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CMT)은 프랑스의 장-마르탱 샤르코, 피에르 마리, 영국의 하워드 헨리 투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유전성 신경 질환이다. 이는 신경의 축삭을 둘러싼 말이집 단백질을 생성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발과 손의 근육 위축, 변형, 근력 약화를 특징으로 한다. CMT는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며, 신경 수초 손상(CMT1), 축삭 손상(CMT2), X 염색체 관련(CMTX) 등이 있다. 진단은 가족력, 임상 증상, 신경 생리학적 검사, 유전자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지만, 신경 형성을 돕는 물질 투약, 재활 치료, 보조기 사용 등이 증상 완화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초신경계 질환 - 좌골신경통
    좌골신경통은 척추 신경근 압박 또는 자극으로 허리, 엉덩이, 다리, 발까지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추간판 탈출증, 척추관 협착증 등이 원인이며, 신체 검사 및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보존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한다.
  • 말초신경계 질환 - 신경근병증
    신경근병증은 신경근의 압박으로 통증, 무감각, 근력 약화 등을 유발하며, 추간판 탈출증, 퇴행성 디스크 질환 등이 주요 원인이고 물리 치료, 수술 등의 치료법이 존재한다.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
질병 개요
샤르코-마리-투스 질환 환자의 발
샤르코-마리-투스 질환 환자의 발: 근육 부족, 높은 아치, 갈퀴발은 이 유전 질환의 징후임.
다른 이름샤르코-마리-투스 신경병증, 종아리 근육 위축증, 데제린-소타스 증후군
증상일반적: 높은 아치 발, 망치발가락, 발처짐, 계단식 보행, 다리 하부, 팔, 손의 쇠약, 경직, 근육 소모, 감소된 힘줄 반사
때때로: 평발, 척추 기형
발병 시기아동기 – 초기 성인기
지속 기간평생
원인가족력 (유전)
위험 요인가족력 (유전)
진단유전자 검사, 신경 전도 검사 또는 근전도 검사 (EMG)
감별 진단근이영양증
예방해당 사항 없음
치료기능 유지를 위한 관리
약물해당 사항 없음
예후진행성
빈도유병률: 2,500명 중 1명
사망해당 사항 없음
진료 과목신경과, 족부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명명
명칭 유래장-마르탱 샤르코, 피에르 마리, 하워드 헨리 투스가 처음 기술함

2. 역사

피에르 마리


하워드 헨리 투스


이 질환은 장-마르탱 샤르코(1825–1893), 피에르 마리(1853–1940),[1] 하워드 헨리 투스(1856–1925)가 고전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이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3. 원인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CMT)은 신경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말이집(수초)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 때문에 발생한다. 이 돌연변이는 정상적인 유전자 발현 과정을 방해하여 신경 기능에 이상을 초래한다.[78]

CMT의 가장 흔한 원인(70~80%)은 17번 염색체 단완의 특정 영역(17p11.2-p12)이 중복되는 것이다. 이 영역에는 ''PMP22''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유전자의 중복 또는 점돌연변이가 CMT 1A형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23][78] 드물게 ''PMP-22'' 유전자의 점돌연변이도 보고된다. 간극 결합을 이루는 Cx32 유전자의 점상 돌연변이도 CMT와 관련이 있으며, 높은 빈도로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된다.[80]

1번 염색체에 있는 ''MFN2'' 유전자의 돌연변이도 CMT를 유발할 수 있다. ''MFN2''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돌연변이는 미토콘드리아가 시냅스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여 시냅스 기능을 저하시킨다.[24]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에서는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신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물질이 발현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신경의 축삭 또는 수초에 이상이 생겨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에는 탈수초화형(CMT1, CMT3, CMT4)과 축삭 손상형(CMT2)으로 분류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슈반 세포와 신경 세포 사이의 밀접한 상호 작용으로 인해 탈수초화와 축삭 손상이 혼재된 경우가 많다.

신경 세포와 슈반 세포는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신경 세포의 생존과 분화에 관여한다.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에서는 이러한 상호 작용이 저해되어 축삭의 구조와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수초화형 CMT 환자는 신경 전도 속도가 저하되는 특징을 보이며[59][60], 축삭 손상형 CMT 환자는 복합 근육 활동 전위가 저하되고 신경 전도 속도는 정상이거나 약간 저하된다.

3. 1. 유전 방식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유전성 질환으로 세대를 걸쳐 유전된다. 가계도 분석 결과 뚜렷한 상염색체 우성 유전 현상을 보인다.[78]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CMT)은 유전 형식(상염색체 우성, 상염색체 열성, X 염색체성), 유전자 좌위 및 원인 유전자에 따라 분류된다. CMT1A처럼 숫자에 알파벳을 붙여 분류한다.

