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의왕후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의왕후는 조선 경종의 왕비로, 1705년에 태어나 1730년에 사망했다. 그녀는 영돈녕부사 어유구의 딸로, 노론 가문의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1718년 왕세자빈으로 간택되어 경종과 혼인했으며, 경종 즉위 후 왕비가 되었다. 경종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노론과 소론의 권력 다툼이 심화되는 가운데, 영조 즉위 후 왕대비가 되었으나, 영조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 1730년 경희궁에서 사망했으며, 사도세자의 처소가 된 창경궁 저승전에서 거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종 어씨 - 어청수
    어청수는 제14대 경찰청장을 역임했으며, 서울지방경찰청장과 경기지방경찰청장을 거쳐 경찰청장으로 취임하여 집회시위 관리, 아동 안전 지킴이 집 개소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촛불집회 관련 논란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 함종 어씨 - 어기구
    어기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충남 당진시에서 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순천향대학교 총학생회장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거쳐 국회에서 다양한 상임위원회 활동을 수행하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를 역임했다.
  • 조선의 왕대비 - 정현왕후
    정현왕후는 조선 성종의 계비로서 중종의 어머니이며, 1462년에 태어나 1480년 왕비가 되었고, 연산군 즉위 후에는 왕대비, 중종반정 이후에는 자순화혜왕대비로 불리다가 1530년에 사망하여 선정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의 왕대비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로서, 정치적 숙청과 불교 중흥 정책을 펼치며 조선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인종의 죽음 관련 의혹이 있으며, 그녀의 능은 태릉이다.
  • 1730년 사망 - 제2대 빌레루아 공작 프랑수아 드 뇌빌
    루이 14세의 측근이자 프랑스 원수였던 제2대 빌레루아 공작 프랑수아 드 뇌빌은 궁정에서는 성공했으나 군사적 능력 논란과 패배로 사령관직에서 해임되었고, 정치적 갈등 후 복귀하여 생을 마감했으며, 군사적 평과 외교적 능력에 대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1730년 사망 - 조아킴 부베
    조아킴 부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 청나라에서 활동하며 강희제의 총애를 받은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치고 외교 사절 역할을 수행하며 동서양 문화 교류에 기여했고, 라이프니츠에게 이진법 연구에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례 논쟁에 참여하고 『강희제전』을 저술했다.
선의왕후 (조선)
기본 정보
-
-
휘호효인혜목(孝仁惠睦)
시호선의(宣懿)
존호경순(敬純)
전호경휘전(敬徽殿)
신분
생애
출생일1705년 12월 3일
출생지조선 한성부 숭교방 사저
사망일1730년 8월 1일
사망지경희궁 어조당(魚藻堂)
능묘의릉(懿陵)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가족 관계
배우자경종
자녀없음
아버지함원부원군 어유구
어머니완릉부부인 전주 이씨
가문함종 어씨
재위 기간
왕세자빈1718년 9월 13일 ~ 1720년 6월 12일 (음력)
왕비1720년 6월 15일 ~ 1724년 8월 25일 (음력)
왕대비1724년 8월 30일 ~ 1730년 6월 29일 (음력)
기타
별칭경순왕대비(敬純王大妃)

2. 생애

선의왕후는 1705년 12월 14일(음력 10월 29일)에 태어났다. 영돈녕부사 함원부원군으로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어유구(魚有龜)의 딸로서 어유구는 노론 영수 김창집의 제자이며 일가가 모두 노론계이다.[2] 어머니는 전주 이씨로, 중종의 서자 영양군 함의 5대손이다. 1718년 14세(만 12세)의 나이로 세자빈에 간택 되어 왕세자(경종)와 가례를 올렸고, 1720년 숙종이 서거하고 경종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3]

경종은 건강이 좋지 않아 후사를 낳을 수 없었다. 재위 기간 동안 노론과 소론이 권력 다툼을 벌였다. 소론은 경종을 지지했고, 노론은 그의 이복 동생인 연잉군(영조)을 지지했다. 노론과 그의 계모인 인원왕후는 경종에게 연잉군을 세자로 책봉하도록 압박했다.[4]

1724년 경종이 서거하고 영조가 즉위하면서 왕대비가 되었다. 영조 즉위후 역적 이인좌와 결탁하여 소론과 함께 밀풍군 이탄(인조의 첫째 아들 소현세자의 자손)을 양자로 들여 영조를 몰아내려 했지만, 영조가 이끄는 노론은 경종을 독살했고,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영조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1730년 경희궁 어조당에서 세상을 떠났는데, 영조 암살 미수 혐의가 불거지자 식사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향년 24세. 능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에 있는 경종의 능인 의릉에 매장되었다. 그녀가 거처하던 창경궁 저승전은 후에 세자궁으로 개조 되어 사도세자의 처소가 되었으며, 저승전 건너편에 위치했던 취선당[5]은 세자궁의 소주방으로 개조되었는데, 혜경궁 홍씨는 사도세자가 정신 질환을 앓게 된 근본적인 원인이 불길한 저승전에서 자라고 취선당에서 지은 밥을 먹은 탓이라는 설을 남겼다.[6]

