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겐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겐인(崇源院)은 에도 막부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정실 부인이자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생모로, 사후에 붙여진 시호이다. 아자이 나가마사와 오이치의 딸로 태어났으며, 생전에는 '고(江)' 또는 '고우(ごう)'로 불렸다. 사지 가즈나리, 도요토미 히데카쓰와 결혼한 후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재혼하여 센히메, 다마히메, 가쓰히메, 하쓰히메, 이에미쓰, 다다나가, 마사코 등 2남 5녀를 낳았다. 오사카 전투 이후 요도도노의 명복을 빌었으며, 1626년 사망하여 조조지에 묻혔다. 스겐인은 아자이 3자매 중 한 명으로, 도쿠가와 막부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그녀의 삶은 소설, 만화, 드라마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지씨 - 사지 가즈나리
    사지 가즈나리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여동생을 어머니로 두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 여동생과 혼인했다가 이혼 후 오다 노부카네의 가신이 되어 오다 노부나가의 딸을 정실로 맞이했다.
  • 사지씨 - 오노성 (아이치현 도코나메시)
    오노성은 1350년경 잇시키 노리우지가 축성한 아이치현 도코나메시의 성으로, 사지 가문이 거점으로 삼았으나 오다 노부나가 사망 후 쇠퇴하였고 현재는 시로야마 공원으로 조성되어 천수와 해자 터 등이 남아있다.
  • 에도 막부의 미다이도코로 - 다카쓰카사 노부코
    다카쓰카사 노부코는 도쿠가와 마사코를 고미즈오 천황의 중궁으로 삼는 데 관여하고, 도쿠가와 쓰나요시와 결혼하여 에도 성 오오쿠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일화를 남겼으며, 쓰나요시 사후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다.
  • 에도 막부의 미다이도코로 - 덴쇼인
    덴쇼인은 에도 막부 말기, 쇼군의 부인으로서 도쿠가와 가문의 구제를 위해 헌신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쿠가와 이에사토를 양육 및 지원하며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인물이다.
  • 도쿠가와 히데타다 - 우에다 전투
    우에다 전투는 사나다 마사유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군대를 격파한 1585년의 제1차 전투와 세키가하라 전투 과정에서 사나다 가문이 동군과 서군으로 나뉘어 싸운 1600년의 제2차 전투로, 이 전투들을 통해 사나다 마사유키는 지략가로 이름을 알리고 사나다 가문은 전국 시대 주요 가문이 되었다.
  • 도쿠가와 히데타다 - 무가제법도
    무가제법도는 에도 막부가 다이묘를 통제하고 막부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쇼군이 바뀔 때마다 다시 반포한 법령으로, 시대에 따라 내용과 스타일에 변화가 있었다.
스겐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에요의 초상화
오에요의 초상화 (교토 요겐인 소장)
존칭오미다이도코로
이름오에요 (於江与)
다른 이름고 (江)
오고 (小督)
사토코 (達子)
출생 이름오고 (小督)
출생일1573년
사망일1626년 10월 26일
사망 장소무사시국 에도 에도성
배우자사지 가즈나리
도요토미 히데카쓰
도쿠가와 히데타다
가족아자이 가문 [[File:Japanese_Crest_mitumori_Kikkou_ni_Hanabishi.svg|15px]]
도요토미 가문 [[File:Goshichi_no_kiri_inverted.svg|15px]]
도쿠가와 가문 [[File:Tokugawa_family_crest.svg|15px]]
아버지아자이 나가마사
어머니오이치
기념물해당 없음
칭호종1위 (1626년)
가족 관계
동복 자매차차
하쓰
오에요
이복 형제 자매만푸쿠마루
만주마루
이요리
엔주마루
교부쿄노 쓰보네
숙모교고쿠 마리아
사촌교고쿠 다카쓰구
마쓰마루도노
생애
결혼사지 가즈나리
도요토미 고키치 히데카쓰
도쿠가와 히데타다
자녀완코
센히메
다마히메
가쓰히메
이에미쓰
다다나가
가즈히메
스겐인 (숭원원)
한자 표기崇源院
사망일간에이 3년 9월 15일 (1626년 11월 3일)
사망 장소무사시국에도 에도성 니시노마루

2. 이름

스겐인은 사후에 붙여진 이름(시호)이며, 생전에는 "고(江)" 또는 "고우(ごう)"로 불렸다.[6] "스겐인"이라는 시호는 "숭원원전창예화흥인청(崇源院殿昌誉和興仁清)"에서 유래했으며, 당시에는 "소겐인(そうげんいん)"으로 발음되었을 가능성이 크다.[11] 이름의 한자 표기는 "江" 또는 "督" 등이 사용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와의 결혼으로 인해 "江"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았다. 신분이 높은 여성은 거주지나 입장에 따라 다른 호칭으로 불렸는데, 스겐인은 "기타노카타(北の方)", "고신조(御新造)", "오미다이도코로(大御台所)" 등으로 불렸다.