구분유전 방식설명
CMT1상염색체 우성수초 손상이 주가 되는 유형
CMT4상염색체 열성수초 손상이 주가 되는 유형
CMT2상염색체 우성축삭 손상이 주가 되는 유형
AR-CMT2상염색체 열성축삭 손상이 주가 되는 유형
CMTXX 염색체성X 염색체성 유전 형식



CMT는 최소 34개의 원인 유전자 외에 8개 이상의 유전자 좌위가 보고되었다. 원인 유전자를 병태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9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미엘린 구성 단백질

2. 미엘린 관련 단백질 전사 인자

3. 미엘린 관련 단백질의 수송・대사・처리

4. 말초 신경 세포 분화・유지

5. 뉴로필라멘트・단백질 수송 관련

6. 미토콘드리아 관련

7. DNA 수복・전사・핵산 합성

8. 이온 채널

9. 아미노아실 tRNA 합성 효소

1~4는 미엘린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이며, 탈수초형 CMT의 원인이 된다. 5~9는 신경 세포의 형성・유지・활동에 관련된 유전자로 주로 축삭형 CMT의 원인이 된다.

CMT의 특징 중 하나는 유전적 다양성이며, 이는 다른 유전자의 이상으로도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가장 빈도가 높은 CMT는 CMT1A이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으로 서구의 CMT 전체의 50%, 탈수초형의 약 70%를 차지한다.

3. 2. 유전자 자리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과 관련된 유전자 자리는 다음과 같다.[85]

유형유전성 질환 목록[88]유전자유전자 자리
CMT1A118220PMP2217p11.2
CMT1B118200MPZ1q22
CMT1C601098LITAF16p13.1-p12.3
CMT1D607678EGR210q21.1-q22.1
CMT1E118300PMP2217p11.2
CMT2A118210MFN2 또는 KIF1B1p36
CMT2B600882RAB7 (RAB7A, RAB7B)3q21.
CMT2B1605588LMNA1q22
CMT2B2605589?19q13.3
CMT2C606071?12q23-q24
CMT2D601472GARS7p15
CMT2E607684NEFL8p21
CMT2F606595HSPB17q11-q21
CMT2G60859112q12-13
CMT2H607731GDAP18q13-q21.1
CMT2J6077361q22
CMT2K6078318q13-q21.1
CMT2L60867312q24
CMT3145900다발성다발성
CMT4A214400GDAP18q13-q21.1
CMT4B1601382MTMR211q22
CMT4B2604563CMT4B2 (SBF2)11p15
CMT4C601596KIAA1985 (SH3TC2)5q32
CMT4D601455NDRG18q24.3
CMT4E605253EGR210q21.1-10q22.1
CMT4F145900PRX19q13.1-19q13.2
CMT4H609311FGD412p11.21
CMT4J611228KIAA0274 (FIG4)6q21
CMTX1302800GJB1Xq13.1
CMTX2302801?Xq22.2
CMTX3302802?[89]Xq26
CMTX4310490Xq24-q26.1
CMTX5311070Xq22-q24



17번 염색체


'''17번 염색체'''

CMT의 가장 흔한 원인(70~80%의 사례)은 17번 염색체 단완의 큰 영역이 중복되는 것이며, 여기에는 ''PMP22'' 유전자가 포함된다.[23]

'''1번 염색체'''

일부 돌연변이는 1번 염색체에 있는 ''MFN2''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돌연변이된 ''MFN2''는 미토콘드리아가 축삭을 따라 시냅스로 이동할 수 없는 큰 덩어리 또는 응고를 형성하게 한다. 이는 시냅스의 기능을 방해한다.[24]

4. 종류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CMT)은 발병 유형에 따라 신경 수초 이상과 관련 있는 1형, 축색돌기 이상과 관련 있는 2형, 1형과 2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3형, 4형, X 염색체와 관련된 X형으로 나뉜다.[85] 2010년 상반기 기준으로 CMT를 유발하는 유전자는 39종이 알려져 있다.[84]

CMT는 이질성 질환이며, 관련된 돌연변이는 여러 다른 유전자에서 발생할 수 있다.[25] 영향을 받는 유전자에 따라 CMT는 여러 유형과 아형으로 분류된다.[46]

'''질병 유형별 구분'''[81]

유형유전빈도특징
CMT 1상염색체 우성80%[78]수초 손상으로 신경 전도 속도가 많이 감소된 탈수초성 신경병
CMT 2상염색체 우성(CMT2B1 제외)20%-40%신경 전도 속도는 정상에 가까우면서 운동 감각 신경의 활동 전위가 많이 저하된 축삭형 신경병
CMT 3상염색체 열성극히 희귀어린 나이에 발병하여 임상 증상 및 신경 전도 속도 저하가 매우 심한 유형
CMT 4상염색체 열성극히 희귀발병 연령이 빠르고 임상 증상이 심한 유형
CMT XX 염색체 유전자 연관10-20%X 염색체와 연관되어 발병하며 여자보다 남자의 증상이 심함. 아버지에서 아들로 유전되지 않음.



