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전현충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대전현충원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에 위치한 국립묘지이다. 1970년대 서울현충원의 포화 상태로 인해 1976년 부지가 선정되었고, 1979년 공사를 시작하여 1982년 첫 안장이 이루어졌다. 1985년 정식 개원하였으며, 1996년 국립대전현충원으로 개편되었다. 국립대전현충원에는 대통령, 독립유공자, 군인, 경찰관, 소방공무원, 의사상자 등 국가 또는 사회에 공헌한 인물들의 유해를 안장한다. 주요 안장 인물로는 최규하 전 대통령, 손기정, 윤석중, 김구의 가족, 천안함 장병, 황장엽 등이 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 안장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인묘지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묘지로, 한국전쟁 전사자, 순국선열, 애국지사, 국가유공자 등이 안장되어 있으며,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역사적 장소이다. - 군인묘지 - 충렬사
- 한국 전쟁 기념비와 묘지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묘지로, 한국전쟁 전사자, 순국선열, 애국지사, 국가유공자 등이 안장되어 있으며,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역사적 장소이다. - 한국 전쟁 기념비와 묘지 -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는 한국전쟁 설마리 전투에서 전사한 영국군 글로스터셔 연대와 왕립 포병대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파주에 건립된 기념비로, 기념 공원 확장과 '글로스터 영웅교' 출렁다리를 통해 한국과 영국의 우호 관계를 상징한다. - 대한민국의 국립묘지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묘지로, 한국전쟁 전사자, 순국선열, 애국지사, 국가유공자 등이 안장되어 있으며,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역사적 장소이다. - 대한민국의 국립묘지 - 국립5·18민주묘지
국립5·18민주묘지는 1980년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국립묘지로, 기념관, 기념탑 등 다양한 시설이 있으며 매년 추모 행사가 열리고, 구묘역은 민주주의 성지로 여겨진다.
국립대전현충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전 국립현충원 |
한자 | 國立大田顯忠院 |
로마자 표기 | Gungnip Daejeon Hyeonchungwon |
개정 로마자 표기 | Gungnip Daejeon Hyeonchungwon |
설립일 | 1976년 |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 |
묘소 수 | 110,000+ |
웹사이트 | 국립대전현충원 공식 웹사이트 |
조직 정보 | |
기관장 | 권율정 |
기관장 직책 | 원장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직원 수 | 65명 |
이미지 정보 | |
![]() | |
![]() | |
기타 정보 | |
관련 웹사이트 | 대전 국립현충원 (한국관광공사) |
2. 설립
국립서울현충원은 1955년에 설치되어 일제강점기 애국지사와 한국 전쟁 전사자가 안장되었으나, 20여 년 만에 안장 능력이 한계에 달하게 되었다. 이에 1974년 12월 16일, 박정희 대통령은 새로운 국립묘지 부지 조성을 위한 조사를 시작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976년 4월 14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읍 갑동리(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가 새 국립묘지 부지로 선정되었고, 1979년 4월 1일에 착공하였다. 묘지는 3300150m2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현충탑, 현충문, 애국정신전시관, 야외전시공간, 분수대, 동상, 조각품, 정자, 한반도 모양의 인공 연못인 현충지 등의 시설이 있다.[2] 묘지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
2. 1. 연혁
국립서울현충원이 1955년 설치된 후 일제강점기 애국지사와 한국 전쟁 전사자가 안장되었으나, 20여 년 만에 안장 능력이 한계에 도달했다. 이에 국군은 1974년 12월 16일 중부 지역에 새로운 국군묘지 창설을 결정하고, 1975년 2월부터 10월까지 제2국립묘지 후보지를 답사했다. 1976년 4월 14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읍 갑동리(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가 대전국립묘지로 결정되어 1979년 4월 1일에 착공되었으며, 같은 해 8월 29일 국립묘지관리소 대전분소가 설치되면서 대전에 국립묘지가 설치되었다.[8]1970년대 초 서울현충원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1974년 12월 16일 당시 대통령 박정희는 새로운 국립묘지 부지 조성을 위한 조사를 시작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976년 4월 14일 대전 부지가 선정되었고, 1979년 4월 1일 묘지 조성 공사가 시작되어 1982년 8월 27일 첫 안장이 이루어졌다. 묘지는 1985년 11월 13일 공식 개원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74년 12월 16일 | 국군에서 중부지역에 새로운 국립묘지 창설 결의 |
1976년 4월 14일 | 새로운 국립묘지 위치를 충청남도 대덕군으로 결정(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
1979년 4월 1일 | 대전국립묘지 착공 |
1979년 8월 29일 | 국립묘지관리소 소속으로 대전분소 설치[8] |
1982년 8월 27일 | 부사관과 병 최초 안장 |
1985년 11월 13일 | 대전국립묘지 완공 |
1991년 3월 28일 | 국방부 소속 국립묘지대전관리소로 승격[9] |
1996년 6월 1일 | 국립대전현충원으로 개편[10] |
2006년 1월 30일 | 국가보훈처 소속으로 변경[11], 소방공무원과 의사상자도 안장 가능 |
2023년 6월 5일 | 국가보훈부 소속으로 변경[12] |
3. 안장 대상
국립대전현충원에는 다음의 사항에 따른 사람의 유골이나 시신을 안장한다.[13]
4. 안장 현황
대전현충원에는 독립운동가, 국가유공자, 군인, 경찰, 소방관 등 다양한 인물들이 안장되어 있다.