2. 1. 초기 생애 및 가계

선의왕후는 1705년 12월 14일(음력 10월 29일)에 태어났다. 영돈녕부사 함원부원군으로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어유구(魚有龜)의 딸로서 어유구는 노론 영수 김창집의 제자이며 일가가 모두 노론계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영장 이하번의 딸이다. 큰아버지 어유봉(魚有鳳)은 노론 김창협의 문인인데, 김창협은 김창집과 형제간이고, 이 둘은 어유봉의 처사촌이 된다. 큰아버지 어유봉의 사위가 홍상한(洪象漢)인데, 홍상한은 사도세자의 장인 홍봉한의 큰아버지 홍석보(洪錫輔)의 아들이다. 그녀의 4촌은 정조수빈 박씨의 딸인 숙선옹주의 남편인 홍현주의 증조부모가 된다.

어머니 전주이씨는 중종의 서자 영양군 함의 5대손으로, 증조부는 영양군의 양자 흥녕군 수전의 장남 풍해군 잠이고, 할아버지는 능산군 희이다. 그러나 영양군에게는 친아들이 없었으며, 사촌 형인 부안군(성종의 서자 무산군의 아들)의 아들 흥녕군을 양자로 삼았다. 그 때문에 실제로는 성종의 7세손이다.

1718년 14세(만 12세)의 나이로 세자빈에 간택 되어 같은 해에 왕세자(경종)와 가례를 올렸고 다음 해인 1719년 9월에 관례를 올렸다. 1720년 숙종이 서거하고 경종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 경종의 초비인 단의왕후 심씨의 왕비 추봉과 그녀의 왕비 책봉을 동시에 주청한 것이 청나라에 트집 잡혀 1721년에야 고명을 받을 수 있었다.

2. 2. 세자빈 간택과 왕비 책봉

선의왕후는 1705년 12월 14일(음력 10월 29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영돈녕부사 함원부원군 어유구이며, 어머니는 전주 이씨이다. 어유구는 노론 영수 김창집의 제자이며 일가가 모두 노론계이다. 1718년 14세(만 12세)의 나이로 왕세자(경종)와 가례를 올렸고, 1720년 숙종이 서거하고 경종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3]

경종 즉위 후 소론은 경종 부부에게 붙었고, 노론은 경종의 동생 영조를 지지하여 이로 인해 형제의 사이를 점점 갈라놓았다. 노론은 권력 유지를 위해 영조를 왕세제(왕위 계승권이 있는 왕의 동생)로 책봉하려 했고, 왕은 이를 승낙했다.[4] 경종 1년, 경종 부부에게 후사가 없다는 이유로 하여 노론 4대신(이이명, 김창집, 이건명, 조태채)과 왕대비(인원왕후)의 강력한 추진으로 연잉군(영조)의 왕세제 책봉이 결정되었을 때 그녀의 나이는 갓 17세에 불과했다.[4]

일설에 따르면, 왕비는 연잉군을 반대하고 소현세자의 증손자인 밀풍군을 비밀리에 입양할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하지만 경종의 즉위 두 달 만에 연잉군이 세자(왕세제)로 책봉되었다.

2. 3. 노론과 소론의 갈등

선의왕후는 1705년 12월 14일(음력 10월 29일) 어유구의 딸로 태어났다. 어유구는 노론 영수 김창집의 제자이며 일가가 모두 노론계였다.[3] 1718년 14세(만 12세)의 나이로 왕세자(경종)빈에 간택 되어 가례를 올렸고, 1720년 경종 즉위후 왕비가 되었다.[3] 경종 1년, 경종 부부에게 후사가 없다는 이유로 노론 4대신(이이명, 김창집, 이건명, 조태채)과 왕대비(인원왕후)의 강력한 추진으로 연잉군(영조)의 왕세제 책봉이 결정되었다.[4]

경종 즉위 후 소론은 경종 부부에게 붙었고, 노론은 경종의 동생 영조를 지지하여 형제의 사이를 점점 갈라놓았다. 노론은 권력 유지를 위해 영조를 왕세제(왕위 계승권이 있는 왕의 동생)로 책봉하려 했고, 왕은 이를 승낙했지만, 영조에게 대리청정까지 맡기는 이야기가 나오자 소론 측은 노론이 경종을 살해하려 계획했다고 고발하여, 노론은 몰락했다(신임사화).

