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베를린 도심선, S반, U반, 트램, 버스 노선이 지나는 베를린의 주요 교통 허브이다. 1882년 개통된 도심선 역을 시작으로, U2, U5, U8 노선이 추가되어 H자 형태의 구조를 갖췄다. 이 역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기를 거치며 여러 차례 개축되었으며, 현재 U2, U5, U8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주변에는 알렉산더 광장, 베를린 TV 타워 등 주요 랜드마크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2년 개업한 철도역 - 쓰루가역
    쓰루가역은 후쿠이현 쓰루가시에 위치한 JR 서일본과 하피라인 후쿠이 소속의 철도역으로, 호쿠리쿠 본선, 고세이 선, 오바마 선, 호쿠리쿠 신칸센 4개 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이며 신칸센 개통에 따라 승강장이 신설되었으나, 신오사카역을 잇는 신선 계획은 착공 미정이고 과거 쓰루가항 선은 폐선되었다.
  • 1882년 개업한 철도역 - 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은 베를린 중심부에 위치한 주요 철도역으로, S반, U반,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환승역이자 냉전 시대 동서 베를린을 잇는 국경 통과역이었으며 현재는 역사적인 의미를 간직한 명소이다.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8호선에 있는 역으로, 1930년에 개통되었으나 전쟁과 장벽 건설로 인해 유령역이 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는 베를린 노면전차 및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과 U반의 환승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폐쇄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 중요한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은 S반, 지역간 열차, U반이 지나는 역으로, 베를린 장벽 시기에 폐쇄되었다가 재개장했으며,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동물원역
    베를린 동물원역은 베를린 시가지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지하철 U2, U9 노선과 장거리, 지역 열차, S반이 연결되는 교통 허브이며, 과거 서베를린의 주요 관문이자 독일 분단 시절 상징적인 장소였고, 주변 명소와 대중문화 작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유형Bf(기차역)
위치Mitte, Berlin(베를린 미테구)
국가독일
소유주Deutsche Bahn(독일 철도)
운영자DB Netz
DB Station&Service
노선Berlin Stadtbahn(베를린 슈타트반)
승강장2면 4선 (슈타트반)
1면 2선 (U2)
2면 4선 (U5)
1면 2선 (U8)
선로4 (슈타트반)
2 (U2)
4 (U5)
2 (U8)
연결: M2, M4, M5, M6
: 100, 200, 248, 300, N2, N5, N8, N40, N42, N60, N65
구조고가 (슈타트반)
지하 (U-Bahn)
자전거Call a Bike
접근성
DB 역 코드}}
VBB 구역: Berlin A/5555
개업일1882년 2월 7일
승객 수140,000명 (2018년)
웹사이트www.bahnhof.de
노선 정보 (인접역)
DB Regio Nordost - FEX이전 역: Berlin Friedrichstraße(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다음 역: Berlin Ostbahnhof(베를린 오스트반호프역)
비고: 제한적 운행, Berlin Charlottenburg(베를린 샬로텐부르크) 행
RE 7이전 역: Berlin Friedrichstraße(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다음 역: Berlin Ostbahnhof(베를린 오스트반호프역)
RB 23-BB이전 역: Berlin Friedrichstraße(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다음 역: Berlin Ostkreuz(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역)
Golm(골름) 행, BER Airport(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행
Ostdeutsche Eisenbahn - RE 1이전 역: Berlin Friedrichstraße(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다음 역: Berlin Ostbahnhof(베를린 오스트반호프역)
RE 2이전 역: Berlin Friedrichstraße(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다음 역: Berlin Ostkreuz(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역)
RE 8N이전 역: Berlin Friedrichstraße(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다음 역: Berlin Ostkreuz(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역)
Abellio Rail Mitteldeutschland - HBX이전 역: Berlin Friedrichstraße(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
다음 역: Berlin Ostbahnhof(베를린 오스트반호프역)
Thale(탈레) 또는 Goslar(고슬라) 행
Berlin S-Bahn - S3이전 역: Hackescher Markt(하케셔 마르크트역)
다음 역: Jannowitzbrücke(야노비츠브뤼케역)
S5이전 역: Hackescher Markt(하케셔 마르크트역)
다음 역: Jannowitzbrücke(야노비츠브뤼케역)
S7이전 역: Hackescher Markt(하케셔 마르크트역)
다음 역: Jannowitzbrücke(야노비츠브뤼케역)
S9이전 역: Hackescher Markt(하케셔 마르크트역)
다음 역: Jannowitzbrücke(야노비츠브뤼케역)
Berlin U-Bahn - U2이전 역: Klosterstraße(클로스터슈트라세역)
다음 역: Rosa-Luxemburg-Platz(로자-룩셈부르크-플라츠역)
U5이전 역: Rotes Rathaus(로테스 라트하우스역)(붉은 시청역)
다음 역: Schillingstraße(실링슈트라세역)
U8이전 역: Weinmeisterstraße(바인마이스터슈트라세역)
다음 역: Jannowitzbrücke(야노비츠브뤼케역)
기타 정보
역 번호0053
소속 사업자독일 철도
베를린 S반
베를린 지하철(U반)
관리자DB Station&Service