CMT2 변이는 수초 손상(CMT1의 경우)이 아닌 신경 축삭 손상의 결과이며,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축삭 변성으로 인해 축삭 신경병증으로 불린다.[26] 손상된 축삭은 근육과 뇌로의 신호 전달을 늦추어 근육 위축, 쇠약, 감각 저하 및 발 변형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 CMT2 변이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5세에서 25세 사이에 나타난다.[26]

CMT는 X-연관 돌연변이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X-연관 CMT (CMTX)라고 한다. CMTX에서 돌연변이된 커넥신은 분자 교환과 신호 전달을 방해하는 기능이 없는 갭 연접을 생성한다.[41][38][39]

샤르코-마리-투스병에서는 유전자 이상으로 신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물질이 발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경의 축삭 또는 수초 (미엘린 수초)에 이상이 생겨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로 초기 탈수초화형 뉴로파티를 보이는 군 (CMT1, CMT3, CMT4)과 초기 축삭 손상형 뉴로파티를 보이는 군 (CMT2)으로 크게 분류된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수초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슈반 세포와 신경 세포 사이에는 밀접한 상호 작용이 있으며, 종종 탈수초화와 축삭 손상이 혼재된 병리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CMT는 최소 34개의 원인 유전자 외에 8개 이상의 유전자 좌위가 보고되었다. 원인 유전자를 병태별로 분류하면 다음 9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미엘린 구성 단백질

# 미엘린 관련 단백질 전사 인자

# 미엘린 관련 단백질의 수송, 대사, 처리

# 말초 신경 세포 분화, 유지

# 뉴로필라멘트, 단백질 수송 관련

# 미토콘드리아 관련

# DNA 수복, 전사, 핵산 합성

# 이온 채널

# 아미노아실 tRNA 합성 효소

1~4는 미엘린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이며, 탈수초형 CMT의 원인이 된다. 5~9는 신경 세포의 형성, 유지, 활동에 관련된 유전자로 주로 축삭형 CMT의 원인이 된다.

유전성 신경병증 가운데 가장 빈도가 높은 CMT는 CMT1A라고 불리는 형이다. 상염색체 우성 유전으로 서구의 CMT 전체의 50%, 탈수초형의 약 70%를 차지한다. 탈수초형에서 두 번째로 많은 것은 GJB1/Cx32의 변이이며, X 염색체 유전 형식이기 때문에 CMTX라고 불린다.

'''CMT1'''

탈수초화를 동반하며, 신경 전도 속도의 현저한 저하가 나타난다. 다음 하위 유형은 모두 유사한 임상 증상을 보인다.


  • CMT type 1A - CMT1A (http://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18220 OMIM 118220) - PMP22 유전자(17p11.2)의 중복에 의해 발생한다. 신경 전도 속도는 평균 15-20m/s.
  • CMT type 1B - CMT1B (http://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18200 OMIM 118200) - 프로테인 제로 (protein zero, P0)를 코딩하는 MPZ 유전자(1q22)의 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신경 전도 속도는 20m/s 이하.
  • CMT type 1C - CMT1C는 LITAF 유전자(16p13.1-p12.3)가 원인 유전자이다. 신경 전도 속도는 평균 15-20m/s.
  • CMT type 1D - CMT1D는 EGR2 유전자(10q21.1-q22.1)가 원인 유전자이다. 신경 전도 속도는 평균 15-20m/s.
  • CMT type 1E - CMT1E는 PMP22 유전자(17p11.2)의 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CMT2'''

상염색체 우성 유전. 축삭 변성을 주로 하며, 신경 전도 속도는 정상보다 다소 저하되지만 38m/s를 밑돌지 않는다.

'''CMT3'''

데제린-소타스병 (Dejerine-Sottas disease)이라고도 불린다. 대개 유아기에 발병한다.

  • CMT 3형 (CMT Type 3) - 상염색체 열성 유전. 심각한 근력 저하를 유발한다. 신경 전도 속도가 10m/s 이하로 현저하게 감소한다. 병리학적으로 양파 비늘 (onion bulb) 형성이 두드러진다.


'''CMTX'''

X 염색체에 기인하는 CMTX는 5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다. 그중 가장 많은 것이 CMTX1이며, 커넥신 32라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GJB1이라는 유전자의 이상으로 발생한다. CMTX1에서는 축삭성과 탈수초성 모두의 장애가 있지만, 여성의 경우 축삭성 장애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5. 증상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CMT) 환자는 발과 손의 근육이 점차 약해지고 위축되며, 발과 손 모양에 변형이 발생한다. 증상의 정도는 유전자 돌연변이 종류에 따라 경미한 수준에서 심각한 수준까지 다양하며, 보행 보조기나 휠체어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81] 증상은 주로 청소년기, 이른 성인기, 중년기에 서서히 시작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발, 손, 다리, 팔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드물게는 호흡 곤란으로 사망할 수 있지만, 대부분 정상적인 수명을 누린다.[81]

CMT의 초기 증상은 대개 발 처짐이나 높은 아치 형태이며, 발가락이 항상 구부러지는 망치 발가락이 나타날 수 있다.[10] 다리 아랫부분 근육이 위축되어 "황새 다리" 또는 "거꾸로 된 샴페인 병"과 같은 외형을 보이기도 한다.[10] 질환이 진행되면서 손과 팔뚝의 쇠약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10]

높은 아치 발(오목 발) 또는 평평한 아치 발(평발)이 흔히 나타나며,[11] 발, 발목, 다리, 손, 손목, 팔의 촉각 감각이 소실될 수 있다.[1] 초기 및 후기 발병 형태 모두 통증성 경련성 근육 수축을 동반할 수 있으며, 손이나 팔다리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무감각, 경련,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1]

