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은 베를린 S반, 지역간 열차, U반이 지나는 역이다. 1939년 개통한 S반역은 베를린 남북 S반선의 분기점으로 계획되었으며, 베를린 장벽 시기에는 유령역으로 폐쇄되었다가 재개장했다. 2006년에는 지역간 열차 정차역이 개업했으며, U2 노선이 운행한다. U3 노선은 계획만 되어있다. 이 역은 베를린의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1882년 개통된 베를린 도심의 주요 교통 허브로, 다양한 노선의 환승역이자 알렉산더 광장과 주요 명소 접근성이 뛰어나며, 역사적으로 전쟁 피해와 분단 등의 변화를 겪고 통일 후 현대화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동물원역
베를린 동물원역은 베를린 시가지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지하철 U2, U9 노선과 장거리, 지역 열차, S반이 연결되는 교통 허브이며, 과거 서베를린의 주요 관문이자 독일 분단 시절 상징적인 장소였고, 주변 명소와 대중문화 작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2006년 개업한 철도역 - 가능역
가능역은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87년 의정부북부역으로 임시 개업하여 2006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소요산역으로 종착역 기능이 이전됨에 따라 중간역 역할을 수행하며 2면 4선의 혼합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06년 개업한 철도역 - 보산역
보산역은 경기도 동두천시 보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철도역으로, 2006년 개통된 고가역이며 경원선 완행 열차가 정차하고 인근에 교육 및 행정시설과 관광특구가 있다.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역 종류 | 호흐푸엥크트 (장거리) 반호프 (S-반) |
주소 | 포츠다머 플라츠 10785 베를린 |
위치 | 베를린, 베를린 |
구조 | 지하 |
자전거 보관 | 가능 (Call a Bike, 자전거 주차) |
접근성 | 가능 |
도이체 반 역 코드 | 5016 |
DS100 코드 | BPOF (장거리) BPOP (S-반) |
VBB 구역 | : 베를린 A/5555 |
웹사이트 | www.bahnhof.de |
노선 정보 | |
노선 | 노르트-쥐트-투넬 베를린 노르트-쥐트 간선 |
승강장 | 2개의 섬식 승강장 (노르트-쥐트 간선) 2개의 섬식 승강장 (S-반) 1개의 섬식 승강장 (U-반) |
선로 수 | 4 (노르트-쥐트 간선) 4 (S-반) 2 (U-반) |
연결 | : 200, 300, N2 : M41, M48, M85 |
열차 서비스 | |
DB 레기오 노르도스트 RE 3 | 이전 역: 베를린, 다음 역: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역 |
DB 레기오 노르도스트 RE 5 | 이전 역: 베를린, 다음 역: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역 |
DB 레기오 노르도스트 RB 10 | 이전 역: 베를린, 다음 역: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역 |
DB 레기오 노르도스트 RB 14 | 이전 역: 베를린, 다음 역: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역 |
오스트도이체 아이젠반 RE 4 | 이전 역: 베를린, 다음 역: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역 |
오스트도이체 아이젠반 RE 8 | 이전 역: 베를린, 다음 역: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역 |
베를린 S-반 S1 | 이전 역: 브란덴부르크 문 역, 다음 역: 안할트 역 |
베를린 S-반 S2 | 이전 역: 브란덴부르크 문 역, 다음 역: 안할트 역 |
베를린 S-반 S25 | 이전 역: 브란덴부르크 문 역, 다음 역: 안할트 역 |
베를린 S-반 S26 | 이전 역: 브란덴부르크 문 역, 다음 역: 안할트 역 |
베를린 U-반 U2 | 이전 역: 멘델스존-바르톨디-파르크 역, 다음 역: 모렌슈트라세 역 |
추가 정보 | |
![]() | |
![]() | |
![]() | |
![]() | |
역사 | |
개업일 | U-반: 1902년 2월 18일 S-반: 1939년 4월 15일 열차선: 2006년 5월 28일 |
2. 역사
과거 포츠다머 플라츠에는 포츠다머 역(Potsdamer Bahnhof)이 있었으나, 1945년 9월 손상으로 인해 폐쇄되었다. S반 역은 베를린 장벽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1961년부터 1989년까지 유령역이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역은 재건되었다.
