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렵채집사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렵채집사회는 인류가 수렵과 채집을 통해 식량을 얻는 사회 형태를 의미한다.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 시대부터 수렵채집 생활을 시작했으며, 구석기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기술과 사회 구조를 발전시켰다. 수렵채집 사회는 이동 생활을 하며 평등주의적인 경향을 보였지만, 농업의 등장과 함께 점차 감소했다. 현재는 극소수의 수렵채집 사회가 남아 있으며, 이들은 농업에 부적합한 지역에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수렵채집 사회는 기후, 생물대, 기술, 사회 구조에 따라 다양성을 보이며, 현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혼합 경제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렵채집민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수렵채집민 - 클로비스 문화
    클로비스 문화는 약 13,000년 전 북아메리카에 존재했으며 홈이 파인 첨두기 석기 도구를 사용하고 매머드와 같은 대형 동물 사냥에 능숙했던 고고학 문화로, 한때 북미 최초 거주민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아메리카 대륙 초기 인류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석기 시대 - 중석기 시대
    중석기 시대는 빙하기 후 기후 변화에 따른 문화적, 기술적 변화 시기로, 수렵, 어로, 채집 경제와 잔석기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고 유럽에서는 홍적세 말기부터 농업 시작 전까지를 지칭한다.
  • 석기 시대 - 영거 드라이아스
    영거 드라이아스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북반구의 급격한 냉각과 남반구의 온난화를 특징으로 하는 약 12,900년 전부터 11,700년 전 사이의 갑작스럽고 단기적인 기후 한랭화 현상이다.
  • 인류의 진화 - 혼인
    혼인은 당사자 간의 합의와 혼인신고를 통해 시작되는 법률행위이며, 부부 관계를 형성하고 법적 의무가 따르며, 사회적, 문화적, 법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 인류의 진화 - 언어의 기원
    언어의 기원은 인류의 근본적인 질문으로, 연속성 및 불연속성 이론, 사회적 변화, 신뢰성 문제 해결 등 다양한 가설을 통해 언어의 발생, 시기, 진화 과정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수렵채집사회
지도 정보
개요
정의대부분 또는 모든 식량을 채집하거나 사냥하여 얻는 사람들
다른 용어수렵채집인, 채집인
특징
식량 확보수렵
채집
사회 구조소규모 집단
유목 생활
평등주의적 사회
역사
초기 인류초기 인류의 주요 생활 방식
농업 혁명 이전농업 혁명 이전까지 지구상의 모든 인류 사회의 기본적인 생활 양식
농업의 발달 이후농업 발달 후 점차 감소
현대의 수렵채집 사회
현존오늘날에도 소수의 수렵채집 사회가 존재함
사례호주 원주민
칼라하리 사막의 산족
아마존의 일부 부족
경제 활동
경제 체제자급자족 경제
식량 획득 방식사냥
채집
낚시
성 역할
전통적 견해남성은 사냥, 여성은 채집 역할을 담당 (현재는 틀린 이론으로 간주됨)
최신 연구성 역할이 유동적이고 다양하다는 연구 결과 증가
환경과 지속 가능성
환경 영향상대적으로 낮은 환경 영향
지속 가능성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 방식
연구 분야
관련 연구인류학
고고학
민족지
언어
관련 연구남캅카스어족

2. 역사

증거에 따르면, 대형 동물 사냥꾼이자 채집자인 인류가 4만 7천 년에서 1만 4천 년 전 사이에 베링 육교를 통해 아시아(유라시아)에서 북아메리카로 베링 해협을 건넜다.[79] 약 1만 8,500년~1만 5,500년 전에는 멸종한 플라이스토세 거대 동물군을 따라 로렌타이드 빙상과 코르딜레라 빙상 사이의 빙하가 없는 통로를 따라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0] 원시적인 배를 이용하여 태평양 연안을 따라 남아메리카로 이동했다는 설도 있다.[81][82]

구석기 시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글립토돈을 사냥하는 모습


이들은 아메리카 전역에 퍼졌는데, 주로 미국과 캐나다의 대평원, 동쪽으로는 대서양 연안의 가스페 반도, 남쪽으로는 칠레 몬테베르데까지 분포하였다. 광대한 지역에 퍼져 생활 방식에 지역적 차이가 있었으나, 모든 집단은 공통적인 석기 제작 방식을 공유하여 돌조각 방식과 발전 과정을 식별할 수 있었다. 이 초기 구석기 시대 석기 감소 도구는 아메리카 전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약 25~50명으로 구성된 고도로 이동성이 높은 무리가 사용했다.[83]

아메리카의 아르카이크 시대는 기후가 더 따뜻하고 건조해졌으며, 마지막 거대 동물군이 소멸하는 환경 변화를 보였다.[84] 이 시대에도 대다수는 고도로 이동성이 높은 사냥꾼과 채집꾼이었다. 그러나 개별 집단들은 이용 가능한 지역 자원에 집중하기 시작했고, 남서부, 북극, 포버티 포인트, 달튼, 플라노 전통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역 일반화가 증가했다. 이러한 지역 적응은 표준이 되었고, 사냥과 채집에 대한 의존도가 줄고, 소형 동물, 물고기, 계절적 야생 채소, 수확된 식물성 식품을 혼합한 경제에 더 의존하게 되었다.[85][86]

