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 전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전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세르비아 왕국에서 벌어진 일련의 군사 작전을 의미한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보스니아 합병과 가브릴로 프린치프의 사라예보 암살 사건으로 촉발된 이 전역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세르비아 침공으로 시작되었다. 세르비아는 초기에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공격을 막아냈지만, 1915년 불가리아의 참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알바니아를 거쳐 그리스로 후퇴했다. 이후 세르비아군은 마케도니아 전선에서 연합군과 함께 참호전을 벌였고, 1918년 바르다르 공세에서 승리하며 전쟁을 종결시켰다. 이 전쟁으로 세르비아는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으며, 100만 명에 달하는 사상자를 기록했다. 전쟁 이후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건설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의 전구 및 전역 - 시베리아 개입
    시베리아 개입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러시아 내전 시기에 연합국이 전쟁 물자 보호,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지원, 반볼셰비키 세력 지원 등을 목적으로 시베리아 지역에 군대를 파견한 군사 작전으로, 여러 국가가 참여했으며 특히 일본은 장기간 주둔하며 복잡한 상황을 야기하여 일본의 국내 정치와 대외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세르비아 전역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아다 시간리야에 주둔한 세르비아 보병
아다 시간리야에 주둔한 세르비아 보병
분쟁세르비아 전역
일부발칸반도 전선
기간1914년 7월 28일 – 1915년 11월 24일
장소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결과동맹국의 승리
세르비아의 알바니아를 통한 대퇴각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불가리아 점령
교전 세력
동맹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불가리아 왕국 (1915년부터)
독일 제국 (1915년부터)
연합국세르비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
사상자
동맹국340,000명 이상의 전투 및 비전투 사상자
연합국405,000명 이상의 전투 사상자
민간인 사망자1914년부터 1918년까지 전쟁 관련 원인으로 사망한 세르비아 민간인 450,000명에서 842,000명
관련 전투
1914년 세르비아 전역1차 베오그라드
세르
스렘
드리나
콜루바라
1915년 세르비아 전역2차 베오그라드
모라바
니시
오브체 폴레
코소보
대퇴각
몬테네그로
모이코바츠
로브첸
오스트리아-헝가리 및 불가리아 점령토플리차 봉기

2. 배경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878년부터 점령해 온 옛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함으로써 1908–09년의 보스니아 위기를 촉발했다. 이는 세르비아 왕국과 그 후원국인 범슬라브주의동방 정교회러시아 제국을 분노하게 했다.[13] 이 지역에서 러시아의 정치적 책략은 "유럽의 화약고"로 알려진 곳에서 이미 무너지고 있던 평화 협정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13]

가브릴로 프린치프, 청년 보스니아의 일원, 오스트리아-헝가리 황위 계승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했다.


1912년과 1913년에는 그리스,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발칸 동맹과 분열된 오스만 제국 간에 제1차 발칸 전쟁이 벌어졌다. 그 결과인 런던 조약은 독립적인 알바니아 공국을 창설하고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의 영토를 확장함으로써 오스만 제국을 더욱 축소시켰다. 1913년 6월 16일 불가리아가 세르비아와 그리스를 공격했을 때,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 지역 대부분을 그 국가들에 빼앗겼으며, 또한 33일간의 제2차 발칸 전쟁에서 남 도브루자 지역을 루마니아에, 아드리아노플(오늘날의 에디르네)을 터키에 잃어 이 지역은 더욱 불안정해졌다.[14]

1914년 6월 28일,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학생이자 청년 보스니아라는 민족 혁명 조직의 일원인 가브릴로 프린치프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황위 계승자인 오스트리아-헝가리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했다.[15]

암살의 정치적 목적은 주로 슬라브족이 거주하는 남부 오스트리아-헝가리 지방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이었지만, 의도치 않게 러시아와 주요 유럽 열강을 끌어들인 일련의 사건들을 촉발했다. 이는 7월 위기라고 불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러시아, 프랑스, 영국 간의 외교적 책략의 시기를 시작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에 7월 최후 통첩을 전달했는데, 이는 세르비아와의 전쟁을 도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도록 만든 10가지 요구 사항이었다.[16] 세르비아가 10가지 요구 사항 중 8가지에만 동의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4년 7월 28일에 전쟁을 선포했다.

