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오무살미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오무살미 전투는 1939년 겨울 전쟁 중 핀란드와 소련 간에 벌어진 전투로, 핀란드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 소련군은 핀란드를 남북으로 분단하고 오울루 시를 점령하려 했지만, 핀란드군은 숲과 습지, 혹한의 날씨를 이용하여 소련군의 진격을 효과적으로 저지했다. 핀란드군은 스키와 썰매를 이용한 기동성과 유연한 전술, 높은 사기를 바탕으로 소련군을 격파했으며, 라아테 로드 전투에서 제44소총사단을 섬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전투는 핀란드군의 사기를 높였으며, 핀란드군은 많은 군수 물자를 노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오무살미 - 라테 가도 전투
라테 가도 전투는 1940년 1월 핀란드군이 겨울 전쟁 중 수오무살미 전투에서 고립된 소련군 부대를 포위하여 격파하고 막대한 물자를 노획한 전투이다. - 1940년 1월 - 콜라 전투
콜라 전투는 겨울 전쟁 중 핀란드군이 병력 열세에도 불구하고 끈질긴 저항으로 소련군의 공세를 막아내고 방어선을 유지한 전투이다. - 1940년 1월 - 살라 전투
1939년 겨울 전쟁 중 핀란드 살라 지역에서 벌어진 살라 전투는 핀란드가 험준한 지형과 게릴라 전술로 소련군의 진격을 저지하며 핀란드군의 사기를 높이고 소련군의 침공 계획에 차질을 빚게 한 전투이다. - 1939년 핀란드 - 겨울 전쟁
겨울 전쟁은 1939년 11월부터 1940년 3월까지 소련이 레닌그라드 안보 확보와 영토 확장을 위해 핀란드를 침공했으나, 핀란드의 저항에 부딪혀 결국 핀란드가 영토를 할양하고 끝난 전쟁이다. - 1939년 핀란드 - 콜라 전투
콜라 전투는 겨울 전쟁 중 핀란드군이 병력 열세에도 불구하고 끈질긴 저항으로 소련군의 공세를 막아내고 방어선을 유지한 전투이다.
수오무살미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전투 개요 | |
전투 이름 | 수오무살미 전투 |
일부 | 겨울전쟁 |
시기 | 1939년 11월 30일 – 1940년 1월 8일 |
장소 | 핀란드 카이누 지역 수오무살미 |
결과 | 핀란드 승리 |
교전 세력 | |
지휘관 | |
지휘관 1 | 빌요 투옴포 햘마르 실라스부오 파보 수시타이발 |
지휘관 2 | 미하일 두하노프 바실리 추이코프 알렉세이 비노그라도프 |
병력 규모 | |
병력 1 | 17,000명 |
병력 2 | 48,000명 |
부대 정보 | |
부대 1 | 북핀란드군 |
부대 2 | 소련 제9군 |
사상자 | |
사상자 1 | 2,700명 (사망, 부상, 실종) |
사상자 2 | 12,972 ~ 29,100명 (추정), 전사자 27,000명 추정 |
이미지 | |
![]() | |
추가 정보 | |
스오무살미 전투 날짜 | 1939년 12월 7일 - 1940년 1월 8일 |
핀란드군 지휘관 | 야르말 시라스부오 |
소련군 지휘관 | 이반 다시체프 |
핀란드군 규모 | 3개 연대, 독립 대대, 11,000명 규모 |
소련군 규모 | 소련군 제9군 주력 부대, 2개 사단, 1개 기갑 여단, 45,000 - 50,000명 규모 |
핀란드군 사상자 | 전사 350 - 900명, 부상 600 - 1,770명, 실종 70명 |
소련군 사상자 | 전사 및 실종 13,000 - 27,500명, 포로 2,100명, 전차 43대 노획 |
2. 배경
1939년 11월 30일 겨울 전쟁 개시에 따라 9th Army (Soviet Union)|소련군 제9군영어 제163 저격 사단은 북동쪽에서 국경을 넘어 수오무살미 마을로 진격했다. 또한 그 뒤에서는 제44 기계화 저격 사단이 진격 중이었다. 소련군의 목표는 제9군을 서쪽으로 진격시켜 핀란드를 남북으로 분단하고, 오울루시까지 침략하여 핀란드의 전쟁 수행 능력을 약화시키는 것이었다.
