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은군은 충청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와산성으로 불리다가 신라 시대 삼년산군으로 개칭되었고, 조선 시대 보은현으로 불렸다. 1406년 태종이 법주사에서 마음의 위안을 얻어 '보은'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현재는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청은 보은읍에 있다. 주요 산으로는 속리산, 구병산, 금적산이 있으며, 속리산을 중심으로 자연 및 전통 문화 자원이 발달했다. 보은대추축제, 속리산단풍가요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리며, 자매 도시로 서울특별시 광진구, 캐나다 클레어런스-락랜드, 일본 미야자키 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은군 - 보은군의 농어촌버스
보은군 농어촌버스는 충청북도 보은군 읍·면 지역을 운행하는 대중교통으로, 2024년 11월 23일 기준 일반, 청소년, 어린이 운임이 각각 다르게 적용되며, 다양한 번호대의 노선이 보은읍을 기점으로 각 면 지역과 청주시까지 운행한다. - 보은군 - 비룡저수지
비룡저수지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저수지로, 유역 면적은 3,852ha, 저수량은 6,333천m3이며, 흙댐 형식의 제방과 측수로식 물넘이를 갖추고 있다. - 충청북도의 군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군 - 괴산군
괴산군은 충청북도 중앙 만곡부에 위치한 산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현재의 모습이 갖춰졌으며,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의 산업과 유기농 농업이 발달했고, 괴산 올갱이 축제와 산막이옛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보은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호서 지방 |
행정 구역 종류 | 군 |
로마자 표기 | Boeun-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Poŭn-gun |
방언 | 충청 |
면적 | 584.26 km² |
인구 | 30,620 명 (2024년) |
인구 밀도 | 52 명/km² |
하위 행정 구역 | 1 읍, 10 면 |
군수 | 최재형 |
상징 | |
군목 | 대추나무 |
군화 | 개나리 |
군조 | 까치 |
행정 | |
군청 소재지 | 보은읍 군청길 38 (이평리 45) |
웹사이트 | 보은군청 공식 웹사이트 |
기타 | |
국회의원 | 박덕흠(국민의힘, 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 |
2. 역사
보은의 처음 이름은 와산성(蛙山城)이었다. 사벌국의 영역에 속해 있다가, 502년(지증왕 3년) 신라가 3년에 걸쳐서 산성을 쌓으면서 삼년산군이라 불렀다.[3] 757년(경덕왕 16년) 삼년군으로 칭해졌고, 고려 1018년(현종 9년) 상주목에 소속되었다.[3] 조선 1416년(태종 16년) 보은현으로 칭해졌으며,[3]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공주부 보은군,[23]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보은군으로 개편되었다.[24]
1914년 4월 1일 일제는 회인군과 충청남도 대전군(회덕군) 일부를 보은군에 병합하였다.[25] 이때 읍내면, 속리면, 마로면, 탄금면, 삼승면, 수한면, 회남면, 회북면, 내북면, 산외면이 설치되었다.
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보은군 | 읍내면, 산내면, 서니면의 일부, 사각면의 일부 | 읍내면 |
내북면, 주성면 | 내북면 | |
삼승면, 서니면의 일부 | 삼승면 | |
탄금면, 사각면의 일부 | 탄금면 | |
마로면, 왕래면 | 마로면 | |
산외면, 내북면의 일부 | 산외면 | |
회인군 | 읍내면, 서면 | 회북면 |
동면, 남면, 강외면 | 회남면 |
1917년 10월 1일 읍내면을 보은면으로 개칭하였다.
1946년 2월 1일 회북면의 염둔리, 법주리, 용수리, 상궁리가 내북면으로, 차정리가 수한면으로 편입되었다. 1947년 1월 31일 속리면을 내속리면과 외속리면으로 분리하였다.[26]
도령 제36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속리면 갈목리, 구병리, 대목리, 묘막리, 백현리, 북암리, 사내리, 삼가리, 상판리, 중판리, 하판리 | 내속리면 일원 |
속리면 봉비리, 불목리, 서원리, 오창리, 장내리, 장재리, 하개리, 황곡리 | 외속리면 일원 |
탄부면 구인리 |
1973년 7월 1일 보은면이 보은읍으로 승격되었다.[27] 1982년 2월 10일 군청 소재지를 보은읍 삼산리 130번지에서 보은읍 이평리 45번지로 이전하였다.