2. 역사

1885년 알렉산더플라츠역


1980년대


베를린 도심선의 역은 1881년부터 1882년까지 요한 에두아르트 야콥스탈(Johann Eduard Jacobsthal)이 설계하여 건설되었고, 1882년 2월 7일에 근교선 열차가 최초로 정차했으며, 같은 해 5월 15일부터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1925년부터 1926년까지 프리드리히 휠젠캄프(Friedrich Hülsenkampf)의 설계로 역이 개축되었고, 1928년 6월 11일부터 S반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1929년부터 1932년까지 도심선 교각 강화와 함께 대합실 개축이 진행되었다.[7]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한 베를린 지하철 2호선(U2) 역은 1913년 7월 1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1930년 4월 18일에는 베를린 지하철 8호선(U8) 역이, 1930년 12월 21일에는 베를린 지하철 5호선(U5) 역이 개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의 폭격으로 1943년 11월 23일에 역이 크게 손상되었으며, 1945년 11월 4일 S반 운행이 재개되었다. 1945년 말부터 1951년까지 피해 복구 공사가 진행되었다.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당시 U8 역사는 유령역이 되었으나, 독일 재통일 이후 1990년에 재개통되었다. 1962년부터 1964년까지 한스 요하임 마이(Hans Joachim May), 귄터 안드리히(Günter Andrich)가 사회주의적 도시를 염두에 두고 역사 개축을 진행했다.[8]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로베르트 파울 니스(Robert Paul Niess)와 레베카 체스트넛(Rebecca Chestnutt)의 설계로 역사 및 도심선 교각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9]

2001년, 2003년, 2004년에 걸쳐 U2, U5 역사의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2020년 12월 4일 U5 노선이 베를린 중앙역까지 연장되었다.

2. 1. 도심선

베를린 도심선의 역은 1881년부터 1882년까지 요한 에두아르트 야콥스탈(Johann Eduard Jacobsthal)이 설계하여 건설되었다. 과거 베를린 성의 해자를 구성하고 있었던 쾨니히스그라벤(Königsgraben)을 매립한 부지 위에 건설되었다. 역사는 2면 4선으로 건설되었고, 승강장 길이는 164 m, 승강장 지붕은 반원형으로 건설되었다.[6]

2. 2. 도시 철도

베를린 U반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역으로, U2, U5, U8 노선이 H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U2 지하역은 동쪽, U8 지하역은 서쪽, U5 지하역은 중간에 위치해 있으며, U2와 U8 승강장은 U5 승강장 및 상가가 있는 별도의 환승통로로 연결된다.[10]

