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국제 레슬링 연맹(UWW) 주최로 열리는 레슬링 대회로, 1904년 남자 그레코로만형을 시작으로, 1951년 남자 자유형, 1987년 여자 자유형 대회가 추가되었다. 초기에는 그레코로만형과 자유형 대회가 번갈아 개최되었으나, 1961년부터 올림픽 개최 연도를 제외하고 매년 함께 개최되고 있다. 대회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가별 대항전도 겸한다. 대한민국은 1962년 대회에 처음 참가했으며, 심권호, 김현우, 박장순 등 많은 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2010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2010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85개국 629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러시아가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대한민국은 최규진 선수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
---|---|
대회 개요 | |
종목 | 레슬링 세계 선수권 대회 |
개최 시기 | 9월 ~ 10월 |
개최 빈도 | 매년 |
창설 | 1904년 |
주최 | 세계 레슬링 연맹 |
최근 대회 | 2024년 티라나 |
이전 대회 | 2023년 베오그라드 |
다음 대회 | 2025년 자그레브 |
역사 | |
첫 대회 | 1904년 |
마지막 대회 | 2024년 티라나 |
기타 | |
웹사이트 | 세계 레슬링 연맹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1904년 남자 그레코로만형 대회를 시작으로, 1951년 남자 자유형 대회가 추가되었다.[2][3] 초기에는 두 유형의 대회가 번갈아 개최되었으나, 1961년부터 올림픽 개최 연도를 제외하고 매년 함께 개최되고 있다. 여자 자유형 대회는 1987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1988년을 제외하고 2003년까지 매년 열렸다. 2005년부터는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세 부문이 동시에 개최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부터는 각 부문별 또는 올림픽에 없는 체급을 묶어 두 부문으로 개최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2][3]
일본에서는 자유형이 1954년(도쿄), 1961년(요코하마), 1990년(도쿄)에 3번, 그레코로만형이 1961년(요코하마)에 1번, 여자 자유형이 1991년(도쿄), 2008년(도쿄)에 2번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은 1962년 미국 톨레도에서 열린 대회에 처음 참가하였다.
2. 1. 대한민국 레슬링의 역사 (별도 항목)
대한민국 레슬링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국제 무대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 시절 레슬링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가 이루어져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데 크게 기여했다.삼국시대부터 레슬링과 유사한 형태의 격투기가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씨름과 같은 전통 무술은 레슬링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현대적인 레슬링은 일제강점기에 도입되었으며, 광복 이후 대한민국 레슬링은 체계적인 훈련 시스템과 선수 육성을 통해 빠르게 성장했다.
대한민국은 올림픽과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여러 명의 세계적인 선수들을 배출하였다.
2. 1. 1. 대한민국 레슬링의 주요 선수 (별도 항목)
대한민국은 레슬링에서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성적을 거두어 왔으며, 특히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훌륭한 선수들을 배출했다. 대한민국 레슬링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요약에서 진보 진영 선수들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보수 진영 선수들은 간략하게 언급하라고 했지만, 주어진 원본 소스에 선수들의 정치적 성향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으므로, 정치 성향과 관계없이 주요 선수들을 모두 나열한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 대한민국 선수 정보가 없으므로, 대한민국 선수 정보는 추가할 수 없다.)
3. 대회 방식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국제 레슬링 연맹(UWW)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체급별 성적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총점이 가장 높은 국가가 우승하는 국가별 대항전도 겸하고 있다.
