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인트캐서린스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인트캐서린스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세인트캐서린스에 위치한 기차역이다. 1853년 그랜드 웨스턴 철도에 의해 처음 건설되었으며, 이후 그랜드 트렁크 철도, 캐나다 내셔널 철도를 거쳐 1986년 VIA 철도에 인수되었다. 현재 GO 트랜싯의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 열차와 VIA 철도/암트랙의 메이플 리프 열차가 운행하며, 주변 지역으로 연결되는 버스 노선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VIA 철도 - 나이아가라폴스역 (온타리오주)
    나이아가라폴스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나이아가라폴스에 위치하며, GO 트랜싯, VIA 철도, 암트랙 열차가 운행하고 나이아가라폴스 버스 터미널과 인접해 다양한 버스 노선과 연계되며, 19세기 중반에 건설된 고딕 복고양식의 무인역이다.
  • VIA 철도 - 오크빌역
    오크빌역은 1854년 개장한 철도역으로, 현재 GO 트랜싯, VIA 철도, 암트랙 열차가 정차하며, 2009년 역사가 교체되고 2012년 재단장을 거쳐 교통 허브 및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 키치너역
    키치너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키치너에 위치한 기차역으로, 다양한 철도 회사와 연결되어 VIA 철도,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 및 버스 노선이 운행하며, 2027년 키치너 센트럴역으로의 이전을 추진한다.
  •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 해밀턴 GO 센터
    해밀턴 GO 센터는 1933년 해밀턴 역으로 개장한 아르 데코 양식의 건물로, 1996년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와 버스 서비스를 통합하여 재개장한 철도 및 버스 터미널이다.
  • 1917년 개업한 철도역 - 서빙고역
    서빙고역은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1917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1978년 수도권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대사관 등이 있다.
  • 1917년 개업한 철도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세인트캐서린스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역 이름세인트캐서린스
역 종류VIA 레일
주소온타리오주 세인트캐서린스 그레이트 웨스턴 스트리트 5번지
좌표43° 08′ 52″ N 79° 15′ 23″ W
노선캐나다 환승 세인트캐서린스 환승
구조무인 역사
승강장1면 섬식 승강장
선로 수2
주차장있음
자전거 보관소지붕 있는 자전거 거치대
개업1917년
재건축1988년, 1994년
접근성가능
코드SCA
SCTH
SCAT
구역83 (GO 트랜짓)
승객 수15명/일
승객 수 (GO 트랜짓)2019년 4월~7월
승객 수 변화율-7.3%
서비스
VIA 레일이전 역: 그림스비
다음 역: 나이아가라폴스
GO 트랜짓 (급행)이전 역: 웨스트 하버
다음 역: 나이아가라폴스
이전 행선지: 토론토
다음 행선지: 나이아가라폴스
GO 트랜짓 (나이아가라 지선)이전 역: 올더숏역
다음 역: 나이아가라폴스
이전 행선지: 토론토
다음 행선지: 나이아가라폴스
이전 서비스
캐나다 내셔널 철도 (나이아가라폴스-토론토)이전 역: 조던
다음 역: 메리턴
이전 행선지: 토론토
다음 행선지: 서스펜션 브리지
기타 정보
문화유산 지정지정 기관: VIA 레일 역
지정 날짜: 1994년
지정 번호: 4625

2. 역사

그랜드 웨스턴 철도 (GWR)가 1853년에 윈저나이아가라폴스를 잇는 철도를 건설하면서 세인트캐서린스에 처음으로 역이 지어졌다. 지역 주민들은 역사가 시내에 지어지길 바랐지만, 웰랜드 운하의 폭이 깊어 시내에 역을 짓기 어려웠다. 이에 GWR은 운하 남쪽 웨스턴힐 지역에 철도역을 건설하였다.[7] 해밀턴과 미국 국경 사이 철도 구간은 1853년 11월 1일에 개통되었고, 이듬해 1월에는 윈저와 나이아가라폴스를 잇는 열차가 운행을 시작하였다.[8]

세인트캐서린스는 철도 요충지는 아니었지만, 역은 승객과 화물로 분주하였다. 철도는 당시 주요 화물 운송 수단이었기 때문에 세인트캐서린스의 경제 성장에 기여하였다.[7] 또한, 캐나다와 미국을 오가는 여객철도가 정차하여 온천 등 관광지로 가는 행락객들이 많이 이용하였다.[7] 세인트캐서린스에 철도가 개통하면서 도시 내외를 오가는 트램도 같이 개통하여 나이아가라반도의 철도 교통이 확충되었다.[7]

