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우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우진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만주 신징 대학교와 중화민국 중앙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광복군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광복 후에는 주한 미군정 부통령 비서실장, 김구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제1공화국 수립 전까지 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이후 김구의 비서로 활동하며 백범김구기념관 건립 및 운영에 참여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2009년에 사망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춘 대학 동문 - 최규하
최규하는 외무부 장관과 국무총리를 거쳐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이 되었으나, 12·12 군사 반란 등으로 신군부에 권력을 내주고 하야하였으며 재임 기간 실권이 거의 없었다. - 창춘 대학 동문 - 김준태 (정치인)
김준태는 대구공립상업학교와 만주국립 대동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대, 제5대, 제6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무소속과 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하다 민주공화당에서 당무위원 등을 지냈다는 긍정적 평가와 권위주의 정권 협력에 대한 비판이 공존한다. - 중화민국 육군군관학교 동문 - 김인 (독립운동가)
안동 김씨 가문 출신 독립운동가 김인은 상하이에서 대한제국 애국 관련 교육을 받고 대한독립군 감독관으로 활동하다 중국 청두에서 사망,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으며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했다. - 중화민국 육군군관학교 동문 - 지달수
지달수는 아버지 지청천을 따라 만주에서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하고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광복 후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 관련 단체에서 활약한 인물이다. - 태원 선우씨 - 선우종원
선우종원은 일제강점기 평양고보와 경성제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사, 국무총리 비서실장, 한국조폐공사 사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국회사무총장, 평화통일자문회의 부의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행정가이다. - 태원 선우씨 - 선우중호
대한민국의 토목공학자이자 교육자인 선우중호는 서울대학교, 명지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총장 재임 시절 총장 직선제 폐지 강행과 평화의 댐 건설 관련 논란이 있었다.
선우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선우진 |
한자 표기 | 鮮于鎭 |
출생일 | 1922년 1월 8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정주시 |
사망일 | 2009년 5월 17일 (향년 87세) |
사망 장소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울보훈병원 |
종교 | 개신교 (강서성결회) |
경력 | |
소속 정당 | 한국독립당 |
소속 정당 | 신민주공화당 |
소속 정당 | 자유민주연합 |
직책 | 미군정청 비상국민회의 부총재 비서실장 |
임기 시작 | 1946년 2월 1일 |
임기 종료 | 1948년 8월 15일 |
민정 장관 | 안재홍, 미군정청 민정장관 |
총재 | 이승만, 비상국민회의 총재 |
부총재 | 김구, 비상국민회의 부총재 |
비서실 차장 | 안미생, 비상국민회의 부총재 비서실 차장 |
기타 경력 | 한국광복군 정훈처 정훈장교 |
기타 경력 |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
기타 경력 | 신민주공화당 당무위원 겸 국방외교안보행정특임고문 |
기타 경력 | 자유민주연합 당무위원 겸 국방외교안보행정특임고문 |
기타 경력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상무이사 |
기타 경력 | 백범기념관 상무이사 |
군사 경력 | |
소속 | 한국광복군 |
계급 | 중위 |
학력 | |
학력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1956년)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권정례(權貞禮) |
서훈 | |
서훈 | 1977년 대한민국 건국포장 수여 |
서훈 |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수여 |
2. 생애
2. 1. 생애 초기 및 교육
선우진은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태어났다.[3] 1940년 만주 신징 대학교(현 창춘 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3] 1942년 중화민국 중앙육군군관학교를 졸업했다.[3] 졸업후 광복군 제3지대 제6분처가 있는 중국 안후이성 푸양에서 광복군에 입대, 적지구 선전공작 등 활동을 하였다. 1944년 8월 중화민국 육군군관학교 제10분교 간부훈련반 부설 한국 광복군 간부훈련반에 입교, 3개월간 군사교육 훈련과정을 수료하고 광복군 부위(副尉)로서 총사령부 정훈처(政訓處)에 소속되어 선전 및 시사방송을 충칭에 있는 중앙방송국을 통하여 주2회씩 3개월 동안 방송하였다. 1956년 국방대학교에서 행정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20대 초반에 김구와 함께 한국 독립당을 결성하고 한국 광복군에서 자원 봉사했다.[3]
뒷줄 오른쪽 첫 번째가 선우진, 앞줄 가운데는 김구, 앞줄 왼쪽은 피치 박사 부부, 앞줄 오른쪽은 조완구, 프란체스카 도너 순, 뒷줄 왼쪽 첫 번째는 엄항섭, 세 번째는 이기붕, 네 번째는 안우생, 가운데는 안미생, 네 번째는 서영해
2. 2. 중국에서의 독립운동