3. 생애

스겐인은 아자이 나가마사의 거성인 오미국 오다니 성에서 나가마사의 정실인 오이치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 덴쇼 12년(1584년) 12세였다는 기록에 따라 덴쇼 원년(1573년)에 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덴쇼 원년 9월 1일 아버지 나가마사가 오다 노부나가와의 전쟁에서 패하여 고다니 성과 목숨을 잃으면서 아자이 가문은 멸망하였다. 그러나 어머니 오이치, 언니 차차, 하쓰와 함께 후지카케 나가카쓰에 의해 구출되어 오다 노부카네의 비호 아래 기요스성에서 거처하였다.

덴쇼 10년 오다 노부나가가 가신 아케치 미쓰히데의 모반으로 혼노지에서 목숨을 잃었다. 같은 해 6월 27일 기요스 회의에서 재혼이 결정된 어머니 오이치가 시바타 가쓰이에와 혼인하면서 에치젠국 기타노쇼 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러나 이듬해인 덴쇼 11년(1583년) 가쓰이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패하여 자결하였고, 오이치 또한 남편의 뒤를 따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러나 세 자매는 살아남아 히데요시의 보호를 받았다.

이후 스겐인은 오다 노부나가의 차남 오다 노부카쓰의 가신이자 오와리국 지타군 오노의 영주였던 사지 가즈나리와 혼인하였다. 그러나 덴쇼 12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당시 사지 가즈나리가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을 들어 히데요시에게 대항하면서 강제로 이혼당하였다. 그 후 히데요시의 조카인 도요토미 히데카쓰와 재혼하였으나, 히데카쓰는 임진왜란에 참전했다가 거제도에서 병사하였다. 두 사람 사이에는 딸 사다코가 있었다.

분로쿠 4년(1595년) 9월 17일,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후계자인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재혼하였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게이쵸 2년(1597년)에 태어난 장녀 센히메를 시작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 도쿠가와 다다나가를 비롯한 2남 5녀가 태어났다.

간에이 3년(1626년) 에도성 니시노마루에서 향년 54세로 사망하였다.

3. 1. 출생과 가족

스겐인은 1573년 오미국 오다니 성(현재 시가현 나가하마시)에서 아자이 나가마사오이치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 출생 연도에 대해서는 1573년 설이 유력하며,[6] 어머니 오이치는 오다 노부나가의 여동생이었다. 유모는 민부쿄노 쓰보네였다. 언니는 요도도노(차차), 조코인(하쓰)이며, 이들 세 자매는 "아자이 3자매"로 불렸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결혼 전 스겐인의 양아버지이자 보호자가 되었다.[7]

1573년 9월 1일, 아버지 나가마사가 오다 노부나가와의 전쟁에서 패하여 오다니 성과 목숨을 잃으면서 아자이 가문은 멸망하였다. 그러나 어머니 오이치, 언니 차차, 하쓰와 함께 후지카케 나가카쓰에 의해 구출되어 오다 노부카네의 비호 아래 기요스성에서 거처하였다.

1582년 오다 노부나가가 가신 아케치 미쓰히데의 모반으로 혼노지에서 목숨을 잃었다. 같은 해 6월 27일 노부나가의 후계자를 정하는 기요스 회의에서 재혼이 결정된 어머니 오이치가 시바타 가쓰이에와 혼인하면서 에치젠국 기타노쇼 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러나 이듬해인 1583년 가쓰이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패하여 자결하였고, 오이치 또한 남편의 뒤를 따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러나 세 자매는 살아남아 히데요시의 보호를 받았다.