브라질 미나스 제라이스주의 농장에서 원주민들


캣 앤더슨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한 곳에 오랫동안 머물러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의미에서 '사냥꾼과 채집꾼'이라는 용어는 축소적이라고 주장했다. 앤더슨은 특히 캘리포니아 원주민들이 가지치기, 제초, 파종, 태우기, 선택적 수확 등의 관행으로 수세기 동안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환경으로부터 이익을 얻었다고 한다.[87]

수렵채집 사회는 북극권에서 열대우림, 사막까지 지구상 모든 지역에 존재했다. 19~20세기에는 사회진화론에 기반, 수렵채집 사회에서 농경 사회로의 “진화”를 세계적으로 적용하여 수렵채집 사회가 농경 사회보다 열등하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역사적으로 거의 모든 수렵채집 사회는 주변 농경 사회와 교역 등으로 연결되었다.[88]

수렵채집 사회의 사회 구조는 다양하다. 수장이 존재하는 사회도 있고, 확인되지 않는 사회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장에게 권력은 없으며, 수장이 권력을 가지려는 것을 막는 집단 여론이 작용한다. 단, 전시에는 한 사람(지도자)에게 권력이 집중되기도 한다.

이전에는 “엄격한 식량 사정 때문에 잉여 식량이 나오는 것은 드물다”고 여겨졌지만, 연구 결과 생존에 필요한 양의 두 배에 달하는 식량을 생산할 수 있음에도 원시 농경보다 노동 시간이 적은 과소 생산 경향으로 여가를 만들며 생활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전문적인 지도자, 관리, 장인 등은 거의 없지만, 성별에 따른 작업 분리는 이루어진다.

현재 농경 사회와 수렵채집 사회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많은 수렵채집민은 식량이 되는 식물을 늘리기 위해 숲을 벌채하거나 태우는 전통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다. 현대에는 정주화 정책으로 자급이 어려워진 부분을 배급으로 얻거나 농경민의 일을 도와 식량을 얻기도 한다.

2. 1. 구석기 시대

인류는 약 18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 시대부터 수렵 채집 생활을 시작했다.[8] 초기 인류는 썩은 고기 먹기를 통해 음식을 얻거나, 해산물, 달걀, 견과류, 과일 등을 채집했다.[15] 지구력 주행 가설에 따르면, 장거리 달리기는 특정 인간 특징의 진화를 이끄는 주요 원동력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썩은 고기 먹기와 함께 사용되었을 수 있다.

4,000년 전 수렵 채집인 (황색) (대략적 추정)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시기인 약 8만 년에서 7만 년 전부터, 일부 수렵 채집 집단은 특정 사냥감과 채집에 특화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어망, 낚싯바늘, 뼈 작살과 같은 특수 도구를 제작했다.[17]

2. 2. 중석기 시대와 신석기 혁명

약 1만 년 전 중석기 시대 말까지 인간 사회는 생계 전략으로 수렵 채집을 사용했다.[8] 신석기 혁명으로 농업이 시작되면서 수렵채집 사회는 점차 농경 사회로 대체되었다. 농업은 1만 2천 년 전 중동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중앙아메리카, 안데스 등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했다.



3,000년 전 수렵 채집인 (황색) (대략적 추정)


많은 수렵채집 집단이 수렵 채집 생활 방식을 유지했지만, 증가하는 농업 및 목축 공동체의 압력으로 인해 그 수는 꾸준히 감소했다. 농업 사회의 확장으로 인해 수렵 채집인들에게 이전에 이용 가능했던 지역은 침범당했고, 계속 침범당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토지 이용에 대한 경쟁에서 수렵 채집 사회는 농업을 채택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했다.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특히 동물 자원과 같은 야생 식량의 이용 가능성 감소를 비난했다. 예를 들어 남아메리카에서는 대부분의 대형 포유류 종이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멸종했는데, 다이아몬드는 이것이 과도한 개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18]

2. 3. 농경 사회의 등장과 수렵채집 사회의 감소

신석기 혁명과 함께 농경 사회가 확산되면서, 중석기 시대 말까지 인류의 유일한 생계 수단이었던 수렵채집 사회는 점차 감소하였다. 많은 수렵채집 집단은 농경 및 목축 사회의 압력으로 인해 그 수가 줄어들었다. 이들은 주로 개발도상국의 건조 지역이나 열대 우림과 같이 농업에 부적합한 지역으로 밀려나거나 농경 사회에 흡수되었다.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특히 동물 자원과 같은 야생 식량의 이용 가능성 감소를 수렵채집 사회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남아메리카에서는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대부분의 대형 포유류 종이 과도한 개발 때문에 멸종했다.[18]

농업 사회의 수와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은 전통적으로 수렵채집인이 사용하던 땅으로 확장했다. 이러한 농업 중심의 확장 과정은 비옥한 초승달 지대, 고대 인도, 고대 중국, 올멕 문명,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노르테 치코 등에서 정부 형태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현재 거의 모든 인류가 농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의 수렵채집 문화는 대부분 농업에 부적합한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난다.

