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8호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로, 1995년부터 도입되었다. 1~2차분은 7000호대 전동차와 기술 사양이 유사하며, 3M3T의 6량 1편성으로 구성된다.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내장재를 리뉴얼했으며, 2010년에는 객실 내 LED 전광판이 LCD 모니터로 교체되었다. 1995년 12월부터 1996년 6월까지 1차분, 1999년 2월부터 4월까지 2차분, 2023년 6월부터 2024년 1월까지 3차분이 도입되었으며, 2025년부터 2026년까지 4차분, 2027년에 5차분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현재 801~829편성이 모란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별내역에서 모란역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8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강동구, 경기도 성남시에 걸쳐 있으며, 1996년 잠실~모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24년 암사~별내 구간 개통을 앞두고 있고, 모란역에서 판교역, 별내별가람역에서 별내역까지 연장 계획이 있다.
  • 수도권 전철 8호선 - 모란차량사업소
    모란차량사업소는 수도권 전철 8호선의 차량기지로서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의 입·출고 검수 관리를 담당하며, 모란역 인근에 위치하여 안전 운행을 위한 관리, 시설물 유지 보수, 안전 및 환경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시설 노후화, 소음 문제, 추가 기능 도입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기본 정보
8000계 전동차 810편성 (서울교통공사 개편 전)
8000계 전동차 810편성 (서울교통공사 개편 전)
회사 색상#F51361
용도도시 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차량 정보
차량 이름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생산량22개 편성 132량
사용량29개 편성 174량
제원
총 차량 수6량
전체 길이19,500mm
전체 폭3,120mm
전체 높이3,600mm
궤간1,435mm
바닥 높이1,150mm
차량 무게33.7t (선두차), 35.4t (M1), 35.8t (M2), 29.3t (T)
편성 무게203,3t
차량 정원148명 (선두차), 160명 (중간차)
편성 정원936명
성능
전기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구동 장치WN 드라이브/유도전동기
모터 출력210kW
편성 출력2,520kW
영업 최고 속도ATC/ATO 구간 80km/h
설계 최고 속도100km/h
기동 가속도3.0km/h/s
감속도 (상용)3.5km/h/s
감속도 (비상)4.5km/h/s
제어 및 제동 방식
제어 방식1차분: VVVF-GTO (GEC-Alstom) 1C4M 제어
2차분: VVVF-IGBT (도시바) 2레벨 1C4M 제어
3~4차분: VVVF-IGBT PMSM (도시바/우진산전)
주 전동기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 (IM)
전폐 자냉식 영구 자석 동기 전동기 (PMSM)
제동 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교직류 회생제동
안전 장치
보안 장치ATC/ATO [수동 운전, 자동 운전]
생산 정보
제작사대우중공업 (1차차)
한진중공업 (2차차)
우진산전 (3차차)
다원시스
제작 연도1995년 12월~1996년 6월
1999년 2월~4월
2023년 6월~2024년 1월
2025년~2026년
2027년

2. 기술적 사양

1~2차 도입분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의 1~2차분과 동일하다. MT비 3M3T의 6량 편성으로, 동 시기에 제조된 7호선 7000호대와 량수 외에는 동일하다. 1999년 노선 연장 시 2차분을 증비했다. 우진산전제 운전 관리 제어 시스템 "TGIS"를 탑재하여 ATO를 사용한 원맨 운전 시 운전사를 지원하고 있다.[1]

2. 1. TGIS 모니터 탑재

열차정보제어에는 TCMS를 사용하고 있으며, ATO를 사용한 1인 승무 구조로 되어 있다. 8호선 차량은 전 차량에 공중파 방식의 승강장 감시용 모니터를 추가로 장비하고 있다. 우진산전제 운전 관리 제어 시스템 "TGIS"를 탑재하여 ATO를 사용한 원맨 운전 시 운전사를 지원하고 있다.

2. 2. 객실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에 따라 2004~2005년까지 전 차량의 내장재 리뉴얼을 완료하였다. 좌석은 무광택 스테인리스 재질로 변경되었으며, 단열재는 기존의 폼 소재에서 유리솜으로, 객차간 통로의 차단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서 불연 고무 재질로 변경되었다. 객실 내장판은 기존의 FRP 수지에서 세라믹 도료를 덧씌운 금속 재질로 변경되었다. 그 외에도 화재 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인터컴 등이 보강되었으며, 1차 도입분의 객실 유리창은 차량 노약자석을 제외하고 도입 당시의 상부 개폐식에서 통유리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0년에 전 차량에 대하여 안장 부분에 난연재 소재의 모켓 시트가 추가 설치되었으며, SMRT-MALL 사업의 일환으로 객실 내 LED 전광판이 LCD 모니터로 바뀌었다. 또한 방송장치가 통합 설정기로 교체되어 방송 음질이 다소 향상되었으며, 측면 LED 행선 표시기는 스크린도어의 설치로 보기 어렵게 된 사유로 한동안 작동시키지 않은 채 운행하다가 뒤이어 측면 행선 표시기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2대 사업자의 와이파이 AP(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이 사업이 추진되면서 5~7회에 달하여 송출된 발차 경고음 '딩동' 소리의 타이밍 등이 대폭 수정되기도 하였다.