이에 맞선 핀란드군은 소련군의 동향을 알아챘지만, 수오무살미 인근 라테에는 제15 독립 대대 하나만 배치되어 있었다.
3. 전투 경과
1939년 11월 30일, 소련 제163소총사단이 핀란드와 소비에트 연방 국경을 넘어 북동쪽에서 수오무살미 마을을 향해 진격했다. 이 지역에는 수오무살미 외곽 라아테 부근에 배치된 핀란드 대대(Er.P 15) 하나만 있었다.
12월 7일, 핀란드군은 소련군에게 은신처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 마을을 파괴하고 니스칸셀캐 호수와 하우키페레 호수 반대편으로 철수했다.
12월 8일, 첫 번째 대규모 전투가 시작되었다. 소련군은 서쪽으로 얼어붙은 호수를 건너 공격했지만 실패했고, 북서쪽의 푸올랑카를 공격했지만 이 역시 실패했다.
12월 9일, 히알마르 시일라스부오 대령이 이끄는 핀란드군 증원군(JR 27)이 도착하여 수오무살미 탈환을 위한 반격을 시작했다. 핀란드군은 수오무살미를 향해 진격했지만 큰 손실을 입었고, 12월 24일 소련군의 반격도 실패했다.
12월 27일, 핀란드군은 두 개의 새로운 연대(JR 64와 JR 65)로 증원되어 다시 공격을 개시, 수오무살미를 점령하고 소련군을 키안타야르비 호수 너머로 몰아냈다. 이 기간 동안 소련 제44소총사단이 동쪽에서 수오무살미로 진격하여 수오무살미와 라아테 사이 도로에 진지를 구축했다.
1940년 1월 4일부터 8일 사이에 제44소총사단은 고립된 부대로 분할되어 핀란드군에 의해 섬멸되었다.
3. 1. 소련군의 초기 공세 (1939년 11월 30일 ~ 12월 7일)
1939년 11월 30일, 9th Army (Soviet Union)|소련군 제9군영어 제163 저격 사단이 핀란드와 소비에트 연방 국경을 넘어 북동쪽에서 수오무살미 마을로 진격했다.[3] 소련군의 목표는 오울루 시까지 진격하여 핀란드를 남북으로 양분하는 것이었다. 이 지역에는 수오무살미 외곽 라아테 부근에 배치된 핀란드 대대(Er.P 15) 하나만 있었다.
수오무살미는 12월 7일에 거의 저항 없이 함락되었지만(국경과 수오무살미 사이에서 두 개의 불완전한 선봉 중대만이 방어 작전을 수행했다.), 핀란드군은 소련군에게 은신처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 마을을 파괴하고 니스칸셀캐 호수와 하우키페레 호수 반대편으로 철수했다.[5]
3. 2. 핀란드군의 반격 및 수오무살미 탈환 (1939년 12월 8일 ~ 12월 27일)
12월 9일, 핀란드군에 제27보병연대가 증원되었다. 히알마르 시일라스부오 대령은 핀란드군 지휘를 맡아 즉시 수오무살미 탈환 작전을 개시했다. 핀란드군 주력 부대는 수오무살미로 진격했지만, 큰 손실을 보고 마을 점령에 실패했다. 12월 24일, 소련군이 반격했지만 핀란드군을 돌파하지 못했다.[5]
이후 핀란드군은 제64보병연대와 제65보병연대 등 2개 연대로 증강되었고, 12월 27일 다시 공격을 개시했다. 이 공격에서 핀란드군 북서쪽에 배치된 제16독립대대와 제65보병연대가 소련군 분견대를 포위 섬멸하고 도로를 차단했다. 핀란드 제64보병연대는 수오무살미 서쪽에서 추가 공격을 가해 소련군 본대를 압박했다. 이로 인해 소련 제163사단은 도로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완전히 포위되었다.[5]
한편, 소련군 제44기계화척탄사단은 제163사단을 지원하기 위해 동쪽에서 수오무살미로 진격했다. 그러나 이들은 호수 앞에 배치된 핀란드 제9사단 제27연대 분견대에 막혀 라테 임도에서 진군이 멈췄다. 소련 제163사단은 탈출을 시도하며 제44사단에 후퇴 지원을 요청했지만, 핀란드군 연대 분견대 병력 앞에서 제44사단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후퇴 지원을 중단했다. 소련 제44사단은 수오무살미와 라테 사이의 라테 임도에 참호를 구축하고 방어 태세에 들어갔다.[5]