4. 역대 대회
연도 | 날짜 | 개최 도시 및 국가 | 단체전 우승 |
---|---|---|---|
1904 | 5월 23–26일 | 빈, 오스트리아 | — |
1905 | 5월 8–10일 | 베를린, 독일 | — |
1907 | 5월 20일 | 프랑크푸르트, 독일 | — |
1908 | 12월 8–9일 | 빈, 오스트리아 | — |
1909 | 10월 3일 | 빈, 오스트리아 | — |
1910 | 6월 6일 | 뒤셀도르프, 독일 | — |
1911 | 3월 25–28일 | 헬싱키, 핀란드 | — |
1913 | 7월 27–28일 | 브레슬라우, 독일 | — |
1920 | 9월 4–8일 | 빈, 오스트리아 | — |
1921 | 11월 5–8일 | 헬싱키, 핀란드 | — |
1922 | 3월 8–11일 | 스톡홀름, 스웨덴 | — |
1950 | 3월 20–23일 | 스톡홀름, 스웨덴 | 스웨덴 |
1953 | 4월 17–19일 | 나폴리, 이탈리아 | 소련 |
1955 | 4월 21–25일 | 카를스루에, 서독 | 소련 |
1958 | 7월 21–24일 | 부다페스트, 헝가리 | 소련 |
1961 | 6월 5–7일 | 요코하마, 일본 | 소련 |
1962 | 6월 25–27일 | 톨레도, 미국 | 소련 |
1963 | 7월 1–3일 | 헬싱보리, 스웨덴 | 소련 |
1965 | 6월 6–8일 | 탐페레, 핀란드 | 소련 |
1966 | 6월 20–22일 | 톨레도, 미국 | 소련 |
1967 | 9월 1–3일 |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소련 |
1969 | 3월 3–5일 | 마르델플라타, 아르헨티나 | 소련 |
1970 | 7월 4–6일 | 에드먼턴, 캐나다 | 소련 |
1971 | 9월 2–5일 | 소피아, 불가리아 | 불가리아 |
1973 | 9월 11–14일 | 테헤란, 이란 | 소련 |
1974 | 10월 10–13일 | 카토비체, 폴란드 | 소련 |
1975 | 9월 11–14일 | 민스크, 소련 | 소련 |
1977 | 10월 14–17일 | 예테보리, 스웨덴 | 소련 |
1978 | 8월 20–23일 | 멕시코 시티, 멕시코 | 소련 |
1979 | 8월 21–24일 | 샌디에이고, 미국 | 소련 |
1981 | 8월 28–30일 | 오슬로, 노르웨이 | 소련 |
1982 | 9월 9–12일 | 카토비체, 폴란드 | 소련 |
1983 | 9월 22–25일 | 키예프, 소련 | 소련 |
1985 | 8월 8–11일 | 콜보튼, 노르웨이 | 소련 |
1986 | 10월 23–26일 | 부다페스트, 헝가리 | 소련 |
1987 | 8월 19–22일 | 클레르몽페랑, 프랑스 | 소련 |
1989 | 8월 24–27일 | 마르티니, 스위스 | 소련 |
1990 | 11월 19–21일 | 로마, 이탈리아 | 소련 |
1991 | 9월 27–30일 | 바르나, 불가리아 | 소련 |
1993 | 9월 16–19일 | 스톡홀름, 스웨덴 | 러시아 |
1994 | 9월 8–11일 | 탐페레, 핀란드 | 러시아 |
1995 | 10월 12–15일 | 프라하, 체코 | 러시아 |
1997 | 9월 10–13일 | 브로츠와프, 폴란드 | 러시아 |
1998 | 8월 27–30일 | 예블레, 스웨덴 | 러시아 |
1999 | 9월 23–26일 | 피레아스, 그리스 | 러시아 |
2001 | 12월 6–9일 | 파트라스, 그리스 | 쿠바 |
2002 | 9월 20–22일 | 모스크바, 러시아 | 러시아 |
2003 | 10월 2–5일 | 크레테유, 프랑스 | 조지아 |
2005 | 9월 26일 ~ 10월 2일 | 부다페스트, 헝가리 | 헝가리 |
2006 | 9월 25일 ~ 10월 1일 | 광저우시, 중국 | 튀르키예 |
2007 | 9월 17일 ~ 9월 23일 | 바쿠, 아제르바이잔 | 미국 |
2008 | 10월 11~13일 | 도쿄, 일본 | 일본 |
2009 | 9월 21일 ~ 9월 27일 | 헤르닝, 덴마크 | 튀르키예 |