1914년 7월 28일 세르비아 정부에 보낸 전보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의 전쟁 선포를 담고 있으며, 제국 외무 장관 레오폴트 베르히톨트 백작의 서명이 담겨 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세르비아 간의 분쟁은 현재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알려진 것으로 확대되어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프랑스, 대영 제국을 끌어들였다. 1주일 이내에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군대를 가진 세르비아의 후원국인 러시아와의 전쟁에 직면해야 했다. 그 결과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러시아 국경을 따라 펼쳐지기 시작한 대규모 전투의 부차적인 전선이 되었다. 세르비아는 경험 많은 군대를 가지고 있었지만 발칸 전쟁의 갈등으로 지쳐 있었고 장비가 열악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는 한 달 이내에 함락될 것이라고 믿었다. 세르비아의 전략은 가능한 한 오랫동안 버티며 러시아가 다른 동맹국의 도움 없이도 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격파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었다. 세르비아는 여러 전쟁, 가장 최근에는 1913년의 제2차 발칸 전쟁에서 싸웠던 적대적인 동쪽 이웃인 불가리아에 대해 끊임없이 걱정해야 했다.

2. 1. 7월 위기

1914년 6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페르디난트 부부가 보스니아 사라예보에서 가브릴로 프린치프라는 사람에게 총을 맞아 암살되었다.[15] 그는 대세르비아주의자로 보스니아세르비아에 합병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878년부터 점령해 온 옛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하여 1908년–09년의 보스니아 위기를 촉발했고, 이는 세르비아 왕국과 그 후원국인 범슬라브주의동방 정교회러시아 제국을 분노하게 했다.[13] 1912년과 1913년에는 그리스,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발칸 동맹과 분열된 오스만 제국 간에 제1차 발칸 전쟁이 벌어졌다. 그 결과인 런던 조약은 독립적인 알바니아 공국을 창설하고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의 영토를 확장함으로써 오스만 제국을 더욱 축소시켰다. 1913년 6월 16일 불가리아가 세르비아와 그리스를 공격했을 때,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 지역 대부분을 그 국가들에 빼앗겼으며, 또한 33일간의 제2차 발칸 전쟁에서 남 도브루자 지역을 루마니아에, 아드리아노플(오늘날의 에디르네)을 터키에 잃어 이 지역은 더욱 불안정해졌다.[14]

암살의 정치적 목적은 주로 슬라브족이 거주하는 남부 오스트리아-헝가리 지방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이었지만, 의도치 않게 러시아와 주요 유럽 열강을 끌어들인 일련의 사건들을 촉발했다. 이는 7월 위기라고 불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러시아, 프랑스, 영국 간의 외교적 책략의 시기를 시작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에 7월 최후 통첩을 전달했는데, 이는 세르비아와의 전쟁을 도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도록 만든 10가지 요구 사항이었다.[16] 세르비아가 10가지 요구 사항 중 8가지에만 동의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4년 7월 28일에 전쟁을 선포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세르비아 간의 분쟁은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프랑스, 대영 제국을 끌어들여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확대되었다.

2. 2. 세르비아-오스트리아-헝가리 관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878년부터 점령해 온 옛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하여 보스니아 위기를 촉발했고, 이는 세르비아 왕국범슬라브주의를 내세운 러시아 제국의 분노를 일으켰다.[13]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를 자국의 영향권 아래 두려고 하였으나, 세르비아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으며 저항했다. 특히,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합병 문제는 양국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1914년 6월 28일,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이자 청년 보스니아의 일원인 가브릴로 프린치프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황위 계승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했다.[15]

이 사건은 7월 위기로 불리는 외교적 위기를 초래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에 7월 최후 통첩을 전달했다.[16] 세르비아가 10가지 요구 중 8가지에 동의했음에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4년 7월 28일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했다.[16]

이 분쟁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확대되었고,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프랑스, 대영 제국이 참전하게 되었다.

3. 군사력

3.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동원령을 통해 335만 명의 병력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 중 상당수가 세르비아 전선에 투입되었다.[17] 1914년 9월부터 12월 말까지 약 160,000명의 대체 병력과 82,000명의 증원군이 발칸 전선으로 파견되었다.[19] 세르비아 침공을 위해 제2, 5, 6군이 세르비아 서부 및 북부 국경에 집중 배치될 계획이었으나, 러시아의 총동원령으로 인해 제2군이 갈리시아로 이동하게 되었다.[20] 결국 제2군의 일부 병력만이 세르비아 작전에 참여하게 되었고, 첫 침공의 실패로 제2군에서 2개 사단이 추가로 차출되었다.[20] 8월 12일 기준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 국경에 50만 명이 넘는 병력을 집결시켰고, 이 중 38만 명이 작전 병력이었으나, 제2군의 이동으로 인해 실제 가용 병력은 285,000명 수준으로 감소했다.[20]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는 다민족 제국의 특성상 병사들의 질이 좋지 않았고,[21] 병사들 중 약 4분의 1은 문맹이었다.[22] 징집병 대부분은 독일어나 헝가리어를 이해하지 못했고,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폴란드인, 루마니아인, 남슬라브인 등은 제국의 적들과 언어적, 문화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 어려움을 겪었다.[22]

1914년 8월 초 세르비아 전역에 집중된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세르비아군의 전력은 다음과 같다.[17]

종류오스트리아-헝가리군세르비아군
대대329209
포대200122
기병대5144
공병대5030
야포1243718
기관총490315
총 전투 병력500,000344,000



1914년 10월, 로브첸 외곽의 몬테네그로군.


