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캐폴드 단백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캐폴드 단백질은 특정 신호 전달 경로 내에서 여러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신호 전달의 효율성과 특이성을 높이는 단백질이다. 이러한 단백질은 신호 전달 물질을 고정하고, 세포 내 특정 영역으로 국소화하며, 음성 및 양성 피드백 신호를 조절하고, 적절한 신호 전달 단백질을 격리하는 역할을 한다. 스캐폴드 단백질은 신호 전달 물질과의 복합체 형성, 세포 내부로의 전달, 음성 및 양성 피드백과의 상호 작용, 그리고 신호 전달 단백질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헌팅턴 단백질, SPIDR, 염색체 골격 단백질, 효소 반응, 분자 형태 형성, 구조적 스캐폴드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서도 스캐폴드 단백질의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신호 - 수용체
수용체는 세포 내외의 신호 분자를 인식하여 세포 반응을 유발하는 단백질로, 이온 채널형, G 단백질 연결형, 효소 연결형, 핵 수용체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리간드 결합 친화도와 효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질병과 관련되어 구조와 기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세포 신호 - 호르몬
호르몬은 특정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정보 전달 물질로, 다양한 화학적 구조와 신호 전달 방식을 가지며, 척추동물의 성장, 발달, 생식, 신진대사 등 생리 과정에 관여하고, 의약품으로도 사용되지만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 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생물학 - 생명
생명은 환경 속에서 자기 유지, 증진, 강화를 하는 특징으로 정의되나 논쟁적이며, 항상성 유지, 세포 구조, 물질대사, 성장, 적응, 자극 반응, 생식 능력을 포함하고, 자기 복제와 진화로 유지되는 열린 열역학계로 설명되며, 기원은 약 40억 년 전으로 추정되고, 진화와 멸종이 공존하며, 바이러스, 외계 생명체, 인공 생명 연구가 진행 중이다.
스캐폴드 단백질 | |
---|---|
스캐폴드 단백질 | |
유형 | 단백질 |
기능 | 신호 전달 경로 조절 |
발견 | 조셉 허스코와 알렉산더 바르샤프스키 |
발견 년도 | 1980년대 초 |
관련 질병 | 암 면역 장애 신경 질환 |
상호 작용 | 효소 기질 세포막 수용체 세포골격 단백질 |
상세 정보 | |
역할 | 신호 전달 복합체 형성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 촉진 효소 활성 조절 기질 특이성 결정 세포 내 위치 결정 |
예시 | JIP 단백질 KSR 단백질 Axin 단백질 MP1 단백질 |
중요성 | 세포 성장 분화 이동 세포 사멸 면역 반응 |
연구 분야 | 세포 생물학 신호 전달 약물 개발 |
2. 역사
가장 먼저 발견된 신호 전달 스캐폴드 단백질은 효모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에서 발견된 Ste5 단백질이다. Ste5 단백질은 세 개의 서로 다른 도메인을 통해 단백질 키나아제인 Ste11, Ste7, Fus3과 결합하여 멀티키나아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34][2]
핵스캐폴드 단백질은 핵막공복합체와 핵라미나를 구성하는 것 외에도, 핵 내부 기질에서 유래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주요 예시는 다음과 같다.