베를린 분단 시기에는 S반 역 뿐만 아니라 U반 역도 베를린 장벽에 의해 폐쇄되었다. U반 역은 1961년 8월 13일부터 1993년 11월 13일까지 폐쇄되었으며, 이 근처에 설치되었던 국경 요새는 1990년 12월에 철거되었다.
2. 1. S반
베를린 남북 S반선이 개통되면서 포츠담역 등이 연결되었다. 남부 구간은 리하르트 브라데만(Richard Brademann)이 설계했으며, 1939년 4월 15일에 포츠다머 플라츠역이 개통되었다. 2면 4선식 쌍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었고, 이후 노선 증설에 대비한 선시공부가 포함되어 있다.이 역은 남북 S반선의 분기선이 교차하는 중심역으로 계획되었다. S21 건설에 따라 과거의 계획이 비슷하게 실현되었고, 베를린 중앙역까지의 북부 구간은 건설 중이다.
베를린 분단 시기였던 1961년부터 1989년까지는 이 역이 베를린 장벽 바로 아래에 있어 출입구가 폐쇄되었고 유령역으로 유지되었다. 베를린의 건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3]
이 역은 베를린 S반의 주요역 20곳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4] 2016년 중반부터 1인 승무를 위한 ZAT-FM이 설치되어 있다.[5]
1939년에는 S반, 즉 시 철도(Stadtbahn)가 개통되었다. 운터 덴 린덴에서 요르크슈트라세까지 포츠다머 플라츠와 안할터 반호프를 경유하는 남북 연결선 급행 철도 노선에 대한 아이디어는 1914년에 처음 제기되었다.
1936년 올림픽에 맞춰 완공하려 했으나, 안전 문제와 사고 등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결국 1939년 4월 15일 운터 덴 린덴에서 포츠다머 플라츠까지 개통되었고, 이후 안할터 반호프, 요르크슈트라세까지 연장되어 연결이 완료되었다. 포츠다머 플라츠 S반역에는 유럽에서 가장 큰 지하 쇼핑 아케이드도 있었다.
역에는 4개의 승강장이 제공되었는데, 원래 2개만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모두 사용되었다. 나머지 2개는 동쪽으로 분기되어 굘리처 반호프까지 가는 새로운 노선에서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이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U반과 S반의 많은 구간이 폐쇄되었고, 포츠다머 플라츠를 통과하는 구간도 예외는 아니었다. 전쟁 이후 터널 침수 사건으로 인해 남북 연결선은 1947년까지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남북 연결선은 서베를린의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가는 도중에 동독 영토를 잠깐 통과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포츠다머 플라츠는 유령역이 되었고, 열차는 정차 없이 통과했다.
이 역은 1992년 3월 3일에 북남 노선 전체와 역에 대한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과 함께 마지막으로 재개장되었다.
2. 2. 지역간 열차
2006년 S반역 서쪽에 지역간 열차 정차역이 개업했다. 별도의 출입구 외에도 지하 공간으로 바로 연결되었다. 영업상으로는 베를린 남북 장거리선의 방향별 복복선 구간의 운전간이역(Haltepunkt)이다. 역사 길이는 260m, 너비는 50m이며 지하 20m 아래에 있다.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10] 이 역에는 RE 열차만 정차하며, S반, U반,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역사 설계는 Hilmer & Sattler und Albrecht, Hermann + Öttl, Modersohn Freiesleben 회사와 베른하르트 베링거(Bernhard Behringer)의 합작으로 Bahnhof Potsdamer Platz Architekten(BPA)에서 담당했다.[6]
역 설치 당시 수요 예측으로는 일일 약 8만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 중 5만 명은 지역간 열차 이용객, 3만 명은 U반과 S반 환승객이었다.[7][8]
1995년 지역간 열차 정차역이 착공했다. 1997년 지하 구조물 완공,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내부 시설물 건설, 2002년 개통으로 계획되어 있었다.[9] 2002년 중반에는 2005년 말로 개통이 연기되었다. 이는 새로운 중앙역 개통 반 년 전이다.[10] 최종 개통 일자는 2006년 5월 28일로, 개통 당시에는 지역간 열차 116편성이 정차했다.[8]
2. 3. U반
포츠다머 플라츠역의 U반(지하철) 역사는 총 세 곳이 건설되었으나, 현재 영업 중인 곳은 한 곳뿐이다. 첫 번째 역은 개업 5년 후 철거되었고, 두 번째 역은 한때 유령역이었으며, 세 번째 역은 단기간 내 개업 가능성이 없다.[2]1902년 2월 18일 베를린 지하철의 첫 구간 개통 당시 포츠담 광장에 지하역이 건설되었다. 당시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이었고, 글라이스드라이에크에서 도심 방면으로의 지선으로 건설되었다. 슈피텔마르크트역 방면 도심 연장선 건설 당시 포츠담 광장 동쪽의 라이프치히 광장 아래에 라이프치거 플라츠(Leipziger Platz)역이 건설되었고, 1907년 개통하면서 구 포츠다머 플라츠역을 대체했다. 역 개통 이후에는 구 역사가 철거되고 인상선이 설치되었다.