세르비아의 동맹국인 몬테네그로는 약 4만 5천~5만 명의 군대를 소집했으며, 14문의 최신 속사포, 62정의 기관총, 약 51문의 구식 포를 보유했다. 몬테네그로군은 적절한 군사 훈련이나 직업 장교단이 없는 민병대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부대의 평균 전시 병력은 대대 1000명, 포대 196명, 기병대 180명, 공병대 260명이었다.[26]

1914년 8월, 발칸 군은 리보리우스 리터 폰 프랑크가 지휘하는 제5군과 오스카 포티오레크가 지휘하는 제6군으로 구성되었다. 제5군은 제9, 21, 36, 제42 헌병(헝가리 국토방위) 보병 사단, 제13 보병 여단, 제11 산악 여단, 제104 국토방위 보병 여단, 제13 행군 여단으로, 제6군은 제1, 48, 18, 47, 40 헌병 보병 사단, 제109 국토방위 보병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바나트 구역 및 주둔군에는 제107 국토방위 보병 여단과 보병, 기병, 포병의 여러 부대가 있었다. 에두아르트 폰 뵘-에르몰리가 지휘하는 제2군의 일부는 제17, 34, 31, 32, 29, 7, 23 보병 사단, 제10 기병 사단, 제4, 7, 8 행군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3. 2. 세르비아 왕국군

세르비아 군 지휘부는 1914년 7월 25일 무장 병력 동원 명령을 내렸고, 다음 날 동원이 시작되어 7월 30일에 완료되었다.[23] 병력 배치는 8월 9일까지 완료되었으며, 이때 병력은 지정된 전략적 위치에 도착했다. 세르비아는 21세에서 45세 사이의 모든 가용 남성으로 구성된 세 가지 연령대(또는 금지령)인 ''poziv''에서 약 45만 명을 동원했다.[23]

작전군은 11.5개의 보병 사단과 1개의 기병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3개 부대의 고령자들은 후방 및 통신선 임무에 사용하도록 지정된 약 45,000~50,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15개 보병 연대에 편성되었으나, 이들 중 일부는 필요에 따라 작전군의 일부로 사용되어 병력을 약 25만 명으로 증가시켰다.[23] 그러나 세르비아는 인적 자원 및 대체 병력과 관련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비해 훨씬 불리한 입장에 있었고, 징집 연령에 도달한 신병만이 유일한 대체 병력의 원천이었다. 이들의 최대 연간 수는 이론적으로 약 6만 명이었으며, 1914년 8월부터 12월까지 작전 중 발생한 13만 2천 명 이상의 손실을 대체하기에는 불충분했다. 이러한 군사력 부족으로 인해 세르비아군은 전쟁 초기에 발생한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연령 미달 및 초과 병력을 징집해야 했다.

세르비아 왕립군 소속 Maxim МG 10


세르비아 경제의 열악한 재정 상태와 최근의 발칸 전쟁에서의 손실로 인해 세르비아군은 현대식 무기와 장비를 거의 갖추지 못했다. 작전군에 사용할 수 있는 현대식 소총은 18만 정에 불과했는데, 이는 세르비아군이 최전선 부대조차 완전히 장비할 수 있는 소총의 4분의 1에서 3분의 1 정도 부족했고, 예비군에는 더욱 부족했음을 의미했다.[24] 세르비아는 1914년 러시아에서 12만 정의 소총을 주문하여 이러한 부족을 해결하려 했지만, 무기는 8월 하반기에야 도착하기 시작했다. 1개 부대 병력만 완전한 회색-녹색 M1908 제복을 입었고, 2개 부대 병력은 구식 짙은 파란색 M1896 제복을 입는 경우가 많았으며, 3개 부대는 적절한 제복이 없어 군용 외투와 모자를 착용한 민간 옷을 입어야 했다.[25] 세르비아군은 군용 부츠가 전혀 없었고, 대다수는 ''opanak''라고 불리는 돼지 가죽으로 만든 일상용 신발을 신었다.

탄약 비축량도 1912~13년 발칸 전쟁에서 대부분 사용되었기 때문에 지속적인 야전 작전에 충분하지 않았다. 포탄은 부족했고, 부대당 수백 발에 불과했다. 세르비아는 상당한 국내 군수 산업 단지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군대는 프랑스와 러시아로부터의 탄약 및 무기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했는데, 이들 역시 만성적으로 공급이 부족했다. 필연적인 탄약 부족은 나중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침공의 결정적인 순간에 절정에 달하는 포탄의 완전한 부족을 포함하게 되었다.

