기 형태가 최후 빙하기 동안 아시아에서 온 팔레오인디언에 의해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는 중복 사례는 드물다.

생물학 분야에서는 남북 아메리카 대륙과 유사한 생물상을 가진 지역을 "신세계"라고 부르며(신세계 원숭이 등), 오늘날의 생물지리구에서는 "신북구" 및 "신열대구"로 구분된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이나 태평양 제도와 유사한 생물상을 가진 지역은 "오스트레일리아구" 및 "오세아니아구"로 구분된다. 생물상의 차이는 지구과학 분야의 판구조론 이론에서 해진, 해퇴나 대륙 분단의 상황을 판단하는 자료 중 하나로 사용된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이후 식물과 생물의 유출입이 발생하여 생태계에 변화가 생겼다. 이것은 콜럼버스 교환이라고 불린다.

4. 2. 와인

와인 용어에서 "신세계"는 특정한 정의를 갖는다. "신세계 와인"은 북미와 남미 와인뿐만 아니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유럽, 북아프리카, 근동의 전통적인 포도주 생산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와인을 포함한다.[29] 하지만 와인에 대한 이러한 용어의 유용성은 임의적이고 너무 일반적이라는 이유로 의문을 제기받았다.[30]

와인에서 New World wine|뉴월드 와인영어이란, 대항해시대 이후 유럽에서 제조법이 전래된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을 가리킨다. 즉, 북미와 남미, 오세아니아뿐 아니라, 지리적으로는 구세계에 속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나 일본에서 생산되는 와인도 포함한다.[32]

4. 3. 농업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은 신석기 혁명에서 비롯된 공통된 농업 역사를 공유하며, 동일한 재배 식물과 가축이 수천 년 전 이 세 대륙으로 퍼져 나가 이들을 "구세계"로 분류하는 것이 대체로 모호하지 않고 유용하게 되었다. 보리, 렌틸콩, 귀리, 완두콩, 호밀, 과 같은 일반적인 구세계 작물과 , , 염소, , 돼지, 과 같은 가축은 1490년대 콜럼버스 이후의 접촉을 통해 도입될 때까지 아메리카에는 존재하지 않았다.[29]

콜럼버스 이후의 접촉 이후 전 세계로 퍼지기 전에 아메리카에서 처음으로 재배된 많은 일반적인 작물들은 여전히 "신세계 작물"로 불린다. 강낭콩(''phaseolus''), 옥수수, 스쿼시—"세 자매"—뿐만 아니라 아보카도, 토마토, 다양한 피망류(피망, 고추 등), 그리고 칠면조는 원래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중앙아메리카 사람들에 의해 길들여졌다.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지역 농부들은 카사바, 땅콩, 감자, 퀴노아알파카, 기니피그, 라마와 같은 가축을 길렀다.[29]

다른 신세계 작물로는 고구마, 캐슈, 코코아, 고무, 해바라기, 담배, 바닐라구아바, 파파야, 파인애플과 같은 과일이 있다. 표주박, 면화, 야와 같이 구세계와 신세계 모두에서 따로 재배되었거나 초기 형태가 최후 빙하기 동안 아시아에서 온 팔레오인디언에 의해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는 중복 사례는 드물다.[29]

5. 한국 사회에서의 논의

'신세계'라는 용어는 유럽 중심적이며 식민주의와 관련된 사죄의 느낌을 준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참조

[1] 서적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 서적 Mundus Novus: Letter to Lorenzo Pietro Di Medici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16
[3] 서적 Columbus Then and Now, a life re-examined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7
[4] 서적 Navigationi https://archive.org/[...] 1470
[4] 서적 Reading Columbus 1993
[5] 서적 Spain in America, 1450–580 Harper 1904
[6] 서적 Opus Epistolarum https://books.google[...]
[7] 서적 Opus Epistolarum https://books.google[...]
[8] 서적 Opus Epistolarum https://books.google[...]
[9] 서적 Opus Epistolarum https://books.google[...]
[10] 서적 Select Letters of Christopher Columbus https://archive.org/[...] 1870
[11] 서적 Relating Religion Chicago 2004
[12] 서적 Select Letters of Christopher Columbus https://archive.org/[...] 1870
[13] 서적 Select Letters of Christopher Columbus https://archive.org/[...] 1870
[14] 서적 Viaggi di Amerigo Vespucci https://books.google[...] 1832
[14] 서적 Amerigo Vespucci https://books.google[...] Centro Tipografico Livornese editore 2013-07
[15] 서적 Amerígo Vespucci, son caractère, ses écrits ... sa vie et ses navigations ... https://books.google[...] 1865
[16] 서적 The Letters of Amerigo Vespucci and Other Documents Illustrative of His Career https://books.google[...] 1894
[17] 서적 Amerígo Vespucci https://books.google[...] 1865
[17] 서적 Amerígo Vespucci https://books.google[...] 1865
[18] 서적 Vida del muy magnífico señor Don Cristóbal Colón Editorial Hermes 1952
[19] 서적 Relating Religion Chicago 2004
[20] 서적 Amerigo Vespucci Harper 1907
[21] 서적 The European Discovery of America, v.2: The southern voyages, 1492–1616 1974
[22] 간행물 A Newly Discovered Early Sixteenth-Century Globe Engraved on an Ostrich Egg: The Earliest Surviving Globe Showing the New World 2013-09
[23] 서적 Colección de los viages y descubrimientos que hicieron por mar los españoles desde fines del siglo XV https://archive.org/[...] 1829
[24] 서적 The Early Spanish Main Cambridge 1966
[25] 웹사이트 New World Discovery http://www.oxfordhan[...]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6-02
[26] 서적 The Discovery of the Sea 1974
[27] 웹사이트 The Written Record of the Voyage of 1524 of Giovanni da Verrazzano http://bc.barnard.co[...] 1524-07-08
[27] 서적 The Voyages of Giovanni da Verrazzano, 1524–1528 Yale 1970
[28] 웹사이트 The Old World-New World Debate and the Columbian Exchange https://www.wondrium[...] 2022-04-10
[29] 웹사이트 Real Differences: New World vs Old World Wine http://winefolly.com[...] 2014-12-03
[30] 논문 Old World, New World, Third World? Reconceptualising the Worlds of Wine Informa UK Limited 2010
[31] 서적 Mundus Novus: Letter to Lorenzo Pietro Di Medici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16
[32] 웹사이트 新世界ワインとは?ワイン初心者向けに新世界ワインを徹底解説 https://www.sapporob[...] サッポロビール 2018-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