나운규, 손기정, 윤석중 등이 이곳에 안장되었으며,[14] 김구 선생의 모친 곽낙원 여사와 아들 김인도 안장되어 있다.[14]
천안함 피격 사건 전사자, 제2연평해전 전사자, 한국 전쟁 중 전사한 철도원 등도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14][15]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16]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의 주역인 홍범도 장군도 이곳에 안장되었다.[3]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반민족행위자 63명이 서울현충원과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는 사실은 논란거리다.[17] 대전현충원에는 만주국군과 간도특설대 출신 김석범, 백홍석, 송석하, 신현준 등이 안장되어 있어 비판받고 있다.[18]
4. 1. 주요 안장 인물
이름 | 설명 |
---|---|
최규하 |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2006년 10월 22일 서거 후 국민장을 거쳐 안장.[3] |
홍기 여사 | 최규하 전 대통령의 부인. 2004년 7월 20일 서거 후 최규하 대통령과 함께 안장.[3] |
나운규 | 한국 최초의 영화 아리랑의 감독. 제2묘역 257호에 안장.[14] |
손기정 |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국가유공자묘역 제10호에 안장.[14] |
윤석중 | 어린이 날 노래 등 많은 동요의 노랫말을 지음. 국가유공자 묘역 제12호에 안장.[14] |
곽낙원 | 김구의 어머니. 애국지사 771호에 안장.[14] |
김인 | 김구의 맏아들. 애국지사 772호에 안장.[14] |
천안함 피격 사건 전사자 |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전사한 장병들은 사병 묘역 제3호에 안장.[14] |
제2연평해전 전사자 | 제2연평해전에서 북한 해군과 교전 중 전사한 장병들은 연평해전 전사자 묘역에 안장.[14] |
한국 전쟁 전사 철도원 | 한국 전쟁 중 군수품 및 피난민 수송 중 전사한 철도원 150명의 위패와 13명의 유해가 안장.[15] |
황장엽 | 1997년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최고위급 북한 정치인.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고 국가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16] |
홍범도 | 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의 주역 중 한 명. 카자흐스탄 키질로르다에서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3] |
이종욱 |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역임.[4] |
김일 | 프로레슬러로 활동.[4] |
노신영 | 1985년부터 1987년까지 대한민국 국무총리 역임.[5] |
백선엽 | 대한민국 군 역사상 최초의 4성 장군.[5] |
연평도 포격 전사자 | 연평도 포격으로 전사한 하사 서정우와 일병 문광욱이 안장. |
친일반민족행위자 안장 문제국가보훈부 자료에 따르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파 중 63명(서울 37명, 대전 26명)이 서울현충원과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17] 대전현충원에는 만주국군 상위 및 간도특설대 출신 김석범(장군1-071), 일본군 중좌 백홍석(장군1-176), 만주국군 상위 송석하(장군1-093), 만주국군 상위 및 간도특설대 신현준(장군1-273) 등이 안장되어 있다.[18] 이 외에도 만주 간도특설대 준위 출신 김대식, 일본군 헌병 오장 김창룡, 일본군 대위 출신 유재흥, 이형근 등도 안장되어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18]
4. 2. 친일반민족행위자 안장 논란
국가보훈부의 ‘친일반민족행위자 국립묘지 안장자 현황’에 따르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파 가운데 63명(서울 37명·대전 26명)이 서울현충원과 대전현충원에 묻혀 있다.[17]대전현충원에 안장돼 있는 친일반민족행위자는 만주국군 상위·간도특설대 출신 김석범(장군1-071), 일본군 중좌 백홍석(장군1-176), 만주국군 상위 송석하(장군1-093), 만주국군 상위·간도특설대 신현준(장군1-273)이 있다. 또 만주 간도특설대 준위 출신의 김대식, 일본군 헌병 오장 김창룡, 일본군 대위 출신의 유재흥, 이형근 등도 안장돼 있다.[18]