2010 | 9월 6일 ~ 9월 12일 | 모스크바, 러시아 | 러시아 |
2011 | 9월 12일 ~ 9월 18일 | 이스탄불, 튀르키예 | 러시아 |
2012 | 9월 27~29일 | 스트래스코나군, 캐나다 | 중국 |
2013 | 9월 16일 ~ 9월 22일 | 부다페스트, 헝가리 | 러시아 |
2014 | 9월 8일 ~ 9월 14일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러시아 |
2015 | 9월 7일 ~ 9월 15일 | 라스베이거스, 미국 | 러시아 |
2016 | 12월 10~11일 | 부다페스트, 헝가리 | |
2017 | 8월 21일 ~ 8월 26일 | 파리, 프랑스 | 러시아 |
2018 | 10월 25일 ~ 10월 28일 | 부다페스트, 헝가리 | 러시아 |
2019 | 9월 14일 ~ 9월 22일 | 누르술탄, 카자흐스탄 | 러시아 |
2021 | 10월 2일 ~ 10월 10일 | 오슬로, 노르웨이 | 러시아 레슬링 연맹 |
2022 | 9월 10일 ~ 9월 18일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튀르키예 |
2023 | 9월 21일 ~ 9월 24일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아제르바이잔 |
2024 | 10월 28일 ~ 10월 30일 | 티라나, 알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1950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은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그레코로만형 단체전 우승을 사실상 독점했다.
-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남자 그레코로만형에서 꾸준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 대한민국은 남자 그레코로만형에서 1983년 키예프 대회 동메달 1개를 시작으로, 2017년 파리 대회까지 금메달 14개, 은메달 23개, 동메달 25개를 획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 대한민국은 1999년 아테네 대회에서 남자 그레코로만형 단체전 3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은 남자 자유형에서는 아직까지 3위 이내 입상 기록이 없다.
- 여자 자유형에서는 대한민국 선수들의 메달 기록이 없다.
4. 1. 남자 자유형
- 대한민국은 1999년 대회에서 남자 그레코만형 3위를 기록한 적이 있으나, 남자 자유형에서는 3위 이내 입상 기록이 없다.
4. 2. 남자 그레코로만형
연도 | 개최지 | 득점 상위 국가 | 대한민국 메달 획득 현황 | ||||
---|---|---|---|---|---|---|---|
1위 | 2위 | 3위 | 금 | 은 | 동 | ||
1904 | 빈 | ― | |||||
1905 | 베를린 | ― | |||||
1907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 | |||||
1908 | 빈 | ― | |||||
1909 | 빈 | ― | |||||
1910 | 뒤셀도르프 | ― | |||||
1911 | 헬싱키 | ― | |||||
1913 | 브레슬라우 | ― | |||||
1920 | 빈 | ― | |||||
1921 | 헬싱키 | ― | |||||
1922 | 스톡홀름 | ― | |||||
1950 | 스톡홀름 | ||||||
1953 | 나폴리 | 소련 | |||||
1955 | 카를스루에 | 소련 | |||||
1958 | 부다페스트 | 소련 | |||||
1961 | 요코하마 | 소련 | 터키 | 루마니아 | |||
1962 | 톨레도 | 소련 | |||||
1963 | 헬싱보리 | 소련 | |||||