2. 4. 현대의 수렵채집 사회

오늘날 극소수의 수렵채집 사회가 남아 있으며, 이들은 주로 농업에 부적합한 건조 지역이나 열대 우림에 거주한다. 일부 수렵채집 사회는 외부 세계와 거의 접촉하지 않고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75] 그러한 집단 중 하나는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의 땅이 유럽 농업(심지어 목축업에도) 적합하지 않은 서호주의 필라 응구루(스피니펙스족)이다. 또 다른 집단은 인도양안다만 제도에 있는 센티넬리즈로, 노스 센티넬 섬에 살며 지금까지 독립적인 생존을 유지하며 그들과 교류하려는 시도를 격퇴해 왔습니다.[76][77] 베네수엘라 사바나의 야루로족(푸메족)도 대규모 경제적 착취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에 살며 사냥과 채집을 기반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소량의 카사바 재배를 통합하여 채집 식량에 대한 의존을 보완하지만 대체하지는 않습니다.[78]

현대의 수렵채집 사회는 다음과 같다.[88]

지역주요 수렵채집 사회
아시아아카족, 안다만 원주민, 앙구족, 아와-구아자족, 바텍족, 자라와족 (안다만 제도), 카와히바족, 켓족, 마니크족, 믈라브리족, 누칵족, 온게족, 페난족, 라우테족, 세망족, 센티넬족
아프리카에페족, 하다자족, 부티족, 산족, 치짐바족
남아메리카야루로족(푸메족), 예쿠아나족, 피라하족
오세아니아태평양 북서부 해안의 원주민
북아메리카이누이트, 이누피아트, 유픽족
기타후에기아인, 모리오리족


3. 사회 구조 및 특징

수렵채집 사회의 사회 구조는 기후대와 생물대, 사용 가능한 기술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60] 어떤 사회에는 수장이 존재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수렵채집 사회에서는 수장이 권력을 가지려 할 때 집단 여론이 이를 견제하여 권력이 분산되는 경향을 보인다.[88] 다만, 전쟁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한 명의 지도자에게 권력이 집중되기도 한다.[88]

과거에는 수렵채집 사회가 식량 부족으로 잉여 생산이 어렵다고 여겨졌으나, 민족지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생존에 필요한 양보다 훨씬 많은 식량을 생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노동 시간을 줄이고 여가를 즐기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수렵채집 사회에서는 전문적인 지도자, 관리, 장인은 거의 없지만, 성별에 따른 작업 분담은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농경 사회와 수렵채집 사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많은 수렵채집민들은 식량 자원을 늘리기 위해 숲을 개간하거나 불을 지르는 등 전통적인 방식을 사용하며(반(半)재배), 현대에는 정착 정책으로 인해 부족한 식량을 배급받거나 농경민의 일을 돕기도 한다.

아프리카의 수렵채집민인 부시맨과 피그미는 식량을 획득한 후 여러 차례 분배하는 관습을 가지고 있다. 마셜 살린스는 이를 일반적 호혜성의 원칙으로 설명했다.[89] 그러나 이러한 분배는 권위 발생으로 이어지지 않는다.[90] 산족(부시맨)의 경우, 뛰어난 사냥꾼은 오히려 사냥을 자제하고 분배받는 쪽으로 돌아서며, 사냥꾼과 사냥감 소유자에게는 절제가 요구되어 분배를 통한 위신 획득 기회가 제한된다. 또한, 서로 화살[91]을 교환하여 사냥감 소유자를 분산시키기도 한다. 즉, 소유욕이 없어서 평등한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위신을 평준화하는 과정이 작동하여 평등한 관계가 유지되는 것이다.[92]

일부 이론가들은 현대 수렵채집인에 대한 연구가 선사 시대 수렵채집인의 생활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식민지 접촉 이후 "순수한 수렵 채집인"이 사라졌기 때문에 현대 수렵채집인을 통해 선사 시대 수렵채집인에 대해 의미 있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말한다.[68][69] 그러나 Lee와 Guenther는 Wilmsen의 주장을 대부분 반박했다.[70][71][72] Doron Shultziner 등은 현대 수렵채집인, 특히 그들의 평등주의 수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선사 시대 수렵채집인의 생활 방식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73]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21세기에도 사냥과 채집 생활 방식을 유지하는 현대 수렵채집인들이 존재한다.[75] 필라 응구루(스피니펙스족)는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의 척박한 환경 덕분에 유럽 농업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인도양 안다만 제도의 센티넬리즈는 노스 센티넬 섬에서 외부와의 교류를 거부하며 독립적인 생존을 유지하고 있다.[76][77] 베네수엘라 사바나의 야루로족(푸메족) 역시 경제적 착취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에 살며 사냥과 채집을 기반으로 생활하고, 소량의 카사바 재배를 통해 채집 식량에 대한 의존을 보완한다.[78]

