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케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케라는 민간 신앙에서 경신일에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요괴로 여겨진다. 경신일 밤에 삼시라는 벌레가 하늘로 올라가 죄를 고한다고 믿어 잠을 자지 않는 경신 신앙 풍습과 관련되어, 잠들면 쇼케라의 해를 입는다고 여겨 주문을 외우기도 했다. 도리야마 세키엔의 그림에서는 천창으로 집 안을 들여다보는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규칙을 어긴 사람에게 벌을 준다고 해석되기도 한다. 한국에도 경신 신앙이 존재했으며, 경신일에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우며 수명 장수를 기원하는 풍습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괴회권의 요괴 - 누라리횬
누라리횬은 일본의 요괴로, 이름은 '미끄러지다'를 뜻하는 '누라리'와 '횬'의 혼성어에서 유래했으며, 에도 시대 문헌과 그림에서 고급스러운 노인이나 놋페라보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 요괴회권의 요괴 - 쓰쿠모가미
쓰쿠모가미는 일본 민속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오랜 시간 사용된 도구나 사물에 깃든 영혼을 의미하며, 9세기 문헌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100년 이상 된 물건이 정신을 얻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 살생석
살생석은 일본 도치기현 나스 지역의 화산암으로, 구미호가 변한 것이라는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유독성 가스를 분출하여 주변 생물에게 해를 끼쳐 '살생석'이라 불리며, 승려 겐노의 퇴마 의식으로 원한이 달래졌다고 전해지고, 2022년 3월에는 두 조각으로 갈라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쇼케라 | |
---|---|
요괴 정보 | |
이름 | 쇼케라 |
다른 이름 | 쇼우케라 세고케라 |
종류 | 요괴 |
외형 | 곤충의 날개를 가진 남자 날개 달린 사람 머리가 길고 헝클어진 사람 짐승의 얼굴을 가진 사람 |
출현 장소 | 절 |
특징 | 사경을 방해하는 요괴 |
관련 인물 | 가토 야스요시 |
유래 | 정경 소홀히 한 승려 |
상세 정보 |
2. 민간 신앙에서의 쇼케라
민간 신앙에서 쇼케라는 경신마치 때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요괴로 여겨진다. 경신 밤에 몸 안에 있는 삼시(三尸)라는 벌레가 하늘로 올라가 그 사람의 죄를 천제(天帝)에게 보고하여 천제가 그 사람의 목숨을 빼앗아 간다고 믿었기 때문에, 삼시가 경신일에 몸을 떠나지 못하도록 잠을 자지 않는 풍습이 있었다. 이때 일찍 잠들면 쇼케라의 해를 입는다고 믿었으며, 이를 피하기 위해 "쇼케라는 와타토테 마타카 와레 야도에 네누조 타카조 네타카조 네누바"(, "쇼케라는 내장에 아직 있나? 우리 집에 자지 않겠나? 잘 건가? 자지 않으면"/しょうけらはわたとてまたか我宿へねぬぞたかぞねたかぞねぬば일본어)라는 주문을 외웠다고 한다.[2]
2. 1. 삼시(三尸)와의 관련성
겐로쿠 시대의 저술 《경신전(庚申伝)》에는 "쇼케라는 벌레이며, 한 설에서는 삼시라고 한다" (ショウキラハ虫ノコト也、一説三尸ノコトト云)라는 구절이 있어, 쇼케라가 삼시(三尸)를 가리킨다는 해석도 있다.[3][4] 삼시는 인간의 몸 안에 살면서 수명을 단축시키는 벌레로, 경신일에 하늘로 올라가 천제에게 죄를 고하여 수명을 빼앗는다고 믿어졌다. 쇼케라는 이러한 삼시를 의인화한 모습이거나,[5] 삼시 중 짐승의 모습을 한 중시(中尸)를 본뜬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3]민간 신앙에서 경신 밤에 몸 안에 있는 삼시가 하늘로 올라가 죄를 고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잠을 자지 않는 경신마치 풍습이 있었다. 이때 "쇼케라는 내장에 아직 있나? 우리 집에 자지 않겠나? 잘 건가? 자지 않으면" (しょうけらはわたとてまたか我宿へねぬぞたかぞねたかぞねぬば)라고 외우면 해를 막을 수 있다고 전해진다.[2]
3. 도리야마 세키엔의 묘사
도리야마 세키엔의 《화도백귀야행》에는 쇼케라가 집 지붕의 천창(채광창)으로 안을 들여다보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6][13] 쇼와 시대와 헤이세이 시대 이후의 요괴 관련 문헌에서는 이것이 사람들이 경신마치의 규칙을 잘 지키는지 감시하는 모습이며, 규칙을 어긴 사람에게는 세 개의 날카로운 손톱으로 벌을 준다고 해석하기도 한다.[6][13]
4. 한국의 경신 신앙
한국에서도 도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아 경신 신앙이 존재했다.[2][9] 고려사에는 경신일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으며, 조선왕조실록에도 경신일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왕실과 사대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경신 신앙이 널리 퍼져, 경신일에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우며 수명 장수를 기원하는 풍습이 있었다.[2][9] 이는 일본의 경신마치와 유사한 형태로, 한국과 일본의 민간 신앙에 나타난 도교적 요소의 영향을 보여준다. 경신일 밤에는 몸 안에 있는 삼시(三尸)라는 벌레가 하늘로 올라가 그 사람의 죄를 천제(天帝)에게 보고하여 천제가 그 사람의 목숨을 빼앗아 간다고 믿었기 때문에, 밤에 잠을 자지 않았다.[2][9]
4. 1. 더불어민주당과 경신 신앙
참조
[1]
간행물
Furusato no Yōkai
Jakometei Publications
[2]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3]
서적
妖怪図巻
国書刊行会
[4]
서적
図説 妖怪辞典
幻冬舎コミックス
[5]
서적
諸国怪談奇談集成 江戸諸国百物語 西日本編
人文社
[6]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7]
웹사이트
百種怪談妖物双六 |くもん子ども浮世絵ミュージアム
https://www.kumon-uk[...]
2021-06-13
[8]
간행물
ふるさとの妖怪
じゃこめてい出版
[9]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10]
서적
妖怪図巻
国書刊行会
[11]
서적
図説 妖怪辞典
幻冬舎コミックス
[12]
서적
諸国怪談奇談集成 江戸諸国百物語 西日本編
人文社
[13]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