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피텔마르크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피텔마르크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U-Bahn 역으로, 1908년 개통되었다. 슈프레강 수면 아래에 창문이 설치되어 강을 조망할 수 있는 독특한 구조로 설계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문이 폐쇄되었다. 전후 복구 및 동독 시대를 거치며 개보수 공사를 통해 2003년 창문이 재개방되었고, 2006년에는 역 내부와 외부가 개선되었다. 1990년 열차 충돌 사고가 있었으며, 재통일 이후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현재 베를린 버스 노선과 환승 가능하며, 하우스포그타이플라츠역과 메르키셰스 무제움역 사이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1882년 개통된 베를린 도심의 주요 교통 허브로, 다양한 노선의 환승역이자 알렉산더 광장과 주요 명소 접근성이 뛰어나며, 역사적으로 전쟁 피해와 분단 등의 변화를 겪고 통일 후 현대화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은 S반, 지역간 열차, U반이 지나는 역으로, 베를린 장벽 시기에 폐쇄되었다가 재개장했으며,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다. - 1908년 개업한 철도역 - 나가쓰타역
나가쓰타역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요코하마 선, 도큐 덴엔토시 선, 고도모노쿠니 선의 환승역으로, JR 동일본,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운영하며, 요코하마 선의 특정 도구 시내 제도상 "요코하마 시내"의 서쪽 끝 지점에 해당하고, 인근에 나가쓰타 검차구가 있다. - 1908년 개업한 철도역 - 부산역
부산역은 1908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 철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으며, 여러 차례 재건축과 2004년 KTX 개통에 따른 리모델링을 거쳐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현재는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브란덴부르크 문
브란덴부르크 문은 베를린에 있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개선문으로, 독일 최초의 그리스 부흥 양식 건축물 중 하나이며, 도리스식 기둥과 사륜전차상으로 장식되어 프로이센의 번영과 독일 통일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베벨 광장
베를린에 있는 베벨 광장은 과거 오페라하우스 광장으로 불렸으나, 독일 사회민주당 창립 멤버의 이름을 따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나치의 책 사르기 사건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복구된 건물들과 함께 광장 활용 방안에 대한 논쟁이 있는 장소이다.
슈피텔마르크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주소 | 슈피텔마르크트 |
위치 | 베를린 미테 |
국가 | 독일 |
운영 | 베를린 교통 공사 |
소유 | 베를린 교통 공사 |
승강장 수 | 1개 (섬식 승강장) |
선로 수 | 2개 |
연결 노선 | 베를린 버스: 200, 248, 265, N2, N42 |
구조 | 지하 |
자전거 | 가능 (Call a Bike, 자전거 주차) |
접근성 | 가능 |
요금 구역 |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교통 조합: 베를린 A/5555 |
개업일 | 1908년 10월 1일 |
노선 정보 | |
노선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이전 역 | 하우스포그타이플라츠 |
다음 역 | 메르키셰스 무제움 |
영업 거리 | 글라이스드라이에크 기점 3.2 km |
이전 역 간 거리 | 0.6 km |
다음 역 간 거리 | 0.5 km |
2. 역사
1908년 10월 1일, 베를린의 두 번째 U-Bahn 노선 개통과 함께 슈피텔마르크트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이 역은 초기 '간선' 노선을 통해 포츠다머 플라츠와 연결되었다. 역 이름은 1400년경에 세워진 성 게르트루트 병원의 옛 부지였던 '슈피텔마르크트' 광장에서 유래했다. 알프레드 그레난더가 설계한 이 역은 슈프레 강둑 바로 아래에 지어졌으며, 수면 위에 채광창이 있는 독특한 구조였다.[4]
1913년 7월 1일, 노선이 알렉산더플라츠까지 연장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1940년에는 공습에 대비하여 창문이 벽으로 막혔다.[5] 1945년 2월 3일에는 플랫폼 지역이 폭탄 공격을 받아 손상되었으나,[8] 슈프레 강의 제방 역할을 하는 북쪽 벽은 파괴되지 않아 터널 시스템 침수는 막을 수 있었다.
1990년에는 열차 충돌 사고로 14명이 부상당했다. 유출된 기름으로 인해 열차가 제동되지 못했다.[9] 2003년부터 대대적인 재건 공사가 시작되어 역의 원래 모습에 가깝게 복원되었다.
