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그미는 작은 키를 특징으로 하는 여러 집단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로,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등지에 분포하며, 성인 남성의 평균 신장이 150cm 미만이다. 아프리카 피그미족은 콩고 분지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고 수렵채집 사회를 유지한다. 이들의 작은 키는 열대 우림의 낮은 자외선, 유전적 요인 등과 관련이 있으며, 유전적으로 다른 인류 집단과 차이를 보인다. 역사적으로 차별과 폭력의 대상이 되었으며, 노예, 학살 등 심각한 인권 침해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민족 - 베르베르인
베르베르인은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역의 토착 민족 집단으로, 아마지그라고도 불리며, 기원전부터 존재하며 여러 세력의 지배와 아랍화 과정을 거쳐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마그레브 국가에서 사회·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유럽 등지에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 아프리카의 민족 - 아프리카너
아프리카너는 17세기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출신 이민자들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정착하여 개신교 신앙을 공유하며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고, 케이프 식민지 시절부터 인종차별 정책을 펼치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킨 민족 집단이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피그미 | |
---|---|
개요 | |
정의 | 평균 키가 150 이하인 민족 집단 |
관련 용어 | 피그미 |
분포 지역 | 중앙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동남아시아 |
인류학적 특징 | |
신장 | 평균 150 이하 |
사회와 문화 | |
생활 방식 | 수렵 채집 |
언어 | 해당 지역의 주요 언어 차용 |
역사와 사회적 문제 | |
차별 | 사회적 차별 및 소외 |
인권 문제 | 토지 권리 및 생존 위협 |
삼림 벌채 | 거주지 파괴 |
관련 연구 | |
연구 분야 | 인류학, 유전학, 언어학 |
이미지 | |
![]() |
2. 어원
'피그미'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πυγμαῖος (''pygmaîos'')에서 유래되었으며, 라틴어 pygmaeusla를 거쳐 왔다. 이 단어는 "짧은 큐빗"을 의미하는 πυγμή (''pygmḗ'')에서 파생되었다. 큐빗은 팔꿈치에서 가운데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피그미의 작은 체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7]
피그미족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작은 키로, 성인 남성의 평균 신장이 150cm 미만이다. 이들의 작은 키는 열대 우림의 낮은 자외선 노출, 식량 부족, 빽빽한 정글 이동의 용이성, 더위와 습도에 대한 적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13][14][15][16] 일부 연구에서는 성장 호르몬 수용체 및 성장 호르몬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비정상적으로 낮은 발현 수준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의 낮은 혈청 수치 및 저신장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17]
아프리카 피그미족은 콩고 분지를 비롯한 아프리카 중부 여러 지역에 분포하며, 크게 음벵가족, 음부티족, 트와족 등으로 나뉜다. 이들은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며, 반투어군, 우방기어군, 중앙수단어군 등 다양한 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10] 수렵채집사회를 이루지만, 주변 농경 집단과 교역하여 농산물 등을 얻기도 한다.
그리스 신화와 고전 박물학에서 이 단어는 오늘날의 에티오피아 남쪽이나 인도에 산다고 알려진 작은 종족을 의미했다.[8] 호메로스가 처음으로 이 작은 종족을 묘사했다.[8] 아리스토텔레스는 ''동물지''에서 이집트 남쪽으로 이동하는 두루미에 대해 이야기하며 "난쟁이 종족이 실제로 존재하며, 말도 작고, 그들은 지하 동굴에서 산다"고 묘사했다.[9]
많은 아프리카 피그미족은 아카 (음벵가), 바카, 음부티족, 트와족처럼 자신들의 민족으로 불리기를 선호한다.[10]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바야카'라는 용어가 모든 지역 피그미족을 지칭하기도 한다. 콩고어 단어 '밤벵가'는 콩고에서 사용된다.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워추아' 또는 '아추아'라고 부른다.[11]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아프리카에서는 autochtone프랑스어 (''autochthon'')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토착민" 또는 "원주민"을 의미한다.[12]
"피그미"는 일반적으로 왜소한 인종이나 동물(예: 피그미마모셋)에게 적용되는 용어이다.