1914년 8월 초 세르비아 전역에 집중된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세르비아군의 자원은 다음과 같다.

종류오스트리아-헝가리군[17]세르비아군
대대329209
포대200122
기병대5144
공병대5030
야포1243718
기관총490315
총 전투 병력500,000344,000



세르비아의 동맹국인 몬테네그로는 약 4만 5천~5만 명의 군대를 소집했으며, 14문의 최신 속사포, 62정의 기관총, 약 51문의 구식 포(일부는 1870년대의 골동품)를 보유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세르비아군과 달리 몬테네그로군은 적절한 군사 훈련이나 직업 장교단이 없는 민병대였다.

세르비아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부대 평균 전시병력은 다음과 같다.[26]


  • 세르비아군 대대: 1116명 (전투병 및 비전투병), 포대: 169명, 기병대: 130명, 공병대: 250명
  •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대대: 1000명 (전투병), 포대: 196명, 기병대: 180명, 공병대: 260명


세르비아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중포는 다음과 같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세르비아군



제1차 세계 대전 중 세르비아군의 전투 서열에 따른 세르비아 왕국군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제1군, 사령관: 페타르 보요비치 장군, 참모장: 보지다르 테르지치 대령.
  • *기병 사단, 4개 연대, 브랑코 요바노비치 대령
  • *티목 제1사단, 4개 연대, 블라디미르 콘디치 장군
  • *티목 제2사단, 3개 연대
  • *모라바 제2사단, 3개 연대
  • *도나우 제2사단 (브라니체보 파견대), 6개 연대
  • *군 포병, 보지다르 스레치코비치 대령
  • 제2군, 사령관: 스테파 스테파노비치 장군, 참모장: 보이슬라프 지바노비치 대령
  • *모라바 제1사단, 일리야 고이코비치 대령, 4개 연대
  • *혼성 제1사단, 미하일로 라시치 장군, 4개 연대, 연대장 스베티슬라브 미슈코비치, X, X 및 드라골류브 우준미르코비치
  • *슈마디야 제1사단, 4개 연대
  • *도나우 제1사단, 밀로예 안젤코비치 대령, 4개 연대
  • *군 포병, 보이슬라브 밀로예비치 대령
  • 제3군, 사령관: 파블레 유리시치 슈투름 장군, 참모장: 두샨 페시치 대령
  • *드리나 제1사단, 4개 연대
  • *드리나 제2사단, 4개 연대, 연대장 밀로예 옐리시예비치, X, X 및 X
  • *오브레노바츠 파견대, 1개 연대, 2개 대대
  • *야다르 체트니크 파견대
  • *군 포병, 밀로시 미하일로비치 대령
  • 우지체군, 사령관: 밀로시 보자노비치 장군
  • *슈마디야 제2사단, 드라구틴 밀루티노비치 대령, 4개 연대
  • *우지체 여단, 이반 파블로비치 대령, 2개 연대
  • *체트니크 파견대, 림, 즈라티보르, 고르냐크 파견대
  • *군 포병

1914년 세르비아 군인의 제복

4. 1914년 전역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이끌고 세르비아 정복에 나선 포티오렉 장군은 장비가 빈약하고 규모가 작은 세르비아의 보잘것없는 군대쯤은 2주일 내에 지도상에서 지울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다. 그러나 라도미도르 푸트닉 장군 휘하의 세르비아 군대는 그리 쉽게 항복하려 들지 않았다. 포티오렉군은 두 번 세르비아에 쳐들어갔지만 두 번 다 세르비아군의 기습에 걸려 패퇴하고 말았다. 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한 세르비아의 강력한 저항 의지를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세르비아를 응징하겠다고 나선 지 4개월 만인 12월 중순쯤에 푸트닉 장군 휘하의 세르비아군은 영토 내에서 적을 완전히 몰아냈다.

세르비아 전역에서 1914년에 주요 전투들이 있었다.

4.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공격과 좌절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이끌고 세르비아 정복에 나선 포티오렉 장군은 장비가 빈약하고 규모가 작은 세르비아의 보잘것없는 군대쯤은 2주일 내에 지도상에 지울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다. 그러나 라도미도르 푸트닉 장군 휘하의 세르비아 군대는 그리 쉽게 항복하려 들지 않았다. 포티오렉군은 두 번 세르비아에 쳐들어갔지만 두 번 다 세르비아군의 기습에 걸려 패퇴하고 말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세르비아를 응징하겠다고 나선 지 4개월 만인 12월 중순쯤에 푸트닉 장군 휘하의 세르비아군은 영토 내에서 적을 완전히 몰아냈다.

4. 2. 주요 전투

세르비아 전역에서 1914년에 주요 전투들이 있었다.