2. 1. 계획과 건설 (1906년 ~ 1908년)
호흐반게젤샤프트는 첫 노선 건설 이후 베를린의 역사적 도심으로 노선을 확장하고자 했다. 기존 포츠다머 플라츠역에서 슈피텔마르크트를 거쳐 알렉산더 광장 방면으로 노선을 연장하는 계획이었다.약 2.3km 길이의 포츠다머 플라츠-슈피텔마르크트 구간은 도시 구조, 지질학적 문제, 지역 정치적인 문제로 건설에 어려움을 겪었다. 베를린 시는 도로 손상, 소음 피해, 노면 전차와의 경쟁을 우려하여 라이프치거 슈트라세(Leipziger Straße)를 따라가는 노선을 원했지만, 호흐반게젤샤프트는 빌헬름플라츠, 잔다르멘마르크트, 하우스포그타이플라츠를 경유하는 대체 경로를 제안했다. 결국 1906년 11월 19일에야 해당 구간 건축 허가가 내려졌다.

슈피텔마르크트역은 슈프레강에 인접하여 지반이 불안정했기 때문에, 지반 안정화를 위해 최대 15m 깊이의 말뚝과 16m 깊이의 옹벽을 설치해야 했다. 건설 중 중세 시대 성벽 유적과 과거 흑사병 묘지가 발굴되었고, 발굴된 유해는 프리드리히스펠데 묘지로 이장되었다.[3]
2. 2. 초기 운영과 확장 (1908년 ~ 1913년)
1908년 10월 1일 포츠다머 플라츠-슈피텔마르크트 구간 개통과 함께 중간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당시 이 역에서는 빌헬름플라츠역, 바르샤우어 브뤼케역 방면으로 열차가 운행되었다.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한 이 역은 슈프레 강 수면 아래 약 3 m 깊이에 창문 45개(3개씩 15개 군)를 설치하여 강을 조망할 수 있는 독특한 구조였다.[4] 역사 승강장 외벽, 차장실, 기둥은 파란색을 주 색상으로 했다. 섬식 승강장 길이는 110.2 m, 너비는 7.6 m이며, 승강장 높이는 2.6 m, 지하 3.7 m에 있다.[5] 역 동쪽으로 인상선 3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 외선 2선은 차후 복선으로 편입되었다.
1912년 3월 27일 슈프레 터널 건설 중 침수 사고가 발생하여 라이프치거 플라츠역까지만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4월 2일에 복구되었다.[7] 1913년 7월 1일 알렉산더플라츠 구간으로 연장되면서 중간역이 되었고, 같은 해 7월 27일에는 쇤하우저 알레역까지 연결되었다.[6]
2. 3.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 1945년)
1940년 국가내무부(Reichsministerium des Innern)는 폭격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등화관제의 일환으로 BVG에 창문 폐쇄를 요청했다.[5] 창문 폐쇄 이후에도 수십 년간은 과거 창문의 흔적을 볼 수 있었다. 잦은 폭격으로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면서 슈피텔마르크트역으로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1945년 2월 3일에는 역이 폭격 피해를 입어 승강장 부분이 손상되었다.[8] 다행히 슈프레강과 닿아 있는 역 북쪽 벽은 피해를 입지 않아 역이 침수되지는 않았다. 1945년 5월 S반 남북터널 폭파로 인근 U반 노선도 침수되었고, 슈피텔마르크트역 역시 침수되었다. 전력 부족으로 열차 운행은 중단되었다.2. 4. 전후 복구와 동독 시기 (1945년 ~ 1990년)
1961년 이후부터 서베를린 방면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알렉산더 광장 일대로 동베를린의 새로운 도심이 개발되고, 슈피텔마르크트역 일대가 라이프치거 슈트라세 도로 확장으로 광장 구조를 잃으면서 승객 수가 감소했다. 1960년대에 역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으나 슈프레강을 향한 창문은 다시 열리지 않았다. 역사 외벽에는 새로운 밝은 파란색 타일이 설치되었고, 광고판은 철거되었다. 1986년 베를린 750주년을 기념하여 진행된 개보수공사에서도 창문 부분 개방은 건축물의 불안정한 상태 때문에 제외되었다.[3]1990년에는 열차가 정차해 있던 다른 열차와 충돌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하여 14명이 부상당했다. 유출된 기름이 선로를 덮어 열차가 제동할 수 없었다.