이갈이와 찡그림이 흔하게 나타나지만, 환자 본인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호흡, 청력, 시력, 목과 어깨 근육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척추 측만증으로 인해 굽은 자세와 키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1] 비구 기형이 나타날 수 있고, 위장 문제,[12][13] 씹기, 삼키기, 말하기 어려움(성대 위축)이 발생할 수 있다.[14] 근육 위축으로 떨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신이나 심한 정서적 스트레스는 CMT를 악화시킬 수 있다.[15] 장기간 움직이지 않으면 증상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5]

자세 변화, 골격 변형, 근육 피로 및 경련으로 인한 통증은 물리 치료, 수술, 교정 장치 등으로 완화할 수 있으며,[16] 필요한 경우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다.[16] 신경병성 통증은 CMT의 흔한 증상으로, 심각도는 환자마다 다르다.[17]

CMT의 비정형적인 증상으로 종아리 근육이 커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근육 자체가 커지는 것이 아니라 지방 조직이 근육으로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가성 비대 때문이다.[19][20][21]

CMT는 모든 인종에서 나타나며, 서양에서는 2,500명 중 1명, 최근 조사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9.7~82.4명으로 발병률이 높다.[61] 일본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10.8명으로 보고되었지만, 실제로는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62] 대부분 0~20세에 발병하지만, 50대 발병도 흔하며, 휠체어 사용 환자는 약 20%, 와상 환자는 1%이다.

CMT는 대부분 하체에서 시작되는 원위부 우위의 근위축, 근력 저하를 첫 증상으로 하며,[59][60] 좌우대칭성, 길이 의존성(신경이 길수록 증상 출현이 빠르고 증상이 강함)의 유전성 다발성 신경병증이다. 그 외의 특징으로 상지에서는 손 내재근이 손상되기 쉽다는 점, 골격계 변화, 쉽게 피로해지는 것 등이 있다. 기본적으로는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므로 언제 증상이 나타났는지 확실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CMT 환자들은 어릴 때부터 달리기나 스포츠를 잘 못하거나, 발이 작았다는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다. 드물게 출생 시나 소아기에 운동 발달 지연으로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는 선천성 수초 형성 부전이라 하며 증상이 더 심하다.

10세에서 30세 사이에 걷기 어려움, 잘 넘어짐, 발 변형 등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걷기 어려움은 주로 양쪽 하체 원위부 근육, 특히 전경골근(심비골 신경 지배)과 비골근의 근력 저하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은 양쪽 발에서 거의 좌우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발 내재근의 근위축과 근력 저하가 먼저 발생한다. 손가락 증상으로는 단추 잠그기, 젓가락이나 연필 사용의 어려움 등을 호소하며, 이는 엄지두덩 근육이나 골간근 등 손 내재근의 근위축과 근력 저하 때문이다. 회내근이나 회외근 근력 저하로 물병 뚜껑이나 손잡이를 돌리기 어려워지기도 한다. 상지 근력 저하 역시 좌우 차이가 거의 없다.

CMT가 오래되면 골격계 변형이 동반될 수 있다. 발의 앞뒤 길이가 짧아지고 발등이 높아지는 요족 변형이 흔하며, 내반 첨족이 되기도 한다. 요족에 발의 저굴과 내반이 동반되면 망치 발가락 변형이 된다.[59][60]

쉽게 피로해져 장시간 운동 시 근육 경련이 발생할 수 있고, 근육량 감소로 손발이 차갑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본태성 진전과 유사한 진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30대 중반까지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환자의 약 40%에서 나타난다. 드물게 망막이나 청신경 손상이 동반되거나, 척추측만증 등 척추 변형이 생기기도 한다.

CMT1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운동계: 근위축과 근력 저하는 원위부 근육에서 더 일찍, 더 심하게 나타난다. 근력 저하는 발 내재근에서 시작하여 하퇴 근육, 대퇴 근육 순으로 진행된다. 근위축은 사지 원위부로 갈수록 두드러져 "역 샴페인 병"이라고[59][60] 불리는 특징적인 패턴을 보인다. 상지에서는 손 내재근 위축이 두드러지며, 엄지두덩 근육 근력 저하로 엄지가 외전되고 원숭이 손을 보이며, 골간 근육 위축으로 손가락 사이에 홈이 파인다.

  • 건 반사: 초기에는 저하되지만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아킬레스건 반사가 먼저 소실되고, 이어서 슬개건 반사, 최종적으로 상지 건 반사도 소실된다.

  • 감각계: 환자는 감각 장애를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장갑 양말 형태의 감각 장애가 나타난다.

  • 보행: 초기에는 전경골근 근력 저하로 발뒤꿈치 들기가 어렵고, 진행되면 계족 보행을 보인다.[59][60]

  • 말초 신경 비후: 정상인에서는 말초 신경을 만질 수 없지만, CMT 환자의 약 20%는 대이개신경, 척골신경, 비골신경 등 비후된 말초 신경을 체표에서 만질 수 있다.