1983년 2월 15일 회북면 율산리가 수한면으로, 회북면 세촌리가 내북면으로 편입되었다.[28]
대통령령 제11027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회북면 율산리 | 수한면 일부 |
회북면 세촌리 | 내북면 일부 |
1987년 1월 1일 내북면 6개 리를 보은읍으로, 회남면 노성리를 수한면으로 편입하였고, 보은읍 누저리를 누청리로, 내속리면 묘막리를 만수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9][30]
대통령령 제12007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내북면 중초리, 산성리, 노티리, 용암리, 봉평리, 장속리 | 보은읍 일부 |
회남면 노성리 | 수한면 일부 |
군조례 제900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보은읍 누저리 | 보은읍 누청리 |
내속리면 묘막리 | 내속리면 만수리 |
1989년 1월 1일 회남면 및 회북면 일부가 청원군 문의면으로 편입되었고,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일부가 삼승면 원남리로 편입되었다.[31]
대통령령 제12557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회남면 염티리 | 청원군 문의면 일부 |
회북면 마구리, 마동리, 묘암리 |
2007년 10월 1일 내속리면은 속리산면으로, 외속리면은 장안면으로, 회북면은 회인면으로 개칭되었다.[32]
군조례 제1902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내속리면 일원 | 속리산면 일원 |
내속리면 대목리 | 속리산면 도화리 |
외속리면 일원 | 장안면 일원 |
외속리면 하개리 | 장안면 개안리 |
산외면 산대리(山大里) | 산외면 산대리(山垈里) |
2014년 4월 1일 장안면 장내리(帳內里)를 장안리로,[33] 2019년 4월 1일 회남면 판장리(板藏里)를 광포리(廣浦里)로 개칭했다.[34]
'보은'(報恩)이라는 지명은 1406년 조선 태종이 법주사에서 의식을 치른 후 마음의 위안을 얻어 지은 이름이다.[3]
2. 1. 초기 역사
보은의 처음 이름은 와산성(蛙山城)이었다.[3] 사벌국의 영역에 속해 있다가, 502년(지증왕 3년) 신라가 3년에 걸쳐서 산성을 쌓으면서 삼년산군이라 불렀다.[3] 757년(경덕왕 16년) 삼년군으로 칭해졌고, 고려 1018년(현종 9년) 상주목에 소속되었다.[3] 조선 1416년(태종 16년) 보은현으로 칭해졌으며,[3]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공주부 보은군,[23]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보은군으로 개편되었다.[24]1914년 4월 1일 일제는 회인군과 충청남도 대전군(회덕군) 일부를 보은군에 병합하였다.[25] 이때 읍내면, 속리면, 마로면, 탄금면, 삼승면, 수한면, 회남면, 회북면, 내북면, 산외면이 설치되었다. 1917년 10월 1일 읍내면을 보은면으로 개칭하였다.
1946년 2월 1일 회북면의 염둔리, 법주리, 용수리, 상궁리가 내북면으로, 차정리가 수한면으로 편입되었다. 1947년 1월 31일 속리면을 내속리면과 외속리면으로 분리하였다.[26] 1973년 7월 1일 보은면이 보은읍으로 승격되었다.[27] 1982년 2월 10일 군청 소재지를 보은읍 삼산리 130번지에서 보은읍 이평리 45번지로 이전하였다.
1983년 2월 15일 회북면 율산리가 수한면으로, 회북면 세촌리가 내북면으로 편입되었다.[28] 1987년 1월 1일 내북면 6개 리를 보은읍으로, 회남면 노성리를 수한면으로 편입하였고, 보은읍 누저리를 누청리로, 내속리면 묘막리를 만수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9][30]
1989년 1월 1일 회남면 및 회북면 일부가 청원군 문의면으로 편입되었고,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일부가 삼승면 원남리로 편입되었다.[31] 2007년 10월 1일 내속리면은 속리산면으로, 외속리면은 장안면으로, 회북면은 회인면으로 개칭되었다.[32]
2014년 4월 1일 장안면 장내리(帳內里)를 장안리로,[33] 2019년 4월 1일 회남면 판장리(板藏里)를 광포리(廣浦里)로 개칭했다.[34]
'보은'(報恩)이라는 지명은 1406년 조선 태종이 법주사에서 의식을 치른 후 마음의 위안을 얻어 지은 이름이다.[3]
2. 2. 근현대
보은의 처음 이름은 와산성(蛙山城)이었다. 502년(지증왕 3년) 신라가 3년에 걸쳐서 산성을 쌓았다고 해서 삼년산군이라 칭해졌으며, 757년(경덕왕 16년) 삼년군으로 칭해졌다. 고려 1018년(현종 9년) 상주목에 소속되었다가 조선 1416년(태종 16년) 보은현으로 칭해졌다.[3]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공주부 보은군으로,[23]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보은군으로 개편되었다.[24]1914년 4월 1일 회인군과 충청남도 대전군(회덕군) 일부를 병합하였다.[25] 이때, 읍내면·속리면·마로면·탄금면·삼승면·수한면·회남면·회북면·내북면·산외면의 10면이 설치되었고, 1917년 10월 1일 읍내면을 보은면으로 개칭하였다.