알렉산더플라츠역의 도시철도역 지도


알프레드 그레난데르(Alfred Grenander)가 설계한 U2의 첫 번째 지하철역은 1913년 7월 1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이 역은 포츠담 광장에서 슈피텔마르크트를 거치는 노선의 동쪽 종점이었다. 승강장 아래에는 프리드리히스하인 방면으로 연장 시 사용할 선시공부가 같이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지어지지 않았다.[10]

몇 년 후 AEG에서는 남북간 도시철도 노선(현재의 U8)을 건설하려고 시도했다. 도시철도 건설을 위해서 베를린 도심선 서쪽에 터널 굴착을 시작했다. AEG의 재정적인 이유로 도시철도 건설이 불가능해지자 베를린 시에서 노선을 인수했다. 베를린 시에서는 U2 노선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서 새로운 노선을 알렉산더 광장을 경유하도록 결정했고, 1926년에 도심선 아래쪽에 U8 역사를 착공하여 1930년 4월 18일에 개업했다.[10]

1926년/1927년에는 동쪽으로 진행하는 U5 공사가 시작되었다. 2면 4선 규모의 역을 건설하여 U2, U8 역사를 지하에서 연결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승강장 외선으로는 추가 노선(바이센제 방면으로 계획된 U3)이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U5 역사는 1930년 12월 21일에 개업했으며 지하 11.25 m에 지어졌다. U5, U8 및 지하 환승통로 역시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으며, 신즉물주의 양식으로 통합된 형태로 설계되었다.[10]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당시 U8 역사는 다른 노선의 역사와 분리되어 유령역이 되었고 출구가 폐쇄되었다. 서베를린으로 연결되는 노선이 있다는 사실을 최대한 숨기기 위해서, U8 승강장을 가로막은 벽은 역사 내 다른 벽과 유사한 타일로 마감되었고 지상의 역명판도 철거되었다. 동베를린에서 계속 운행했던 U2 역사는 1972년 알렉산더플라츠 화재 이후 개축되었다.[10]

독일의 재통일 이후 역 개보수공사에 약 3600만유로가 투입되었다. U8 역사는 재개통을 위해서 1990년 5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역 전체적으로 터키석 색상 타일로 마감되었다. U5, U8 역사는 승강장 바닥으로 밝은 화강암이 사용되었고, U2 승강장은 건축유산 조건으로 인하여 새로운 아스팔트 포장이 진행되었다.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해서 일부 출입구는 재배치되었다. 최종적으로 엘리베이터 총 4기, 계단 86개, 출구 9곳이 설치되었다. U2 역사는 2001년 1월부터 3월까지, U5 역사는 2003년 2월부터 9월까지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지하상가 북동쪽에는 DAISY 시스템 중앙 제어소가 설치되었다. 2012년 6월에는 역사 내에 새로운 BVG 고객센터가 설치되었다.[10]

U5 역 서쪽으로는 인상선 4선이 설치되어 있었다. 1920년대 노선 건설 당시에 복층형 역사로 설계했으며, 하층 역사는 모래로 채워 두었다. 2010년대 U5 노선의 서부 연장 공사 시기에 이 공간의 선시공부를 사용했다. 2016년에 인상선 공사가 시작되어 2선은 복선으로 편입되었고, 다음 역인 로테스 라트하우스역이 복층형으로 건설되었고 하층부에는 인상선 4선이 설치되었다. 2020년 12월 4일 브란덴부르거 토어-알렉산더플라츠 구간 개통 이후 베를린 중앙역까지 연장되었다. 인상선은 U8 노선과의 연결선인 바이젠터널(Waisentunnel) 및 U2 노선과의 연결선인 클로스터터널(Klostertunnel)과 연결되어 있다.[10]

3. 역 구조

알렉산더플라츠역에 정차한 노면전차 M2, M4, M5, M6 노선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베를린 도심선, U2, U5, U8, S반, 트램, 버스 노선이 연결되는 복합 역사이다.