  • 골격계 변형: 요족이 가장 흔하며, 편평족, 척추 측만증도 드물게 나타난다. 청소년기에 고관절 형성 이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 호흡 기능: 근병증과는 달리, 선천성 수초 형성 부전 등 소아 발병 사례를 제외하면 호흡 장애는 드물다.

6. 진단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CMT)은 신경 임펄스 속도 측정(신경전도 검사), 신경 생검, DNA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44] DNA 검사로 확정적인 진단을 내릴 수 있지만, CMT에 대한 모든 유전자 표지가 알려진 것은 아니다.[44]

CMT는 발 처짐, 망치발가락, 아치형 발과 같은 발 기형이 나타날 때 처음으로 가장 먼저 인지되지만, 이러한 징후만으로는 진단으로 이어지지 않는다.[44] 환자는 신경과 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에게 의뢰되어야 한다.[44] 신경과 전문의는 근육 약화 징후(발뒤꿈치로 걷거나 반대 힘에 저항하여 다리 일부를 움직이는지 확인) 및 감각 상실(CMT에서 감소하거나 없는 무릎 반사와 같은 심부 건 반사 검사)을 확인한다.[44] 의사는 CMT가 유전성이기 때문에 환자의 가족력을 묻고, 가족력이 없더라도 당뇨병이나 특정 화학 물질 또는 약물 노출과 같은 신경병증의 다른 원인을 배제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44]

2010년, 샤르코-마리-투스 협회(CMTA) 과학자들은 특정 환자의 질병의 유전적 원인이 영향을 받은 개인의 전체 게놈 시퀀싱을 통해 정확하게 결정된 최초의 질병 중 하나가 CMT라고 발표했다.[45][46]

샤르코-마리-투스병의 신경전도검사 특징은 다음과 같다.[72]

특징



신경전도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전성 탈수초성 감각 운동 신경병증인 CMT1과 축삭 감각성 신경병증인 CMT2의 감별이다. 상지 정중 신경의 MCV가 CMT1에서는 38m/s에 미치지 못하고, CMT2에서는 38m/s보다 빠르다. 중간형 CMT는 가족 내에서 상지 정중 신경의 MCV가 38m/s의 상하에 걸쳐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CMT1의 대부분은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쯤에는 정중 신경의 MCV가 20~25m/s로 저하되어 있다.
PMP22/CMT1A여러 검사 구간에서 비교적 균일한 전도 속도의 저하를 보이며(Uniform slowing), 전도 블록을 나타내지 않는다. 발병 전 소아기부터 NCV의 저하가 있지만 증상과 NCV는 상관하지 않으며, CMAP 진폭의 저하가 근력 저하와 상관한다.

CMT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는 수가 많아 효율적인 유전자 검사가 필요하며, 모든 원인 유전자가 밝혀진 것은 아니다. PMP22의 중복에 의한 CMT1A가 탈수초형의 70%, CMT 전체에서도 50%를 차지한다. 따라서 탈수초형 또는 병형 불명의 경우에는 우선 FISH법(in situ 하이브리다이제이션법)으로 PMP22의 중복이나 결실을 평가한다. (미쓰비시 케미컬 메디언스사 제공, 17번 염색체 1개당 1개의 PMP22 유전자가 있는 것이 정상. 즉, 정상에서는 2개의 복제가 있다. CMT1A에서는 이상한 2개의 복제를 가진 염색체와 정상적인 1개의 복제를 가진 염색체로 합계 3개의 복제가 인정된다. 2개의 복제는 반드시 근접하여 존재한다.) PMP22의 결실이 원인인 HNPP도 이 검사로 유전자 진단이 가능하다. MLPA법으로 보다 높은 정밀도로 저렴하게 검출할 수 있지만 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다. PMP22의 중복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축삭형에서는 시퀀스 분석을 실시한다. 탈수초형에서는 비교적 빈도가 높은 GJB1, MPZ, PMP22 등, 축삭형에서는 MFN2 등의 시퀀스 분석을 실시한다. 그 외의 유전자 이상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어레이법을 기반으로 한 DNA 칩에 의한 진단이나 DHPLC(변성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행해지고 있다.

최병옥 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의 실험에서는 PMP-22 유전자의 유전자 중복 때문에 일어나는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의 검사에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80]

검사 방법



최병옥은 샤코 마리 투스를 유발하는 새로운 유전인자 6개를 발견하여 발표하였고, 2009년 생물학 학술지 《브레인》은 이 논문을 올해의 우수 논문으로 선정하였다.[82]

choi 등은 엑솜 분석법으로 통상의 DNA 분석법으로는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던 25례 중 3례(32%)에서 유전자 이상을 검출했다고 보고하고 있다[72]。향후에는 차세대 시퀀서를 이용한 엑솜 분석이 주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샤르코-마리-투스병의 진단은 가족력과 임상 양상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미 알려진 유전자 이상이 유전자 검사에서 확인되면 더욱 확실해진다.