이 역은 스웨덴 건축가 알프레드 프레데릭 엘리아스 그레난더(1863–1931)가 설계했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 역의 건설은 다소 어려운 과제였다. 왜냐하면 지상에서는 호텔 퓌르스텐호프가 동시에 재건축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U반 노선 연장과 새로운 역은 호텔의 지하를 관통하여 반으로 갈랐다. 여러 출처와는 달리, 호텔은 역에서 직접 연결되는 별도의 입구를 갖지 못했다. 인근 라이프치거 거리에 있는 거대한 베르트하임 백화점은 그런 입구를 가졌으며, 나중에는 호텔 엑셀시어도 안할터 반호프에서 그런 입구를 가졌다.
1923년까지 이 역은 라이프치거 플라츠로 알려졌으나, 이후 포츠다머 플라츠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2]
이 역은 베를린 장벽에 의해 베를린이 분리된 1961년 8월 13일부터 1993년 11월 13일까지 폐쇄되었다. 포츠다머 플라츠역 근처에 국경 요새가 설치되었고, 1990년 12월에 철거되었다. 서쪽에서는 비텐베르크플라츠까지의 전체 구간이 완전히 폐쇄되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체되었다. 실제로, 이 구간의 버려진 역 두 곳, 뷜로슈트라세와 놀렌도르프플라츠는 시장으로 개조되었다.
이 역은 미래의 무인 노선 U3 및 U10과의 환승역으로 계획되었지만, U3가 2004년 12월에 현재 노선의 대부분을 확보하면서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 2006년에는 이벤트 및 전시 공간으로 부분적으로 개조되었다.
2. 4. M반 (1989-1991)
M반은 1989년부터 1991년까지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을 통과했던 자기부상열차 노선이다. M반은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기술적 문제와 낮은 효율성으로 인해 짧은 기간 동안만 운행되었다.3. 역 구조
포츠다머 플라츠역은 S반, 지역간 열차, U반(지하철) 승강장으로 구성된 복합역이다.
- S반: 베를린 남북 S반선 개통과 함께 1939년에 개통되었다. 2면 4선식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베를린 분단 시기에는 유령역이었다가 1992년에 재개통되었다.[3] 베를린 S반의 주요 역 중 하나이며, 2016년부터 1인 승무를 위한 ZAT-FM 시스템이 설치되었다.[4][5]
- 지역간 열차: 2006년에 S반역 서쪽에 개업했다.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으로, 260m 길이에 50m 너비, 지하 20m 깊이에 위치한다.[10] RE 열차만 정차하며, S반, U반, 버스와 환승 가능하다.