1928년 6월 11일부터 S반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1929년부터 1932년까지 베를린 도심선 교각 강화와 함께 대합실 개축이 진행되었고, 지하 도시철도역과의 직접 환승 통로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의 폭격으로 1943년 11월 23일에 역이 크게 손상되었다. 장거리 열차는 1942년에 운행이 중단되었고, 베를린 전투 당시 1945년 4월에 S반 운행이 중단되었다. S반 재운행은 1945년 11월 4일에 재개되었으며, 1945년 말부터 1951년까지 피해 복구 공사가 진행되었다.

1962년부터 1964년까지 시내 교통 개선과 함께 개축공사가 진행되었다. 한스 요하임 마이(Hans Joachim May), 귄터 안드리히(Günter Andrich)가 사회주의적 도시를 염두에 두고 설계했다. 역사 벽체는 유리로, 바닥면은 화강암으로 마감되었고, 지하 통로가 건설되었다.[8]

동서독 통일 이후 베를린 내각에서는 역사 및 베를린 도심선 교각의 개보수공사를 진행했고, 도이체 반에서 유휴 공간을 상업적으로 개발했다. 1995년부터 1998년 3월 12일까지 공사가 진행되어,[9] 역 내부 공간에 상가, S반 고객 센터, DB 고객 센터가 입주했다.

알렉산더플라츠역은 놀렌도르프플라츠역에 이어 베를린 U-Bahn 네트워크의 두 번째 주요 허브이다. 4개의 레기오날-익스프레스 및 레기오날반 노선과 S-Bahn 노선인 S3, S5, S7, S9가 지상역에 정차한다. 또한 4개의 트램 노선과 4개의 버스 노선(주간)과 다수의 야간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3. 1. 도심선

베를린 도심선의 역은 1875년에 착공하여 1881년부터 1882년까지 건설되었으며, 요한 에두아르트 야콥스탈(Johann Eduard Jacobsthal)이 설계했다. 역사는 2면 4선으로 건설되었고, S반 열차는 동쪽 승강장에, 장거리 열차는 서쪽 승강장에 정차한다.[6]

1925년부터 1926년까지 프리드리히 휠젠캄프(Friedrich Hülsenkampf)의 설계로 역이 개축되었다. 독일국영철도는 역 개축 당시에 조명 시설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다.[6]

1995년부터 1998년 3월 12일까지 역사 및 도심선 교각의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로베르트 파울 니스(Robert Paul Niess)와 레베카 체스트넛(Rebecca Chestnutt)이 설계했다.[9] S반 열차는 1998년부터 동쪽 승강장에만 정차하기 시작했으며, 서쪽 승강장은 장거리 열차용으로만 사용된다.

3. 2. 도시 철도



알렉산더플라츠역은 베를린 U반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역으로, U2, U5, U8 노선이 H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U2 역은 동쪽, U8 역은 서쪽, U5 역은 중간에 위치해 있다. U2와 U8 승강장은 U5 승강장 및 상가가 있는 별도의 환승통로로 연결된다.

알프레드 그레난데르(Alfred Grenander)가 설계한 U2의 첫 번째 지하철역은 1913년 7월 1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이 역은 포츠담 광장에서 슈피텔마르크트를 거치는 베를린의 두 번째 노선의 동쪽 종착역이었다.

몇 년 후 AEG에서는 남북간 도시철도 노선(현재의 U8)을 건설하려고 시도했다. 재정적인 이유로 도시철도 건설이 불가능해지자 베를린 시에서 노선을 인수하여 U2 노선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 새로운 노선을 알렉산더 광장을 경유하도록 결정했고, 1926년에 도심선 아래쪽에 U8 역사를 착공하여 1930년 4월 18일에 개업했다.