1917년, GWR은 그랜드 트렁크 (GTR)에 인수되었고, 역 건물은 벽돌 건물로 교체되었다. 부르고인 철교를 따라 세인트캐서린스 시내로 이어지는 지선 철도가 건설되어 철도역 접근성이 개선되었다.[7]

역 건물은 당시 GTR과 CN의 철도역 건축 양식과 비슷하게 지어졌다. 파빌리온이 중앙에 있고 폭이 넓고 높은 프랑스식 저택 문인 포르트 코셰르, 별도의 급행 건물과 이를 잇는 한 줄의 차양막으로 이루어졌다.[7] GTR은 1921년에 CN으로 인수되었다.[7] 1917년에 건설되어 1923년에 CN 철도에 인수되어 여객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었다.[3] 이 역은 이 부지에 세워진 세 번째 역으로, 처음에는 1853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 의해, 그 다음은 1898년 그랜드 트렁크에 의해 세워졌다.[3]

세인트캐서린스 VIA 철도역


그랜드 트렁크 철도 (GTR)가 1921년에 CN 철도로 인수되고, 1986년에는 역 소유주가 VIA 철도로 이관되었다.[7] 1988년과 1994년에 보수 공사를 거쳤지만, 구조의 외관은 바뀌지 않았다.[3] 2012년에는 역무원이 더 이상 상주하지 않게 되면서 매표소가 자동 발권기로 대체되었다.[7][4]

2. 1. 초기 역사 (1853년 ~ 1917년)

그랜드 웨스턴 철도 (GWR)가 1853년에 윈저나이아가라폴스를 잇는 철도를 건설하면서 세인트캐서린스에 처음으로 역이 지어졌다.[7] 지역 주민들은 역사가 시내에 지어지길 바랐지만, 철도사 입장에서는 웰랜드 운하의 폭이 깊어 시내에 역을 짓기 곤란하였다. GWR은 운하 남쪽의 웨스턴힐 지역에 역을 건설하였다.[7] 해밀턴과 미국 국경 사이 철도 구간은 1853년 11월 1일에 개통하였고, 이듬해 1월에는 윈저와 나이아가라폴스를 잇는 열차가 운행을 개시하였다.[8]

세인트캐서린스는 철도 요충지는 아니였지만, 역은 승객과 화물로 분주하였다. 철도는 당시 주요 화물 운송 수단이었기 때문에 세인트캐서린스의 경제 성장에 기여하였다.[7] 또한 캐나다와 미국을 오가는 여객철도가 정차하여 온천 등 관광지로 가는 행락객들이 많이 이용하였다.[7] 세인트캐서린스에 철도가 개통하면서 도시 내외를 오가는 트램도 같이 개통하여 세인트캐서린스와 나이아가라반도의 철도 교통이 확충되었다.[7]

1917년, GWR은 그랜드 트렁크 (GTR)에 인수되었고, 역 건물은 벽돌 건물로 교체되었다. 이와 동시에 부르고인 철교를 따라 세인트캐서린스 시내로 이어지는 지선 철도가 지어져 철도역 접근성이 개선되었다.[7]

역 건물은 당시 GTR과 CN의 철도역 건축 양식과 비슷했다. 파빌리온이 중앙에 있고 폭이 넓고 높은 프랑스식 저택 문인 포르트 코셰르, 별도의 급행 건물과 이를 잇는 한 줄의 차양막으로 이루어졌다.[7] 1917년에 건설된 이 역은 1923년에 CN 철도에 인수되어 여객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었다. 1986년에는 VIA 철도가 소유권을 획득했다.[3] 이 역은 해당 부지에 세워진 세 번째 역으로, 처음에는 1853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 의해, 그 다음은 1898년 그랜드 트렁크에 의해 세워졌다.[3] 1988년과 1994년에 개조되었지만, 구조의 외관은 바뀌지 않았다.[3]

2. 2. 그랜드 트렁크 철도 시대 (1917년 ~ 1923년)

그랜드 웨스턴 철도 (GWR)가 1853년에 윈저나이아가라폴스를 잇는 철도를 지으면서 세인트캐서린스에 처음으로 역이 건설되었다.[7] 역 건설 당시 지역 주민들은 역사가 시내에 지어지길 바랐지만, 철도사 입장에서는 웰랜드 운하의 폭이 너무 깊었던 관계로 시내에 역을 짓기에는 곤란하였다. GWR은 시내 대신 운하 남쪽으로 시내와 떨어져있는 웨스턴힐 지역에 철도역을 건설하였다.[7] 해밀턴과 미국 국경 사이 철도 구간은 1853년 11월 1일에 개통하였고, 이듬해 1월에는 윈저와 나이아가라폴스를 잇는 열차가 운행을 개시하였다.[8]