3. 신체적 특징
아프리카 피그미족(네그릴로)은 다른 흑인보다 피부색이 짙지 않은 경우가 있고, 근육질 몸통, 긴 팔, 짧은 다리, 큰 머리 등의 특징을 보인다. 과거에는 동남아시아의 작은 체구를 가진 수렵 채집민(필리핀의 아그타족과 바탁족, 말레이 반도의 세망족, 안다만 제도의 원주민 등)과 함께 "네그리토"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유전학적으로 근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91]
4. 분포 및 민족
4. 1. 아프리카
아프리카 피그미족들은 콩고 분지를 비롯한 아프리카 중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은 서로 관계가 없는 10여 개의 부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콩고 분지 서부의 음벵가족(아카족, 바카족)은 반투어군이나 우방기어군 언어를 사용한다. 콩고민주공화국 이투리 우림의 음부티족은 반투어 또는 중앙수단어군 언어를 사용하며, 아프리카 대호수 지대의 트와족은 반투어군의 루리어나 키가어를 사용한다.[10]
대부분의 피그미족 사회는 수렵채집사회를 이루지만, 주변 농경 집단과 교역하여 농산물 등을 얻기도 한다. 콩고 분지에는 약 25만-60만 명의 피그미족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8][19]
피그미는 크게 투와족, 음부티족, 아카족, 바카족 등으로 나뉘며, 이 외에도 카메룬의 바기에리족, 가봉의 바봉고족 등 다양한 소규모 집단이 존재한다.
국명 | 민족명 | 인구 |
---|---|---|
콩고 민주 공화국 | 음부티족 | 30,000 - 40,000 |
에페족 | ? | |
트와족 | ? | |
르완다 | 트와족 | ? |
카메룬 | 바카족 | ? |
바기에리족 | ||
가봉 | 바봉고 | ? |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 아카족 | ? |
콩고 공화국 | 아카족 | ? |
"피그미족 언어"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들은 주변 농경민의 언어 방언을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콩고 분지 동부의 므부티와 에페는 각각 반투어군 언어와 나일사하라어족 언어를 사용한다.[86][87] 콩고 분지 서부의 아카와 바카는 인근 주민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4. 2.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 (필리핀의 바탁과 아에타족, 안다만 제도의 안다만족, 말레이 반도의 세망족 포함)에서 때때로 피그미로 불리기도 한다(특히 오래된 문헌에서).[48] 네그리토는 아프리카 피그미 집단과 키가 작고 검은 피부를 포함한 몇 가지 공통적인 신체적 특징을 공유하지만, 유전적으로는 아프리카인과 멀리 떨어져 있으며[49] 아시아인과 일찍 분리된 것으로 나타났다.[50] 이는 그들이 대해안 이동의 초기 아프리카 기원 이주민의 생존 후손이거나, 현대 인류의 창시 집단 중 하나에서 유래되었음을 시사한다.[51]
20세기 초 프랭크 킹던-워드는 중국(윈난성 및 티베트), 버마, 인도의 국경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흐카카보 라지 산의 외딴 지역에 거주하는 타론으로 알려진 피그미 티베토-버마어족 화자를 보고했다.[52] 1960년대에 실시된 버마 설문 조사에 따르면 성인 남성 타론의 평균 키는 1.43m이고 여성의 평균 키는 1.4m였다. 이들은 분명한 몽골로이드계의 유일한 알려진 "피그미"이다. 타론 피그미의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여 현재 소수의 개인만 남아 있다.[53]
호주 인류학자 노먼 틴데일과 미국 인류학자 조셉 버드셀은 키가 작은 12개의 네그리토와 유사한 부족들이 케언스 주변 해안 및 열대 우림 지역, 즉 음바바람족과 자부게이족의 땅에 살았다고 주장했다.[55][56][57] 버드셀은 이 지역의 원주민 남성 성인의 평균 키가 다른 호주 원주민 집단보다 현저히 작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피그미로 분류될 수 있는 최대 키보다는 컸기 때문에 '피그미'라는 용어는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58]