1926년/1927년에는 동쪽으로 진행하는 현재의 U5 공사가 시작되었다. 2면 4선 규모의 역을 건설하여 U2, U8 역사를 지하에서 연결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U5 역사는 1930년 12월 21일에 개업했으며 지하 11.25 m에 지어졌다. U5, U8 및 지하 환승통로 역시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으며, 신즉물주의 양식으로 통합된 형태로 설계되었다.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당시 U8 역사는 다른 노선의 역사와 분리되어 유령역이 되었고 출구가 폐쇄되었다. 동베를린에서 계속 운행했던 U2 역사는 1972년 알렉산더플라츠 화재 이후 개축되었다.

독일의 재통일 이후 역 개보수공사에 약 3600만유로가 투입되었다. U8 역사는 재개통을 위해서 1990년 5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U5, U8 역사는 승강장 바닥으로 밝은 화강암이 사용되었고, U2 승강장은 건축유산 조건으로 인하여 새로운 아스팔트 포장이 진행되었다. U2 역사는 2001년 1월부터 3월까지, U5 역사는 2003년 2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역 서쪽으로는 인상선 4선이 설치되어 있었다. 2010년대의 U5 노선의 서부 연장 공사 시기에 이 공간의 선시공부를 사용했다. 2020년 12월 4일 브란덴부르거 토어-알렉산더플라츠 구간 개통 이후 베를린 중앙역까지 연장되었다. 인상선은 U8 노선과의 연결선인 바이젠터널(Waisentunnel) 및 U2 노선과의 연결선인 클로스터터널(Klostertunnel)과 연결되어 있다.

4. 운행 계통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에는 레기오날-익스프레스 및 레기오날반 4개 노선, S반 S3, S5, S7, S9 노선이 지상역에 정차한다. 인접한 지하철역은 베를린 U-Bahn 네트워크에서 가장 큰 역 중 하나로, U2, U5, U8 노선이 운행된다. 또한 이 역은 4개의 트램 노선과 주간 4개, 야간 다수의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4. 1. 레기오날엑스프레스 (Regional-Express) 및 레기오날반 (Regionalbahn)

Regional-Express|레기오날엑스프레스de (RE) 및 Regionalbahn|레기오날반de (RB) 열차는 다음과 같다.[3]

노선운행 구간
'하르츠-베를린-익스프레스'
알렉산더플라츠베를린 중앙역 – – 포츠담 – 마그데부르크 –  (열차 분할) – – 탈레 / 베르니게로데 –
마그데부르크 – 브란덴부르크 – 포츠담 –  – 베를린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베를린 동역 –  –  –  (– 코트부스)
나우엔 –  – 베를린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베를린 동역 –  –  –  – 페츠샤우 – 코트부스
데사우 –  –  – 베를린-반제 – 베를린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베를린 동역 –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
– 슈베린 –  – 나우엔 – 베를린-슈판다우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 –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 포츠담 –  – 베를린-반제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 –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BER 공항


4. 2. S반 (S-Bahn)

S반 S3, S5, S7, S9 노선이 지상역에 정차한다.

4. 3. U반 (U-Bahn)



베를린 U반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역으로, U2, U5, U8 노선이 운행된다. 역사는 H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U2 지하역은 동쪽, U8 지하역은 서쪽, U5 지하역은 중간에 위치해 있다. U2와 U8 승강장은 U5 승강장 및 상가가 있는 별도의 환승통로로 연결된다.[10]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한 U2의 첫 번째 지하철역은 1913년 7월 1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포츠담 광장에서 슈피텔마르크트를 거치는 베를린의 두 번째 노선의 동쪽 종점이었다. 승강장 아래에는 프리드리히스하인 방면으로 연장 시 사용할 선시공부가 같이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지어지지 않았다.[10]

