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종 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종 어씨는 중국 풍익현에서 고려로 귀화한 어화인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평안남도 함종현을 본관으로 하며, 고려 명종 때 호장동정을 역임한 어화인의 후손들이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벼슬하며 명성을 떨쳤다. 특히 어변갑, 어효첨, 어세겸, 어세공 등은 조선 시대 주요 관직을 역임했고, 선의왕후가 경종의 왕비가 되면서 함종현이 함종부로 승격되기도 했다. 함종 어씨는 문정공파, 양숙공파 등 13개의 파로 나뉘며,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24명, 무과 급제자 13명, 생원시 합격자 23명, 진사시 합격자 38명, 음관 15명, 음양과 1명을 배출했다. 현대에는 류수영(어남선) 등의 인물이 있으며, 2015년에는 15,746명이 함종 어씨 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종 어씨 - 어청수
    어청수는 제14대 경찰청장을 역임했으며, 서울지방경찰청장과 경기지방경찰청장을 거쳐 경찰청장으로 취임하여 집회시위 관리, 아동 안전 지킴이 집 개소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촛불집회 관련 논란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 함종 어씨 - 어기구
    어기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충남 당진시에서 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순천향대학교 총학생회장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거쳐 국회에서 다양한 상임위원회 활동을 수행하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를 역임했다.
함종 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족 이름함종 어씨 (咸從魚氏)
관향평안남도 증산군
시조어화인(魚化仁)
중앙 종친회 웹사이트함종 어씨 중앙 종친회
인물 정보
주요 인물류수영
주요 인물어윤대
주요 인물어재연
주요 인물선의왕후
역사적 사실
창성 시기고려 시대
인구 통계
2015년 인구15,746명
기타 정보
집성촌서울특별시 강동구
집성촌경기도 김포시
집성촌강원도 고성군, 삼척시
집성촌충청북도 보은군
집성촌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집성촌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주요 인물어숙연
주요 인물어변갑
주요 인물어효첨
주요 인물어세겸
주요 인물어세공
주요 인물어득강
주요 인물어영준
주요 인물어계선
주요 인물어운해
주요 인물어몽룡
주요 인물어몽렴
주요 인물어영담
주요 인물어한명
주요 인물어진익
주요 인물어사형
주요 인물어사상
주요 인물어유봉
주요 인물어유구
주요 인물어유룡
주요 인물어유붕
주요 인물어석정
주요 인물어윤중
주요 인물어윤적
주요 인물어담
주요 인물어윤희
주요 인물어윤배
주요 인물어준선
주요 인물어윤태
주요 인물어청수
주요 인물어명소

2. 역사

함종 어씨(咸從 魚氏)의 시조 어화인(魚化仁)은 중국 풍익현(馮翊縣, 지금의 섬서성) 출신으로 남송 때 난을 피해 고려 명종 원년에 고려에 들어와 처음에는 강원도 강릉에 왔다가 뒤에 평안도 함종현(咸從縣)으로 거주지를 옮겼다. 어화인은 고려 명종 때 호장동정(戶長同正)을 역임하였다. 2세 어영기(魚永寄)부터 6세 검교군기감사공(檢校軍器監事公) 어석공(魚石公)까지 고려조에 벼슬하여 현족(顯族)으로 세거하였다.

7세손 어준량(魚遵亮)은 중랑장(中郞將)을 지냈다. 11세손 어변갑(魚變甲)은 1408년(조선 태종 8) 식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직제학에 올랐다. 어변갑의 아들 어효첨(魚孝瞻)은 대사헌·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중추부판사로 치사하였으며, 함종부원군(咸從府院君)에 봉해졌다. 어효첨의 아들 어세겸(魚世謙)은 연산군좌의정에 올랐고, 어세공(魚世恭)은 우참찬에 이르렀다.

영돈녕부사 어유구(魚有龜)의 딸 선의왕후(宣懿王后) 어씨(魚氏)가 조선 20대 왕 경종의 왕비가 되면서 함종현이 함종부(咸從府)로 승격되었다.