1946년 2월 1일 회북면의 염둔리·법주리·용수리·신궁리를 내북면으로, 차정리를 수한면으로 편입하였다. 1947년 1월 31일 속리면을 내속리면과 외속리면으로 분할하였다.[26] 1973년 7월 1일 보은면이 보은읍으로 승격되었고,[14][4] 1982년 2월 10일 군청 소재지를 보은읍 삼산리 130번지에서 보은읍 이평리 45번지로 이전하였다.
1983년 2월 15일 회북면 율산리가 수한면으로, 회북면 세촌리가 내북면으로 편입되었다.[28] 1987년 1월 1일 내북면 6개 리를 보은읍으로, 회남면 노성리를 수한면으로 편입하였고, 보은읍 누저리를 누청리로, 내속리면 묘막리를 만수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9][30]
1989년 1월 1일 회남면 및 회북면 일부가 청원군 문의면으로 편입되었고,[31]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일부가 삼승면 원남리로 편입되었다.[18] 2007년 10월 1일 내속리면은 속리산면으로, 외속리면은 장안면으로, 회북면은 회인면으로 개칭되었다.[32][5]
2014년 4월 1일 장안면 장내리(帳內里)를 장안리로 개칭했고,[33] 2019년 4월 1일 회남면 판장리(板藏里)를 광포리(廣浦里)로 개칭했다.[34]
3. 지리
보은군에 위치한 큰 산은 속리산, 구병산, 금적산이 두드러진다.[37] 이 산들은 각각 아버지산, 어머니산, 아들산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보은군청이 위치한 마을 이름 '삼산'은 여기에서 유래한다.[37]
보은군은 냉량하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최고 기온 기록 °C | 14.4 | 21.9 | 26.2 | 31.2 | 34.2 | 34.2 | 37.3 | 38.2 | 32.8 | 29.5 | 25.1 | 17.4 | 38.2 |
평균 최고 기온 °C | 3.2 | 6.0 | 11.9 | 18.8 | 23.8 | 27.1 | 28.9 | 29.5 | 25.4 | 20.1 | 12.8 | 5.3 | 17.7 |
평균 기온 °C | -2.9 | -0.6 | 4.8 | 11.2 | 16.7 | 21.1 | 24.0 | 24.3 | 19.1 | 12.2 | 5.6 | -1.0 | 11.2 |
평균 최저 기온 °C | -8.4 | -6.6 | -1.8 | 3.7 | 9.8 | 15.7 | 20.3 | 20.4 | 14.0 | 6.0 | -0.3 | -6.4 | 5.5 |
최저 기온 기록 °C | -25.4 | -21.9 | -18.3 | -7.4 | -1.2 | 4.6 | 10.4 | 9.4 | 0.8 | -7.0 | -12.3 | -20.4 | -25.4 |
강수량 mm | 23.4 | 33.0 | 47.5 | 82.2 | 92.8 | 156.4 | 306.0 | 296.6 | 137.4 | 56.6 | 45.2 | 28.2 | 1305.3 |
강수일수 (0.1 mm 이상) | 7.3 | 6.7 | 8.2 | 8.5 | 8.1 | 9.5 | 16.7 | 14.7 | 9.3 | 6.1 | 8.1 | 8.2 | |
강설일수 | 8.9 | 6.7 | 2.8 | 0.2 | 0.0 | 0.0 | 0.0 | 0.0 | 0.0 | 0.2 | 2.0 | 6.6 | 27.2 |
상대 습도 (%) | 66.6 | 63.1 | 59.9 | 58.2 | 62.8 | 69.2 | 76.8 | 77.4 | 76.7 | 73.9 | 70.5 | 68.9 | 68.7 |
일조시간 | 167.0 | 178.0 | 211.5 | 223.6 | 243.9 | 206.0 | 159.5 | 177.4 | 178.5 | 195.5 | 158.4 | 157.8 | 2257.1 |
일조율 | 55.9 | 58.2 | 57.4 | 59.5 | 57.0 | 49.7 | 40.1 | 46.4 | 51.3 | 59.9 | 53.8 | 54.0 | 53.2 |
한국기상청 (강설 및 일조율 1981-2010)[8][9][10]
3. 1. 산
보은군에 위치한 큰 산은 속리산, 구병산, 금적산이 두드러진다.[37] 이 산들은 각각 아버지산, 어머니산, 아들산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보은군청이 위치한 마을 이름 '삼산'은 여기에서 유래한다.[37]3. 2. 기후