- U2: 1907년 라이프치거 플라츠역으로 개통되어 1923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1]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베를린 분단 시기에는 동서 베를린 경계에 위치하여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1993년 재개통되었다. S반 및 지역간 열차와는 지상으로 연결되며, 별도 지하 환승 통로는 없다. 2009년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 U3 (미개통): 1930년대 말 계획되어 2006년 지역간 철도역 건설 시 승강장 선시공부가 건설되었다.[9] 지역간 열차 및 S반 승강장 위쪽에 위치하며, 상대식 승강장으로 계획되었다. 현재는 행사용으로 임차 가능하다.[13]
3. 1. S반
베를린 남북 S반선이 개통되면서 포츠담역 등이 연결되었고, 남부 구간은 리하르트 브라데만(Richard Brademann)이 설계하여 1939년 4월 15일에 포츠다머 플라츠역이 개통되었다. 2면 4선식 쌍섬식 승강장으로, 노선 증설에 대비한 선시공부가 있었다.이 역은 남북 S반선의 분기선이 교차하는 중심역으로 계획되었다. 순환선 열차가 지하 포츠다머 플라츠역에 정차하여 레어테역으로 가도록 북쪽 터널 선시공부가 있었고, 인상선으로 사용되고 있다. 남부 분기 노선은 계획만 되고 건설되지는 않았다. 1990년대 말 파르크 콜로나덴(Park Kolonnaden) 건설 시 이 선시공부와 멘델스존바르톨디파르크역까지의 철도 건설 부지가 고려되었다. S21 건설로 과거 계획이 비슷하게 실현되어 베를린 중앙역까지 북부 구간이 건설 중이다.
베를린 분단 시기인 1961년부터 1989년까지는 베를린 장벽 바로 아래에 있어 출입구가 폐쇄된 유령역이었다.[3] 베를린의 건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3]
이 역은 베를린 S반의 주요역 20곳 중 하나이다.[4] 2016년 중반부터 1인 승무를 위한 ZAT-FM이 설치되어 있다.[5]
1939년에는 S반(시 철도)이 개통되었다. 운터 덴 린덴에서 요르크슈트라세까지 포츠다머 플라츠와 안할터 반호프를 경유하는 남북 연결선 급행 철도 노선은 1914년에 처음 제기되었지만, 1928년에야 자세히 계획되었고, 1933년에 승인되었다. 1934년에 공사가 시작되었지만,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맞춰 완공하려다 1935년에는 브란덴부르크 문 남쪽에서 터널이 붕괴되어 작업자 23명 중 4명만 생존했고, 1936년에는 포츠다머 플라츠역 근처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결국 노선은 1939년 4월 15일 운터 덴 린덴에서 포츠다머 플라츠까지, 10월 9일 안할터 반호프까지, 11월 6일 요르크슈트라세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포츠다머 플라츠 S반역에는 유럽에서 가장 큰 지하 쇼핑 아케이드도 있었다.
역에는 4개의 승강장이 있었는데, 2개만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모두 사용되었다. 나머지 2개는 동쪽으로 분기되어 굘리처 반호프까지 가는 새 노선에서 사용할 예정이었다. 일부 터널 구간이 건설되었지만,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다.
전쟁 중 U반과 S반의 많은 구간이 폐쇄되었고, 포츠다머 플라츠 구간도 예외는 아니었다. 1945년 4월 말과 5월 초 베를린 전투에서 나치 지도자들이 소련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란트베어 운하 아래의 남북 터널 구간을 폭파하여 터널이 침수되었고, 1947년까지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전쟁 직후, 링반호프는 1945년 8월 6일 일시 재개통되어 반제반 열차의 종착역으로 사용되었고, 노르트-쥐트-터널은 대규모 수리를 받았다. 링반호프는 1946년 7월 27일에 완전히 폐쇄되었고, 1947년 11월 16일에 정식 운행이 재개되었지만, 수리는 1948년 5월까지 완료되지 않았다.
남북 연결선은 서베를린에서 동독 영토를 통과하는 특징 때문에 "게이스타반호페"(유령역)가 되었고, 포츠다머 플라츠가 가장 악명이 높았다. 열차는 정차 없이 통과했지만, 속도를 늦추면서 승객들에게 무장 경비병이 순찰하는 플랫폼을 보여주었다. 동베를린 사람들이 열차로 서방으로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노선이 국경 아래를 통과하는 지점에는 콘크리트 "칼라"가 건설되었다.