19세기부터 20세기에는 사회진화론에 기반하여 수렵채집 사회가 농경 사회보다 열등하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이는 자문화중심주의적인 이론일 뿐이다. 연구 결과, 아시아의 수렵채집 사회처럼 민족 간 권력 관계 속에서 수렵채집을 분업하거나, 재배 식물이나 가축과 인연이 없어 농경이나 목축으로 이행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거의 모든 수렵채집 사회는 주변 농경 사회와 교역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었다.[88]

3. 1. 일반적인 특징

대부분의 수렵 채집인들은 유목민 또는 반유목민이며, 임시 거주지에 살았다. 이동성이 높은 공동체는 보통 일시적인 건축 자재를 사용하여 숙소를 건설하거나, 이용 가능한 경우 자연적인 바위 쉼터를 사용했다.[21]

수렵채집인들은 대체로 평등주의적인 사회 윤리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24][25] 칼 마르크스는 이러한 사회경제 시스템을 원시 공산주의로 정의했다.[30] 남아프리카의 산족은 축적과 권위 과시를 강력하게 억제하고 식량과 물질적 재화의 공유를 통해 경제적 평등을 장려하는 사회 관습을 가지고 있다.[29]

고인류학자들은 지배에 대한 저항이 의식, 언어, 혈족 및 사회 조직의 진화적 출현을 주도하는 주요 요인이었다고 주장한다.[31][32][33][34]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수렵채집인들에게 영구적인 지도자가 없다고 믿는다. 대신, 어느 특정 시점에서 주도권을 잡는 사람은 수행되는 작업에 따라 달라진다.[35][36][37]

수렵채집인들은 혈족과 부족 구성원 자격으로 연결된다.[38] 수렵채집인들 사이의 결혼 후 거주는 적어도 초기에는 모계거주 경향이 있다.[39] 젊은 어머니들은 같은 캠프 근처에 계속 거주하는 자신의 어머니로부터 자녀 양육 지원을 받을 수 있다.[40]

리처드 보르샤이 리와 어빈 드보어는 이동성이 인구 전체에 걸쳐 물질적 소유물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평등주의가 유목 수렵채집 사회의 몇 가지 중심 특징 중 하나라고 제안했다.

상호 교환과 자원 공유(즉, 사냥으로 얻은 고기)는 수렵채집 사회의 경제 시스템에서 중요하다.[38] 따라서 이러한 사회는 "선물 경제"를 기반으로 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3. 2. 사회 구조의 다양성

엠벤젤레족의 고기 나누기


안다만 제도 원주민 사냥꾼 무리(1903년경)


베네수엘라 야노스 지역에서 사냥과 채집 여행을 하는 사바나 푸메족(Yaruro people) 부부. 남자는 활, 강철촉이 달린 화살 세 개, 그리고 사슴에 접근하기 위한 위장용으로 재비루황새 머리를 닮은 모자를 들고 있다. 여자는 강철촉이 달린 땅파는 막대기와 야생 덩이줄기를 채집하기 위한 바구니를 들고 있다.


수렵채집 사회는 기후대/생물대, 이용 가능한 기술, 그리고 사회 구조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60] 어떤 사회에는 수장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수장이 권력을 갖고자 하는 것을 막는 집단 여론이 작용하여 권력이 분산되어 있다.[88] 다만, 전시 상황에서는 한 명의 지도자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경우가 있다.[88]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수렵채집인들에게 영구적인 지도자가 없다고 믿는다. 대신, 어느 특정 시점에서 주도권을 잡는 사람은 수행되는 작업에 따라 달라진다.[35][36][37]

일반적으로 여성은 채집을, 남성은 대형 사냥을 담당하는 성별에 따른 노동 분업이 이루어진다.[45]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많은 수렵채집 사회에서 여성이 소형 사냥을 하거나, 심지어 대형 사냥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48][42] 예를 들어, 나미비아의 주/'호안시 사람들 중에서 여성은 남성이 사냥감을 추적하는 것을 돕는다.[46] 호주 마르투족에서는 여성과 남성 모두 사냥에 참여하지만, 남성은 정치적 이득을 위해 캥거루와 같은 큰 동물을, 여성은 자녀 양육과 여성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해 도마뱀과 같은 작은 사냥감을 노리는 등 다른 방식으로 분업을 한다.[47] 2018년 안데스 지역 윌라마야 파트자의 푸노 지구 페루에서 발견된 9000년 된 여성 사냥꾼의 유골은 이러한 여성 사냥의 증거를 보여준다.[48]

3. 3. 평등주의 사회에 대한 논의

칼 마르크스는 수렵채집 사회를 원시 공산주의로 정의했다.[30] 남아프리카 산족과 같은 일부 부족들은 축적과 권위 과시를 억제하고, 식량과 물질 공유를 통해 경제적 평등을 장려하는 사회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29]