3. 2. 첫 번째 결혼: 사지 가즈나리와의 결혼과 이혼

오다 노부나가의 차남 오다 노부카쓰의 가신이자 오와리국 지타군 오노의 영주였던 사지 가즈나리와 혼인하였다. 이 혼담의 배경에는 기요스 회의 이후 오와리를 실질적으로 지배하던 노부카쓰를 자신의 편으로 회유하고자 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의도가 있었다는 설이 있다.[7]

덴쇼 12년(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당시 사지 가즈나리가 자신의 주군 오다 노부카쓰를 따라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을 들어 히데요시에게 대항하면서 스겐인과 강제로 이혼당했다.[7] 『바쿠후 부녀 계보』, 『이귀소전』, 『옥여기』 등의 기록에 따르면, 전투 당시 사지 가즈나리가 이에야스 측에 나룻배를 제공하면서 히데요시의 분노를 사 이혼당한 뒤 추방되었다고 한다.[7]

그러나 사지 가즈나리의 추방은 히데요시가 아니라 오다 노부카쓰에 의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오다 노부카쓰의 가신으로 히데요시와 내통하다 처형된 오카다 시게타카에게 사지 가즈나리가 가담하여 히데요시 편을 들었던 것이 발각되어 추방되었다는 것이다. 덴쇼 13년(1585년) 기록된 『오다 노부카쓰 분한장』에 사지 가즈나리의 이름이 없고,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이후 논공행상 당시에도 언급되지 않아, 당시 사지 가즈나리가 오다 노부카쓰의 총애를 잃고 오노로 추방된 상태였음을 짐작하게 한다.[7]

최근 돗토리 이케다 가에 전해지는 사지 가문의 유서에 따르면 혼담이 오간 시점은 오다 노부나가의 생전인 덴쇼 2년(1574년)이라고도 한다. 덴쇼 2년은 사지 가즈나리의 아버지 노부카타가 전사하여, 노부카타와 혼인했던 오이누노카타가 친정인 오다 가문으로 되돌아온 해로, 스겐인과 사지 가즈나리의 혼인은 오다 가문과 사지 가문의 관계를 다시 돈독하게 하기 위해 히데요시가 아닌 노부나가의 의향에 따른 것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두 사람 간의 관계는 약혼에 불과했고 실제 혼인 관계는 아니었다는 설도 있다.[7]

3. 3. 두 번째 결혼: 도요토미 히데카쓰와의 결혼과 사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이자 양자인 도요토미 히데카쓰(하시바 히데카쓰)와 재혼하였다. 히데카쓰와의 재혼 시기는 불확실하나, 분로쿠(文禄) 원년 또는 히데카쓰가 정식으로 히데요시의 양자가 된 덴쇼 14년(1586년)이라는 설이 유력하다.[18]

도요토미 히데카쓰는 히데요시의 통일 사업에 앞장서 규슈 정벌, 오다와라 정벌 등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덴쇼 18년(1590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간토(関東) 지방으로 물러나면서 이에야스의 옛 영지였던 가이(甲斐), 시나노(信濃) 지역을 봉토로 받았다. 이듬해인 덴쇼 19년(1591년)에는 기후(岐阜)로 영지를 옮겼으나 스겐인은 교토의 히데카쓰 저택에 머무른 것으로 여겨진다.[19] 히데카쓰는 분로쿠 원년(1592년)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조선 땅을 밟았으나 같은 해 9월에 거제도에서 병사하였다.

두 부부 사이에서는 딸 사다코(完子)가 태어났다. 사다코의 생년월일, 아명은 불투명하나 분로쿠 원년 또는 그 다음해로 추정된다.

3. 4. 세 번째 결혼: 도쿠가와 히데타다와의 결혼과 자녀

분로쿠 4년(1595년) 9월 17일, 스겐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후계자인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재혼했다.[7] 히데타다는 덴쇼 18년에 오다 노부카쓰의 딸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녀인 오히메(小姫)와 혼약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오히메가 요절하면서 혼사는 흐지부지되었고, 대신 스겐인이 히데타다의 정실이 되었다.