특징적인 임상 양상



그리고 신경전도 속도 검사에서 탈수초형, 축삭형으로 분류한다. 특징적인 증상과 전기 생리학적 검사, 가족력이 확인되면 샤르코-마리-투스병의 진단은 비교적 쉽다. 그러나 가족력이 없는 경우, 증상 또는 전기 생리 검사에서 좌우 비대칭인 경우, 상지가 하지보다 증상이 심한 경우, 근위 근육 우위인 경우, 경과가 빠른 경우(수개월 내 악화 등)는 다른 뉴로파티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신중한 진단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 신경병증(CIDP)이나 항-MAG 항체를 동반하는 뉴로파티, POEMS 증후군, 비타민 B1 결핍 뉴로파티, 알코올성 다발성 뉴로파티, 아밀로이드증, 척수소뇌변성증에 의한 뉴로파티(Aprataxin, senataxin, frataxin), 레프섬병, 이염성 백질 영양 장애, 크라베병, 탕헤르병 등이 감별 질환이 된다.

7. 치료

현재 유전자 변형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은 동물 실험 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환자에게는 신경 형성에 도움이 되는 물질 투약과 재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신체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보조적인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신경 형성에 도움이 되는 약물로는 아스코르빈산(비타민 C), 뉴로트로핀-3(NT-3) 등이 있다.[81]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CMT) 환자는 운동 능력, 근력, 유연성 유지가 중요하므로, 작업 치료(OT), 물리 치료(PT), 보조기 전문가, 족부 전문의, 정형외과 의사 등으로 구성된 다학제 팀 접근 방식이 권장된다.[1]

CMT 환자는 발의 아치가 높고 망치 발가락 변형이 동반되어 발에 맞는 신발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발의 감각 저하로 인해 굳은살, 못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족부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 족부 전문의나 정형외과 의사의 수술을 통해 발을 안정시키거나 진행성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수술에는 발가락을 곧게 펴고 고정하거나, 아치를 낮추거나, 발목 관절을 융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15]

CMT 환자는 골절 회복이 더디므로 낙상을 피해야 하며, 활동 부족은 CMT를 악화시킬 수 있다.[15] 샤르코-마리-투스 협회는 화학 요법 약물인 빈크리스틴을 "확실한 고위험"으로 분류하며, 모든 CMT 환자가 피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49]

발목-발 보조기(AFO)


하지 근육 약화 시에는 맞춤형 정형외과 보조기 처방이 필요하다. 특히 발을 들어 올리는 앞정강근 약화는 가자미근과 함께 넙다리세갈래근을 형성하는 비복근 위축을 동반하여 "황새 다리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51] 이 경우 발목-발 보조기가 유용하며, 종아리 근육 약화 시에는 정강이 앞쪽에 하퇴 쉘과 결합된 강한 스프링이 있는 조절 가능한 동적 배굴 정지 기능이 있는 정형외과 관절이 권장된다. 이러한 보조기는 발 처짐, 발과 발목 불안정성을 제어하고, 이동성과 발목 관절 역학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균형 감각을 향상시킨다.[52][53][54][55]

; CMT1A의 약물 치료

아스코르빈산 대량 투여는 동물 모델에서는 효과가 있었지만, 임상 시험에서는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 NT-3, 커큐민, 프로게스테론 길항제 등에서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RNA 간섭법 등 핵산 의약품도 가능성이 있다.

; 재활 치료

아킬레스건 지속적 신장, 관절 가동 범위 훈련 등이 재활 치료에 포함된다.

; 단 하지 보조기

; 수술 요법

; 로봇 수트

핵산 의약품은 샤르코-마리-투스병 치료에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이다. 기능 획득형 점 돌연변이가 원인인 유전성 질환의 경우, 변이형 mRNA를 녹다운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 siRNA를 이용한 변이형 mRNA 특이적 녹다운 방법은 이미 보고되어 확립되었다.[73]

대한민국의 성균관대학교 연구진은 변이형 mRNA를 특이적으로 녹다운할 수 있는 siRNA를 개발하여 CMT1E 모델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행동 분석, 전기 생리학적 검사, 병리 형태학 모두 개선됨을 확인했다.[76] 이는 CMT1E의 유효한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핵산 의약품 선도 기업인 [https://www.ionispharma.com/ IONIS] 사에서는 인간 PMP22에 대한 안티센스 핵산을 개발하여 CMT1A 모델 동물에서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77]

8. 예후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CMT)에서 증상의 심각성은 같은 유형이라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동일한 유전자형을 가진 일란성 쌍둥이에게서도 질병 심각도가 다르게 나타난 사례가 보고되었는데, 이는 동일한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심각도와 관련 있음을 보여준다(침투도 참조).[57] 일부 환자는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으며 거의 또는 전혀 증상이 없다.[57] 2007년의 한 검토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기대 수명이 변경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58]

일반적으로 발병 시기가 빠를수록 신경학적 장애가 더 심각해지는 경향이 있다.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은 서서히 진행되며, 수명 자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많은 환자에게 지팡이 등이 필요하게 되어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9. 최신 연구 동향

핵산 의약품은 샤르코-마리-투스병 치료에 기대를 모으는 방법 중 하나이다. 기능 획득형 점 돌연변이가 원인인 유전성 질환에서는 변이형 mRNA만을 녹다운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 siRNA로 변이형 mRNA를 특이적으로 녹다운하는 방법은 이미 보고되어 확립되었다[73]