포위되고 지원군도 기대할 수 없게 된 소련군 제163사단은 혼란에 빠져 무기와 보급품을 버리고 얼어붙은 호수를 통해 도주했다. 핀란드군은 수오무살미를 탈환하고, 제65연대를 추가로 동원하여 붕괴되어 패주하는 소련군 제163사단을 추격했다.[5]
3. 3. 라테 로드 전투와 소련군 제44소총사단 섬멸 (1940년 1월 4일 ~ 1월 8일)
1940년 1월 4일부터 1월 8일 사이에 소련 제44소총사단은 라아테 로드에서 핀란드군에 의해 섬멸되었다. 핀란드군은 모티 전술을 활용하여 소련군 제44소총사단을 고립된 부대로 분할했고, 그 결과 많은 중장비를 노획했다.[5]
소련군 상층부는 해당 지역의 도로 사정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얼어붙은 호수와 하천을 전차가 통과할 수 있다고 낙관했다. 그러나 12월의 기온은 평년보다 높아 전차와 물자를 실은 트럭이 통과할 만큼 얼음이 두껍게 얼지 않았다. 이로 인해 소련군은 좁고 포장되지 않은 길에 긴 행렬을 지어 느리게 진군할 수밖에 없었다. 대규모 부대의 통행으로 도로는 곳곳에서 무너졌고, 소련군은 각지에서 소규모 집단으로 분산되어 상호 지원도 할 수 없게 되었다.
소련군 제44기계화척탄사단은 제163사단과 합류하기 위해 동쪽에서 수오무살미로 진격했다. 그러나 핀란드 제9사단 제27연대 분견대에 막혀 라테 임도에서 진군이 멈췄다. 악화되는 전황에 소련 제163사단은 탈출을 시도하며 제44사단에 후퇴 지원을 요청했지만, 핀란드군 연대 분견대 규모 병력 앞에서 제44사단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후퇴 지원을 중단했다. 결국 소련 제44사단은 수오무살미와 라테 사이의 라테 임도에 참호를 구축하고 방어 태세에 들어갔다.
포위되고 지원도 기대할 수 없게 된 소련군 제163사단은 혼란에 빠져 무기와 보급품을 버리고 얼어붙은 호수 위를 통해 도망쳤다. 핀란드군은 제65연대를 추가로 동원하여 붕괴되어 패주하는 소련군 제163사단을 추격했다.
4. 핀란드군 승리 요인
핀란드군의 승리에 기여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 핀란드군은 스키와 썰매를 활용하여 기동성이 뛰어났지만, 소련군은 중장비 때문에 도로에만 의존해야 했다.[6]
- 소련군은 핀란드를 둘로 나누려는 목표를 세웠지만, 해당 지역은 숲과 습지가 많고 도로는 대부분 임도여서 기계화 부대가 이동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핀란드 스키 부대의 쉬운 표적이 되었다.[6]
- 핀란드군은 유연하고 비정규적인 전략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소련군의 야전 취사장을 공격하여 사기를 떨어뜨렸다.[6]
- 소련군은 동계 위장복 등 장비가 부족했지만, 핀란드군은 깊은 눈과 혹한에 적합한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6]
- 핀란드군은 조국을 지킨다는 높은 사기를 가지고 있었지만, 소련군은 정치적인 이유로 공격에 나서서 싸울 의지를 잃었다.[6]
- 소련의 방첩 실패도 또 다른 요인이었다. 핀란드군은 소련의 통신을 자주 가로챘다.[6]
- 핀란드의 전술은 단순했고, 최종 공격은 정면 돌격이었다. 험악한 날씨도 단순한 계획을 선호하게 만들었다.[6]
이 전투에서 핀란드군은 모티 전술을 활용하여 소련군을 격파하고 많은 무기를 노획하였다.