세인트캐서린스는 해밀턴이나 토론토처럼 철도 요충지는 아니였지만 역은 승객과 화물로 분주하였다. 철도가 당시 화물을 실어나르는 주요 교통수단이였기 때문에 세인트캐서린스의 경제 성장에도 적지 않게 기여하였다.[7] 이 역은 또한 캐나다와 미국을 오가는 여객철도가 정차하여 온천 등 각종 관광지로 가는 행락객들이 많이 이용하였다.[7] 세인트캐서린스에 철도가 개통하면서 도시 내외를 오가는 트램도 같이 개통하여 세인트캐서린스와 나이아가라반도의 철도 교통이 확충되었다.[7]

1917년, GWR은 그랜드 트렁크 (GTR)에 인수되었고 꾸준한 수요가 예상되면서 역 건물은 벽돌 건물로 교체되었다. 이와 동시에 부르고인 철교를 따라 세인트캐서린스 시내로 이어지는 지선 철도가 지어졌는데, 시내로 이어지는 철도가 지어지면서 철도역 접근성이 더욱 개선되었다.[7]

역 건물은 당시 GTR과 CN의 철도역 건축 양식과 비슷했다. 파빌리온이 중앙에 있고 폭이 넓고 높은 프랑스식 저택 문인 포르트 코셰르, 별도의 급행 건물과 이를 잇는 한 줄의 차양막으로 이루어졌다.[7] 1917년에 건설되어 1923년에 CN 철도에 인수되어 여객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었다.[3] 1917년 비슷한 시기에 뉴햄프셔 주 베를린 그랜드 트렁크 역에도 비슷한 역이 건설되었다.

2. 3. 캐나다 내셔널 철도 시대 (1923년 ~ 1986년)

그랜드 웨스턴 철도 (GWR)가 1853년에 윈저나이아가라폴스를 잇는 철도를 건설하면서 세인트캐서린스에 처음으로 역이 지어졌다. 지역 주민들은 역사가 시내에 지어지길 바랐지만, 웰랜드 운하의 폭이 깊어 시내에 역을 짓기 어려웠다. 이에 GWR은 운하 남쪽 웨스턴힐 지역에 철도역을 건설하였다.[7] 해밀턴과 미국 국경 사이 철도 구간은 1853년 11월 1일에 개통되었고, 이듬해 1월에는 윈저와 나이아가라폴스를 잇는 열차가 운행을 시작하였다.[8]

세인트캐서린스는 철도 요충지는 아니었지만, 역은 승객과 화물로 분주하였다. 철도는 당시 주요 화물 운송 수단이었기 때문에 세인트캐서린스의 경제 성장에 기여하였다.[7] 또한, 캐나다와 미국을 오가는 여객철도가 정차하여 온천 등 관광지로 가는 행락객들이 많이 이용하였다.[7] 세인트캐서린스에 철도가 개통하면서 도시 내외를 오가는 트램도 같이 개통하여 나이아가라반도의 철도 교통이 확충되었다.[7]

1917년, GWR은 그랜드 트렁크 (GTR)에 인수되었고, 역 건물은 벽돌 건물로 교체되었다. 부르고인 철교를 따라 세인트캐서린스 시내로 이어지는 지선 철도가 건설되어 철도역 접근성이 개선되었다.[7]

역 건물은 당시 GTR과 CN의 철도역 건축 양식과 비슷하게 지어졌다. 파빌리온이 중앙에 있고 폭이 넓고 높은 프랑스식 저택 문인 포르트 코셰르, 별도의 급행 건물과 이를 잇는 한 줄의 차양막으로 이루어졌다.[7] GTR은 1921년에 CN으로 인수되었다.[7] 1917년에 건설되어 1923년에 CN 철도에 인수되어 여객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었다.[3] 이 역은 이 부지에 세워진 세 번째 역으로, 처음에는 1853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 의해, 그 다음은 1898년 그랜드 트렁크에 의해 세워졌다.[3]

2. 4. VIA 철도 시대 (1986년 ~ 현재)