3. 편성

8201-8215
8401-8415
8601-8615
8701-8715
8001-80151995년-1996년 (1차분)8116-8120
8216-8220
8416-8420
8616-8620
8716-8720
8016-80201999년 (2차분)8121-8129
8221-8229
8421-8429
8621-8629
8721-8729
8021-80292023년-2024년 (3차분)차량 번호8101-8115
8201-8215
8401-8415
8601-8615
8701-8715
8001-80152025년-2026년 (4차분)8116-8120
8216-8220
8416-8420
8616-8620
8716-8720
8016-80202027년-2028년 (5차분)

3. 1. 8호선 6량 편성



객차번호설치된 전장품
81XXTc(SIV, 축전지)
82XXM1(펜터그래프, 주변환장치)
84XXT(무동력객차)
86XXM2(펜터그래프,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87XXM1(공기압축기, 주변환장치)
80XXTc(SIV, 축전지)


4. 도입 역사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는 수도권 전철 8호선 개통 및 연장에 따라 여러 차례 도입되었다.



각 도입분은 ATO를 사용한 원맨 운전을 지원하며, 기술 사양과 외관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히 3차 도입분부터 PMSM을 채택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였다.

4. 1. 1차 도입분 (1995년 12월~1996년 6월)

1996년 11월 23일 8호선 잠실(송파구청)~모란 (남위례역 제외)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된 차량이다. 모란차량사업소 소속으로 801~815편성(총 15개 편성)이 있다. 제작사는 대우중공업(현 현대로템)이며, 제어 방식은 VVVF-GTO(알스톰)이다. 도입 당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1~2차분,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1차분과 동일하게 전두부 도색이 일자형 연결이었으나, 2차분 도입 시 2차분과 같은 곡선형으로 변경되었다. 전두부에만 하얀색 띠가 있고, 측면 도색은 하얀색 띠가 없으며, 창문은 2분할 형식이고 측면에 비드(외벽 주름)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프랑스-영국 GEC-알스톰(Alstom)사 GTO 인버터가 장착되었다. 도입 당시 안내방송 톤이 타 차량에 비해 높았고, 출발 시 딩동 소리가 울리지 않았으나,[5] 2012년에 방송이 개정되면서 딩동 소리가 3번 울리도록 변경되었다.

MT비 3M3T의 6량 편성으로, 동 시기에 제조된 7000호대와 량수 외에는 동일하다. 우진산전제 운전 관리 제어 시스템 "TGIS"를 탑재하여 ATO를 사용한 원맨 운전 시 운전사를 지원하고 있다. 1995년 - 1996년에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하여 801 - 815편성이 도입되었다. 당시 별개 회사였던 서울 지하철공사 4000호대와 동일한 전장품인 GEC 알스톰제 GTO-VVVF(32RA025B2)를 탑재하고 있다. 측면 창문은 2분할 창으로 상부가 열리는 안으로 기울어지는 방식이다.

4. 2. 2차 도입분 (1999년 2월~4월)

1999년 7월 2일 8호선 잠실(송파구청)~암사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된 차량이다. 1차분과 달리 도색에 하얀색 띠가 있고 창문이 일체형이며 측면에 비드(외벽 주름)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차체가 스테인리스이면서 비드가 없는 차량은 서울지하철에선 이 열차가 최초이기도 하다.[6] 소자는 일본 도시바(Toshiba)사의 IGBT 인버터가 장착되었다. 8호선 6량 7개 편성은 시운전을 거쳐[7] 1999년 7월 2일 서울 지하철 8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운행에 투입했다. 도입 당시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출발하면서 딩동 경고음이 7번 울렸으나 2012년 방송 개정을 통해서 1차분과 똑같이 출입문 폐문 시 딩동 경고음이 3번 울리도록 변경되었다.

821편성 (현재는 7호선으로 전속)


모란차량사업소 소속으로 816~820편성과 구 821~822편성 (총 5개 편성)이 해당된다. 제작사는 한진중공업(현.현대로템)이며, 제어 방식은 VVVF-IGBT(도시바)이다. MT비 3M3T의 6량 편성으로, 동 시기에 제조된 7000호대와 량수 외에는 동일하다. 우진산전제 운전 관리 제어 시스템 "TGIS"를 탑재하여 ATO를 사용한 원맨 운전 시 운전사를 지원하고 있다.

