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즈키 소사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즈키 소사쿠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육군 중장까지 진급했으며, 제35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891년 아이치현에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후 참모본부에서 근무했다.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며,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작전에 참여하여 숙칭 학살에 관여했다. 1944년 필리핀 방어를 담당하는 제35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레이테 전투에서 지휘했으나, 1945년 민다나오 해에서 전사했다. 사후 육군 대장으로 추서되었으며, 훈장으로 훈1등 서보장과 훈일등욱일대수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사망자 - 나구모 주이치
나구모 주이치는 1887년 출생하여 해군병학교를 졸업하고 진주만 공격을 지휘한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며, 미드웨이 해전 패배 후 사이판 전투에서 자결하고 해군 대장으로 추서되었다. -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사망자 - 고토 아리토모
고토 아리토모는 일본 제국 해군의 수뢰전술 전문가로 함장 및 함대 사령관을 역임하며 제1차 세계 대전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나, 사보섬 해전에서 아군 오인으로 전사 후 해군 중장으로 추서되었고, 군사적 능력과 아군 오인 공격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공존한다. - 중일 전쟁 관련자 - 무타구치 렌야
일본 제국 육군 장군 무타구치 렌야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 노구교 사건과 임팔 작전 등 주요 사건에 관여했으며, 전후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그의 군사적 능력과 작전 실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중일 전쟁 관련자 - 아베 노부유키
아베 노부유키는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의 육군 대장이자 정치인으로, 제39대 내각총리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과 일본의 중립 유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이후 조선총독을 지내며 전쟁 말기 조선에서의 압제적 통치를 담당했다. - 일본 육군 대장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 육군 대장 - 우메즈 요시지로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인 우메즈 요시지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참모총장과 관동군 총사령관을 역임했으며, A급 전범으로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스즈키 소사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스즈키 소사쿠 |
원어 이름 | 鈴木 宗作 |
로마자 표기 | Suzuki Sōsaku |
출생 | 1891년 9월 27일 |
출생지 | 아이치현, 일본 |
사망 | 1945년 4월 19일 |
사망지 | 산탄데르, 세부, 필리핀 |
군사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912년 – 1945년 |
최종 계급 | [[파일:帝國陸軍の階級―襟章―大将.svg|35px]] 육군 대장 (사후 추서) |
지휘 | 제35군 |
참전 | 제2차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 |
훈장 | 훈일등욱일대수장 |
2. 생애
1891년 9월 27일 아이치현에서 의사 스즈키 효지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이치현 메이린 중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며 엘리트 군인의 길을 걸었다.
1912년 보병 소위로 임관한 이후, 독일 주재 무관 근무, 육군대학교 교관 등을 거치며 경력을 쌓았다. 1933년 관동군으로 전출되어 만주에서 근무했으며, 1935년에는 보병대좌로 진급하여 보병 제4연대 연대장을 맡았다.[5]
중일 전쟁 발발 후에는 1938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중지나 파견군과 지나 파견군의 참모부장을 역임했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1941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25군 참모장으로서 말라야 전투 등에 참여했으며, 이후 육군 운수부장, 선박사령관 등을 지냈다. 1944년 7월 28일 필리핀 방어를 위한 제35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레이테 전투 등을 지휘했다.
1945년 4월 19일, 필리핀 민다나오 해 상에서 이동 중 미군 항공기의 공격을 받아 전사했다. 사후 6월 14일 대장으로 추서되었으며, 1974년 9월 27일 훈일등욱일대수장이 수여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891년 9월 27일, 아이치현에서 의사 스즈키 효지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이치현 메이린 중학교를 거쳐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했다.1912년 5월 28일, 육군사관학교 24기를 3등/734명의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으며, 보병과에서는 수석이었다. 동기생으로는 사카이 야스시(포병과), 스미다 '𧶛'시로(포병과) 등이 있다. 같은 해 12월 보병 소위로 임관하여 나고야성 내에 주둔하던 보병 제6연대에 배속되었다.
1915년 12월 25일 보병 중위로 진급했으며, 1919년 11월 26일에는 육군대학교 31기를 1등/60명으로 졸업하여 은사 군도를 받았다. 육군대학교 동기 중에는 메이린 중학교 동창생인 이이누마 마모루 중장, 기타 세이이치 대장, 오바타 히데량 대장 등이 있다. 졸업 후에는 참모본부 부속으로 근무했다.
1921년 11월 22일 보병 대위로 진급했고, 1922년부터 1925년까지 독일 주재 무관으로 파견되었다. (1923년 9월 무렵에는 육군성 군무국 소속으로 독일에 주재했다.)
1927년 7월 26일 보병 소좌로 진급했으며, 1928년 12월 12일부터는 육군 기술 본부 부속 겸 육군성 군무국 과원, 육군대학교 병학 교관을 맡았다. 1931년 8월 1일에는 보병 중좌로 진급했다.