스캐폴드 단백질은 신호 전달 경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33][1]
3. 종류
종류 주요 기능/역할 효소 DNA 중합효소 II 등 RNA 결합 단백질 hnRNA 등 RNA와 결합 전사인자 유전자 발현 조절 암유전자 및 암억제유전자 산물 세포 성장 및 분열 조절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세포 분열 주기 조절 스캐폴드 부착 영역 (SAR) 결합 단백질 DNA의 특정 영역(SAR)에 결합 세포골격계 단백질 세포 구조 유지 및 형태 변화 관여
이러한 핵스캐폴드 단백질들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4. 기능
4. 1. 신호 전달 물질 복합체 형성
스캐폴드 단백질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신호 전달 연쇄반응에 관여하는 요소들을 하나의 복합체로 조립하는 것이다.[39][35][7][3] 이렇게 형성된 복합체는 신호 전달 물질(단백질) 사이의 불필요한 상호작용을 막아 신호 전달의 특이성을 높인다. 동시에, 필요한 요소들을 가까운 곳에 모아 유효 농도를 증가시켜 신호 전달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39][35][7][3]
스캐폴드 단백질이 신호 전달의 특이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대표적인 예는 인산화효소(키나아제)와 그 기질을 함께 묶어 특정 인산화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39][35][7][3] 또한, 일부 신호 전달 단백질은 활성화되기 위해 여러 단계의 가공 과정이나 상호작용이 필요한데, 스캐폴드 단백질은 이러한 과정을 한 번의 상호작용으로 단순화시켜 효율을 높인다.[39][35][7][3]
스캐폴드 단백질은 단순히 구조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신호 전달 물질과 상호작용하며 알로스테릭 효과를 일으켜 신호 전달 과정을 조절하는 효소와 유사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36][4] 이를 통해 스캐폴드 단백질은 신호 전달 물질의 활성을 촉진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36][4] 대표적인 예로 MAPK 경로의 Ste5 스캐폴드 단백질을 들 수 있다. Ste5 단백질은 특정 키나아제(MAPKKK)가 MAPKK인 Ste7을 인산화하여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촉매적으로 도와, 최종적으로 Fus3 MAPK를 통한 짝짓기 신호(mating signaling) 전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7][5]
4. 2. 신호 전달 물질의 세포 내부로의 전달
스캐폴드 단백질은 신호 전달 물질을 세포 내부의 특정 부위로 전달하여 신호 전달 반응을 국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신호 전달 중간 산물의 국소적인 생산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38][6] 대표적인 예로 스캐폴드 단백질의 일종인 A-키나제 앵커 단백질(AKAPs)을 들 수 있는데, 이 단백질은 PKA(cyclic AMP-dependent 단백질 키나제)를 세포 내 다양한 장소로 표적화하여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38][6] 이러한 국소화를 통해 PKA를 특정 위치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PKA에 의한 기질의 국소적인 인산화를 유도한다.[6]
4. 3. 음성 피드백과 양성 피드백과의 상호 작용
스캐폴드 단백질이 음성 피드백 및 양성 피드백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많은 가설은 조작된 스캐폴드 단백질과 수학적 모델링 연구를 통해 제시되었다. 세 개의 키네이스가 관여하는 신호 전달 과정에서, 스캐폴드 단백질은 이 세 키네이스 효소를 모두 결합시킨다. 이를 통해 스캐폴드 단백질은 키네이스가 특정 하위 표적하고만 인산화 반응을 하도록 제한하여, 신호가 무분별하게 증폭되는 것을 막고 키네이스의 특이성을 향상시킨다.[39][40][41][7][8][9] 이러한 능력은 스캐폴드 단백질과 키네이스 간 상호작용의 안정성, 세포 내 기저 인산분해효소 활성, 스캐폴드 단백질의 위치, 그리고 신호 전달 구성 요소의 발현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9][40][7][8]
4. 4. 적절한 신호 전달 단백질을 비활성화로부터 보호작용
신호 전달 과정은 종종 신호 전달 물질의 분해를 유도하거나 과정을 비활성화시키는 효소들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스캐폴드 단백질은 이렇게 활성화된 신호 전달 분자가 비활성화되거나 분해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0][8]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연구에 따르면, 스캐폴드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은 인산화효소(키나제)는 후속 표적 분자를 인산화시키기도 전에 탈인산화효소(포스파타아제)에 의해 탈인산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0][8] 이는 스캐폴드 단백질이 신호 전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또한, 스캐폴드 단백질은 인산화효소를 기질이나 ATP 경쟁적 억제제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시켜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0]
5. 특성
스캐폴드가 가져야 할 필수적인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1][2]
- 세포를 부착시키고 필요한 곳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 조직의 성장을 유도하고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 세포가 부착될 특정 기질을 목표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 세포의 반응을 유도하거나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 상처 치유 과정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도와야 한다.
-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생체 내에서 안전하게 분해되는 생분해성이어야 한다.