인간 수렵채집 사회의 평등주의는 완벽하지 않지만, 알파 수컷이 지배하는 계층을 형성하는 침팬지와는 대조적이다. 고인류학자들은 지배에 대한 저항이 인간 의식, 언어, 혈족, 사회 조직의 진화적 출현을 주도하는 주요 요인이었다고 주장한다.[31][32][33][34]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수렵채집인들에게 영구적인 지도자가 없다고 믿는다. 특정 시점에서 주도권을 잡는 사람은 수행되는 작업에 따라 달라진다.[35][36][37]

1966년 "사냥하는 인간" 회의에서 인류학자 리처드 보르샤이 리와 어빈 드보어는 이동성이 물질적 소유물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평등주의가 유목 수렵채집 사회의 중심 특징 중 하나라고 제안했다. 즉, 어떤 구성원도 자원을 과잉 축적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같은 회의에서 마셜 솔린스는 수렵채집인의 삶을 "고독하고, 가난하고, 불쾌하고, 야만적이고, 짧은" 것으로 보는 일반적인 견해에 이의를 제기하며, 수렵채집인들이 산업 사회의 일반적인 구성원보다 훨씬 적은 시간을 일하고 더 많은 여가를 즐겼으며 여전히 잘 먹었다고 주장했다.[50] 그러나 이후 솔린스의 이론은 땔나무 수집, 음식 준비 등의 시간을 제외하고 사냥과 채집에 소비된 시간만 포함했기 때문에 비판받았다. 다른 학자들은 수렵채집 사회가 영아 사망률, 빈번한 질병 및 만성적인 전쟁으로 고통받았다고 주장한다.[52][53]

2010년 한 연구에서는 수렵채집인이 현대 산업 사회보다 불평등 수준이 낮을 수 있지만, 불평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 연구자들은 수렵채집인의 평균 지니 계수를 0.25로 추정했는데, 이는 2007년 덴마크와 같다. 또한 세대 간 부의 전달도 수렵채집인의 특징이며, 이는 공동체 내에서 "부유한" 수렵채집인이 가난한 구성원보다 부유한 자녀를 둘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수렵채집인이 현대 사회보다 더 평등주의적이라는 데는 동의했지만, 평등주의적 원시 공산주의 상태에서 생활한다는 이전의 특징은 부정확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55]

그러나 이 연구는 현대 수렵채집 공동체만을 조사하여 신석기 혁명 이전의 사회 구조에 대한 통찰력이 제한적이다. 알랭 테스타르트와 다른 사람들은 인류학자들이 현재 수렵채집 사회에 대한 연구를 사용하여 구석기 시대 사회의 구조를 결정할 때 조심해야 하며, 지난 1만 년 동안 그러한 사회가 겪은 문화 간 영향, 진보 및 발전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56]

4. 생태 및 경제

수렵채집 사회는 북극권에서부터 열대우림, 사막에 이르기까지 지구상 모든 지역에 존재하였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서는 사회진화론에 기반하여 수렵채집 사회에서 농경 사회로의 “진화”를 세계적으로 적용하여 수렵채집 사회가 농경 사회보다 열등하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이는 본질적으로 자문화중심주의적인 이론일 뿐이다.[88]

지금까지의 연구 축적을 통해 아시아의 수렵채집 사회처럼 민족 간의 정치생태학적 권력 관계 속에서 수렵채집을 분업한 경우나, 애초에 역사적으로 재배식물이나 가축과 인연이 없어 농경이나 목축이라는 생업 형태로 이행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거의 모든 수렵채집 사회는 주변 농경 사회와 교역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었다.[88]

수렵채집 사회의 사회 구조는 다양하다. 어떤 사회에는 수장이 존재하고, 그러한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 사회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장에게 권력은 존재하지 않으며, 수장이 권력을 갖고자 하는 것을 막는 집단 여론이 작용하고 있다(피에르 크라스툴의 『국가에 저항하는 사회』 참조). 단, 전시 상황에서는 한 사람(지도자)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엄격한 식량 사정 때문에 잉여 식량이 나오는 것은 드물다”고 여겨졌지만(생존 경제), 민족지학적 연구를 통해 그들은 생존에 필요한 양의 두 배에 달하는 식량을 생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한 원시 농경보다 노동 시간이 적은 과소 생산 경향으로 여가를 창출하며 생활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전문적인 지도자나 관리, 장인과 같은 사람들은 거의 없지만, 성별에 따른 작업 분리는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농경 사회와 수렵채집 사회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많은 수렵채집민은 식량이 되는 식물을 늘리기 위해 숲의 식물을 벌채하거나 태우는 등의 전통적인 방법(반(半)재배)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대에는 정주화 정책으로 자급이 어려워진 부분을 배급으로 얻거나 농경민의 일을 도와 식량을 얻고 있다.