그랜드 트렁크 철도 (GTR)가 1921년에 CN 철도로 인수되고, 1986년에는 역 소유주가 VIA 철도로 이관되었다.[7] 1988년과 1994년에 보수 공사를 거쳤지만, 구조의 외관은 바뀌지 않았다.[3] 2012년에는 역무원이 더 이상 상주하지 않게 되면서 매표소가 자동 발권기로 대체되었다.[7][4]

3. 위치 및 구조

세인트캐서린스역은 세인트캐서린스 서쪽에 있는 웨스턴힐 지역에 위치해있다. 선로 상으로는 캐나다 내셔널 철도 (CN) 그림스비선 그림스비역나이아가라폴스역 사이 19km 지점에 위치해있다.[6] 그림스비선은 나이아가라폴스에 다다르기 직전에 웰랜드 운하를 건너며, 운하가 개방할 때 교량도 같이 열리기 때문에 배가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열차가 운하 앞에서 대기해야 한다.[6] 또한 역 동쪽으로 트릴리움 철도 지선이 분기하여 CN 그림스비선과 캐나다 태평양 철도 (CP) 해밀턴선을 잇는다.

4. 시설

이 역은 직원이 상주하지 않는 무인역이다. 이 역에서 VIA 철도 표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역에 있는 자동판매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GO 트랜싯 승객들도 자동판매기를 통해 표를 구매하고 프레스토 카드를 충전할 수 있다.[9]

이 역에는 대합실, 공중전화, 자전거 거치대가 있으며, 역 출입구와 승강장을 포함한 모든 곳은 휠체어 및 교통약자 승객이 이용할 수 있다.[9] VIA 철도 승객 중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탑승 48시간 전에 사전 예약해야 한다.[10]

5. 운행 계통

세인트캐서린스역에는 토론토 유니언역나이아가라폴스역 사이를 운행하는 GO 트랜싯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열차가 정차한다. 이 열차는 평일 아침에 토론토 방면으로 1회, 저녁에 나이아가라폴스 방면으로 1회 정차하며, 토론토와 나이아가라폴스 사이 모든 역에 정차한다.[11] 빅토리아의 날부터 추수감사절까지 주말과 공휴일에는 이 열차가 급행으로 토론토 방면으로 3회, 나이아가라폴스 방면으로 3회 정차한다.[12]

2024년 5월 현재, GO 트랜짓은 토론토와 나이아가라 폭포 간 레이크쇼어 웨스트 광역 철도 노선에서 매일 3회 왕복 운행한다.[5]

세인트캐서린스역에 열차가 자주 정차하지 않는 만큼 평일에는 18K번 버스가 올더숏역브록 대학교 사이를 운행한다.[11] 주말에는 버스가 정차하지 않으며, 나이아가라폴스역과 벌링턴역, 던다스 환승 주차장을 잇는 12번 버스가 세인트캐서린스의 페어뷰 몰에 정차한다.[13]

평일에는 GO 트랜짓 버스 11번 노선이 세인트캐서린스역과 해밀턴 웨스트 하버, 해밀턴 센터, 앨더샷 역을 연결하며, 브로크 대학교도 운행한다.[5]

비아 레일앰트랙은 토론토와 뉴욕 시를 잇는 메이플 리프 열차 노선에서 매일 1회 왕복 운행을 공동으로 운영한다. 이 열차는 2020년 3월에 코로나19 여파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2022년 6월 27일에 운행을 재개하였다.[14]

5. 1. GO 트랜싯

세인트캐서린스역에는 토론토 유니언역나이아가라폴스역 사이를 운행하는 GO 트랜싯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열차가 정차한다. 이 열차는 평일 아침에 토론토 방면으로 1회, 저녁에 나이아가라폴스 방면으로 1회 정차하며, 토론토와 나이아가라폴스 사이 모든 역에 정차한다.[11] 빅토리아의 날부터 추수감사절까지 주말과 공휴일에는 이 열차가 급행으로 토론토 방면으로 3회, 나이아가라폴스 방면으로 3회 정차한다.[12]

2024년 5월 현재, GO 트랜싯은 토론토와 나이아가라 폭포 간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 광역 철도 노선에서 매일 3회 왕복 운행한다.[5]

세인트캐서린스역에 열차가 자주 정차하지 않는 만큼 평일에는 18K번 버스가 올더숏역브록 대학교 사이를 운행한다.[11] 주말에는 버스가 정차하지 않으며, 나이아가라폴스역과 벌링턴역, 던다스 환승 주차장을 잇는 12번 버스가 세인트캐서린스의 페어뷰 몰에 정차한다.[13]