1999년에 한진중공업에서 제작하여 816 - 822편성이 도입되었다. 세계에서 두 번째 사례인 도시바제 IGBT-VVVF 2레벨 3상 전압형 PWM 인버터(SVF035-A0형)를 탑재하고 있다. 외관 변경점은 외판 비트가 생략되었고, 전면에서는 행선 표시 LED가 대형화되었으며 창틀이 검은색으로 도색되었다. 측면 창문은 1매 창으로 변경되었고, 개폐는 불가능하다.

도입 당시엔 총 7개 편성으로 821~822편성도 존재했으나 철산역 방화사건으로 인해 752편성의 3량이 전소됨에 따라 822편성의 8122호, 8222호, 8722호가 752편성의 7152, 7252, 7352호로 편입되었다. 그리고 7호선의 열차 부족으로 인하여 821편성 전량과 822편성의 8422호(→7563호), 8622호(→7363호)(M'→M)를 재조합하여 763편성으로 만들어서 이적하였다. 그리고 남은 8022호는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의 목업으로 사용됐고 현재는 불에 탄 7152호와 조합하여 도봉차량사업소에서 안전체험열차로 사용되고 있다. 822편성은 2005년 1월 3일 방화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7000호대 752편성의 대체 차량으로 3량을 차출했기 때문에 운행 중지되었으며, 이후 2010년에 운행이 중지된 821편성과 합쳐져 7000호대 763편성으로 7호선에 전속되었다.

4. 3. 3차 도입분 (2023년 6월~2024년 1월)

모란차량사업소 소속 821~829편성(총 9개 편성)은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으며, 제어방식은 VVVF-IGBT(도시바 PMSM)이다.[1][2][3] 2024년 8월 10일8호선 별내~암사 구간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기술적 사양은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5차분,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4차분,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5차분,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 4차분과 동일하지만, 전두부에도 도색이 추가되었다. 일본 도시바PMSM을 사용하여 게이힌 급행 전철 1000형 전동차, 큐슈여객철도 305계 전동차와 비슷한 구동음을 낸다.

MT비 3M3T의 6량 편성으로, 같은 시기에 제조된 7000호대와 량수를 제외하고 동일하다. 우진산전제 운전 관리 제어 시스템 "TGIS"를 탑재하여 ATO를 사용한 원맨 운전 시 운전사를 지원한다.

방화 사건으로 피해를 입어 7호선으로 전속된 821, 822편성의 대체 차량과 2024년 8월 별내 연장 시 증비차량으로 821~829편성이 도입되었다. 5000호대 4차분 및 7000호대 4차분과 마찬가지로 우진산전에서 제작되었으며, 주전동기에는 도시바의 전폐자냉식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를 채용했다.[4] 2021년 6월부터 부산 국제 철도 산업전에 모형이 전시되었으며, 2023년 6월 30일에 821편성이 우진산전을 출고, 2023년 9월부터 본선・별내선에서 시운전을 시작했다. 2024년 5월 25일부터 824, 825편성이 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별내선 개통 후의 운행 계획을 수립한 상태로 영업 시운전이 개시되었다.

외관은 5000호대 4차분 및 7000호대 4차분을 기반으로 하여 전면 형상 및 도색 등이 유사하지만, 전면까지 띠가 도색되었고, 승하차용 출입문 창문 형상 및 도어 엔진은 2000호대 3차분 등에 준한 타입으로 변경되었다. 차내 손잡이는 1, 2차분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3차분 도입에 따라 모란 차량사업소의 수용 능력이 증가되었다.

4. 4. 4차 도입분 (2025년~2026년 예정)

모란차량사업소 소속 801~815편성(총 15개 편성)은 다원시스에서 제작할 예정이다. 제어 방식은 VVVF-IGBT(도시바 PMSM)이다.[1]

1995년 12월~1996년 6월에 도입된 1차분 노후 차량(801~815편성) 교체용으로 제작될 차량이다. 추진제어장치는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5차분(526~576편성) 차량과 동일하게 일본 도시바의 PMSM이 장착될 예정이며,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중 도봉산옥정선, 청라 연장분 개통에도 사용될 예정이다.[1]

1차 차량의 노후화에 따라, 2025년부터 2026년에 걸쳐 801~815편성 전 차량을 교체할 예정이다. 5호선 교체용 신차와 동일한 설계로 도입될 예정이며, 제조는 다원시스가 담당한다. 3차 차량과의 주행 장치 호환을 위해 PMSM이 채용될 예정이다.[1]