4. 1. 식량 획득 방식

수렵채집 사회는 야생 동물을 사냥하고 식물을 채집하여 식량을 얻는다.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식물성 식품의 중요성은 감소하고 수생 동물의 중요성은 증가한다. 춥고 숲이 우거진 환경에서는 식용 식물과 대형 사냥감이 부족하여 수렵 채집인들은 수생 자원에 의존한다.[57] 추운 기후의 수렵 채집인들은 따뜻한 기후의 수렵 채집인들보다 저장 식량에 더 많이 의존한다. 그러나 수생 자원은 어업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으며, 이는 선사 시대에 집중적인 이용을 방해했을 수 있다. 해양 식품은 남아프리카의 후기 석기 시대와 유럽의 구석기 시대 후기에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서야 식단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57]

이누이트 물개 사냥꾼


수렵 채집인들에게 있어서 지방은 사냥감의 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며, 살코기가 많은 동물은 종종 2차 자원 또는 기근 식량으로 간주된다.[58] 살코기만 너무 많이 섭취하면 단백질 중독과 같은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또한 단백질이 높고 다른 대량 영양소가 낮은 식단은 신체가 단백질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하여 단백질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동물들이 신진대사를 통해 지방을 소모해야 하는 흉년에는 살코기가 문제가 된다.[58]

식물과 어류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수렵 채집인들이 탄수화물을 얻기 위해 원예민과 고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대 수렵 채집인들은 단백질은 과잉이지만 탄수화물이 부족할 수 있고, 반대로 열대 원예민들은 탄수화물은 풍부하지만 단백질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교역은 탄수화물 자원을 얻는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다.[59]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서는 사회진화론에 기반하여 수렵채집 사회에서 농경 사회로의 “진화”를 세계적으로 적용하여 수렵채집 사회가 농경 사회보다 열등하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이는 본질적으로 자문화중심주의적인 이론일 뿐이다.[88]

현재, 농경 사회와 수렵채집 사회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많은 수렵채집민들은 식량이 되는 식물을 늘리기 위해 숲의 식물을 벌채하거나 태우는 등의 전통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다(반(半)재배). 또한 현대에는 정주화 정책으로 자급이 어려워진 부분을 배급으로 얻거나 농경민의 일을 도와 식량을 얻고 있다.

4. 2. 와일드얌 문제

중앙아프리카피그미족 수렵채집민들은 열대우림 지대의 자연환경에 크게 의존하는 동시에, 반투계 농경민 이웃들과 역사적으로 밀접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이전에는 피그미족이 서아프리카 사바나 지대에서 열대우림으로 이주해 온 다수의 농경민보다 이 지역에 먼저 거주하던 원주민이라고 여겨졌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이러한 "수렵채집민=원주민설"에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93]

  • 현재 열대우림의 수렵채집민들은 주변 농경민과의 교류나 자신의 농경 활동을 통해 얻은 농작물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다.
  • 과거에 순수한 수렵채집민이 열대우림에서 생활했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 열대우림에는 인간의 생존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식량 기반이 없으며, 특히 과일을 구할 수 없는 건기에 에너지원이 극도로 부족하다.


"열대우림의 수렵채집 생활은 화전 농경민의 반정주적인 생활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는 성립될 수 없으며, 피그미족은 원주민이 아닌가?" 하는 것이 바로 와일드얌 문제(ワイルドヤム問題)이다.[93]

하지만 이러한 의문들은 야생 야생야콘(yam)의 분포 등 간접적인 증거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식량이 부족하다고 여겨졌던 건기에 대한 실증 연구가 실시된 결과, 열대우림에서 농경에 의존하지 않는 수렵채집 생활이 가능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93]

5. 현대 사회와의 관계

현대 사회에서 수렵채집사회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맺고 있다.


  • 농경 사회와의 관계: 농업으로의 전환은 항상 일방적인 것은 아니며, 환경 변화에 따라 수렵채집이 유용한 적응 전략이 될 수 있다.[65] 농업 사회와 수렵채집 사회의 경계는 모호해지는 경우가 많으며,[66] 혼합 경제 또는 이중 경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67] 역사적으로 거의 모든 수렵채집 사회는 주변 농경 사회와 교역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었다.[88]

  • 사회 운동:
  • 원시무정부주의는 문명의 폐지와 야생으로의 복귀를 추구한다.
  • 프리건 운동은 도시 또는 교외 환경에서 음식 등을 수집한다.
  • 구석기 시대 식단은 고대 수렵 채집인과 유사한 식단을 추구한다.

5. 1. 농경 사회와의 경계

농업으로의 전환이 항상 일방적인 것은 아니다. 환경 변화로 농업 사회에서 식량 부족이 심각할 때, 수렵채집은 여전히 유용한 적응 전략이 될 수 있다.[65] 특히 지난 1만 년 동안 농업이 널리 퍼지고 문화적으로 확산되면서, 농업 사회와 수렵채집 사회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경우가 많다.[66]

오늘날 일부 학자들은 문화 진화에서 혼합 경제 또는 이중 경제, 즉 식량 조달(채집과 사냥)과 식량 생산을 결합하거나 채집민이 농부와 무역 관계를 맺는 경우를 언급한다.[67]

역사적으로 거의 모든 수렵채집 사회는 주변 농경 사회와 교역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었다.[88]

오늘날 농경 사회와 수렵채집 사회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많은 수렵채집민은 식용 식물을 늘리기 위해 숲을 벌채하거나 태우는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한다(반(半)재배). 또한 현대에는 정주화 정책으로 자급이 어려워지자 배급을 받거나 농경민의 일을 돕고 식량을 얻기도 한다.