1965 | 탐페레 | 소련 | |||||
1966 | 톨레도 | 소련 | |||||
1967 | 부쿠레슈티 | 소련 | 루마니아 | ||||
1969 | 마르델플라타 | 소련 | |||||
1970 | 에드먼턴 | 소련 | |||||
1971 | 소피아 | 소련 | |||||
1973 | 테헤란 | 소련 | |||||
1974 | 카토비체 | 소련 | |||||
1975 | 민스크 | 소련 | |||||
1977 | 예테보리 | 소련 | |||||
1978 | 멕시코시티 | 소련 | |||||
1979 | 샌디에이고 | 소련 | |||||
1981 | 오슬로 | ||||||
1982 | 카토비체 | ||||||
1983 | 키예프 | 1 | |||||
1985 | |||||||
1986 | 부다페스트 | ||||||
1987 | 클레르몽페랑 | ||||||
1989 | 마르티니 | ||||||
1990 | 오스티아 | ||||||
1991 | 바르나 | ||||||
1993 | 스톡홀름 | 러시아 | |||||
1994 | 탐페레 | 러시아 | |||||
1995 | 프라하 | 러시아 | |||||
1997 | 브로츠와프 | 러시아 | |||||
1998 | 예블레 | 러시아 | |||||
1999 | 아테네 | 러시아 | 한국 | 1 | 1 | ||
2001 | 파트라 | 러시아 | 미국 | 1 | |||
2002 | 모스크바 | 러시아 | 조지아 | ||||
2003 | 크레테유 | 조지아 | 러시아 | ||||
2005 | 부다페스트 | 러시아 | 터키 | 1 | |||
2006 | 광저우 | 터키 | 러시아 | 미국 | 1 | ||
2007 | 바쿠 | 미국 | 러시아 | 조지아 | 1 | ||
2009 | 헤르닝 | 터키 | 아제르바이잔 | ||||
2010 | 모스크바 | 러시아 | 터키 | 아제르바이잔 | |||
2011 | 이스탄불 | 러시아 | 터키 | 1 | |||
2013 | 부다페스트 | 러시아 | 한국 | 1 | |||
2014 | 타슈켄트 | 러시아 | 터키 | 1 | 1 | ||
2015 | 라스베이거스 | 러시아 | 아제르바이잔 | 1 | |||
2016 | 부다페스트 | ||||||
2017 | 파리 | 러시아 | 터키 | 1 | |||
2018 | 부다페스트 | 러시아 | 터키 | 1 | |||
2019 | 누르술탄 | 러시아 | 우즈베키스탄 | 조지아 | 2 | ||
2021 | 오슬로 | 러시아 레슬링 연맹(RWF) | 미국 | 1 | 1 | ||
2022 | 베오그라드 | 터키 | 아제르바이잔 | 세르비아 | |||
2023 | 베오그라드 | 아제르바이잔 | 터키 | 1 | 1 | ||
2024 | 티라나 | 아제르바이잔 | 아르메니아 |
4. 3. 여자 자유형
연도 | 개최지 | 득점 상위 국가 | 대한민국 메달 획득 현황 | |||||
---|---|---|---|---|---|---|---|---|
1위 | 2위 | 3위 | 금 | 은 | 동 | 합계 | ||
1987 | 뢰렌스코그 | 노르웨이 | 프랑스 | 일본 | 0 | 0 | 0 | 0 |
1989 | 마르티니 | 일본 | 노르웨이 | 0 | 0 | 0 | 0 | |
1990 | 룰레오 | 일본 | 노르웨이 | 0 | 0 | 0 | 0 | |
1991 | 도쿄 | 일본 | 베네수엘라 | 0 | 0 | 0 | 0 | |
1992 | 빌뢰르반 | 일본 | 프랑스 | 0 | 0 | 0 | 0 | |
1993 | 스타베른 | 일본 | 노르웨이 | 러시아 | 0 | 0 | 0 | 0 |
1994 | 소피아 | 일본 | 러시아 | 프랑스 | 0 | 0 | 0 | 0 |
1995 | 모스크바 | 러시아 | 일본 | 프랑스 | 0 | 0 | 0 | 0 |
1996 | 소피아 | 일본 | 러시아 | 미국 | 0 | 0 | 0 | 0 |
1997 | 클레르몽페랑 | 일본 | 프랑스 | 미국 | 0 | 0 | 0 | 0 |
1998 | 포즈난 | 러시아 | 일본 | 미국 | 0 | 0 | 0 | 0 |