생후 6일부터 18일까지 격일로 재조합 NRG-1을 투여하면 슈반 세포가 분화하고 CMT1A 모델 랫트의 탈수초화가 경감된다는 선행 연구 결과가 있다[74]피리미딘 염기의 2'-OH를 2'–F로 수식한 siRNA (C 대신 2'-FC, U 대신 2'-FU를 사용)는 혈장 중에서 3일 동안 효과가 지속된다는 보고도 있다[75]

이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변이형 mRNA를 특이적으로 녹다운할 수 있는 siRNA를 제작하여, 생후 6일부터 18일 사이에 3일마다 피리미딘 염기의 2'–OH를 2'–F로 수식한 siRNA를 CMT1E 모델 마우스인 Trembler-J 마우스에 투여하면 탈수초화가 경감될 수 있다는 가설이 세워졌다.

대한민국 성균관대학교 병옥 교수는 변이형 mRNA를 특이적으로 녹다운할 수 있는 siRNA를 개발하여 Trembler-J 마우스에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76]。 그 결과, 로터 로드에 의한 행동 분석, 전기 생리학적 검사, 병리 형태학 모두 개선을 나타냈다. 이는 CMT1E에서 유효한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핵산 의약품 선도 기업인 [http://www.ionispharma.com/ IONIS] 사에서는 인간 PMP22에 대한 안티센스 핵산을 개발했다. 화학 수식한 안티센스 핵산을 피하 투여하여 CMT1A 모델 동물(C22 마우스와 랫트)의 행동 분석, 전기 생리학적 검사, 병리 형태학 모두 개선을 나타냈다[77]