5. 시설
묘역은 3300150m2의 면적에 현충탑, 현충문, 애국정신전시관, 야외전시공간, 분수대, 동상, 조각품, 정자, 한반도 모양의 인공 연못인 현충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2]
6. 조직
6. 1. 원장
국립대전현충원에는 관리과와 현충과가 있다.[19]7. 직무
직무 내용 |
---|
국가 또는 사회에 희생·공헌한 분들의 충의와 위훈 정신 선양 |
의전·의식·행사에 관한 사항 |
유골·시체 또는 영현의 봉수·봉송·안장 및 이장 |
묘적부의 기록·유지 |
기념관·유물관 등 시설물의 유지·관리 및 관련 자료의 보관·관리 |
그 밖에 해당 국립묘지의 효율적인 관리·운영에 관한 사항과 처장의 지시사항 |
참조
[1]
웹사이트
Daejeon National Cemetery (국립대전현충원)
https://web.archiv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4-09-28
[2]
웹사이트
Daejeon National Cemetery
http://www.dnc.go.kr[...]
Daejeon National Cemetery
2014-09-28
[3]
웹사이트
Remains of Korean independence fighter Hong Beom-do return from Kazakhstan
https://www.koreaher[...]
2023-07-10
[4]
웹사이트
Late S. Korean pro wrestler Kim Il to be buried in nat'l cemetery
https://en.yna.co.kr[...]
2020-05-21
[5]
간행물
孫世一의 비교 傳記 (58)
http://monthly.chosu[...]
2007-01-02
[6]
법률
국가보훈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별표4
[7]
법률
국가보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11조제1항
[8]
법률
대통령령 제9581호
[9]
법률
대통령령 제13335호
[10]
법률
대통령령 제15008호
[11]
법률
대통령령 제19289호
[12]
법률
대통령령 제33382호
[13]
법률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5조제1항제1호
[14]
간행물
이츠대전, 2011년 6월호 38쪽
[15]
간행물
코레일 6.25전쟁중 철도원 참전 현황
[16]
뉴스
현충원에 안장된 '주체사상의 대부' 황장엽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0-10-14
[17]
뉴스
가짜 독립유공자 국립현충원에 누워 있다
https://news.naver.c[...]
시사IN
2019-01-12
[18]
뉴스
"독립군 때려 잡던 일본군 장교가 현충원에? 죄다 파묘해야"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9-06-06
[19]
법률
서기관·기술서기관 또는 행정사무관으로 보한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장동혁, 채 상병 묘역 참배…“귀한 희생마저 정치적 이용 안타깝다”
'반탄 장동혁'에 말 아끼는 정청래…언론 질문에 "가겠다"
정청래, 국힘 장동혁 새 대표에 한마디? “…”
“소방공무원 예우 강화” 서울시 순직공무원 국립묘지 안장
민주, 대전 현장 최고위 개최…정청래, 국립현충원 참배
광복 직후 순직한 소방관...AI로 재현한 마지막 출동 모습
문양목 지사 순국 85년 만에 유해 봉환식
한국 첫 순직 소방관, 80년 전 마지막 출동 순간 AI로 복원
AI로 되살아난 한국 첫 순직소방관…김영만의 마지막 출동
채상병 2주기 곳곳서 추모…“지휘관들 책임 똑바로 물어야”
채 상병 특검법 반대했던 국힘 “엄격한 수사로 책임 물어야”
채상병 순직 2주기 추모식…유족·친구들 "너무 보고 싶다"
그날에 갇힌 유족…채상병 순직 2주기, 책임자 없는 비극
김건희 여사 연루 ‘임성근 구명로비 의혹’ 채 상병 특검팀이 먼저 수사
[바로이뉴스] 이명현 특검 "채 상병 죽음 헛되지 않도록 진실 규명"
본격 수사 하루 앞두고 채상병 묘소 참배한 ‘순직해병 특검’ [현장 화보]
‘채상병 묘역’ 참배한 이명현 특검팀…“안타까운 죽음 헛되지 않도록”
'채상병 특검' 현판식날 곧장 임성근 부른다…수사 속도 | JTBC 뉴스
김건희 특검 내일 수사 개시…16개 의혹 정조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