5. 1915년 전역

1915년 세르비아 전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세르비아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지만, 1915년 말 불가리아군이 참전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불가리아군은 세르비아군의 후방을 공격했고, 세르비아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불가리아 3개국 군대에 포위될 위기에 처했다. 이에 세르비아군은 알바니아를 거쳐 아드리아 해안으로 후퇴하는 대규모 철수 작전을 개시했다.

5. 1. 중앙 열강의 공세

wikitext

1915년 세르비아 전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2. 세르비아군의 후퇴와 알바니아 횡단

세르비아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지만, 1915년 말 불가리아군이 참전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불가리아군은 세르비아군의 후방을 공격했고, 세르비아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불가리아 3개국 군대에 포위될 위기에 처했다. 이에 세르비아군은 알바니아를 거쳐 아드리아 해안으로 후퇴하는 대규모 철수 작전을 개시했다.

6. 1916년 ~ 1918년: 마케도니아 전선

1976년 유고슬라비아 우표. 전쟁 화가 벨코 스타노예비치가 살로니카 전선 붕괴를 묘사


세르비아군은 그리스로 대피했고, 동방 연합군과 만났다. 이후 그들은 주로 정체된 마케도니아 전선에서 불가리아군과 참호전을 벌였다. 프랑스군과 세르비아군은 1916년 11월 19일, 막대한 피해를 입은 모나스티르 공세의 결과로 비톨라를 탈환하여 마케도니아의 제한된 지역을 다시 점령함으로써 전선을 안정시켰다.[27]

프랑스군과 세르비아군은 대부분의 독일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철수한 후, 1918년 바르다르 공세에서 마침내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 돌파는 불가리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를 격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최종 승리로 이어졌다. 연합군의 돌파 이후 불가리아는 1918년 9월 29일에 항복했다.[27]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는 전략적, 작전적 균형이 중앙 열강에게 불리하게 결정적으로 바뀌었다고 결론짓고, 불가리아 붕괴 다음 날 정부 관리들과의 회의에서 즉각적인 평화 협정을 요구했다.[28] 1918년 9월 29일, 최고 육군 지휘부(Oberste Heeresleitung)는 빌헬름 2세와 게오르크 폰 헤르틀링 제국 재상에게 독일이 직면한 군사적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알렸다.

빌헬름 2세는 페르디난트 1세에게 보낸 전보에서 "수치스럽다! 62,000명의 세르비아인이 전쟁을 결정했다!"라고 말했다.[29][30]

마케도니아 전선의 붕괴는 불가리아의 항복으로 인해 중앙 열강이 이전에 전선을 유지했던 278개 보병 대대와 1,500문의 대포(약 25~30개 독일 사단에 해당)를 잃게 되면서, 프랑셰 데스페레이 장군의 67만 명 규모의 군대가 부다페스트와 빈으로 가는 길이 열렸음을 의미했다.[31] 독일 최고 사령부는 단지 7개 보병 사단과 1개 기병 사단을 파견하여 대응했지만, 이러한 병력으로는 전선을 재건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31] 9월, 세르비아군과 프랑스군이 선두에서 이끄는 연합군이 잔여 독일군과 불가리아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불가리아가 전쟁에서 이탈하게 하고, 휴전 2주 전에 세르비아를 해방시켰다.[32]

6. 1. 전선의 형성

세르비아군은 그리스로 대피했고, 동방 연합군과 만났다. 이후 그들은 주로 정체된 마케도니아 전선에서 불가리아군과 참호전을 벌였다. 프랑스군과 세르비아군은 1916년 11월 19일, 막대한 피해를 입은 모나스티르 공세의 결과로 비톨라를 탈환하여 마케도니아의 제한된 지역을 다시 점령함으로써 전선을 안정시켰다.

프랑스군과 세르비아군은 대부분의 독일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철수한 후, 1918년 바르다르 공세에서 마침내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 돌파는 불가리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를 격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최종 승리로 이어졌다. 연합군의 돌파 이후 불가리아는 1918년 9월 29일에 항복했다.[27]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는 전략적, 작전적 균형이 중앙 열강에게 불리하게 결정적으로 바뀌었다고 결론짓고, 불가리아 붕괴 다음 날 정부 관리들과의 회의에서 즉각적인 평화 협정을 요구했다.[28] 1918년 9월 29일, 최고 육군 지휘부(Oberste Heeresleitung)는 빌헬름 2세와 게오르크 폰 헤르틀링 제국 재상에게 독일이 직면한 군사적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알렸다.

