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속리산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리산 지진은 대한민국 속리산 일대에서 발생한 지진을 의미한다.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속리산 지진 발생 지역에서 발생한 393개의 지진을 분석한 결과, 지진은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분포하며 깊이는 18~20 km 범위에 집중되어 있다. 규모 1.3 이상 지진 18개의 단층면해를 비교한 결과, 모두 서북서-동남동 및 북북동-남남서의 주향을 갖는 수평 이동 단층이었다.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지하 단층이 이 지역의 미소지진 활동에 대한 주 원인 단층으로 밝혀졌지만, 현재 미소지진 현황만으로는 1978년 속리산 지진 발생 위치를 특정하기는 어렵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지진 - 1978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1978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1978년 6월 12일 일본 혼슈 북동부 해역에서 발생하여 사망자 28명, 부상자 1325명, 가옥 전파 1183건의 피해를 발생시켰으며, 도시 기능 마비와 건축 기준법 개정의 계기가 되었다.
  • 1978년 지진 - 홍성 지진
    홍성 지진은 1978년 홍성읍 일대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으로, 얕은 진원으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했고, 이후 지질학적 연구와 내진 설계 도입의 계기가 되었다.
  • 1978년 9월 - 캠프 데이비드 협정
    캠프 데이비드 협정은 1978년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주도하에 이집트와 이스라엘이 체결한 중동 평화 협정으로, 중동 평화 체제 구축과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체결을 목표로 했으나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 미흡으로 논란을 낳았다.
  • 1978년 9월 - 검은 금요일 (1978년)
    검은 금요일은 1978년 9월 8일 이란 테헤란에서 이란군이 시위대에 발포하여 다수의 사상자를 낸 사건으로, 이란 혁명의 분기점이 되었다.
  • 1978년 대한민국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은 1978년 소련 영공을 침범한 대한항공 여객기가 소련 전투기에 격추되어 사상자가 발생하고 기체가 비상 착륙한 사건이다.
  • 1978년 대한민국 - 1978년 미스코리아
    1978년 미스코리아 대회에서는 손정은이 진, 채정숙과 박경애가 선, 김은희, 제은진, 박숙재가 미로 선발되었다.
속리산 지진
지진 정보
속리산 지진의 발생 위치
속리산 지진의 발생 위치 (빨간 원)
개요
이름속리산 지진
날짜1978년 9월 16일
시간오전 2시 7분 5.8초
진앙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속리산 부근
깊이10km
규모 종류릭터 규모
규모5.2
규모 기타실체파 규모 Mb4.6-4.7
진도 종류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진도4
진도 지점충청북도 보은군
지진 해일없음
피해 지역대한민국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경상북도
추가 정보
참고 자료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8ea71a9322f3f767ffe0bdc3ef48d419&outLink=K

2. 지진 발생

1978년 9월 16일 오전 2시 7분 44초(KST),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 부근에서 지진이 발생하였다.

2. 1. 지진 규모 및 진도

진도지역
4보은
3남한 대부분 지역
2수원, 서산, 여수, 울산


2. 1. 1. 일본 기상청 진도 (JMA)

진도지역
4보은
3남한 대부분 지역
2수원, 서산, 여수, 울산


3. 최근 연구 동향

2007년부터 2021년까지 1978년 속리산 지진 발생 지역 일대에서 발생한 미소지진에 대한 정밀 분석 연구가 진행되었다.[5]

3. 1. 원인 단층 분석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속리산 지진이 발생한 지역 일대에서 발생한 393개의 지진을 정밀 분석한 결과, 지진의 분포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을 보이며, 깊이는 18~20 km 범위에 집중되었다. 규모 1.3 이상 지진 18개의 단층면해를 비교한 결과, 모두 서북서-동남동 및 북북동-남남서의 주향을 갖는 수평 이동 단층이었다.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지하 단층이 이 지역의 미소지진 활동에 대한 주 원인단층임이 밝혀졌으나, 현재 발생하고 있는 미소지진 현황만으로 1978년 속리산 지진 발생 위치를 특정하기는 어렵다.[5]

3. 2. 1978년 지진과의 연관성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속리산 지진이 발생한 지역 일대에서 발생한 393개의 지진을 정밀 분석한 결과, 지진의 분포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을 보이며, 깊이는 18~20 km 범위에 집중되어 있다. 규모 1.3 이상 지진 18개의 단층면해를 비교한 결과, 모두 서북서-동남동 및 북북동-남남서의 주향을 갖는 수평 이동 단층이었다.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지하 단층이 이 지역의 미소지진 활동에 대한 주 원인단층임이 밝혀졌으나 현재 발생하고 있는 미소지진 현황만으로 1978년 속리산 지진 발생 위치를 특정하기는 어렵다.[5]

참조

[1] 웹사이트 "36.60 N 127.90 E 경북 상주시 북서쪽 32km 지역" https://www.weather.[...] 기상청
[2] 보도자료 1978-2000 지진관측보고 http://www.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2001-03
[3] 웹인용 676787 South Korea http://isc-mirror.ir[...]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2018-12-08
[4] 웹인용 2012~2020년 속리산 일대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원 요소 분석 http://www.riss.kr/s[...] 한국교원대학교 2021
[5] 저널 Microearthquakes in the Mt. Songnisan area Using temporary seismic network data and their implications to the 1978 ML 5.2 earthquake (임시 지진관측망 자료를 활용한 속리산 지역 미소지진 분석 결과와 1978년 규모 5.2 지진의 연관성 분석) https://www.dbpia.co[...] 202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