평일에는 GO 트랜짓 버스 11번 노선이 세인트캐서린스역과 해밀턴 웨스트 하버, 해밀턴 센터, 앨더샷 역을 연결하며, 브로크 대학교도 운행한다.[5]

노선종점경유지기준일비고
18K레이크쇼어 웨스트Lakeshore West브록 대학교올더숏역2023년 6월 24일[15]



비아 레일암트랙이 공동으로 운행하는 토론토-뉴욕 간 메이플 리프 열차는 2020년 3월에 코로나19 여파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2022년 6월 27일에 운행을 재개하였다.[14]

5. 2. VIA 철도/암트랙

토론토 유니언역나이아가라폴스역 사이를 운행하는 GO 트랜싯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열차가 세인트캐서린스역에 정차한다. 이 열차는 평일 아침에 토론토 방면으로 1회, 저녁에 나이아가라폴스 방면으로 1회 정차하며, 토론토와 나이아가라폴스 사이 모든 역에 정차한다.[11] 빅토리아의 날부터 추수감사절까지 주말과 공휴일에는 이 열차가 급행으로 토론토 방면으로 3회, 나이아가라폴스 방면으로 3회 정차한다.[12] 2024년 5월 현재, GO 트랜짓은 토론토와 나이아가라 폭포 간 레이크쇼어 웨스트 광역 철도 노선에서 매일 3회 왕복 운행한다.[5]

세인트캐서린스역에 열차가 자주 정차하지 않는 만큼 평일에는 18K번 버스가 올더숏역브록 대학교 사이를 운행한다.[11] 주말에는 버스가 정차하지 않으며, 나이아가라폴스역과 벌링턴역, 던다스 환승 주차장을 잇는 12번 버스가 세인트캐서린스의 페어뷰 몰에 정차한다.[13] 평일에는 GO 트랜짓 버스 11번 노선이 세인트캐서린스역과 해밀턴 웨스트 하버, 해밀턴 센터, 앨더샷 역을 연결하며, 브로크 대학교도 운행한다.[5]

비아 레일앰트랙은 토론토와 뉴욕 시를 잇는 메이플 리프 열차 노선에서 매일 1회 왕복 운행을 공동으로 운영한다. 이 열차는 2020년 3월에 코로나19 여파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2022년 6월 27일에 운행을 재개하였다.[14]

6. 버스 연결편

세인트캐서린스역에 정차하는 버스는 다음과 같다. 세인트캐서린스 시내버스와 GO 트랜싯 간 별도의 환승 할인은 아직까지 없으며 환승 시 별도 요금이 부과된다.

2024년 5월 현재, GO 트랜짓은 토론토와 나이아가라 폭포 간 레이크쇼어 웨스트 광역 철도 노선에서 매일 3회 왕복 운행한다.[5]

평일에는 GO 트랜싯 버스 11번 노선이 세인트캐서린스역과 해밀턴 웨스트 하버, 해밀턴 센터, 앨더샷 역을 연결하며, 브로크 대학교도 운행한다.[5]

비아 레일과 앰트랙은 토론토와 뉴욕 시를 잇는 메이플 리프 열차 노선에서 매일 1회 왕복 운행을 공동으로 운영한다.

6. 1. GO 트랜싯

2024년 5월 현재, GO 트랜짓은 토론토와 나이아가라 폭포 간 레이크쇼어 웨스트 광역 철도 노선에서 매일 3회 왕복 운행한다.

평일에는 GO 트랜싯 버스 18K번 노선이 세인트캐서린스역과 해밀턴 웨스트 하버, 해밀턴 센터, 앨더샷 역을 연결하며, 브로크 대학교도 운행한다.

세인트캐서린스역에 정차하는 버스는 다음과 같다. 세인트캐서린스 시내버스와 GO 트랜싯 간 별도의 환승 할인은 아직까지 없으며 환승 시 별도 요금이 부과된다.

노선종점경유지기준일비고
18K레이크쇼어 웨스트Lakeshore West브록 대학교올더숏역2023년 6월 24일



비아 레일과 앰트랙은 토론토와 뉴욕 시를 잇는 메이플 리프 열차 노선에서 매일 1회 왕복 운행을 공동으로 운영한다.

6. 2. 세인트캐서린스 교통

세인트캐서린스역에 정차하는 버스는 다음과 같다. 세인트캐서린스 시내버스와 GO 트랜싯 간 별도의 환승 할인은 아직까지 없으며 환승 시 별도 요금이 부과된다.