5. 2. 사회 운동


  • 원시무정부주의는 문명의 폐지와 야생으로의 복귀를 추구한다.
  • 프리건 운동은 도시 또는 교외 환경에서 음식(그리고 때로는 다른 물질)을 수집하는 것을 포함한다.
  • 구석기 시대 식단은 고대 수렵 채집인 집단과 유사한 식단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6. 한국의 관점

한반도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수렵채집 생활이 이루어졌으며, 신석기 시대에 농경이 시작된 이후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수렵채집이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6. 1. 한반도의 수렵채집 사회

한반도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수렵채집 생활이 이루어졌다. 뚜렷한 사계절과 다양한 동식물 분포는 수렵채집 생활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했다. 신석기 시대에 농경이 시작되면서 점차 농경 사회로 전환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수렵채집이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unter-Gatherers (Foragers) https://hraf.yale.ed[...] 2020-06-01
[2] 서적 Before the Dawn The Penguin Press
[3] 간행물 Introduction: Foragers & Ot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논문 Archaeological assessment reveals Earth's early transformation through land use 2019-08-30
[5] 논문 The time and place of origin of South Caucasian languages: insights into past human societies, ecosystems and human population genetics
[6] 웹사이트 The Theory That Men Evolved to Hunt and Women Evolved to Gather Is Wrong https://www.scientif[...] 2023-11-01
[7] 서적 Why Forage? Hunters and Gatherers in the Twenty-First Century School for Advanced Research,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8] 웹사이트 Prehistoric Hunter-Gatherer Societies https://www.worldhis[...] 2016-12-09
[9] 논문 Siberian Paleolithic Archaeology: Approaches and Analytic Methods [and Comments and Replies] https://www.jstor.or[...] 1985-01-01
[10] 논문 Global late Quaternary megafauna extinctions linked to humans, not climate change 2014-06-04
[11] 논문 Body size downgrading of mammals over the late Quaternary 2018-04-20
[12] 뉴스 Genetic Analysis Reveals Previously Unknown Group of Ancient Siberians https://www.sci.news[...] 2019-06-07
[13] 논문 Late Quaternary Extinctions: State of the Debate 2006-01-01
[14] 논문 Human ancestors: Changing views of their behavior
[15] 서적 The Last Rain Forests: A World Conservation Atlas
[16] 논문 Conceptual Premises in Experimental Design and Their Bearing on the Use of Analogy: An Example from Experiments on Cut Marks https://www.jstor.or[...] 2008-01-01
[17] 서적 People of the Earth Scott, Foresman
[18] 서적 Guns, Germs and Steel Vintage
[19] 논문 End scraper reduction and hunter-gatherer mobility
[20] 웹사이트 Prehistoric female hunter discovery upends gender role assumptions https://www.national[...] 2020-11-04
[21] 서적 Climate Changes in the Holocene : Impacts and Human Adapta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2] 웹사이트 Cooking secrets of the Neolithic era revealed in groundbreaking scientific tests http://siberiantimes[...]
[23] 웹사이트 The Brine Revolution https://www.hakaimag[...] Tula Foundation and Hakai Institute 2015-04-22
[24] 서적 Property and Equalit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6
[25] 논문 On Human Egalitarianism: An Evolutionary Product of Machiavellian Status Escalation? http://www.unl.edu/r[...] 1994-04-01
[26] 서적 Continent of Hunter-Gatherers: New Perspectives in Australi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7] 서적 The Evolution of Complex Hunter-Gatherers: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the North Pacific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3
[28] 웹사이트 Beyond the !Kung https://aeon.co/essa[...]
[29] 논문 Egalitarianism among Hunters and Gatherers 1980-01-01
[30] 서적 A Dictionary of Soc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31] 논문 On human egalitarianism: an evolutionary product of Machiavellian status escalation?
[32] 서적 Egalitarianism and Machiavellian intelligence in human evolution McDonald Institute Monographs
[33] 논문 The Evolutionary Roots of Human Hyper-Cognition
[34] 논문 Zoon Politikon: The Evolutionary Origins of Human Socio-Political Systems
[35] 서적 Limited Wants, Unlimited Means: A Reader on Hunter-Gatherer Economics and the Environment Island Press
[36] 서적 Woman the Gather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7] 논문 Egalitarianism and Machiavellian Intelligence in Human Evolution
[38] 웹사이트 Anthropology E-20 http://www.suluarchi[...] Harvard University 2002-03-01
[39] 학술지 Marital residence among foragers
[40] 학술지 Grandmothering, Menopause, and the Evolution of Human Life-Histories http://digitalreposi[...]
[41] 논문 Early human kinship was matrilineal Blackwell
[42] 뉴스 Men are hunters, women are gatherers. That was the assumption. A new study upends it. https://www.npr.org/[...] 2023-07-01
[43] 서적 Women Like Meat. The folklore and foraging ideology of the Kalahari Ju/'hoan. University Press
[44] 뉴스 Sex-Based Roles Gave Modern Humans an Edge, Study Says http://news.national[...] 2006-12-07
[45] 서적 Essai sur les fondements de la division sexuelle du travail chez les chasseurs-cueilleurs. Éditions de l'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46] 학술지 Ju/'Hoan Women's Tracking Knowledge And Its Contribution To Their Husbands' Hunting Success https://www.research[...] 2001-03-01