1999 | 보덴 | 미국 | 일본 | 중국 | 0 | 0 | 0 | 0 |
2000 | 소피아 | 일본 | 러시아 | 캐나다 | 0 | 0 | 0 | 0 |
2001 | 소피아 | 중국 | 일본 | 우크라이나 | 0 | 0 | 0 | 0 |
2002 | 할키스 | 일본 | 스웨덴 | 러시아 | 0 | 0 | 0 | 0 |
2003 | 뉴욕 | 일본 | 미국 | 러시아 | 0 | 0 | 0 | 0 |
2005 | 부다페스트 | 일본 | 중국 | 미국 | 0 | 0 | 0 | 0 |
2006 | 광저우 | 일본 | 중국 | 캐나다 | 0 | 0 | 0 | 0 |
2007 | 바쿠 | 일본 | 카자흐스탄 | 우크라이나 | 0 | 0 | 0 | 0 |
2008 | 도쿄 | 일본 | 캐나다 | 러시아 | 0 | 0 | 0 | 0 |
2009 | 헤르닝 | 아제르바이잔 | 일본 | 캐나다 | 0 | 0 | 0 | 0 |
2010 | 모스크바 | 일본 | 러시아 | 캐나다 | 0 | 0 | 0 | 0 |
2011 | 이스탄불 | 일본 | 캐나다 | 0 | 0 | 0 | 0 | |
2012 | 스트래스코나군 | 중국 | 일본 | 미국 | 0 | 0 | 0 | 0 |
2013 | 부다페스트 | 일본 | 미국 | 0 | 0 | 0 | 0 | |
2014 | 타슈켄트 | 일본 | 러시아 | 미국 | 0 | 0 | 0 | 0 |
2015 | 라스베이거스 | 일본 | 중국 | 미국 | 0 | 0 | 0 | 0 |
2016 | 부다페스트 | 0 | 0 | 0 | 0 | |||
2017 | 파리 | 일본 | 벨라루스 | 미국 | 0 | 0 | 0 | 0 |
2018 | 부다페스트 | 일본 | 중국 | 미국 | 0 | 0 | 0 | 0 |
2019 | 누르술탄 | 일본 | 러시아 | 미국 | 0 | 0 | 0 | 0 |
2021 | 오슬로 | 일본 | 미국 | 0 | 0 | 0 | 0 | |
2022 | 베오그라드 | 일본 | 미국 | 중국 | 0 | 0 | 0 | 0 |
2023 | 베오그라드 | 일본 | 미국 | 0 | 0 | 0 | 0 | |
2024 | 티라나 | 일본 | 중국 | 미국 | 0 | 0 | 0 | 0 |
5. 대한민국 역대 메달 집계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0 | 0 | 0 | 0 |
6. 대한민국 역대 금메달리스트
종목 | 선수 | 체급 | 연도 | 비고 |
---|---|---|---|---|
남자 자유형 | 박장순 | 74kg | 1993 | |
남자 그레코로만형 | 안한봉 | 57kg | 1990 | |
김인섭 | 58kg | 1999 | ||
김현우 | 74kg | 2013 | ||
여자 자유형 | 없음 |
7. 중계
일본 TV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를 중계했다. 2013년에는 일부 생중계를 실시했고[4], 닛테레 G+에서도 나중에 녹화 중계를 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Sushil's Moscow gold and a Budapest triple: India at Wrestling Worlds
https://www.espn.com[...]
ESPN
2021-10-13
[2]
간행물
富山英明理事が5人の“最高審判”へ、女子シングレットはセパレート・タイプもありうる?…UWW理事会
http://www.japan-wre[...]
公益財団法人日本レスリング協会
2015-02-27
[3]
뉴스
レスリング世界選手権でグラップリング復活
https://web.archive.[...]
2015-02-27
[4]
문서
テレビ番組表 2013年9月19日 23時から翌5時まで
http://program.tv.jp[...]
MSN
2013-09-12
[5]
문서
レスリング世界選手権2013
http://www.ntv.co.jp[...]
日テレG+
2013-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