버드셀은 호주 원주민을 세 개의 주요 집단으로 분류했는데, 이들은 다양한 정도로 혼합되어 있었다. 즉, 아넘랜드에서 가장 잘 대표되는 카펜타리아인, 호주 남동부에 중심을 둔 머레이안인, 배린인이 그들이다. 그는 오세아니아 네그리토와 관련된 사람들이 최초로 도착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이후에 들어온 사람들에게 흡수되거나 대체되었다고 주장했다. 현재의 배린인은 이 원래 네그리토 집단으로부터 가장 많은 조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삼중 혼혈 모델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효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59]
퀸즐랜드의 일부 원주민 구전 역사와 구전 전통은 "작은 붉은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1957년, 달라족인 진니바라족의 일원인 가이아르바우는 "이러한 '작은 사람들 – 딘데리'", 즉 "딤빌룸", "단갈라랑구르" 및 "칸듀"의 존재를 알고 있다고 말했다. 가이아르바우는 그가 "작은 사람들의 부족을 보았으며... 그들은 드워프와 같았고... 그들 중 누구도 1.5m를 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68]
제임스 쿡 대학교의 고고학자이자 겸임 교수인 수잔 맥킨타이어-탐보이는[71] 북부 케이프요크 반도 원주민들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풍경이 창조된" 시기인 ''비포타임''을 믿는다고 썼다. ''비포타임''은 "사람들 이전, 아마도 작은 사람들 또는 붉은 악마 이전에는 형성되었는데, 이들 역시 사람들 이전에 있었다."[72]
호주 국립 박물관에서 일하는 원주민 위라주리족 출신 사서인 네이선 센턴스에 따르면, 그러한 사람들이 존재했다는 고고학적 또는 생물학적 증거는 알려진 바가 없다. 센턴스는 이것이 유럽인들의 호주 식민지화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식민지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된 신화라고 주장한다.[76]
노먼 게이블은 피지의 비티레부 내륙 산지에 피그미족이 존재한다는 소문이 있다고 언급했지만, 2012년 현재까지 그들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 없다고 설명했다.[77]
2008년, 미크로네시아의 팔라우 섬에서 1,000년에서 3,000년 전에 살았던 최소 25구의 소인(小人) 유해가 발견되었다.[78][79]
1900년대에 바누아투가 뉴헤브리디스로 알려졌을 때, 상당한 규모의 피그미 부족들이 산토 북동부 전역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그들이 뉴헤브리디스의 이 지역에만 국한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그미족과 바누아투의 다른 섬들을 연결하는 인류학적 증거는 없다.[80][81]
5. 기원 및 유전학
아프리카 피그미족들은 콩고 분지를 비롯한 아프리카 중부 여러 지역에 살고 있으며, 이들의 확산은 아마 13만 년 전, 늦어도 6만 년 전에는 확실히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25]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피그미족은 중앙 아프리카 열대우림의 후기 구석기 시대 수렵 채집인들의 직계 후손으로 여겨지나, 농경 민족의 이주로 부분적으로 흡수되거나 대체되면서, 중앙수단어군, 우방기어군, 반투어군 계열의 언어를 채택했다는 견해가 널리 퍼져있다. 그러나 이 견해는 고고학적 증거가 없으며, 유전학과 언어학에서도 불확실한 지지를 받는다.[20][21][22]
아카어의 약 30%는 반투어 계열이 아니며, 바카어도 비슷한 비율로 우방기어 계열이 아니다. 피그미족 어휘의 상당 부분은 식물, 꿀 채집 등 숲에 특화되어 있으며, 서부 피그미족 집단 사이에서 공유된다. 이는 독립적인 서부 피그미족(음벵가 또는 "바아카") 언어의 잔재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어휘는 피그미족과 이웃 민족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차용되었으며, "바아카" 언어는 15세기에 재구성되었다.[23]