3. 본관

함종(咸從)은 평안남도 강서군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땅이었는데, 고려 때 아선성군(牙善城郡)을 설치하였고 1018년(현종 9) 함종현으로 개편하였다. 고려 후기에 원나라에 예속되었다가 충렬왕대에 다시 복구하고 함종현을 설치하여 조선시대에도 유지되었다. 조선 개국 후 1413년(태종 13) 현령(縣令)을 두었다. 1720년(경종 1) 선의왕후 어씨(魚氏)가 경종의 왕비가 되면서 함종부(咸從府)로 승격되었다. 1896년에 평안남도 함종군이 되었고, 1914년 강서군과 룡강군에 나누어 편입되어 평안남도 강서군 함종면으로 개편되었다. 북한의 행정구역으로는 평안남도 증산군 함종리에 해당한다.

4. 분파

함종 어씨는 13세손에서 어세겸(魚世謙)의 문정공파(文貞公派)와 어세공(魚世恭)의 양숙공파(襄肅公派) 등 13개 파로 분파되었다. 13개 파는 3세 장남 진명(振命)의 후예이고, 부정공파만 3세 차남 진승(振升)의 후예이다.

4. 1. 주요 분파

함종 어씨는 13세손에서 어세겸(魚世謙)의 문정공파(文貞公派)와 어세공(魚世恭)의 양숙공파(襄肅公派) 등 13개의 파로 분파되었다. 13개 파는 3세 장남 진명(振命)의 후예이고, 부정공파만 3세 차남 진승(振升)의 후예이다.

파명시조
문정공파(文貞公派)어세겸(魚世謙)
양숙공파(襄肅公派)어세공(魚世恭)
현감공파(縣監公派)어세익(魚世益)
훈도공파(訓導公派)어문손(魚文孫)
호군공파(護軍公派)어사룡(魚四龍)
낭선공파(浪仙公派)어무적(魚無迹)
사직공파(司直公派)어한륜(魚漢綸)
한종공파(漢宗公派)어한종(魚漢宗)
한위공파(漢緯公派)어한위(魚漢緯)
한형공파(漢亨公派)어한형(魚漢亨)
금위공파(禁衛公派)어복로(魚服勞)
참봉공파(參奉公派)어원로(魚元老)
진사공파(進士公派)어정언(魚廷彦)
부정공파(副正公派)어덕상(魚德常)


5. 인물

함종 어씨(咸從 魚氏)는 시조 어화인(魚化仁)을 비롯하여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어화인의 후손들은 고려시대에 벼슬을 하며 가문을 일으켰고, 조선 시대에는 어변갑이 문과에 장원 급제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인물이 고위 관직에 올랐다. 특히 어효첨과 그의 아들 어세겸, 어세공은 대대로 현달하여 가문을 크게 빛냈다. 어유구의 딸 선의왕후가 경종의 왕비가 되면서 함종현이 함종부로 승격되기도 했다.

어몽룡은 매화 그림으로 유명했으며, 어영담임진왜란이순신 장군을 도와 공을 세웠다. 조선 후기에는 어유봉, 어유구, 어석정 등이 문신과 학자로 활동했다. 어재연병인양요신미양요 때 외세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으며, 어윤중은 개화기에 일본과 청나라에 파견되어 외교와 개혁에 힘썼다.

5. 1. 고려

남송 때 난을 피하여 고려 명종 원년에 고려에 온 어화인(魚化仁)은 고려 명종 때 호장동정(戶長同正)을 역임하였다.[1] 어화인의 후손 2세 어영기(魚永寄)부터 6세 검교군기감사공(檢校軍器監事公) 어석공(魚石公)까지 고려에서 벼슬을 하여 가문이 크게 일어섰다.[1]

7세손 어준량(魚遵亮)은 중랑장(中郞將)을 지냈다.[1]

5. 2. 조선

어변갑(魚變甲)은 1408년(조선 태종 8) 식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직제학에 올랐다.[1] 어변갑의 아들 어효첨(魚孝瞻)은 대사헌·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중추부판사로 치사하였으며, 함종부원군(咸從府院君)에 봉해졌다.[1] 어효첨의 아들 어세겸(魚世謙)은 연산군좌의정에 오르고,[1] 어세공(魚世恭)은 우참찬에 이르렀다.[1]