이 역은 1992년 3월 3일에 북남 노선 전체와 역에 대한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과 함께 재개장되었다. 1991년 1월에 대대적인 개보수가 시작되었다.
3. 2. 지역간 열차
2006년 S반역 서쪽에 지역간 열차 정차역이 개업했다. 별도의 출입구 외에도 지하 공간으로 바로 연결되었다. 영업상으로는 베를린 남북 장거리선의 방향별 복복선 구간의 운전간이역(Haltepunkt)이다. 역사 길이는 260m, 너비는 50m이며 지하 20m 아래에 있다.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10] 이 역에는 RE 열차만 정차하며, S반, U반,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역사 설계는 Hilmer & Sattler und Albrecht, Hermann + Öttl, Modersohn Freiesleben 회사와 베른하르트 베링거(Bernhard Behringer)의 합작으로 Bahnhof Potsdamer Platz Architekten(BPA)에서 담당했다.[6]
역 설치 당시 수요 예측으로는 일일 약 8만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 중 5만 명은 지역간 열차 이용객, 3만 명은 U반과 S반 환승객이었다.[7][8]
1995년 지역간 열차 정차역이 착공했다. 1997년 지하 구조물 완공,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내부 시설물 건설, 2002년 개통으로 계획되어 있었다.[9] 2002년 중반에는 2005년 말로 개통이 연기되었다. 이는 새로운 중앙역 개통 반 년 전이다.[10] 최종 개통 일자는 2006년 5월 28일로, 개통 당시에는 지역간 열차 116편성이 정차했다.[8]
3. 3. U2
U2 승강장은 섬식으로 건설되었고, 건설 당시 역명은 라이프치거 플라츠역이었다. 라이프치히 광장 아래로 과거 베르트하임 백화점까지 이어지는 보행자 터널이 부속되어 있었다. 1923년 포츠다머 플라츠역으로 개명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11]
베를린 분단 시기에는 이 역이 정확히 경계선상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이 역을 기점으로 A선이 동서로 분할되었다. 서베를린 쪽에서는 1961년에 이 역을 이용하는 것을 거부했고, 동베를린 A선의 열차는 모렌슈트라세역(동독 시기 명칭 텔만플라츠(Thälmannplatz)역, 오토그로테볼슈트라세(Otto-Grotewohl-Straße)역)에서 종착했으며 이 역은 유치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독일의 재통일 이후 1993년에 전 구간 선로가 복구되었고 영업을 다시 시작했다. 건설 당시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베를린에서 가장 오래 된 지하역이며,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11]
S반과 지역간 열차로 환승하려면 일단 지상으로 나와야 하며, 별도의 지하 환승통로는 없다. 2009년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3. 4. U3 (미개통)
포츠다머 플라츠역의 베를린 지하철 3호선 역은 1930년대 말에 최초로 계획되었으며, 2006년 지역간 철도역 건설 당시에 승강장 선시공부가 건설되었다.[9] 이 노선은 베를린 북동쪽 바이센제에서 출발하여 알렉산더 광장을 경유하여 포츠담 광장에 도달하며 쿠르퓌르스텐담에서 종착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비슷한 계획 노선으로는 베를린 지하철 10호선이 있었다.U3 승강장 선시공부는 지역간 열차와 S반 승강장 위쪽에 위치한다. 상대식 승강장으로 계획되었으며 S반 중간층과 같은 높이에 있다. 라이프치히 광장 방면으로의 출입구 두 곳이 계획되어 있다. U3 승강장에서는 지역간 열차 승강장을 조망할 수 있는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9]
임시 활용 용도로 U3 Bahnhof라는 이름으로 6500m2에 달하는 역과 터널 일부 공간을 행사용으로 임차할 수 있다.[13]
4. 운행 노선
베를린 S반의 S1, S2, S25, S26 노선이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에 정차한다. 각 노선별 운행 구간은 다음과 같다.