스겐인과 히데타다 사이에서는 게이쵸 2년(1597년)에 태어난 장녀 센히메를 시작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 도쿠가와 다다나가를 비롯한 2남 5녀가 태어났다.[7]

이름출생사망비고
센히메1597년 5월 26일1666년도요토미 히데요리와 결혼, 이후 혼다 타다토키와 재혼.
타마히메1599년 8월 1일1622년 8월 9일마에다 도시쓰네와 결혼.
가쓰히메1601년 6월 12일1672년 3월 20일마쓰다이라 다다나오와 결혼.
하쓰히메1602년 8월 25일1630년 4월 16일교고쿠 다다타카와 결혼.
도쿠가와 이에미쓰1604년 8월 12일1651년에도 막부 3대 쇼군.
도쿠가와 다다나가1606년 6월 12일1634년슨푸 번주였으나 개역됨.
도쿠가와 마사코1607년 11월 23일1678년고미즈노 천황과 결혼, 메이쇼 천황의 어머니.


3. 5. 도쿠가와 막부에서의 역할과 사망

간에이 3년(1626년) 에도성(江戸城) 니시노마루(西の丸)에서 54세로 사망하였다.[7]

도쿠가와 히데타다와의 사이에서 2남 5녀를 두었다. 자녀들은 다음과 같다.

스겐인은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어머니이자, 고미즈노오 천황의 중궁 마사코의 어머니이며, 메이쇼 천황의 외조모이다.[22] 또한, 이에미쓰와 도요토미 히데카쓰와의 사이에서 낳은 사다코, 히데타다와의 사이에서 낳은 가쓰히메를 통해 다이쇼 천황의 황후 사다코로 이어진다.[22] 따라서 쇼와 천황의 선조가 된다.

사후 법명은 "스겐인 돈쇼 와코 닌세이 쇼조테이 니(崇源院殿松翁和光仁淸照貞尼)"였다. 묘는 도쿄 미나토구 조조지(増上寺)에 있으며, 남편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비롯한 다른 도쿠가와 쇼군 가문 구성원들과 함께 묻혔다.

교토 사쿄구 곤카이코묘지(金戒光明寺)와 와카야마현 고야초 곤고부지(金剛峯寺)에도 그녀를 기리는 기념탑이 있다. 이 탑에는 "스겐인 돈쇼 와코 닌세이(崇源院殿松翁和光仁淸)"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4. 계보

5. 인물됨과 평가

아자이 3자매(浅井三姉妹) 중 한 명으로, 어머니 오이치를 닮아 미인이었다고 전해진다.[11] 남편 히데타다와의 사이에서는 보기 드물게 히데타다가 정식으로 단 한 명의 측실도 들이지 않아, 스겐인 본인의 매력 또한 상당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분이 높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임에도 외모나 성격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사료는 적다. 소설, 드라마 등에서는 히스테릭하고 질투 많은 성격의 인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차남 다다나가를 지나치게 귀여워하여 장남 이에미쓰와 그의 유모 가스가노 쓰보네를 괴롭혔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스겐인이 이에미쓰보다 다다나가를 더 사랑했던 이유로는 다다나가가 외숙인 오다 노부나가와 닮은 점이 많아서라는 설도 있다. 한편으로는 이에미쓰가 생모인 스겐인보다 유모인 가스가노 쓰보네를 더 따라, 가스가노 쓰보네의 영향력 증대를 막기 위해 일부러 다다나가를 존중하였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사료에서 스겐인이 차남 다다나가를 일방적으로 귀여워하고 장남 이에미쓰를 함부로 대했다는 구체적인 증거는 존재하지 않으며, 다다나가에게 쇼군직을 잇게 하려 했다는 1차 사료는 물론 방증 사료조차 보이지 않는다.[24] 스겐인에 대한 비난은 작위적인 편견이며 유언비어라고 할 수 있다.

스겐인이 질투심이 많다고 기록된 사료는 존재하지만, 정광원(시즈)에 의한 순산 기원문과 아이즈번의 역사이기 때문에 신빙성이 높다고는 말할 수 없다.

스즈키 히사시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진 조조지의 도쿠가와 가문 묘소 발굴 조사 때 숭원원의 묘도 발굴되어 유골도 조사되었다.[24] 조사 보고에 따르면, 스겐원은 화장되었으며, 아담하고 가냘픈 체형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상완골 팔꿈치 관절에 주두공이라는 작은 구멍이 있었는데, 이는 가냘픈 체형을 가진 사람에게 나타나는 것이다.