일설에 따르면 연잉군을 반대하여 종실과 비밀리에 연합하여 소현세자의 직손인 밀풍군 탄, 혹은 밀풍군의 아들인 관석을 입양하려 하였으나 경종의 반대 혹은 경종의 급서로 실패하였다고 한다.[4]

1724년 경종이 서거하고 영조가 즉위하면서 왕대비가 되었다. 영조 2년에는 대비전이 있는 창덕궁이 아닌 경종이 세자 시절 거처하던 창경궁 저승전에서 지냈으며, 1730년 8월 12일(음력 6월 29일) 경희궁 어조당에서 세상을 떠났다.[5][6]

2. 4. 경종 승하와 왕대비 시절

선의왕후는 1718년 14세(만 12세)의 나이로 왕세자(경종)와 가례를 올리고 세자빈으로 간택되었으며,[3], 1720년 숙종이 서거하고 경종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 경종의 초비인 단의왕후 심씨의 왕비 추봉과 선의왕후의 왕비 책봉을 동시에 청나라에 주청한 것이 트집 잡혀 1721년에야 고명을 받을 수 있었다.[4]

경종 1년, 경종 부부에게 후사가 없다는 이유로 노론 4대신(이이명, 김창집, 이건명, 조태채)과 왕대비(인원왕후)의 강력한 추진으로 연잉군(영조)의 왕세제 책봉이 결정되었을 때 선의왕후의 나이는 갓 17세에 불과했다.[4] 일설에 따르면 연잉군을 반대하여 종실과 비밀리에 소현세자의 직손인 밀풍군 탄, 혹은 밀풍군의 아들인 관석을 입양하려 하였으나 경종의 반대 혹은 경종의 급서로 실패하였다고 한다.

1724년 경종이 서거하고 영조가 즉위하면서 선의왕후는 20세의 나이로 왕대비가 되었다. 영조 2년에는 대비전이 있는 창덕궁이 아닌 경종이 세자 시절 거처하던 창경궁 저승전에서 지냈으며, 1730년 음력 6월 29일 경희궁 어조당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녀가 거처하던 저승전은 후에 세자궁으로 개조 되어 사도세자의 처소가 되었으며 저승전 건너편에 위치했던 취선당[5]은 세자궁의 소주방으로 개조되었는데, 혜경궁 홍씨는 사도세자가 정신 질환을 앓게 된 근본적인 원인이 불길한 저승전에서 자라고 취선당에서 지은 밥을 먹은 탓이라는 설을 남겼다.[6]

2. 5. 죽음

선의왕후는 1705년 12월 14일(음력 10월 29일)에 태어났다. 영돈녕부사 함원부원군으로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어유구의 딸로서 어유구는 노론 영수 김창집의 제자이며 일가가 모두 노론계이다.[2] 어머니는 전주 이씨로, 중종의 서자 영양군 함의 5대손이다. 1718년 14세(만 12세)의 나이로 세자빈에 간택 되어 왕세자(경종)와 가례를 올렸고, 1720년 숙종이 서거하고 경종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3]

경종은 건강이 좋지 않아 후사를 낳을 수 없었다. 재위 기간 동안 노론과 소론이 권력 다툼을 벌였다. 소론은 경종을 지지했고, 노론은 그의 이복 동생인 연잉군(영조)을 지지했다. 노론과 그의 계모인 인원왕후는 경종에게 연잉군을 세자로 책봉하도록 압박했다.[4]

1724년 경종이 서거하고 영조가 즉위하면서 왕대비가 되었다. 영조 즉위후 역적 이인좌와 결탁하여 소론과 함께 밀풍군 이탄(인조의 첫째 아들 소현세자의 자손)을 양자로 들여 영조를 몰아내려 했지만, 영조가 이끄는 노론은 경종을 독살했고,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영조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1730년 경희궁 어조당에서 세상을 떠났는데, 영조 암살 미수 혐의가 불거지자 식사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향년 24세. 능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에 있는 경종의 능인 의릉에 매장되었다. 그녀가 거처하던 창경궁 저승전은 후에 세자궁으로 개조 되어 사도세자의 처소가 되었으며, 저승전 건너편에 위치했던 취선당[5]은 세자궁의 소주방으로 개조되었는데, 혜경궁 홍씨는 사도세자가 정신 질환을 앓게 된 근본적인 원인이 불길한 저승전에서 자라고 취선당에서 지은 밥을 먹은 탓이라는 설을 남겼다.[6]

3. 가족 관계

함종 어씨 가문으로 본가는 다음과 같다.