2. 5. 재통일 이후 (1990년 ~ 현재)
1993년 동서간 전 구간 직통 운행이 복구되었다. 동독 시기에는 유지 관리가 최소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면적인 개보수 공사가 필요했다.1998년 첫 공사가 시작되었고, BVG에서는 창문 재개방을 위한 시험 굴착을 진행했다.[10] 시험 굴착 이후 창문 세 개를 개방했다. 재정적인 문제로 계획이 완성되지는 못했고, 굴착 과정에서 사용된 중장비는 계속 역에 유치되어 있었다. 1999년 4사분기까지 서쪽 출입구 공사가 진행되었다.[11] 2003년 10월에는 나머지 창문이 모두 개방되었다.[12]
2005년 3월 BVG에서는 슈피텔마르크트-슈타트미테 구간의 재건축을 예고했고, 이 과정에서 슈피텔마르크트역의 원형 복원이 같이 진행되었다. 2006년 5월까지 BVG와 독일 연방정부에서 개보수 공사 비용 2.5억유로를 투입하여 창문을 완전히 개방하고, 역사 내부 외벽, 조명을 개선하고, 동부 출입구를 개보수하고 역사를 재도색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역이 슈프레강에 인접해 있다는 사실에 착안해서, 사용되지 않은 광고판에는 프리드리히 알베르트 슈바르츠(Friedrich Albert Schwartz)의 베를린과 물(Berlin und Wasser) 주제의 사진을 게시했다.[13][14][15] 역 개보수 공사가 완료된 이후부터는 야간에 창문 부분에 파란색 조명이 점등된다.[16] 1945년 이후의 구조 변경 때문에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지 않았다.[17]
원래 계획으로는 개보수 공사 작업 중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예정이었다.[18] 2000년 당시 엘리베이터 설치 비용으로 250만 마르크 예산을 계산했다.[19] 2008년이 되어서야 역 승강장 서쪽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고, 설치 비용은 29만유로이다.[20]
3. 인접 교통
베를린 버스 200, 248, 265번과 환승할 수 있다. 베를린 지하철 2호선 하우스포그타이플라츠(Hausvogteiplatzde)역과 메르키셰스 무제움(Märkisches Museumde)역 사이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lle Zielorte
https://www.vbb.de/m[...]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21-01-01
[2]
서적
Berlins U-Bahnhöfe
be.bra Verlag
1996
[3]
서적
'U2 – Geschichte(n) aus dem Untergrund.'
Denkmalpflege-Verein Nahverkehr Berlin, GVE, Berlin
1995
[4]
서적
'Architektur der Berliner Hoch- und Untergrundbahn/Planungen – Entwürfe – Bauten'
Verlag Willmuth Arenhövel, Berlin
1980
[5]
서적
'Berlins U-Bahnhöfe – Die ersten hundert Jahre.'
be.bra Verlag, Berlin
1996
[6]
간행물
Zur Eröffnung der Erweiterungslinie über den Alexanderplatz zur Schönhauser Allee.
Hochbahngesellschaft Berlin
1913-07
[7]
웹인용
Dokumentation der U-Bahngeschehnisse der 1910er Jahre
http://www.berliner-[...]
2023-02-12
[8]
웹인용
Dokumentation der Kriegsschäden
http://www.berliner-[...]
2023-02-12
[9]
웹인용
Dokumentation der U-Bahngeschehnisse der 1940er Jahre
http://www.berliner-[...]
2023-02-12
[10]
뉴스
'Freier Blick für U-Bahn-Fahrgäste: Station Spittelmarkt erhält Fenster zum Spreekanal'
https://www.berliner[...]
Berliner Zeitung
1998-04-21
[11]
뉴스
'Neue Fliesen für den U-Bahnhof Spittelmarkt – Zugang erhält im kommenden Jahr freundliches Aussehen'
https://www.berliner[...]
Berliner Zeitung
1998-12-21
[12]
뉴스
'U-Bahnhof Spittelmarkt erhält Fenster'
https://www.berliner[...]
Berliner Zeitung
2003-10-21
[13]
웹인용
'Mit der U2 durch die Geschichte'
http://www.morgenpos[...]
Berliner Morgenpost
2005-03-14
[14]
뉴스
'Geschichtsstunde im U-Bahnhof'
https://www.berliner[...]
Berliner Zeitung
2005-12-14
[15]
뉴스
'Lichtblicke im U-Bahnhof'
http://www.morgenpos[...]
Berliner Morgenpost
2004-03-11
[16]
웹인용
'Blau-gelbe Stunde im U-Bahnhof Spittelmarkt'
http://morgenpost.be[...]
Berliner Morgenpost
2006-04-12
[17]
문서
Hubert Staroste, Landesdenkmalamt Berlin
[18]
문서
Schriftliche Anfrage des Grünen-Abgeordneten Michael Cramer bzgl. des Aufzugseinbaus in U-Bahnhöfen. Prioritätenliste im Anhang
http://pardok.parlam[...]
Senatsverwaltung für Stadtentwicklung
2003-12-01
[19]
문서
Schriftliche Anfrage des Grünen-Abgeordneten Michael Cramer bzgl. des Aufzugseinbaus
http://pardok.parlam[...]
Senatsverwaltung für Stadtentwicklung
2000-02-02
[20]
뉴스
U-Bahnhof Spittelmarkt hat einen Aufzug
Berliner Morgenpost
2008-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