4. 5. 5차 도입분 (2027년 예정)

1999년 2월~4월에 도입된 2차분 노후 차량(816~820편성) 교체용으로, 2027년부터 2028년까지 816 - 820 편성 전체를 교체할 예정이다.[1] 3~4, 6~7호선 혼잡도 완화 증차분 38량 및 순수 증차분 100량과 함께 1, 3~4, 6~8호선 총 328량 통합발주하기로 결정되었다.[1]

소속편성제작사제어방식도입 목적
모란차량사업소816~820편성 (총 5개 편성)미정VVVF-IGBT(미정)1999년 2차 도입분 노후 차량(816~820편성) 교체[1]


5. 배속

801~829편성은 모란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다.[1]

5. 1. 현재 운행구간

별내~모란

6. 현황



1차분(801~815편성)은 2026~2027년까지, 2차분(816~820편성)은 2028년에 운행 중단 및 폐차될 예정이다.[1]

6. 1. 1~2차분

1차분(801~815편성)은 2026~2027년까지, 2차분(816~820편성)은 2028년에 운행 중단 및 폐차될 예정이다.[1] 1차분(C801~C808편성)은 늦어도 2026년 12월 31일부터 운행 중지 및 폐차될 예정이고, 1차분(C809~C815편성)은 늦어도 2027년 3월 15일까지 운행 중단 및 폐차될 예정이다.[1] 2차분(C816~C820편성)은 2028년 2월 말부터 운행 중단 후 전량 폐차될 예정이다.[1] C816편성은 이르면 2028년 1월 29일부터 운행이 중단될 예정이다.[1]

차호도입 시기비고
구 801 편성1995년
구 802 편성1996년자전거 전용칸 설치
구 803 편성
구 804 편성자전거 전용칸 설치
구 805 편성
구 806 편성
구 807 편성
구 808 편성
구 809 편성
구 810 편성
구 811 편성8112호에 선로검측장치
구 812 편성8112호에 선로검측장치
구 813 편성8113호에 선로검측장치
구 814 편성
구 815 편성자전거 전용칸 설치
816 편성1999년
817 편성
818 편성
819 편성
820 편성


7. 특이 사항

8000호대 전동차는 다음과 같은 특이 사항이 있다.

7. 1. 1차 도입분의 반입 루트

수도권 전철 8호선 1차 도입분 중 가장 처음으로 반입된 3개 편성(801~803편성)은 수도권 전철 5호선 1차 도입분 27개 편성의 도입 과정과 마찬가지로 수서역 종단부에 설치된 수직 반출구(현재 철거)를 통하여 대형크레인으로 전동차를 수직 인양한 후 중대로상에 임시 설치되어 지하로 이어진 선로를 통해 반입되었다.[1] 나머지 12개 편성(804~815편성)은 서울역, 신설동역, 까치산역 인근의 연결선 및 방이역가락시장역을 잇는 연결선을 통하여 도입이 이루어졌다.[1]

7. 2. 7호선 방화 사건에 따른 차량 이적

2005년 1월 3일에 발생한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으로 752편성 8량 중 3량이 전소되었다.[1] 전소된 3량 중 Tc 차량은 천왕차량기지 열차 운행 체험·교육실로 활용되었고, 2량은 도봉차량기지에 보존되었다.[1] 752편성의 나머지 5량은 822편성에서 차출된 3량과 재편성되어 운행을 재개했다.[1] 822편성의 남은 차량 중 부수차량 2량과 821편성 6량은 2010년 763편성으로 재편성되어 7호선에 투입되었으며, 822편성에 남은 8022호는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모형 차량으로 활용되기도 했다.[1]

7. 3. 측면 안내 표시기 작동 중단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모든 측면 행선 안내 표시기가 소등되었고,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부착되었다.

7. 4. 자전거 전용칸 개조

2009년 8호선 1~2차분 802, 804~805, 815~816편성은 열차 양끝 칸 맨 앞에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었다.

참조

[1] 문서
[2] Youtube [철도풍경] 미래에서 왔습니다.. 2023년 서울지하철 8호선은 이런 모습입니다. (선공개) https://www.youtube.[...] 2022-04-12
[3] Youtube 잠실역 서울교통공사8호선 시운전 pmsm 차량 정차와 발차 https://www.youtube.[...] 2023-09-12
[4] 웹사이트 별내선 시운전 시작 (별내 연장분) https://blog.naver.c[...] 2023-09-12
[5] 문서
[6] 문서
[7] 뉴스 전철8호선 미개통구간 시운전 http://newslibrary.n[...] 1999-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