참조

[1] 논문 Charcot–Marie–Tooth disease 2009
[2] 간행물 Charcot-Marie-Tooth Disease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
[3] 논문 Phenotypic Variability of Childhood Charcot-Marie-Tooth Disease 2016-06
[4] 논문 Genetic and clinical aspects of Charcot-Marie-Tooth's disease 1974-08
[5] EMedicine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for Charcot-Marie-Tooth Disease
[6] 논문 Sur une forme particulière d'atrophie musculaire progressive, souvent familiale débutant par les pieds et les jambes et atteignant plus tard les mains
[7] thesis The peroneal type of progressive muscular atrophy http://resource.nlm.[...] 1886
[8] 논문 Jean-Martin Charcot: The Father of Neurology 2011-03
[9] 논문 Neurological dysfunction and axonal degeneration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2000-07
[10] 웹사이트 Charcot-Marie-Tooth Disease Fact Sheet https://www.ninds.ni[...] 2022-04-23
[11] 서적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2014 McGraw-Hill Education 2013
[12] 웹사이트 CMT News http://www.lindacrab[...] 2016-11-13
[13] 논문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in neurologic disorders: Stiff-man and Charcot-Marie-Tooth syndromes 1997-01
[14] 웹사이트 Charcot-Marie-Tooth Disease Fact Sheet http://www.ninds.nih[...] 2016-01-14
[15] 간행물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MT http://www.cmtausa.o[...] Charcot-Marie-Tooth Association 2010-10-06
[16] 웹사이트 Charcot-Marie-Tooth Syndrome. CMT information. http://patient.info/[...] 2021-08-20
[17] 논문 Neuropathic pain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1998-12
[18] 논문 Coexistence of Charcot-Marie-Tooth 1A and nondystrophic myotonia due to PMP22 duplication and SCN4A pathogenic variants: a case report 2022
[19] 논문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presenting as calf hypertrophy and muscle cramps 1998-11
[20] 논문 Charcot-Marie-Tooth Disease Associated with Hypertrophic Neuropathy: A Neuropathologic Study of Two Cases 1980-07
[21] 논문 G.P.294 2014-10
[22] 논문 Pathomechanisms of mutant proteins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2006-03
[23] 논문 Sleep and Memory Disorders in a Patient Suffering from Charcot-Marie-Tooth Disease 2017
[24] 논문 Altered axonal mitochondrial transport in the pathogenesis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from mitofusin 2 mutations 2007-01
[25] 논문 The genetics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current trends and future implication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26] 웹사이트 CMT2 - Types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CMT) - Diseases https://www.mda.org/[...] 2022-05-10
[27] 논문 Altered Sensory Neuron Development in CMT2D Mice Is Site-Specific and Linked to Increased GlyRS Levels 2020
[28] 웹사이트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2D (Concept Id: C1832274) https://www.ncbi.nlm[...] 2022-05-10
[29] 논문 Neuromuscular junction maturation defects precede impaired lower motor neuron connectivity in Charcot-Marie-Tooth type 2D mice 2014
[30] 논문 Synaptic Deficits at Neuromuscular Junctions in Two Mouse Models of Charcot-Marie-Tooth Type 2d 2016
[31] 논문 Developmental demands contribute to early neuromuscular degeneration in CMT2D mice 2020
[32] 논문 Trk receptor signaling and sensory neuron fate are perturbed in human neuropathy caused by Gars mutations 2017
[33] 웹사이트 OMIM Entry - # 601472 - Charcot–Marie–Tooth disease, axonal, type 2D; CMT2D https://omim.org/ent[...] 2022-05-10
[34] 웹사이트 OMIM Entry- * 600287 - Glycl-tRNA Synthetase 1; GARS1 https://omim.org/ent[...] 2022-05-10
[35] 논문 Neurodegenerative Charcot-Marie-Tooth disease as a case study to decipher novel functions of aminoacyl-tRNA synthetases 2019
[36] 논문 CMT2D neuropathy is linked to the neomorphic binding activity of glycyl-tRNA synthetase 2015-10
[37] 논문 Charcot-Marie-Tooth mutation in glycyl-tRNA synthetase stalls ribosomes in a pre-accommodation state and activates integrated stress response 2021-09
[38] 논문 The role of gap junctions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2011-12
[39] 논문 Charcot-Marie-Tooth disease 2009-06
[40] 논문 X linked Charcot-Marie-Tooth disease and multiple sclerosis: emerging evidence for an association 2019-02
[41] 논문 Molecular cell biology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2002-03
[42] 논문 Mitochondrial Fusion and Function in Charcot-Marie-Tooth Type 2A Patient Fibroblasts with Mitofusin 2 Mutations 2008-05
[43] 논문 Neurophysiologic abnormalities in children with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2008-09
[44] 웹사이트 Diagnosing CMT https://www.cmtausa.[...] 2020-05-30
[45] 뉴스 Disease Cause Is Pinpointed With Genome https://www.nytimes.[...] 2010-03-10
[46] 논문 Whole-genome sequencing in a patient with Charcot-Marie-Tooth neuropathy 2010-04
[47] 서적 Biopsy diagnosis of peripheral neuropathy https://archive.org/[...] Butterworth-Heinemann 1995
[48] 서적 Muscle biopsy: a practical approach Saunders/Elsevier 2013
[49] 웹사이트 Medical Alert http://www.charcot-m[...] 2007-08-21
[50] 논문 Neuropathic Spinal Arthropathy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A Case Report 1997-08
[51] 논문 Novel FA2H mutation in a girl with familial spastic paraplegia 2015-10
[52] 논문 The effect of varying the plantarflexion resistance of an ankle-foot orthosis on knee joint kinematics in patients with stroke 2013-03
[53] 논문 Ankle foot orthoses in cerebral palsy: Effects of ankle stiffness on trunk kinematics, gait stability and energy cost of walking http://resolver.tude[...] 2020-05
[54] 논문 The effect of ankle foot orthosis stiffness on trunk movement and walking energy cost in cerebral palsy 2016-09
[55] 논문 The Effects of Varying Ankle Foot Orthosis Stiffness on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ho Walk with Excessive Knee Flexion 2015-11-23
[56] 논문 Stiffness modification of two ankle-foot orthosis types to optimize gait in individuals with non-spastic calf muscle weakness - a proof-of-concept study 2019
[57] 논문 Diagnosis, natural history, and management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2009-07
[58] 논문 Disorders of pulmonary function, sleep, and the upper airway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2007-02-09
[59] 서적 イヤーノート 2015: 内科・外科編 メディック・メディア
[60] 서적 病気がみえるVol.7 メディックメディア社発行
[61] 논문 2012
[62] 논문 2002
[63] 논문 2012
[64] 논문 2014
[65] 논문 1996-05
[66] 논문 2011-05
[67] 논문 1983-11
[68] 논문 1992-03-19
[69] 논문 1993-05
[70] 논문 1995-09
[71] 논문 Nat Genet. 1992 Dec;2(4):288-91
[72] 논문 Hum Mutat. 2012 33 1610-1615.
[73] 논문 PLoS Genet. 2006 Sep 8;2(9):e140.
[74] 논문 Nat Med. 2014 Sep;20(9):1055-61.
[75] 논문 RNA. 2004 May;10(5):766-71.
[76] 논문 Neurobiol Dis. 2017 Apr;100:99-107.
[77] 논문 J Clin Invest. 2018 Jan 2;128(1):359-368.
[78] 간행물 한국인에서 Charcot-Marie-Tooth 1A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분석 http://bbs.neuro.or.[...]
[79] 논문 Neurological dysfunction and axonal degeneration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http://brain.oxfordj[...] 2000
[80] 간행물 Cx32 유전자 돌연변이를 보인 CMTX와 PMP22 유전자 중복을 보인 CMT1A 환자들의 임상 및 전기생리학적 특성 비교 http://bbs.neuro.or.[...] 2004년
[81] 웹사이트 국립보건연구원 질병관리본부 희귀난치성질환헬프라인,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 http://helpline.cdc.[...]
[82] 뉴스 최병옥 교수, 브레인誌 '올해의 우수논문' 선정 http://old.docdocdoc[...] 청년의사 2009-7-16
[83] 문서
[84] 뉴스 Disease Cause Is Pinpointed With Genome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10-3-10
[85] 웹사이트 Charcot-Marie-Tooth Hereditary Neuropathy Overview http://www.ncbi.nlm.[...]
[86] 논문 New mutations in the X-linked form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1997
[87] 서적 Connexins, A Guide http://www.springer.[...] Springer 2009
[88] 웹사이트 미국생물공학센터 유전성 질환 목록 http://www.ncbi.nlm.[...]
[89]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