5. 결과 및 영향
이 전투는 핀란드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 만약 소련군이 오울루시를 점령했다면, 핀란드는 두 전선에서 방어해야 했을 것이며 스웨덴으로 가는 중요한 철도 연결선이 끊겼을 것이다. 이 전투는 또한 핀란드군의 사기를 크게 고양시켰다.[1]
핀란드군은 모티 전술을 활용하여 소련군을 효과적으로 격파했다. 특히 1940년 1월 4일부터 8일까지 벌어진 라아테 임도 전투에서 핀란드군은 소련군 제44사격사단을 궤멸시켰다.
알바르 알토는 전사한 핀란드 병사들을 위한 기념비를 조각했다.[2]
5. 1. 인적 피해
소련군은 큰 손실을 입었지만, 그 피해 규모에 대한 추정치는 자료에 따라 다르다. 여러 추정치에 따르면 소련군 사상자는 22,500명에서 27,000명 사이로 보고된다.[1][2] 미국의 역사학자 앨런 추(Allen Chew)는 소련군의 총 손실을 22,500명으로 추산했다.[3] 또 다른 추정치는 사망자 27,000명과 포로 2,100명으로 나타낸다.[2]러시아 역사학에서는 소련 붕괴 이전까지 손실 문제가 전혀 다뤄지지 않았다. 파벨 아프테카르(Pavel Aptekar)는 손실 문제를 처음으로 언급한 사람 중 한 명이었지만, 그의 자료는 전투의 전체적인 상황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그는 제44사단의 손실이 4,000명과 전차 80대였다고 주장한다.[4] 10년 후, 역사학자 올레그 키셀레프(Oleg Kiselev)는 전투 중 모든 부대의 손실 동향을 추적한 논문을 발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5]
수오무살미 전투 | 전사 | 부상 | 실종 | 동상 | 총계 |
---|---|---|---|---|---|
소련군 사상자 | 2,303 | 4,001 | 3,868 | 2,800 | 12,972 |
5. 2. 전리품
핀란드군은 이 전투에서 전차 43대, 야포 71문, 트럭 260대, 말 1,170마리, 대전차포 29문, 기관총 300정, 소총 6,000정 등 많은 무기를 노획하였다.[1]6. 분석 및 평가
수오무살미 전투는 적절한 지휘와 익숙한 지형을 이용한 소규모 부대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적을 물리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6]
핀란드군의 승리에 기여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 기동성: 핀란드군은 스키와 썰매를 활용하여 높은 기동성을 확보한 반면, 소련군의 중장비는 도로에 의존해야 했다.
- 지형: 소련군의 목표는 핀란드를 양분하는 것이었으나, 해당 지역은 대부분 숲과 습지대로 이루어져 있었고, 도로망은 임도 수준이었다. 이는 기계화 부대의 기동을 제한하여 핀란드 스키 부대의 쉬운 표적이 되게 만들었다.
- 전략: 핀란드군은 유연하고 비정규적인 전략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소련군의 야전 취사장을 공격하여 사기를 저하시키는 전술을 활용했다.
- 장비: 소련군은 동계 위장복 등 장비가 부실했던 반면, 핀란드군은 혹한의 기온과 깊은 눈 속 전투에 적합한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
- 사기: 핀란드군은 조국 방어라는 높은 사기를 가지고 있었던 반면, 소련군은 정치적인 이유로 공격에 참여하여 사기가 낮았다.
- 방첩: 소련군은 방첩에 실패하여 핀란드군에게 통신이 감청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 전술: 핀란드의 전술은 단순함을 추구하여 전술적 실수의 가능성을 줄였다. 험악한 날씨 또한 단순한 계획을 선호하게 만들었다.
참조
[1]
서적
Jowett & Snodgrass (2006)
[2]
서적
Jowett & Snodgrass (2006)
[3]
서적
Nenye (2015)
[4]
서적
Nenye (2015)
[5]
웹사이트
The Mighty Finn
http://www.exile.ru/[...]
2006-12-29
[6]
서적
The White Death: The Epic of the Soviet-Finnish Winter War
https://books.google[...]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1971
[7]
서적
A Frozen Hell: The Russo-Finnish War of 1939–1940
Algonquin Books
2000
[8]
웹사이트
http://www.winterwar[...]
[9]
웹사이트
Suomalaiset ja venäläiset tutkijat etsivät yhdessä totuutta talvisodasta
http://heninen.n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