6. 유산과 영향

스겐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실이자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부인으로, 도쿠가와 막부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녀의 후손들은 쇼군, 귀족, 다이묘 등 일본 사회의 지배층으로 자리 잡았으며, 일부는 천황가와도 혈연관계를 맺었다.[9]

다이쇼 천황데이메이 황후는 스겐인의 혈족이며, 이들의 자식인 쇼와 천황은 스겐인의 후손이다. 스겐인의 딸 도쿠가와 마사코고미즈노오 천황과 결혼하여 메이쇼 천황을 낳았다.[9]

스겐인의 삶은 드라마, 소설, 만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6. 1. 관련 작품

; 드라마

; 소설

  • 미녀 싸움|미녀 싸움일본어 (諸田玲子|모로타 레이코일본어, 주오코론 신샤, ISBN 978-4120039751)
  • 난문|난문일본어 (永井路子|나가이 미치코일본어)
  • 꽃들의 계보 아자이 삼자매 이야기|꽃들의 계보 아자이 삼자매 이야기일본어 (畑裕子|하타 유코일본어, 선라이즈 출판, ISBN 978-4883253876)
  • 고 공주들의 전국 (田渕久美子|다부치 구미코일본어, NHK 출판, 상권 ISBN 978-4140055700, 하권 ISBN 978-4140055717) - 2011년 NHK 대하드라마 원작
  • 고 - 파란과 애증의 생애|고 - 파란과 애증의 생애일본어 (中島道子|나카지마 미치코일본어, 세계문화사, ISBN 978-4-418-10509-0)


; 만화

  • 학습 만화 시리즈 '전국의 히로인 고'|학습 만화 시리즈 '전국의 히로인 고'일본어 (万乗大智|만조 다이치일본어, 쇼가쿠칸)
  • 고 공주들의 전국 (暁かおり|아카쓰키 가오리일본어, 고단샤)
  • 대하드라마의 원작 소설을 만화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간행.
  • 고 ~마왕의 욱화~|고 ~마왕의 욱화~일본어 (魔木子|마키코일본어, 분카샤)

7. 각주

히데타다가 1623년 장남에게 정권을 넘겨준 후, 오에요는 불교식 법명인 '''스겐인'''(崇源院)을 사용했다. 그녀의 묘는 도쿄 시바에 위치한 조조지에서 찾을 수 있다.[8]

메이지 시대에 촬영된 스겐인의 묘

참조

[1] 간행물 5 The Artistic Legacy of Yōgen'in, A Mortuary Temple Sponsored by Women in Early Modern Kyoto https://brill.com/di[...] Brill 2017-01-01
[2] 간행물 Bloodlines https://brill.com/di[...]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4-12-08
[3] 논문 Gender in the Meiji Renovation: Confucian 'Lessons for Women'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https://www.jstor.or[...] 2008
[4] 간행물 Tokugawa Tsunayoshi and the Formation of Edo Castle Rituals of Giving https://brill.com/di[...] Brill 2017-01-01
[5] 서적 Japan's Golden Age: Momoyama https://books.google[...] 2002
[6] 웹사이트 "The silk coloured portrait of wife of Takatsugu Kyogoku," http://www.city.obam[...]
[7] 서적 Ogata Kenzan (1663–1743) https://books.google[...] 1985
[8] 논문 "On the Sogenin's Mansoleum at Zojoji Temple" (崇源院靈牌所造營考) http://ci.nii.ac.jp/[...] 1936-03-31
[9] 웹사이트 大河ドラマ 第50作 江(ごう) 姫たちの戦国 http://www.nhk.or.jp[...]
[10] 웹사이트 J-Dorama https://web.archive.[...]
[11] 문서 江戸東京博物館友の会会報「えど友」No.60 2011
[12] 인용 1997
[13] 서적 常滑史話索隠 1965
[14] 인용 2010
[15] 인용 2010
[16] 인용 2010
[17] 인용 2010
[18] 서적 豊臣政権樹立過程における於次秀勝の位置づけ 思文閣出版 2017
[19] 인용 2010
[20] 문서 『安土町史』史料編1
[21] 문서
[22] 웹사이트 江(崇源院)から今上天皇までの系譜 https://www.pseudo-h[...]
[23] 문서
[24] 서적 [[増上寺徳川将軍墓とその遺品・遺体]] 東京大学出版会 1967
[25] 문서 『寛政重修諸家譜』
[26] 문서 『系図纂要』
[27] 웹사이트 大河ドラマの“浅井三姉妹”と“お市” https://www2.nhk.or.[...] 2022-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