아프리카 피그미족 집단은 유전적으로 다양하며 다른 모든 인류 집단과 매우 다르므로, 고대 토착 계통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들의 유전자 표지는 일반적으로 코이산족에게서 발견되는 것 다음으로 두 번째로 오래된 분기를 나타낸다.[24] 최근 유전학 연구는 다양한 피그미족 집단의 기원에 대한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한다. 연구자들은 피그미 수렵 채집인과 농경 집단의 조상들이 6만 년 전에 초기 분기를 보였고, 그 후 피그미족의 조상들이 2만 년 전에 서부와 동부 피그미족 집단으로 분리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25]
동부와 서부 아프리카 피그미족 어린이들은 서로 다른 성장 패턴을 보인다. 이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피그미족의 작은 키가 공통 조상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유사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독립적으로 진화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키와 관련된 일부 유전자 세트가 서부 피그미족 집단에서는 유리하지 않았지만 동부 피그미족 집단에서는 유리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25][26][27]
그러나 로저 블렌치는[28] 피그미족이 잔존하는 수렵 채집인 집단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숲 생존 전략을 채택한 더 큰 이웃 민족 언어 집단의 분파라고 주장한다. 블렌치는 피그미족 문화와 민족의 기원에 대한 명확한 언어학적,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며, 유전적 증거 역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피그미족이 이웃 민족과는 다른 고유한 수렵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가 없으며, 피그미족 집단의 작은 키는 강한 선택 압력으로 인해 비교적 빠르게(수천 년 이내에)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피그미에게는 Y 염색체 하플로그룹 B 계통이 고빈도로 나타난다.[92][93]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서부 피그미(아카, 바카 등)와 동부 피그미(투와, 므부티 등) 사이의 유전적 유사성보다, 각 피그미와 인접한 농경민과의 유전적 유사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이 피그미의 동일 기원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는 피그미 여성들이 인접한 농경민에게 시집가는 일방적인 통혼이 있었고, 피그미 여성의 유전자가 농경민에게 공급되었기 때문이다. mtDNA의 집단 내 다양성 및 핵 DNA 연구를 통해 피그미와 다른 사람들이 6-7만 년 전에 분기되었고,[95] 2만 년 전에 동서로 피그미가 분기되었다는[96] 결과가 얻어져, 피그미는 동일 기원이라는 주장이 유력하다. 그러나 피그미의 특징인 저신장에 대해서는 피그미가 서부와 동부로 나뉜 이후, 각 집단이 독자적으로 환경에 적응한 결과라는 설도 있다.[97]
6. 사회 및 문화
아프리카 피그미족들은 콩고 분지를 비롯한 아프리카 중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수렵채집사회를 이루어 살아가지만, 모든 것을 야생 환경에서 구하는 것은 아니다. 인접한 농부 집단과 교역하여 농산품 등을 얻기도 한다.[29] 콩고 분지에는 약 25만-60만 명의 피그미족이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프리카 피그미족의 음악은 주로 성악으로, 밀집된 대위법적 공동 즉흥 연주가 특징이다. 심하 아롬은 피그미 음악의 다성적 복잡성 수준이 14세기 유럽의 수준에 도달했지만, 피그미 문화는 문자가 없고 유구하다고 말한다.[29] 음악은 일상생활의 일부이며, 특정 행사나 활동뿐만 아니라 오락을 위한 노래도 있다.
피그미 사회는 평등주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외부 집단과 장기간 관계를 맺어 왔으며, 때로는 차별과 폭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콩고 공화국의 상가 강 연안의 웨소(Ouesso)와 포콜라(:pl:Pokola) 중간 지점에 있는 피그미의 집은 나뭇가지와 잎으로 지어져 매우 좁으며, 나무 침대와 선반과 같은 기본적인 가구만 있다. 열대 우림에서는 밤에 추워지기 때문에 내부에는 화로가 설치되어 있고, 옥수수와 기타 과일을 증류하여 술을 만들기도 한다. 피그미족은 유능한 사냥꾼이기도 하다.