어유구(魚有龜)의 딸 선의왕후(宣懿王后) 어씨(魚氏)가 경종의 왕비가 되면서 함종현이 함종부(咸從府)로 승격되었다.[1]

인물생몰년주요 업적
어변갑(魚變甲)1380년 ~ 1434년1408년(태종 8) 식년 문과 장원 급제, 중훈대부, 집현전 직제학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 사간원지사[1]
어효첨(魚孝瞻)1405년 ~ 1475년직제학·대사성·대사헌·이조판서 역임, 성종 때 중추부판사, 시호 문효(文孝)[1]
어세겸(魚世謙)1430년 ~ 1500년성종 때 대제학 역임, 연산군 때 우의정·좌의정, 함종부원군(府院君), 시호 문정(文貞)[1]
어세공](魚世恭) || 1432년 ~ 1486년 || 함길도관찰사, 이시애의 난 평정,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 아성군(牙城君), 호조(戶曹)·병조(兵曹)·형조(刑曹)·공조(工曹)의 판서(判書)와 우참찬(右參贊), 시호 양숙(襄肅)[1]
어득강](魚得江) || 1470년 ~ 1550년 || 훈도공파(訓導公派) 파조 어문손(魚文孫)의 아들, 1496년(연산군 2년) 식년 문과 병과 급제, 중종 때 대사간(大司諫), 명종 때 대사성(大司成),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1]
어계선](魚季瑄) || 1502년 ~ 1579년 || 어세공의 증손, 1540년 진사, 식년문과 급제, 1560년 형조참판, 아선군(牙善君), 좌참찬[1]
어몽룡(魚夢龍)?조선 선조 때 화가, 매화 그림에 뛰어남, 황집중의 포도 그림, 이정의 대나무 그림과 더불어 3절[1]
어영담(魚泳潭)?조선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 휘하, 옥포·노량 해전 등에서 공을 세움[1]
어유봉](魚有鳳) || 1672년 ~ 1744년 || 조선 중기 문신·학자, 집의, 사복시정(司僕寺正), 호조참의, 승지, 세자시강원찬선(世子侍講院贊善), 한원진과 이간의 심성변(心性辨) 논쟁에서 이간 편[1]
어유구](魚有龜) || 1675년 ~ 1740년 || 선의왕후의 아버지, 숙종 때 정언·수찬·응교, 병조참지, 세자빈 책봉, 어영대장 겸 훈련대장·돈령부영사, 신임사화 때 노론 변호, 1728년(영조 4)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 1등[1]
어석정](魚錫定) || 1731년 ~ 1793년 || 어유구의 아들, 조선 후기 문신, 영조 때 도승지, 청송·장단 부사, 암행어사 서영보 탄핵 파직, 정조 때 도총관, 공조판서[1]
어재연](魚在淵) || 1823년 ~ 1871년 || 1841년(헌종 7) 무과 급제, 1864년(고종 1) 장단부사, 1866년 공충도(公忠道) 병마절도사, 병인양요 때 광성진(廣城鎭) 수비, 회령부사(會寧府使), 1871년(고종 8) 2월 도총관·금위영 중군, 신미양요 때 순무중군(巡撫中軍)으로 강화도 급파, 광성진에서 전사[1]
어윤중](魚允中) || 1848년 ~ 1896년 || 1881년 일본 파견 조사시찰단 단장, 일본 문물제도 시찰, 1882년 청나라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갑오개혁 때 탁지부대신, 재정일신 노력[1]


5. 3. 현대

6.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조선 20대 왕 경종의 왕비는 선의왕후(宣懿王后) 어씨(魚氏)로, 영돈녕부사 어유구(魚有龜)의 딸이다.[1] 선의왕후가 왕비가 되면서 함종현은 함종부(咸從府)로 승격되었다.[1]

7. 과거 급제자

함종 어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4명, 무과 급제자 13명, 생원시 합격자 23명, 진사시 합격자 39명, 음관 15명, 음양과 합격자 1명을 배출하여 가문의 명성을 높였다.[1]

7. 1. 문과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4명을 배출하였다.