빌헬름 2세는 페르디난트 1세에게 보낸 전보에서 "수치스럽다! 62,000명의 세르비아인이 전쟁을 결정했다!"라고 말했다.[29][30]

마케도니아 전선의 붕괴는 불가리아의 항복으로 인해 중앙 열강이 이전에 전선을 유지했던 278개 보병 대대와 1,500문의 대포(약 25~30개 독일 사단에 해당)를 잃게 되면서, 프랑셰 데스페레이 장군의 67만 명 규모의 군대가 부다페스트와 빈으로 가는 길이 열렸음을 의미했다.[31] 독일 최고 사령부는 단지 7개 보병 사단과 1개 기병 사단을 파견하여 대응했지만, 이러한 병력으로는 전선을 재건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31] 9월, 세르비아군과 프랑스군이 선두에서 이끄는 연합군이 잔여 독일군과 불가리아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불가리아가 전쟁에서 이탈하게 하고, 휴전 2주 전에 세르비아를 해방시켰다.[32]

6. 2. 전투와 돌파

세르비아군은 그리스로 후퇴하여 동방 연합군과 합류했다. 이후 마케도니아 전선에서 불가리아군과 주로 참호전을 벌였다. 1916년 11월 19일, 프랑스군과 세르비아군은 모나스티르 공세 끝에 비톨라를 탈환하여 마케도니아 지역 일부를 다시 점령하고 전선을 안정시켰다.[27]

1918년 바르다르 공세에서 프랑스군과 세르비아군이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 돌파는 불가리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항복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의 최종 승리로 이어졌다. 불가리아는 연합군의 돌파 이후 1918년 9월 29일에 항복했다.[27]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는 전략적, 작전적 균형이 중앙 열강에게 불리하게 바뀌었다고 결론짓고, 불가리아 붕괴 다음 날 정부 관리들과 회의에서 즉각적인 평화 협정을 요구했다.[28] 1918년 9월 29일, 최고 육군 지휘부(Oberste Heeresleitung)는 빌헬름 2세와 게오르크 폰 헤르틀링 제국 재상에게 독일의 군사적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알렸다.

빌헬름 2세는 페르디난트 1세에게 보낸 전보에서 "수치스럽다! 62,000명의 세르비아인이 전쟁을 결정했다!"라고 말했다.[29][30]

마케도니아 전선의 붕괴는 중앙 열강이 278개 보병 대대와 1,500문의 대포(약 25~30개 독일 사단에 해당)를 잃게 되면서, 프랑셰 데스페레이 장군의 67만 명 규모의 군대가 부다페스트와 빈으로 가는 길이 열렸음을 의미했다.[31] 독일 최고 사령부는 단지 7개 보병 사단과 1개 기병 사단을 파견하여 대응했지만, 이러한 병력으로는 전선을 재건하기에 부족했다.[31] 9월, 세르비아군과 프랑스군이 주도하는 연합군은 잔여 독일군과 불가리아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불가리아가 전쟁에서 이탈하게 하고, 휴전 2주 전에 세르비아를 해방시켰다.[32]

7. 전쟁의 결과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뇌이 조약이 체결되면서 서트라키는 그리스에 넘어갔고, 세르비아는 불가리아로부터 약간의 영토를 얻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었고, 헝가리는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유고슬라비아와 루마니아에 많은 영토를 상실했다. 세르비아는 옛 동맹국이었던 몬테네그로와 함께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한편, 이탈리아는 알바니아에 준보호령을 설치했고, 그리스는 전쟁 중 알바니아가 중립을 표방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지 그리스 임시 정부 하에서 자치권을 행사하던 알바니아 남부 지역(북에피루스 자치 공화국 참조)을 다시 점령했다.

연합국의 사상자


전쟁 전 세르비아 왕국의 인구는 450만 명이었다.[33]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1915년 한 해에만 세계 최악의 발진티푸스 유행으로 15만 명이 사망했다.[34] 미국 적십자사와 44개 외국 정부의 지원으로 이 유행은 연말까지 진압되었다.[34] 민간인 사망자 수는 일부 자료에서 주로 발진티푸스 유행과 기근으로 인해 65만 명으로 추정되지만, 점령군과의 직접적인 충돌도 있었다.[35] 세르비아의 사상자는 전체 연합국 군사 사망자의 8%를 차지했다. 정규 세르비아군 (42만 명 규모)의 58%가 분쟁 중에 사망했다.[36] 세르비아 출처에 따르면, 전체 사상자 수는 약 100만 명으로 집계된다:[37] 이는 세르비아의 전쟁 전 인구의 25%이며, 전체 남성 인구의 절대 다수 (57%)에 해당한다.[38] ''LA 타임스''와 ''NY 타임스'' 역시 100만 명 이상의 희생자를 주장하는 초기 세르비아 출처를 인용했다.[39][40] 현대 서방 및 비세르비아 역사학자들은 사상자 수를 4만 5천 명의 군사 사망자와 65만 명의 민간인 사망자 또는 127,355명의 군사 사망자와 82,000명의 민간인 사망자로 추정한다.