1940년 만주 신징 대학교를 나온 이후 광복군 제3지대 제6분처가 있는 중국 안후이성 푸양에서 광복군에 입대하여 적지구 선전공작 등 활동을 하였다.[2] 가족을 뒤로한 채, 선우진은 한국 독립을 위해 싸우기 위해 많은 젊은 한국 활동가들과 함께 중국으로 갔다. 한국의 많은 독립 운동은 일본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중국을 보호국으로 삼았다. 당시 중국은 주변국과의 수많은 수년간의 정치적 갈등과 전쟁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쇠퇴한 국가였기 때문에 이동을 도울 차량이 부족했고, 선우진과 그의 동료들은 중국 상하이까지 9,656km 이상을 걸어야 했다.[2]1944년 8월, 김구의 중국에서의 독립운동을 도우며 한국 광복군에 입대했다. 그는 중앙 군사 학교 10분교 간부훈련대에 배속된 한국 광복군 간부훈련대에 입교하여 3개월간 군사 교육 및 훈련을 받았다.[3] 이후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선전교육부(TI&E)에 배속되어 소위로 임관, 선전 활동을 펼쳤으며, 충칭에 있는 중앙방송국을 통하여 주2회씩 3개월 동안 한국 독립 운동과 관련된 방송을 하였다.[3]

2. 3. 광복 이후 활동
1945년 일본 제국의 항복으로 한국의 광복을 목격한 후, 선우진은 남한으로 귀국을 시도했다. 진행 중인 국공 내전으로 인해 선우진과 김구의 남한 귀국을 방해하는 문제들이 있었다. 중국 국민당 정부는 선우진과 김구의 귀국을 돕기로 했지만, 국공 내전으로 인한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그렇게 할 수 없었다. 결국, 미국은 1948년 평양에서 열린 남북 연석회의에 맞춰 김구와 선우진이 남한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도왔다. 이후 그는 주한 미군정의 부통령 비서실장, 김구의 비서실장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제1공화국 수립 전까지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선우진은 1977년에 건국훈장을 받았고,[4]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5]2. 3. 1. 이승만 정부와의 갈등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절 이승만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이승만 정부는 북한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많은 한국 시민들에게 미움을 받았다. 제1공화국은 국가 내에서 제한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며 권위주의적인 독재와 같은 방식으로 통치되었다.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 그의 통치에 대한 반혁명을 두려워하여 많은 한국 활동가와 독립운동가들이 표적이 되었다. 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정권 때문에 개혁과 정부 변화를 요구하는 많은 시위와 항쟁이 한국에서 발생했다.[6] 이로 인해 김구, 그리고 다른 많은 활동가들이 폭동을 선동했다는 의혹으로 군과 경찰에 의해 박해받고 추적당했다. 김구 암살 이후, 선우진은 김구의 매우 신뢰받는 측근이었기 때문에, 이승만에 대한 시위가 있을 때마다 경찰은 선우진이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믿었고,[7] 이승만에 대항하는 선동 혐의로 체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집 다락방에 숨어 지내야 했다.[9]3. 만년 및 사망
정치계를 떠난 후에도 김구의 비서로 계속 일하며 그의 업무와 삶을 관리하고 정리하는 것을 도왔다.[8][1] 1949년 김구가 사망할 때까지 그의 곁을 지켰으며, 사후에는 백범김구기념관 건립 및 운영에 참여했다.[8][1]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상무이사와 백범김구기념관 상무이사를 역임했다.[1]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1]
2009년 5월 17일 정오에 노환으로 사망했으며, 5월 20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8][1]
4. 가족 관계
선우진은 부인 권정례와 슬하에 6명의 자녀(3남 3녀, 쌍둥이 딸 포함)를 두었다.[9] 그의 쌍둥이 딸은 한국 전쟁 발발 3일 전인 1950년 6월 22일 서울에서 태어났다.[9] 갓 태어난 쌍둥이 딸들이 잠들었을 때, 폭탄이 집 근처에 떨어져 파편이 날아와 딸의 얼굴에 작은 흉터를 남겼다.[9] 계속되는 갈등과 북쪽으로부터의 침략군 위협 때문에, 선우진의 가족은 부산으로 피난을 가야 했다.[9] 혼란과 차량 접근 불가능, 적의 폭격 위협 때문에 가족과 함께 부산까지 걸어가야 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Baekbeom's closest aide, patriot Seon Woo-jin, dies
https://news.kbs.co.[...]
KBS Broadcasting
[2]
웹사이트
Independence Movement
https://www.korea.ne[...]
2023-04-10
[3]
웹사이트
백범비서 애국지사 선우진 선생 별세
https://www.yna.co.k[...]
김귀근
2009-05-18
[4]
웹사이트
Korean Independence Meritorious Achievement 1 - Jin Seonwoo
http://narasarang.mp[...]
[5]
웹사이트
Korean Independence Meritorious Achievement 2 - Sunwoo Jin
http://www.mpva.go.k[...]
[6]
웹사이트
"#4 - 4.19 The April Revolution"
https://www.monash.e[...]
2023-04-10
[7]
웹사이트
"[손주에게 들려주는 광복이야기]'백범 비서' 선우진씨"
https://www.chosun.c[...]
2020-08-12
[8]
웹사이트
List of mortuary tablets for the deceased at Daejeon National Cemetery - Reserve Lieutenant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https://www.snmb.mil[...]
[9]
문서
Sunwoo Jin Family Interview
2021-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