피그미족은 정부와 관계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1977년 자이르에서 발생한 제1차 샤바 분쟁에서는 정부군에 협력하는 형태로 활과 화살로 무장한 부대가 참가하기도 했다.[98]
7. 피그미족 관련 문제
피그미족은 여러 지역에서 차별과 인권 침해를 당하고 있다.[30][31][32][33][39][40][41][42][19]
7. 1. 인권 문제
피그미족은 역사적으로 차별과 폭력의 대상이었다. 특히 콩고민주공화국 등지에서는 노예제, 학살 등 심각한 인권 침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30][31][32][33][39][40][41][42]1994년 르완다 집단 학살 당시 피그미족은 인테르아함웨의 표적이 되어 3만 명 중 약 1만 명이 사망하고 1만 명이 이주했다.[30]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Effacer le tableau' 작전으로 약 6만 명의 피그미족 민간인이 살해되었으며, 인권 운동가들은 이를 집단 학살로 인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31][32][33]
콩고 공화국에서는 많은 피그미족이 반투족 주인에게 노예처럼 예속되는 관행이 존재하며, 이는 오랜 전통으로 여겨진다.[39] 피그미족은 종종 토지에서 쫓겨나거나 낮은 임금을 받는 등 차별받으며, 시민권을 인정받지 못해 기본적인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47] 유니세프와 인권 운동가들의 압력으로 2009년 피그미족에게 특별한 보호를 제공하는 법안이 콩고 의회에서 투표를 기다리고 있었으나,[39][40] 2013년 보고서에 따르면 이 법안은 통과되지 않았다.[41]
이투리 분쟁 중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유엔은 우간다의 지원을 받는 반군이 Mbuti족을 노예로 삼아 광물을 탐사하고 숲에서 식량을 조달했으며, 빈손으로 돌아온 사람들은 살해되어 식용으로 사용했다고 비난했다.[42]
카탕가 주 북부에서는 루바족에게 착취와 노예로 부려진다고 전해지는 피그미족 바투아족이[46] 민병대를 결성하여 루바족 마을을 공격했고,[43] 루바족 민병대도 반격했다. 2014년 첫 8개월 동안에만 1,000명 이상이 사망했으며, 2017년 12월 기준으로 65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45][46]

역사적으로 피그미족은 식민 당국과 반투족 모두에게 열등한 존재로 여겨져 왔다.[19] 피그미 어린이들은 콩고 자유국 시대에 포획되어 유럽 전역의 동물원으로 수출되었고, 1907년에는 미국의 세계 박람회에도 보내졌다.[19]
참조
[1]
백과사전
Pygmy
http://www.britannic[...]
2011-10-11
[2]
백과사전
Pygmy
https://www.ahdictio[...]
HarperCollins Publishers
2024-11-03
[3]
서적
Cultural Diversity Among Twentieth-Century Foragers
http://www.vancouv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4]
AV media
The Congolese Tribes Selling Weed to Survive {{!}} WEEDIQUETTE
https://www.youtube.[...]
2024-05-23
[5]
웹사이트
African Pygmies
http://www.pygmies.o[...]
2019-11-18
[6]
서적
The Pygmies
https://books.google[...]
2022-06-30
[7]
문서
[8]
웹사이트
pygmy
http://www.etymonlin[...]
[9]
문서
History of Animals
[10]
웹사이트
Forest peoples in the central African rain forest: focus on the pygmie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1]
문서
[12]
웹사이트
Gorillas, charcoal and the fight for survival in Congo's rainforest
https://www.theguard[...]
2019-09-01
[13]
학술지
Indirect evidence for the genetic determination of short stature in African Pygmies
https://deepblue.lib[...]
2011
[14]
웹사이트
Ultraviolet light levels in the rainforest
http://julianodea.bl[...]
2009-12-21
[15]
학술지
Possible contribution of low ultraviolet light under the rainforest canopy to the small stature of Pygmies and Negritos
1994-01
[16]
웹사이트
Short lives, short size – why are pygmies small?
http://notexactlyroc[...]
2007-12-19
[17]
학술지
The shortness of Pygmies is associated with severe under-expression of the growth hormone receptor
2009-11
[18]
웹사이트
World Bank accused of razing Congo forests
https://www.theguard[...]
2007-10-04
[19]
웹사이트
Pygmies in the Congo Basin and Conflict
http://www1.american[...]
American University
2010-03-24
[20]
웹사이트
Genetics and linguistics in sub-Saharan Africa
http://www.rogerblen[...]
SAFA 2004
2004-06-27
[21]
서적
The Pygmies Were Our Compass: Bantu and BaTwa in the History of West Central Africa, Early Times to c. 1900
Heinemann
2003
[22]
서적
African pygmi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1-10-11
[23]
문서
History of the inhabitants of the central African rain forest: perspectives from comparative linguistics.