[47] 학술지 Why women hunt: risk and contemporary foraging in a Western Desert aboriginal community 2008-08-01
[48] 웹사이트 Prehistoric female hunter discovery upends gender role assumptions https://www.national[...] 2020-11-04
[49] 학술지 Female foragers sometimes hunt, yet gendered divisions of labor are real: a comment on Anderson et al. (2023) The Myth of Man the Hunter https://www.scienced[...] 2024-05-07
[50] 서적 Notes on the Original Affluent Society Aldine Publishing Company
[51] 논문 Time, energy, and the indolent savage. A quantitative cross-cultural test of the primitive affluence hypothesis https://www.semantic[...]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52] 서적 War Before Civilization: The Myth of the Peaceful Savage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53] 웹사이트 Hunter-gatherer mortality http://johnhawks.net[...] 2007-02-28
[54] 학술지 Longevity amongst Hunter-gatherers https://gurven.anth.[...]
[55] 학술지 Wealth transmission and inequality among hunter-gatherers
[56] 학술지 Causes of Toolkit Variation Among Hunter-Gatherers: A Test of Four Competing Hypotheses http://www.ceacb.ucl[...]
[57] 서적 The Lifeways of Hunter-Gatherers: The Foraging Spectr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58] 서적 The Lifeways of Hunter-Gatherers: The Foraging Spectr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59] 서적 The Lifeways of Hunter-Gatherers: The Foraging Spectr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60] 학술지 Causes of Toolkit Variation Among Hunter-Gatherers: A Test of Four Competing Hypotheses http://www.ceacb.ucl[...]
[61] 서적 Time, Energy and Stone Too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62] 서적 The Foraging Spectrum: Diversity in Hunter-Gatherer Life ways Smithsonian Institution
[63] 학술지 Egalitarian Societies https://www.jstor.or[...] 1982
[64] 학술지 How marginal are forager habitats? http://www.anthro.fs[...] 2007-01-01
[65] 서적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Hunters and Gather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학술지 42: Prehistoric Cultures https://books.google[...]
[67] 학술지 The Persistence of Hunting and Gathering Economies http://www.sociostud[...]
[68] 학술지 The evolution of lethal intergroup violence 2005-10-01
[69] 서적 Land Filled With Flies: A Political Economy of the Kalahari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0] 학술지 Errors Corrected or Compounded? A Reply to Wilmsen
[71] 논문 Art, Science, or Politics? The Crisis in Hunter-Gatherer Studies
[72] 서적 Ethnicity, Hunter-Gatherers and the 'Other' https://archive.org/[...]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73] 논문 The causes and scope of political egalitarianism during the Last Glacial: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https://www.academia[...]
[74] 논문 Demographic transition in a hunter-gatherer population: the Tiwi case, 1929–1996 https://www.questia.[...] Australian Institute of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Studies
[75] 서적 Why Forage? Hunters and Gatherers in the Twenty-first Century School for Advanced Research,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76] 서적 In the Forest: Visual and Material Worlds of Andamanese History (1858–200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9
[77] 웹사이트 North Sentinel Island: A Glimpse Into Prehistory https://www.youtube.[...] 2013-09-15
[78] 서적 Why Forage? Hunters and Gatherers in the Twenty-First Century School for Advanced Research Press and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79] 웹사이트 Atlas of the Human Journey-The Genographic Project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996-2008
[80] 웹사이트 The peopling of the Americas: Genetic ancestry influences health http://www.physorg.c[...]
[81] 논문 Alternate Migration Corridors for Early Man in North America 1979-01
[82] 논문 Mitochondrial DNA Studies of Native Americans: 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of the Population Prehistory of the Americas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83] 웹사이트 Paleoindians in Tennessee http://tennesseeency[...] Tennesse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Tennessee Historical Society. Online Edition provided by: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84] 웹사이트 Blame North America Megafauna Extinction On Climate Change, Not Human Ancestors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85] 서적 Prehistory of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Native Peoples of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87] 서적 Tending the Wild Univ of California Press
[88] 서적 アジアの人類学 春風社 2016-05-07
[89] 서적 石器時代の経済学 法政大学出版局 1984-02
[90] 기타 2016-05-07
[91] 기타 2016-05-07
[92] 서적 ヒトの自然誌 平凡社 2016-05-07
[93] 논문 アフリカ熱帯雨林における狩猟採集生活の生態基盤の再検討--野生ヤムの利用可能性と分布様式から (特集 地域研究の前線) https://hdl.handle.n[...] 京都大学大学院アジア・アフリカ地域研究研究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