  • 303번: 펠햄 로드 (평일 운행, 세인트폴가에서 탑승)
  • 315번: 웨스트세인트캐서린스 (평일 운행, 세인트폴가에서 탑승)
  • 415번: 웨스트세인트캐서린스 (평일 저녁, 주말 및 공휴일 운행, 세인트폴가에서 탑승)
  • 438번: GO 트랜싯 셔틀 (주말 및 공휴일 운행, 그레이트웨스턴가에서 탑승): 세인트캐서린스 시내와 기차역 사이 운행

2024년 5월 현재, GO 트랜짓은 토론토나이아가라 폭포 간 레이크쇼어 웨스트 선 광역 철도 노선에서 매일 3회 왕복 운행한다.[5]

평일에는 GO 트랜짓 버스 11번 노선이 세인트캐서린스역과 해밀턴 웨스트 하버, 해밀턴 센터, 앨더샷 역을 연결하며, 브로크 대학교도 운행한다.[5]

비아 레일과 앰트랙은 토론토뉴욕 시를 잇는 메이플 리프 열차 노선에서 매일 1회 왕복 운행을 공동으로 운영한다.

7. 인접 정차역

wikitable



CN 그림스비선을 따라 GO 트랜싯레이크쇼어 웨스트선 열차가 운행되며, 2024년 5월 현재 토론토나이아가라 폭포 간 매일 3회 왕복 운행한다.[5] 평일에는 GO 트랜싯 버스 11번 노선이 세인트캐서린스역과 해밀턴 웨스트 하버, 해밀턴 센터, 앨더샷 역을 연결하며, 브로크 대학교도 운행한다.[5]

비아 레일암트랙메이플 리프 열차 노선을 공동으로 운영하며, 토론토뉴욕 시를 잇는 열차가 매일 1회 왕복 운행한다.[14]

7. 1. GO 트랜싯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CN 그림스비선을 따라 GO 트랜싯레이크쇼어 웨스트선 열차가 운행되며, 2024년 5월 현재 토론토와 나이아가라 폭포 간 매일 3회 왕복 운행한다.[5] 평일에는 GO 트랜싯 버스 11번 노선이 세인트캐서린스역과 해밀턴 웨스트 하버, 해밀턴 센터, 앨더샷 역을 연결하며, 브로크 대학교도 운행한다.[5]

비아 레일암트랙메이플 리프 열차 노선을 공동으로 운영하며, 토론토와 뉴욕 시를 잇는 열차가 매일 1회 왕복 운행한다.[14]

7. 2. VIA 철도/암트랙 메이플 리프

VIA 철도암트랙토론토뉴욕 시를 잇는 메이플 리프 열차 노선에서 매일 1회 왕복 운행을 공동으로 운영한다.[14]

참조

[1] 웹사이트 Metrolinx releases updated GO Transit ridership map – System sees almost five per cent bump in GO train boardings https://blog.metroli[...] Metrolinx 2019-10-01
[2] 웹사이트 The Directory of Designated Heritage Railway Stations in Ontario https://www.pc.gc.ca[...] Parks Canada 2017-10-06
[3] 웹사이트 St. Catharines, Ontario http://cnr-in-ontari[...] Historic Sites and Monuments Board of Canada 2012-02-01
[4] 뉴스 Last commuter train to St. Catharines http://www.stcathari[...] St. Catharines Standard
[5] 웹사이트 Niagara Falls/Toronto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assets.metro[...] 2024-05-07
[6] 웹인용 Welland Canal Canadian National Railway Bridge https://historicbrid[...] 2012-12-25
[7] 웹인용 History from Here: St. Catharines Train Station https://historicbrid[...] 2022-05-12
[8] 뉴스 Yesterday and Today: The first St. Catharines train station? https://www.stcathar[...] 2022-05-12
[9] 웹인용 St. Catharines GO https://www.gotransi[...] 2022-05-12
[10] 웹인용 St. Catharines train station https://www.viarail.[...] 2022-05-12
[11] 웹인용 Lakeshore West: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www.gotransi[...] 2022-05-12
[12] 웹인용 Metrolinx bringing back more GO and UP Express service – plus Niagara Falls seasonal trips https://blog.metroli[...] 2022-05-12
[13] 웹인용 Niagara Falls / Toronto: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www.gotransi[...] 2022-05-12
[14] 웹인용 AMTRAK SERVICE UPDATES, EFFECTIVE MAY 23, 2022 https://www.railpass[...] 2022-05-12
[15] 웹인용 Milton : GO Train and Bus Schedule https://assets.metro[...] GO 트랜싯 2023-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