[24]
학술지
The Genetic Structure and History of Africans and African Americans
[25]
학술지
Inferring the Demographic History of African Farmers and Pygmy Hunter–Gatherers Using a Multilocus Resequencing Data Set
[26]
웹사이트
We May Have Been Wrong About How African Pygmies Grow
http://news.national[...]
2015-07-28
[27]
학술지
Growth pattern from birth to adulthood in African pygmies of known age
2015-07-28
[28]
서적
Central African hunter-gatherers in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Challenging elusiveness
http://www.rogerblen[...]
CNWS Leiden University
1999
[29]
Liner notes
African Rhythms
Teldec Classics
2003
[30]
웹사이트
Pygmies in the Congo Basin and Conflict
http://www1.american[...]
The Inventory of Conflict & Environment, American University
2012-07-21
[31]
웹사이트
Pygmies in the Congo Basin and Conflict
http://www1.american[...]
The Inventory of Conflict & Environment, American University
2012-07-21
[32]
뉴스
Rebels 'eating Pygmies' as mass slaughter continues in Congo despite peace agreement
https://www.independ[...]
2003-01-09
[33]
뉴스
DR Congo Pygmies appeal to UN
http://news.bbc.co.u[...]
2003-05-23
[34]
뉴스
Congo: The tribe under threat
https://www.youtube.[...]
2019-09-01
[35]
뉴스
India should follow China to find a way out of the woods on saving forest people
https://www.theguard[...]
2019-09-01
[36]
뉴스
'Large-scale human rights violations' taint Congo national park project
https://www.theguard[...]
2020-11-26
[37]
웹사이트
WWF Funds Guards Who Have Tortured And Killed People
https://www.buzzfeed[...]
2019-03-04
[38]
뉴스
Uganda’s Batwa tribe, considered conservation refugees, see little government support
https://www.pbs.org/[...]
2021-10-21
[39]
뉴스
Congo's Pygmies live as slaves
http://www.newsobser[...]
2007-03-12
[40]
뉴스
As the World Intrudes, Pygmies Feel Endangered
https://www.nytimes.[...]
1997-06-16
[41]
웹사이트
Pygmies: Racism
http://www.survivali[...]
[42]
뉴스
Congo rebels are eating pygmies, UN says
https://www.theguard[...]
2003-01-08
[43]
뉴스
In Congo, Wars Are Small and Chaos Is Endless
https://www.nytimes.[...]
2016-04-30
[44]
뉴스
Displaced Congolese civilians sent back to a widening war
http://www.irinnews.[...]
irinnews.com
2017-07-11
[45]
간행물
Stricken by communal violence and malnutrition in Tanganyika,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icrc.org[...]
2017-12-29
[46]
웹사이트
DR Congo: Ethnic Militias Attack Civilians in Katang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5-08-11
[47]
간행물
Health of Indigenous people in Africa
[48]
서적
The Chinese Knight Errant
Routledge and Kegan Paul
1967
[49]
간행물
Genetic Affinities of the Andaman Islanders, a Vanishing Human Population
2003-01-21
[50]
간행물
Genomic structure of the native inhabitants of Peninsular Malaysia and North Borneo suggests complex human population history in Southeast Asia
https://pubmed.ncbi.[...]
2018
[51]
간행물
Molecular relatedness of the aboriginal groups of Andaman and Nicobar Islands with similar ethnic populations
http://www.krepublis[...]
[52]
문서
Alan Rabinowitz 1990s, P. Christiaan Klieger 2003
[53]
잡지
Along the Salt Road
https://researcharch[...]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03-Fall
[54]
웹사이트
The search for 'Dawi': the last of the T'rung pygmies of Burma and his return visit to his ancestral homeland in Tibet/Yunnan borderlands
http://www.canyonswo[...]
[55]
웹사이트
Tjapukai (QLD)
http://www.samuseum.[...]
South Australian Museum
2003-12-16
[56]
문서
Tjapukai (QLD)
[57]
간행물
Australia for the Australians
http://australianhum[...]