명단
어득강(魚得江), 어명룡(魚命龍), 어변갑(魚變甲), 어사상(魚史商), 어사필(魚史弼), 어사휘(魚史徽), 어상준(魚尙儁), 어서룡(魚瑞龍), 어석광(魚錫光), 어석령(魚錫齡), 어석윤(魚錫胤), 어석정(魚錫定), 어세겸(魚世謙), 어세공(魚世恭), 어영준(魚泳濬), 어용겸(魚用謙), 어유구(魚有龜), 어유룡(魚有龍), 어윤중(魚允中), 어재렴(魚在濂), 어진열(魚震說), 어진익(魚震翼), 어효첨(魚孝瞻), 어계선(魚季瑄)

[1]

7. 2. 무과

이름과거 급제
어경량(魚景亮)
어득하(魚得河)
어사철(魚史喆)
어상길(魚尙佶)
어석규(魚錫圭)
어영담(魚泳潭)
어용해(魚用海)
어유규(魚有珪)
어윤영(魚允泳)
어재명(魚在溟)
어진한(魚震漢)
어필수(魚必遂)
어필원(魚必遠)


7. 3. 생원시

조선시대 함종 어씨 생원시 합격자
성명
어계선(魚季瑄)
어명희(魚命羲)
어몽뢰(魚夢賚)
어반급(魚攀級)
어변갑(魚變甲)
어상준(魚尙儁)
어석오(魚錫五)
어숙명(魚淑明)
어영준(魚泳濬)
어용림(魚用霖)
어용변(魚用變)
어용우(魚用羽)
어용항(魚用恒)
어운해(魚雲海)
어유구(魚有龜)
어유룡(魚有龍)
어유붕(魚有鵬)
어응신(魚應辰)
어재완(魚在琬)
어필명(魚必溟)
어필영(魚必泳)
어한명(魚漢明)
어효첨(魚孝瞻)


7. 4. 진사시

어계린(魚季璘), 어계선(魚季瑄), 어명근(魚命根), 어사상(魚史商), 어사주(魚史周), 어사하(魚史夏), 어사휘(魚史徽), 어석문(魚錫文), 어석백(魚錫白), 어석우(魚錫雨), 어석윤(魚錫胤), 어석인(魚錫仁), 어숙의(魚叔義), 어순급(魚循級), 어영명(魚泳溟), 어영사(魚泳泗), 어영준(魚泳濬), 어영하(魚泳河), 어영해(魚泳海), 어용빈(魚用賓), 어용승(魚用升), 어용점(魚用漸), 어운해(魚雲海), 어유구(魚有龜), 어유봉(魚有鳳), 어유운(魚有雲), 어유원(魚有瑗), 어유임(魚有任), 어유형(魚有珩), 어유황(魚有璜), 어윤승(魚允承), 어윤용(魚允瑢), 어재천(魚在天), 어재황(魚在璜), 어진린(魚震鱗), 어진석(魚震奭), 어진열(魚震說), 어진익(魚震翼), 어진척(魚震陟)

7. 5. 음관

성명관직
어명봉(魚命鳳)음관
어명서(魚命書)음관
어명준(魚命俊)음관
어병수(魚秉琇)음관
어병완(魚秉玩)음관
어병익(魚秉翼)음관
어상우(魚相愚)음관
어석명(魚錫命)음관
어윤영(魚胤泳)음관
어재렴(魚在濂)음관
어재명(魚在溟)음관
어재선(魚在璿)음관
어재연(魚在淵)음관
어재영(魚在泳)음관
어재완(魚在琬)음관


7. 6. 음양과

어이환(魚李瓛)[1]

8. 항렬자

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
재(在)명(命)口우(愚)윤(允)口선(善)변(汴)수(秀)口경(慶)중(重)·규(奎)口진(鎭)승(承)口동(東)병(丙)口균(均)종(鐘)口수(洙)식(植)口형(炯)준(埈)口현(鉉)원(源)


9. 집성촌

함종 어씨 집성촌
지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문정공파)[5]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석탄리
충청북도 보은군 외속리면 봉비리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삼포리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4]


10. 인구

함종 어씨 인구
연도인구
1985년10,952명
2000년13,321명
2015년15,746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함종어씨 咸從魚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2
[4] 웹사이트 어씨(魚氏) 본관(本貫) 함종(咸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문서 조선시대 지명은 구천면이었는데, [[어효첨]](魚孝瞻)의 호에서 유래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