연도 | 날짜 | 내용 |
---|---|---|
1912년 | 5월 28일 | 육군사관학교 졸업 (24기, 3등/734명, 보병과 수석) |
1912년 | 12월 | 보병 소위 임관, 보병 제6연대 배속 |
1915년 | 12월 25일 | 보병 중위 임관 |
1919년 | 11월 26일 | 육군대학교 졸업 (31기, 1등/60명, 은사 군도 수여) |
1919년 | 11월 26일 이후 | 참모본부 부속 근무 |
1921년 | 11월 22일 | 보병 대위 임관 |
1922년 ~ 1925년 | - | 독일 주재 무관 근무 |
1927년 | 7월 26일 | 보병 소좌 임관 |
1928년 | 12월 12일 | 육군 기술 본부 부속 겸 육군성 군무국 과원, 육군대학교 병학 교관 |
1931년 | 8월 1일 | 보병 중좌 임관 |
2. 2. 중일 전쟁 참전
1933년 3월 관동군 사령부 부속으로 만주에 부임하였고, 같은 해 12월 23일 관동군 참모가 되었다. 1934년 12월 26일에는 관동청 경무부 경비과장으로 자리를 옮겼다.1935년 8월 1일 보병대좌로 진급하며 보병 제4연대 연대장에 임명되어 1937년까지 복무했다.[5][1]
중일 전쟁이 본격화된 이후인 1938년 7월 15일, 소장으로 진급하여 중지나 파견군 참모 부장으로 활동했다. 1939년 9월 12일에는 지나 파견군 총참모 부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12월 1일 참모본부로 복귀하여 부속 근무를 하였고, 1940년 3월 9일에는 참모본부 제3부장에 임명되었다.
2. 3. 태평양 전쟁 참전
스즈키는 1941년 3월 1일 중장으로 진급했다.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인 11월 6일, 야마시타 도모유키 장군 휘하 제25군의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제25군은 1941년 12월 8일부터 1942년 2월 5일까지 이어진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스즈키는 싱가포르 점령 후 벌어진 민간인 학살 사건인 숙칭 계획에 관여하는 등 전쟁 범죄에 책임이 있다.1942년 10월 7일 일본으로 돌아와 육군 병기 본창 부속으로 보직이 변경되었고, 1943년 4월 8일에는 육군 운수부장, 같은 해 9월 25일에는 선박사령관을 겸임하며 후방 지원 역할을 맡았다.
1944년 7월 28일, 스즈키는 필리핀 방어를 위해 창설된 제35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제35군은 일본 제14방면군 예하 부대로, 세부에 본부를 두었으며 민다나오와 비사야 제도 등 필리핀 중남부 지역 방어를 담당했다. 당초 장기적인 소모전을 대비한 수비대로 계획되었으나, 전황이 악화되자 대본영은 제35군 주력을 레이테 전투에 증원군으로 투입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944년 10월 20일 미군이 레이테에 상륙했을 당시 스즈키는 약 4만 5천 명의 병력을 지휘했지만, 연합군의 공세 앞에 12월 말까지 일본군은 사실상 괴멸되었다. 레이테 전투 패배 후, 스즈키는 살아남은 부대들에게 각 섬에 흩어져 가능한 한 오랫동안 게릴라전을 벌이라는 지시를 내렸다.
1945년 3월 24일, 스즈키는 세부 시티를 탈출하려 했으나, 3월 26일 미군이 세부에 상륙하자 산악 지대로 후퇴하여 민다나오로의 철수를 시도했다.[2] 4월 8일에는 부관 카와하라 리조메 소령의 전사와 세부 시티 함락 소식을 접했지만 탈출을 강행했다. 그러나 4월 19일, 민다나오 해 상에서 이동 중이던 보트가 미군 항공기의 공격을 받아 전사했다. 그는 사후 6월 14일 대장으로 추서되었다.
3. 평가 및 논란
스즈키 소사쿠는 군인으로서 능력을 인정받아 엘리트 코스를 밟은 인물로 평가된다. 하지만 태평양 전쟁 당시 제25군 참모장으로서 싱가포르 점령 후 벌어진 숙칭 학살 계획 수립에 관여하는 등 전쟁범죄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비판 역시 존재한다.
3. 1. 숙칭 학살 관여
스즈키 소사쿠는 1941년 3월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인 같은 해 11월 야마시타 도모유키 장군 휘하 제25군의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제25군은 태평양 전쟁 초기인 1941년 12월 8일부터 1942년 2월 5일까지 이어진 말라야 전투를 통해 싱가포르를 점령했다. 스즈키는 제25군 참모장으로서 싱가포르 점령 이후 벌어진 숙칭 학살 사건의 계획 수립에 관여하였다. 이는 당시 제25군이 싱가포르를 점령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4. 훈장
'''위계'''
'''훈장'''
'''외국 훈장 패용 허가'''
참조
[1]
웹사이트
Suzuki Sokaku
http://www.generals.[...]
[2]
간행물
Suzuki Sosaku
http://pwencycl.kgbu[...]
[3]
뉴스
『官報』第167号「叙任及辞令」
1913-02-21
[4]
뉴스
『官報』第4632号 付録「辞令二」
1942-06-20
[5]
웹인용
Suzuki Sokaku
http://www.generals.[...]
2015-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