2002-06
[58]
간행물
The extinction of rigour: a comment on 'The extinction of the Australian Pygmies' by Keith Windschuttle and Tim Gillin
2005
[59]
간행물
Preliminary Data on the Trihybrid Origin of the Australian Aborigines
1967
[60]
서적
The Craniology of the Aborigines of Queensland
University of Sydney
1970
[61]
간행물
The Australian Barrineans and Their Relationship to Southeast Asian Negritos: An Investigation using Mitochondrial Genomics
2013-06-01
[62]
서적
The Languages of Austral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63]
간행물
Environment and morphology in Australian Aborigines: A re-analysis of the Birdsell database
2007
[64]
서적
Appropriated Pasts: Indigenous Peoples and the Colonial Culture of Archaeology
https://archive.org/[...]
AltaMira Press
2005
[65]
웹사이트
The extinction of the Australian pygmies
http://quadrant.org.[...]
Quadrant Magazine Ltd.
2002-06-01
[66]
웹사이트
Who we should recognise as First Australians in the constitution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Media Group
2015-03-13
[67]
간행물
Constant Resurrection: The Trihybrid Model and the Politicisation of Australian Archaeology
2010-06
[68]
웹사이트
Gaiarbau's story of the Jinibara tribe of South East Queensland and its neighbours
https://trove.nla.go[...]
1957
[69]
서적
Aboriginal Pathways: in Southeast Queensland and the Richmond River
https://books.google[...]
Univ. of Queensland Press
1983
[70]
웹사이트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Health Service
https://www.health.q[...]
2017-10-30
[71]
학위논문
Red devils and white men
http://eprints.jcu.e[...]
PhD thesis, James Cook University
2000
[72]
학위논문
Red devils and white men
http://eprints.jcu.e[...]
PhD thesis, James Cook University
2000
[73]
학위논문
Red devils and white men
http://eprints.jcu.e[...]
PhD thesis, James Cook University
2000
[74]
학위논문
Red devils and white men
http://eprints.jcu.e[...]
PhD thesis, James Cook University
2000
[75]
학위논문
Red devils and white men
http://eprints.jcu.e[...]
PhD thesis, James Cook University
2000
[76]
웹사이트
Dismantling the Australian pygmy people myth
https://australianmu[...]
2020-06-16
[77]
서적
A Racial Study of the Fijians
https://www.gutenber[...]
[78]
뉴스
Pygmy human remains found on rock island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3-12
[79]
학술지
Small-Bodied Humans from Palau, Micronesia
2008-03
[80]
웹사이트
Anthropological problems in Fiji
http://www.jps.auckl[...]
2014-05-03
[81]
서적
Ethnology of Vanuatu: An Early Twentieth Century Stud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6-01
[82]
학술지
The island syndrome
2020-04-20
[83]
웹사이트
아프리카 열대 삼림의 수렵 채집민
http://www.ktak.jp/F[...]
[84]
학술지
L'invention des Pygmées.
[85]
서적
Central African Hunter-Gatherers in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Challenging Elusiveness.
[86]
서적
森の狩猟民─ムブティ・ピグミーの生活
人文書院
[87]
서적
共生の森
東京大学出版会
[88]
학술지
mtDNA variation in the South African Kung and Khwe-and their genetic relationships to other African populations.
[89]
서적
森棲みの生態誌─アフリカ熱帯林の人・自然・歴史Ⅰ
京都大学学術出版会
[90]
서적
世界言語の人称代名詞とその系譜 - 人類言語史5万年の足跡
三省堂
[91]
간행물
人類の進化と人種
学研
[92]
문서
Contrasting patterns of Y chromosome and mtDNA variation in Africa: evidence for sex-biased demographic processes; also Appendix A
[93]
문서
Genetic and Demographic Implications of the Bantu Expansion: Insights from Human Paternal Lineages
[94]
서적
森棲みの社会誌─アフリカ熱帯林の人・自然・歴史II
京都大学学術出版会
[95]
학술지
Maternal traces of deep common ancestry and asymmetric gene flow between Pygmy hunter-gatherers and Bantu-speaking farmers
[96]
학술지
Inferring the demographic history of African farmers and pygmy hunter-gatherers using a multilocus resequencing data set.
[97]
뉴스
ピグミーの小型化、人類繁栄を解明するカギに 仏研究
https://web.archive.[...]
[98]
뉴스
政府軍が要衝包囲 ザイール ピグミー部隊も参加
朝日新聞
1977-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