노선 | 운행 구간 |
---|---|
S1 | 오라니엔부르크 - 비테나우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쇠네베르크 - 슈테글리츠 - 반제 |
S2 | 베르나우 - 카로 - 판코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쥐트크로이츠 - 블랑켄펠데 |
S25 | 헤니히스도르프 - 테겔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쥐트크로이츠 - 리히터펠데 - 텔토 |
S26 | 블랑켄부르크 - 판코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쥐트크로이츠 - 리히터펠데 - 텔토 |
2006년 S반역 서쪽에 지역간 열차(RE) 정차역이 개업했다. 별도의 출입구와 지하 연결 통로가 있다. 베를린 남북 장거리선의 복복선 구간에 위치하며,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10] S반, U반,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
2022년 12월 11일 기준, 지역간 열차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 노선 |
---|---|
RE3 | 비텐베르크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에버스발데 – 프렌츠라우 – 그라이프스발트 – 슈트랄준트 |
슈베트 – 앙거뮌데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에버스발데 | |
RE4 | 위터보크 – 루드비히스펠데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 – – |
RE5 |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 – 노이슈트렐리츠 – |
귯트로 – 로스토크 / 노이부란덴부르크 – 슈트랄준트 | |
RE7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베를린 남십자역 – 윈스도르프-발트슈타트 – 루카우-우크로 – 도베를루크-키르히하인 – |
RB10 | 베를린 남십자역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베를린 중앙역 – – 베를린-슈판다우 – 팔켄제 – 나우엔 |
RB14 | 베를린 남십자역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베를린 중앙역 – – 베를린-슈판다우 – 팔켄제 – 나우엔 |
포츠다머 플라츠역에는 U반 역사도 세 곳이 건설되었으나, 현재 영업 중인 곳은 한 곳뿐이다.[1]
4. 1. S반
베를린 남북 S반선이 개통되면서 포츠담역 등이 연결되었다. 남부 구간은 리하르트 브라데만(Richard Brademann)이 설계했으며, 1939년 4월 15일에 개통했다. 2면 4선식 쌍섬식 승강장으로, 이후 노선 증설에 대비한 선시공부가 포함되어 있다.이 역은 남북 S반선의 분기선이 교차하는 중심역으로 계획되었다. 순환선 운행 열차가 지상 포츠다머 플라츠역 대신 지하 포츠다머 플라츠역에 정차하여 레어테역으로 진행하는 계획이었다. 북쪽 터널 선시공부는 이후 인상선으로 사용되고 있다. 남부 방면 분기 노선은 계획만 되었고, 1990년대 말 파르크 콜로나덴(Park Kolonnaden) 건설 당시 이 선시공부와 멘델스존바르톨디파르크역까지의 철도 건설 부지가 고려되었다. S21 건설로 과거 계획이 비슷하게 실현되었고, 베를린 중앙역까지의 북부 구간은 건설 중이다.
베를린 분단 시기인 1961년부터 1989년까지는 베를린 장벽 바로 아래에 있어 출입구가 폐쇄된 유령역이었다. 베를린의 건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3]
이 역은 베를린 S반의 주요역 20곳 중 하나이다.[4] 2016년 중반부터 1인 승무를 위한 ZAT-FM이 설치되어 있다.[5]
1939년 S반(시 철도)이 개통되었다. 운터 덴 린덴에서 요르크슈트라세까지 포츠다머 플라츠와 안할터 반호프를 경유하는 남북 연결선 급행 철도 노선은 1914년에 처음 제기되었지만, 1933년에 승인되었다. 1934년에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맞춰 완공하려는 과정에서 안전 조치가 무시되었다. 1935년에는 브란덴부르크 문 남쪽에서 터널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19명이 사망했고, 1936년에는 포츠다머 플라츠역 근처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결국 노선은 1939년 4월 15일 운터 덴 린덴에서 포츠다머 플라츠까지 개통되었고, 10월 9일 안할터 반호프, 11월 6일 요르크슈트라세까지 연장되었다.
역에는 4개의 승강장이 있었으나, 2개만 사용할 계획이었다. 나머지 2개는 동쪽으로 분기되어 굘리처 반호프까지 가는 노선에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이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다.