보은군의 기후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Dwa)이다.[35][36] 냉량하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쾨펜 기후 구분: ''Dwa''에 속한다. 연 평균 기온은 11.2℃이며, 연 평균 최고 기온은 17.7℃, 연 평균 최저 기온은 5.5℃이다. 최고 기온 극값은 38.2℃이고 최저 기온 극값은 -25.4℃이다.[20][21] 연 강수량은 1305.3mm이다.[35][36]4. 행정 구역
보은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청은 보은읍에 위치한다. 보은군의 면적은 584.26km2로 충청북도의 7.9%를 차지한다.[38] 2011년 7월 31일 기준으로 인구는 15,445세대, 34,769명이며, 이 중 44.3%가 보은읍에 거주하고 있다. 1965년 보은군의 인구는 113,825명이었다.[39] 회남면은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면 중 하나이다.
읍면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 지도 |
---|---|---|---|---|---|
보은읍 | 報恩邑 | 62.32 | 6,198 | 15,419 | ![]() |
속리산면 | 俗離山面 | 92.15 | 1,081 | 2,296 | |
장안면 | 長安面 | 29.86 | 604 | 1,329 | |
마로면 | 馬老面 | 68.46 | 1,268 | 2,637 | |
탄부면 | 炭釜面 | 31.61 | 1,001 | 2,006 | |
삼승면 | 三升面 | 28.28 | 1,204 | 2,608 | |
수한면 | 水汗面 | 48.73 | 896 | 1,928 | |
회남면 | 懷南面 | 46.45 | 413 | 777 | |
회인면 | 懷仁面 | 54.04 | 980 | 1,944 | |
내북면 | 內北面 | 63.45 | 965 | 2,008 | |
산외면 | 山外面 | 58.69 | 835 | 1,817 | |
보은군 | 報恩郡 | 584.04 | 15,445 | 34,769 |
5. 교통
5. 1. 도로
국도 제19호선이 영동에서 보은을 지나 괴산으로, 국도 제25호선이 상주에서 보은과 회인을 지나 청주로, 국도 제37호선이 괴산에서 청천을 지나 보은으로 오며 보은을 지나 옥천, 금산으로 간다.2007년 11월 28일에 개통된 청주상주고속도로가 경부고속도로에서 갈라져 나와 보은군을 지나며 회인 나들목, 보은 나들목, 속리산 나들목을 통해 보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당진-상주 고속도로는 회인 나들목, 보은 나들목, 속리산 나들목을 지난다.
5. 2. 철도
철도는 없으나, 보은군에서 가장 가까운 철도 역인 대전광역시 신탄진역과는 27.3 km, 대전역과는 31.7 km 거리에 있다. 청주역은 보은에서 35km로 멀다.5. 3. 버스
신흥운수가 보은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하고 있다.6. 문화·관광
보은군의 문화관광 자원은 '''속리산'''을 중심으로 한 자연 및 전통 문화 자원이다. 속리산은 보은군, 괴산군 및 상주시의 경계에 있으며 경치가 좋아 등산객의 인기가 높은 산이다. '''법주사'''와 '''정이품송'''(천연기념물 제103호)도 속리산 자락에 있어 함께 구경하기에 좋다.
보은군의 특산물로는 대추가 있는데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매년 10월 보은대추축제가 열린다.
- 동학농민 혁명기념공원
- 우당고택
- 보은 삼년산성
- 오리숲길
- 만수계곡
- 속리산 가을 축제: 가을에 한국 중부의 유명한 산인 속리산에서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는 지역 관광 및 경제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6]
- 보은 황토 사과 축제: 보은군은 사과로 유명하며, 이를 홍보하기 위해 대규모 축제가 열린다.