|thumb|right|수르둘리차 학살 동안 불가리아 군인에 의해 살해된 세르비아인들의 유해. 불가리아가 남부 세르비아를 점령한 처음 몇 달 동안 마을에서 2,000~3,000명의 세르비아 남성이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세르비아의 인구학적 재앙의 정도는 불가리아 총리 바실 라도슬라보프의 다음과 같은 진술로 설명할 수 있다: "세르비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뉴욕 타임스'', 1917년 여름).[42] 1918년 7월, 미국 국무 장관 로버트 랜싱은 모든 종교의 미국인들에게 각자의 교회에서 세르비아를 위해 기도해 줄 것을 촉구했다.[43][44]

세르비아군은 엄청난 수의 사상자를 냈다. 전쟁 말기에 심각하게 파괴되어 정점에서 약 42만 명에서 해방 시점에는 약 10만 명으로 감소했다.

세르비아 출처는 세르비아 왕국이 전쟁 동안 110만 명의 인구를 잃었다고 주장한다. 450만 명의 인구 중 27만 5천 명이 군사 사망자였고, 45만 명이 일반 시민이었다. 민간인 사망자는 주로 식량 부족과 스페인 독감과 같은 전염병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었다. 군사 사망자 외에도 13만 3,148명이 부상을 입었다.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따르면, 1914년 세르비아는 365,164명의 군인을 잃었으며, 이는 동원된 전체 인원의 26%에 해당한다. 프랑스는 16.8%, 독일은 15.4%, 러시아는 11.5%, 이탈리아는 10.3%를 잃었다.

전쟁 말에는 11만 4천 명의 장애 군인과 50만 명의 고아들이 있었다.[45]

7. 1. 세르비아의 피해

세르비아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막대한 인명 피해를 겪었다. 전쟁 전 450만 명의 인구를 가진 세르비아는 전쟁으로 인해 인구의 상당수가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33] 1915년 한 해에만 발진티푸스 유행으로 15만 명이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으며,[34] 민간인 사망자 수는 65만 명으로 추정되기도 한다.[35] 이는 기근과 점령군과의 충돌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었다.[35]

세르비아의 사상자는 연합국 전체 군사 사망자의 8%를 차지했으며,[36] 42만 명 규모의 세르비아군은 58%가 사망하는 피해를 입었다.[36] 세르비아 측 자료에 따르면 전체 사상자 수는 약 100만 명으로, 전쟁 전 인구의 25%, 남성 인구의 57%에 달한다.[37][38] ''LA 타임스''와 ''뉴욕 타임스'' 역시 100만 명 이상의 희생자를 언급했다.[39][40]

현대 역사학자들은 군사 사망자를 4만 5천 명에서 12만 7,355명, 민간인 사망자를 8만 2천 명에서 65만 명 사이로 추정한다.[35]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수용소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세르비아인 사망자 수가 최소 59,524명에 달하며, 이는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41]

불가리아 총리 바실 라도슬라보프는 "세르비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언급할 정도로 세르비아의 인구학적 피해는 심각했다.[42] 1918년 7월, 미국 국무 장관 로버트 랜싱은 미국인들에게 세르비아를 위해 기도해 줄 것을 촉구했다.[43][44]

세르비아군은 전쟁 말기에 병력 수가 크게 감소하여, 42만 명에서 10만 명 수준으로 줄었다. 세르비아 측 자료에 따르면, 전쟁으로 인해 110만 명의 인구 손실을 보았으며, 이 중 27만 5천 명은 군인, 45만 명은 민간인이었다. 민간인 사망의 주된 원인은 식량 부족과 스페인 독감과 같은 전염병이었다.[45] 전쟁 말에는 11만 4천 명의 장애 군인과 50만 명의 고아가 발생했다.[45]

7. 2. 전후 처리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면서 뇌이 조약에 따라 서트라키가 그리스에 할양되었고, 세르비아는 불가리아로부터 약간의 영토를 할양받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었고, 헝가리는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유고슬라비아와 루마니아에 많은 영토를 잃었다. 세르비아는 옛 동맹국인 몬테네그로와 함께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했다. 한편, 이탈리아는 알바니아에 준보호령을 설정했고, 그리스는 전쟁 중 알바니아의 중립에도 불구하고 현지 그리스 임시 정부 하에서 자치권을 행사하던 알바니아 남부 지역(북에피루스 자치 공화국 참조)을 재점령했다.