전쟁 중 U반과 S반의 많은 구간이 폐쇄되었고, 포츠다머 플라츠 구간도 예외는 아니었다. 1945년 4월 말과 5월 초 베를린 전투에서 나치는 란트베어 운하 아래의 남북 터널 구간을 폭파했고, 이로 인해 남북 연결선은 1947년까지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전쟁 직후, 링반호프는 1945년 8월 6일 일시 재개통되어 반제반 열차의 종착역으로 사용되었고, 노르트-쥐트-터널은 대규모 수리를 받았다. 링반호프는 1946년 7월 27일에 완전히 폐쇄되었고, 1947년 11월 16일에 정식 운행이 재개되었다.
남북 연결선은 서베를린에서 동독 영토를 통과하는 특징 때문에 "게이스타반호페"(유령역)가 되었다. 포츠다머 플라츠는 가장 악명 높은 유령역이었으며, 열차는 정차 없이 통과했다. 동베를린 사람들이 열차로 서방으로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터널 안에는 콘크리트 "칼라"가 건설되었다.
이 역은 1992년 3월 3일에 북남 노선 전체와 역에 대한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과 함께 마지막으로 재개장되었다. 역 재코팅/재도색 및 전쟁 피해 제거가 이루어졌다. 1991년 1월에 대대적인 개보수가 시작되었다.
현재 다음 노선이 역에 정차한다.
노선 | 노선 |
---|---|
S1 | 오라니엔부르크 - 비테나우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쇠네베르크 - 슈테글리츠 - 반제 |
S2 | 베르나우 - 카로 - 판코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쥐트크로이츠 - 블랑켄펠데 |
S25 | 헤니히스도르프 - 테겔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쥐트크로이츠 - 리히터펠데 - 텔토 |
S26 | 블랑켄부르크 - 판코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쥐트크로이츠 - 리히터펠데 - 텔토 |
4. 2. 지역간 열차
2006년 S반역 서쪽에 지역간 열차 정차역이 개업했다. 별도의 출입구 외에도 지하 공간으로 바로 연결되었다. 영업상으로는 베를린 남북 장거리선의 방향별 복복선 구간의 운전간이역(Haltepunkt)이다. 역사 길이는 260m, 너비는 50m이며 지하 20m 아래에 위치해 있다.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10] 이 역에는 RE 열차만 정차하며, S반, U반,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역사 설계는 Hilmer & Sattler und Albrecht, Hermann + Öttl, Modersohn Freiesleben 회사와 베른하르트 베링거(Bernhard Behringer)의 합작으로 Bahnhof Potsdamer Platz Architekten(BPA)에서 담당했다.[6]
역 설치 당시의 수요 예측으로는 일일 약 8만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 중 5만 명은 지역간 열차 이용객, 3만 명은 U반과 S반 환승객이었다.[7][8]
1995년 지역간 열차 정차역이 착공했다. 1997년 지하 구조물 완공,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내부 시설물 건설, 2002년 개통으로 계획되어 있었다.[9] 2002년 중반에는 2005년 말로 개통이 연기되었다. 이는 새로운 중앙역 개통 반 년 전이다.[10] 최종 개통 일자는 2006년 5월 28일로, 개통 당시에는 지역간 열차 116편성이 정차했다.[8]
2022년 12월 11일 기준, 이 역에는 다음과 같은 노선이 정차한다.
노선 | 노선 |
---|---|
비텐베르크 – –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에버스발데 – – | |
프렌츠라우 – 그라이프스발트 – 슈트랄준트 | |
– 위터보크 – 루드비히스펠데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 – – | |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 – 노이슈트렐리츠 – | 귯트로 – 로스토크 |
노이부란덴부르크 – 슈트랄준트 |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베를린 남십자역 – 윈스도르프-발트슈타트 – 루카우-우크로 – | 도베를루크-키르히하인 – |
베를린 남십자역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베를린 중앙역 – – 베를린-슈판다우 – 팔켄제 – 나우엔 | |
베를린 남십자역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 – 베를린 중앙역 – – 베를린-슈판다우 – 팔켄제 – 나우엔 |
4. 3. U반
포츠다머 플라츠역의 U반 역사는 총 세 곳이 건설되었으나, 이 중 영업을 하는 곳은 한 곳뿐이다. 첫 번째 역사는 개업 5년 후 철거되었으며, 두 번째 역사는 한때 유령역이었고, 세 번째 역사는 단기간 내에 개업할 가능성이 없다.[1]5. 인접역
베를린 버스 M41, M48, M85, 200, 300번과 환승할 수 있다.