보은대추축제, 속리산단풍가요제, 속리축전, 오장환문학제, 생생문화재 등 다양한 축제가 보은군에서 열린다. 가을에는 속리산에서 축제가 열리는데, 이 축제는 지역 관광 및 경제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6] 보은군은 사과로 유명하여, 이를 홍보하기 위한 대규모 축제도 열린다.
6. 1. 축제
보은대추축제, 속리산단풍가요제, 속리축전, 오장환문학제, 생생문화재 등 다양한 축제가 보은군에서 열린다. 가을에는 속리산에서 축제가 열리는데, 이 축제는 지역 관광 및 경제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6] 보은군은 사과로 유명하여, 이를 홍보하기 위한 대규모 축제도 열린다.7. 출신 인물
wikitext
분류:보은군 출신 인물은 다음과 같다.
8. 자매 도시
보은군은 다음과 같은 자매결연 도시를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oeun County mayor
https://www.boeun.go[...]
2024
[2]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3]
웹사이트
Origin
http://english.boeun[...]
2016-11
[4]
간행물
Regulations concerning establishment of towns (eup's)
1973-03-12
[5]
서적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6]
웹사이트
http://english.boeun[...]
2007-12-26
[7]
뉴스
보은군내 친환경농산물인증 농가 2배 증가
Newsis
2008-01-10
[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9]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11]
웹사이트
La Cité Clarence Rockland - Twin Cities
https://www.clarence[...]
2021-03-01
[1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3]
법령
道令第36号
1947-01-31
[14]
법령
大統領令第6543号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15]
법령
大統領令第11027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16]
법령
大統領令第12007号
[17]
법령
郡条例第900号
[18]
법령
大統領令第12557号
1988-12-31
[19]
법령
郡条例第1902号
2007-08-13
[20]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보은(226)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2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보은(226)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2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3]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
1895-05-26
[24]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6]
법령
도령 제36호
1947-01-31
[27]
법령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28]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3조
1983-01-10
[29]
법령
대통령령 제12007호
[30]
법령
군조례 제900호
[31]
법률
대통령령 제12557호
1988-12-31
[32]
법률
군조례 제1902호
2007-08-13
[33]
법률
군조례 제2179호
2014-02-07
[34]
법률
군조례 제2553호
2019-02-28
[35]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보은(226)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36]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보은(226)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37]
뉴스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99) - 충북 보은군 구병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38]
웹사이트
보은군의 지세 및 기후
http://www.boeun.go.[...]
2011-08-27
[39]
웹사이트
보은군의 인구 현황
http://www.boeun.g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또 '녹조라떼' 되나…녹색 기운 짙어지는 대청호, 수질 관리 비상
한양대 야구부, 제80회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우승 쾌거
보은지역 경로당 똑똑해진다…보은군, 농촌 스마트 경로당 구축사업 추진
“소멸 위기 극복·경제 효과”…‘무료 농어촌버스’ 전국 확산
"외국인 농부 없으면 농사 못 져요" 보은군서 인기몰이
'방심하면 흉기' 보은서 드론 날개에 60대 농부 중상
외국인 인재 잡자…충북도, 지역특화 비자 발급 요건 완화
“서울에서 거제까지 내륙 철도 건설하라” 지자체들 결의 대회
[6.3 사전투표]충북서도 사전투표 열기 뜨겁다…역대 최대 투표율
마스터키로 객실 침입, 투숙객 성폭행 한 40대 호텔 직원 징역 7년
라이더 성지 충북 보은서, 자전거·오토바이 동호인 위한 축제 열린다
지난해 총선 여론조사서 '역선택 권유' 민주당 당원 벌금형
충북 인구감소지역 빈집 사면 취득세 면제
충북, 전국 최초로 인구감소지역 4자녀 가정 지원
‘산불 막자’…산불대응센터 건립하는 충북 보은군
“결혼 앞둔 청년 걱정 마세요”…충북도, 작은 결혼식 및 인구감소지역 결혼 지원
청주영덕고속도서 8.5t 화물차가 정체 차량 추돌…운전자 사망
보은 7월부터 무료버스 ‘오라이’ 운행…음성·진천 이어 충북서 세 번째
보은군의 보은…7월부터 버스 요금 완전 무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