7. 3.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세르비아 민족 탄압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는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세르비아인에 대해 수많은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독일-스위스 범죄학자이자 관찰자인 아치볼드 라이스(R.A. Reiss)에 따르면, 이는 "절멸 시스템"이었다.[50][51][52] 전쟁 포로 처형 외에도 민간인들이 대량 학살과 강간을 당했다.[50][51][52] 마을과 도시가 불타고 약탈당했다.[50][51][52] 과일나무가 잘리고 우물에 독이 뿌려져, 오스트리아-헝가리 측은 세르비아인 주민들이 다시는 돌아오지 못하도록 했다.[50][51][52]

참조

[1] 서적 Wars and Population Moscow
[2] 서적 Only the Nails Remain: Scenes from the Balkan War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orporated
[3] 간행물 Disaster on the Drina: The Austro-Hungarian Army in Serbia, 1914 http://www.jstor.org[...] Sage Publications, Ltd. 2002
[4] 서적 History of Europe https://books.google[...] EDTECH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Yugoslav Peopl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Serbian Army, August 1914 http://www.vojska.ne[...]
[10] 뉴스 ''Судњи рат'' http://www.politika.[...] Политика 2008-09-14
[11] 뉴스 ''Највећа српска победа'' http://www.politika.[...] Политика 2008-09-14
[12] 웹사이트 Serbia https://encyclopedia[...] 2015
[13] 서적 The First World War Alfred A. Knopf 1998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Österreich-Ungarns letzter Krieg 1914 - 1918 Wienn
[18] 웹사이트 Die Entwicklung der öst.-ung. Wehrmacht in den ersten zwei Kriegsjahren http://digi.landesbi[...]
[19] 웹사이트 Österreich-Ungarns letzter Krieg 1914 -1918 http://digi.landesbi[...] Wienn
[20] 웹사이트 Österreich-Ungarns letzter Krieg 1914 - 1918 http://honsi.org/lit[...] Wienn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A peasant mob: The Serbian Army in the eve of the Great War
[24] 문서
[25] 서적 Armies in the Balkans 1914-18 https://archive.org/[...] Bloomsbury USA
[26] 문서 Österreich-Ungarns letzter Krieg 1914–1918 Wienn
[27] 문서
[28] 서적 Pyrrhic Victo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9] 웹사이트 The Battle of Dobro Polje – The Forgotten Balkan Skirmish That Ended WW1 https://militaryhist[...] 2020-10-12
[30] 웹사이트 The Germans Could no Longer Keep up the Fight https://historycolle[...] 2017-02-22
[31] 웹사이트 The Balkan Front of the World War (in Russian) http://militera.lib.[...] militera.lib.ru
[32] 서적 La Serbie: du martyre à la victoire, 1914-1918 https://books.google[...] 14-18 Éditions
[33] 웹사이트 Serbia in 1914 http://www.spartacus[...]
[34] 뉴스 $1,600,000 was raised for the Red Cross https://timesmachine[...] 1915-10-29
[35] 웹사이트 The Minor Powers During World War One - Serbia https://www.firstwor[...]
[36] 웹사이트 Serbian army, August 1914 http://www.vojska.ne[...]
[37] 웹사이트 Политика Online http://www.politika.[...]
[38] 웹사이트 Тема недеље: Највећа српска победа: Сви српски тријумфи: ПОЛИТИКА http://www.politika.[...]
[39] 웹사이트 Fourth of Serbia's population dead. https://web.archive.[...] 2017-07-07
[40] 웹사이트 Asserts Serbians face extinction https://timesmachine[...]
[41] 웹사이트 The Pomor of Serb POWs and Civilians in Austro-Hungarian camps during WWI 1914-1918, SUMMED NUMBERS https://booksofjerem[...] 2014
[42] 웹사이트 Serbia restored https://timesmachine[...]
[43] 뉴스 Serbia and Austria https://timesmachine[...] 1918-07-28
[44] 뉴스 Appeals to Americans to pray for Serbians https://timesmachine[...] 1918-07-27
[45]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46] 서적 Yugoslavia's Bloody Collapse: Causes, Course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13-09-07
[47] 서적 Sarajevo: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8] 서적 Beginning the twentieth century: a history of the generation that made the war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mpany, Inc.
[49] 서적 Yugoslavia's Bloody Collapse: Causes, Course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1995-01
[50] 간행물 How Austria-Hungary waged war in Serbia (1915) https://archive.org/[...]
[51] 웹사이트 Augenzeugen. Der Krieg gegen Zivilisten. Fotografien aus dem Ersten Weltkrieg http://www.kakanien.[...]
[52] 웹사이트 Executions, various http://www.ww1-propa[...]
[53] 서적 1914/1918, Léta zkázy a naděje Panorama
[54] 문서 Österreich-Ungarns letzter Krieg — Wien: Verlag der Militärwissenschaftlichen Mitteilungen, 1930. — Vol. 1. pg. 759. This is the total number of soldiers who served on the Balkans until the middle of December 1914.
[55] 웹사이트 http://www.vojska.ne[...]
[56] 문서 Thomas & Babac. "Armies in the Balkans 1914–1918" pg.12
[57]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Военна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от древността до наши дни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