노선 | 전역 | 후역 |
---|---|---|
RE3 (루터슈타트 비텐베르크 방면) | 쥐트크로이츠 | 중앙역 |
RE3 (슈베트 (오데르)/슈트랄준트 방면) | 중앙역 | 쥐트크로이츠 |
RE4 (팔켄베르크(엘스터) 방면) | 쥐트크로이츠 | 중앙역 |
RE4 (라테노 방면) | 중앙역 | 쥐트크로이츠 |
RE5 (쥐트크로이츠 방면) | 쥐트크로이츠 | 중앙역 |
RE5 (로스토크/슈트랄준트 방면) | 중앙역 | 쥐트크로이츠 |
RE8S (중앙역 방면) | 중앙역 | 쥐트크로이츠 |
RE8S (엘스터베르다/핀스터발데 (노이라우지츠) 방면) | 쥐트크로이츠 | 중앙역 |
RB10 (쥐트크로이츠 방면) | 쥐트크로이츠 | 중앙역 |
RB10 (나우엔 방면) | 중앙역 | 쥐트크로이츠 |
RB14 (쥐트크로이츠 방면) | 쥐트크로이츠 | 중앙역 |
RB14 (나우엔 방면) | 중앙역 | 쥐트크로이츠 |
S1 (오라니엔부르크 방면) | 브란덴부르거 토어 | 안할트역 |
S1 (반제 방면) | 안할트역 | 브란덴부르거 토어 |
S2 (베르나우 방면) | 브란덴부르거 토어 | 안할트역 |
S2 (블랑켄펠데 방면) | 안할트역 | 브란덴부르거 토어 |
S25 (헤니히스도르프 방면) | 브란덴부르거 토어 | 안할트역 |
S25 (텔토 슈타트 방면) | 안할트역 | 브란덴부르거 토어 |
S26 (블랑켄부르크 방면) | 브란덴부르거 토어 | 안할트역 |
S26 (텔토 슈타트 방면) | 안할트역 | 브란덴부르거 토어 |
U2 (룰레벤 방면) | 멘델스존바르톨디파르크 | 모렌슈트라세 |
U2 (팡코 방면) | 모렌슈트라세 | 멘델스존바르톨디파르크 |
6. 기타
엄밀히 말하면 이 역은 역이 아니라 정류장일 뿐이다. 독일 법에 따르면 역으로 분류되기 위한 분기점이 없기 때문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Alle Zielorte
https://www.vbb.de/f[...]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21-05-05
[2]
서적
Berlins U-Bahnhöfe
be.bra
1996
[3]
문서
LDLBerlin 09020315 ja
[4]
웹인용
Drucksache 17/15669
http://pardok.parlam[...]
Abgeordnetenhaus Berlin
2015-03-19
[5]
서적
Kurzmeldungen – S-Bahn
2016
[6]
문서
Bahnhof Berlin-Potsdamer Platz
Vieweg Verlag
1996
[7]
간행물
"„Schrumpfkonzept“ für Berliner Fernbahnkreuz?"
Eisenbahn-Revue International
2000-11
[8]
서적
Bahnstadt Berlin: Ausbau der Infrastruktur von 1990 bis 2015
Deutsche Bahn
2006
[9]
문서
Zug um Zug zur Bahnstadt Berlin
Deutsche Bahn AG, Zentralbereich Konzernkommunikation
1995-09
[10]
간행물
Der Bau des Nord-Süd-Tunnels der Fernbahn in Berlin
Eisenbahntechnische Rundschau
2002-06
[11]
문서
LDLBerlin 09095936
[12]
서적
Nordsüd-S-Bahn Berlin
GVE
2008
[13]
웹사이트
Event-Location U3 Bahnhof
http://thetunnel.de/[...]
thetunnel.de
2019-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