1926년/1927년에는 동쪽으로 진행하는 현재의 U5 공사가 시작되었다. 2면 4선 규모의 역을 건설하여 U2, U8 역사를 지하에서 연결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승강장 외선으로는 추가 노선(바이센제 방면으로 계획된 U3)이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U5 역사는 1930년 12월 21일에 개업했으며 지하 11.25 m에 지어졌다. U5, U8 및 지하 환승통로 역시 알프레드 그레난데르가 설계했으며, 신즉물주의 양식으로 통합된 형태로 설계되었다.[10]

몇 년 후 AEG에서는 남북간 도시철도 노선(현재의 U8)을 건설하려고 시도했다. 도시철도 건설을 위해서 베를린 도심선 서쪽에 터널 굴착을 시작했다. AEG의 재정적인 이유로 도시철도 건설이 불가능해지자 베를린 시에서 노선을 인수했다. 베를린 시에서는 현재의 U2 노선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서 새로운 노선을 알렉산더 광장을 경유하도록 결정했고, 1926년에 도심선 아래쪽에 U8 역사를 착공하여 1930년 4월 18일에 개업했다.[10]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당시 알렉산더플라츠역에는 동서독 국경 검문소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U8 역사는 다른 노선의 역사와 분리되어 유령역이 되었고 출구가 폐쇄되었다. 서베를린으로 연결되는 노선이 있다는 사실을 최대한 숨기기 위해서, U8 승강장을 가로막은 벽은 역사 내 다른 벽과 유사한 타일로 마감되었고 지상의 역명판도 철거되었다. 동베를린에서 계속 운행했던 U2 역사는 1972년 알렉산더플라츠 화재 이후 개축되었다.[10]

독일의 재통일 이후 역 개보수공사에 약 3600만유로가 투입되었다. U8 역사는 재개통을 위해서 1990년 5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역 전체적으로 터키석 색상 타일로 마감되었다. U5, U8 역사는 승강장 바닥으로 밝은 화강암이 사용되었고, U2 승강장은 건축유산 조건으로 인하여 새로운 아스팔트 포장이 진행되었다.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해서 일부 출입구는 재배치되었다. 최종적으로 엘리베이터 총 4기, 계단 86개, 출구 9곳이 설치되었다. U2 역사는 2001년 1월부터 2001년 3월까지, U5 역사는 2003년 2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개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10]

4. 4. 트램 및 버스

이 역에는 4개의 트램 노선과 주간 4개, 야간 다수의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5. 인접 정차역

wikitext


6. 주변 시설


  • 알렉산더 광장
  • 베를린 TV 타워
  • 우라니아 세계 시계
  • 붉은 시청사
  • 마리엔 교회: 과거 동독 정권 시절, 억압받는 시민들의 피난처이자 저항의 상징이었다.

7. 갤러리

북쪽을 바라본 U2 승강장


플렉시티 베를린 트램, 알렉산더플라츠

참조

[1] DBCatsURL
[2] 웹사이트 Alle Zielorte https://www.vbb.de/f[...]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21-01-01
[3] Timetables Timetables for Berlin Alexanderplatz http://kursbuch.bahn[...]
[4] 뉴스 Berliner S-Bahn befördert eine halbe Milliarde Fahrgäste https://www.tagesspi[...] 2018-04-03
[5] 서적 Antwort der Bundesregierung auf die Kleine Anfrage der Abgeordneten Torsten Herbst, Frank Sitta, Dr. Christian Jung, weiterer Abgeordneter und der Fraktion der FDP – Drucksache 19/19475 2020-06-29
[6] 간행물 Die Erneuerung der großen Bahnhofshallen Schlesischer Bahnhof und Alexanderplatz. 1927-10-21
[7] 간행물 Der Umbau des Bahnhofs Alexanderplatz in Berlin. 1931-09-25
[8] 서적 Berlin und seine Bauten 1984
[9] 서적 Berlins Bahnhöfe gestern, heute, morgen. Jaron Verlag 2004
[10] 웹인용 Neues Kundenzentrum im U-Bahnhof Alexanderplatz http://www.bvg.de/in[...] 2012-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