  • 고조부 : 어한명(魚漢明, 1592∼1648)
  • 고조모 : 안동 권씨(1594-1670) - 권숙(權俶)의 딸
  • 증조부 : 어진익(魚震翼, 1625∼1684)
  • 증조모 : 원주 원씨(1625~1715) - 원빈(元玭)의 딸
  • 조부 : 어사형(魚史衡, 1647∼1723)
  • 조모 : 전주 유씨(1645~?) - 유거(柳椐)의 딸
  • 아버지 : 어유구(1675 ~ 1740)
  • 어머니 : 증 전성부부인 전의 이씨(1673~1692)
  • 친어머니 : 증 완릉부부인 전주 이씨
  • 어머니 : 상산부부인 김씨(?~1754)


전주 이씨 왕가는 다음과 같다.

  • 시조부 : 조선 현종(1641~1674, 재위 1660~1674)
  • 시조모 : 명성왕후 김씨(1642~1684)
  • 시아버지 : 숙종 (조선)(1661~1720, 재위 1674~1720)
  • 시어머니 : 인경왕후(1661~1680)
  • 시어머니 : 인현왕후(1667~ 1701)
  • 시어머니 : 인원왕후(1687~ 1757)
  • 생시어머니 : 희빈 장씨(1659~1701)
  • 남편 : 조선 경종(1688~1724, 재위 1720~1724)
  • 서시어머니 : 숙빈 최씨(1670~1718)
  • 시동생 : 영조(1694~1776, 재위 1724~1776)


분류:함종 어씨

분류:조선 숙종

분류:조선 경종

분류:조선 현종

분류:조선 영조

분류:1703년 태어남

분류:1757년 죽음

4. 기타

영조와 사이가 두드러지게 좋지 않았는데, 즉위 초부터 선의왕후는 남편의 뒤를 이어 즉위한 영조를 위한 예식과 절차를 거부하기 일쑤였고 영조는 왕대비인 선의왕후에게 올려지는 물품을 매번 삭감하여 국고나 백성에게 돌렸다.[9] 왕대비(선의왕후)에게 진연을 올리자는 홍치중의 주청이 있자 영조가 진노어린 비답을 내려 종실 전성군 이혼 등 종친부가 일제히 상소하여 진연 올리기를 청하기에 이르렀다.[9] 이에 영조는 "나의 성의가 부족한 것 때문에 (선의왕후의) 윤허를 받지 못했다"며 비난과 책임을 회피하였고, 이후 진연을 올리는 것이 정해지긴 하였지만 수차례 연기되었다.[9] 영조는 선의왕후의 국상 기간 중에 후궁 숙의 이씨를 빈으로 삼고 대대적인 혼인잔치를 열어 도성 안팎은 물론 노론 대신들까지 탄식을 쏟아낼 정도였다.[9]

선의왕후를 죽음으로 이끈 병명은 밝혀지진 않았으나 죽기 직전까지 몸을 떨며 통곡을 하고 읍성(눈물을 흘리며 우는 소리)을 냈다고 한다.[9] 이에 영조가 의관들에게 그러한 증후를 본 적이 있는지 묻자 중관이 헛소리를 하는 것이라 대답하였다.[9]

선의왕후의 백모(어유봉의 처)는 숙종의 후궁이자 희빈 장씨의 숙적이었던 영빈 김씨의 고모이다.[10][11] 경종의 초비였던 단의왕후 심씨 역시 영빈 김씨의 외가 친척이었다.[10][11] 영빈 김씨는 신임옥사 직후 경종 즉위년에 발생했었던 경종의 급성중독 사건의 진범으로 지목되어 경종4년에는 다름 아닌 자신의 외사촌동생인 이진유의 강력한 주장으로 참수될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으나 인원왕후의 절대적인 비호로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가[10] 영조의 등극 직후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11]

5.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개정판) 키네마 순보사 2012-03-01
[2] 서적 왕비들의 조선왕조
[3] 문서 조선시대의 성인식
[4] 문서 숙종의 국상 기간
[5] 문서 희빈 장씨의 처소
[6] 서적 한중록
[7] 문서 영조의 처소 암살 시도
[8] 서적 영조의 세 가지 거짓말
[9] 실록 조선왕조실록 영조 6년(1730 경술 / 청 옹정(雍正) 8년) 6월 28일(을축) 1번째 기사 1730-06-28
[10] 실록 조선왕조실록 경종 14권, 4년(1724 갑진 / 청 옹정(雍正) 2년) 4월 24일(정묘) 3번째 기사 1724-04-24
[11] 실록 조선왕조실록 영조 1권, 즉위년(1724 갑진 / 청 옹정(雍正) 2년) 9월 29일(기사) 2번째 기사 1724-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