- 제조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쉽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
- 단위 부피당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이 많은 다공성 구조여야 한다.
- 외부 힘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와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는 치수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 사용 전 멸균 처리가 가능해야 한다.
6. 스캐폴드 단백질 요약
스캐폴드 단백질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신호전달 경로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하나의 복합체로 묶어주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복합체는 신호 전달 물질 간의 불필요한 상호작용을 줄이는 동시에, 필요한 요소들을 한 곳에 모아 신호 전달의 효율성을 높인다.[39][35] 예를 들어, 스캐폴드 단백질은 인산화효소와 그 기질을 함께 묶어 특정 인산화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돕는다. 또한, 여러 단계의 가공 과정이 필요한 신호 전달 물질의 경우, 스캐폴드 단백질은 관련 효소들을 모아 한 번의 상호작용으로 여러 가공이 일어나도록 과정을 단순화시킨다.[39][35]
스캐폴드 단백질은 신호 전달 물질과 상호작용하며 알로스테릭 효과를 통해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효소와 유사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36] 이를 통해 신호 전달 물질의 활성을 촉진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MAPK 경로의 Ste5 스캐폴드 단백질은 특정 키네이스의 작용을 촉매적으로 촉진하여 Fus3 MAPK를 통한 신호 전달에 직접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또한, 스캐폴드 단백질은 신호 전달 물질을 세포 내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신호 전달 중간 산물 생성에 매우 중요하다. 단백질 키나제 A 계열 스캐폴드 단백질(AKAP)은 cAMP-의존성 단백질을 세포 내 다양한 장소로 안내하는 대표적인 예이다.[38]
스캐폴드 단백질은 신호 전달 경로의 피드백 조절에도 관여한다. 수학적 모델링 연구에 따르면, 스캐폴드 단백질은 여러 키네이스를 묶어 특정 하위 타겟과의 인산화 반응만 일어나도록 제한함으로써, 신호 반응의 무분별한 확산을 막고 키네이스의 특이성을 향상시킨다.[39][40][41] 이러한 능력은 스캐폴드 단백질과 키네이스 간의 상호작용, 세포 내 인산염 수준, 스캐폴드 단백질의 위치, 신호 전달 물질의 발현 정도 등 여러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9][40]
마지막으로, 스캐폴드 단백질은 활성화된 신호 전달 분자가 탈인산화효소 등에 의해 비활성화되거나 분해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연구에 따르면 스캐폴드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은 인산화효소는 표적과의 반응 전에 탈인산화될 가능성이 더 높다.[40]
7. 헌팅틴 단백질
헌팅틴 단백질은 DNA 손상 부위에서 ATM 수선 단백질과 함께 발견된다.[24] 헌팅틴은 ATM 산화적 DNA 손상 반응 복합체에서 스캐폴드 단백질 역할을 한다.[24] 헌팅턴병은 비정상적인 헌팅틴 단백질을 가지는 질병으로, 이 환자들은 DNA 산화로 인한 손상을 복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산화적 DNA 손상은 헌팅턴병의 발병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5] 즉, 헌팅턴병은 돌연변이 헌팅틴 스캐폴드 단백질의 DNA 수선 기능 이상으로 인해, 대사 활동이 활발한 세포에서 산화적 DNA 손상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24]
8. DNA 수선
SPIDR은 DNA 수선에 관여하는 스캐폴드 단백질 중 하나이다.[26] 이 단백질은 단일 가닥 DNA 위에서 재조합효소인 RAD51 및 DMC1의 안정성이나 조립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26] RAD51과 DMC1은 포유류의 감수 분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상동 재조합을 통해 DNA 이중 가닥 절단을 수선할 때 가닥 교환 과정을 매개한다.[3]
9. 기타 용법
생물학의 다른 분야에서도 "스캐폴드 단백질"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세포 신호전달에 국한되지 않고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이는 단백질이 어떤 목적으로든 여러 단백질이나 분자를 함께 묶는 역할을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 염색체 접힘
: 염색체 골격은 염색질을 콤팩트한 염색체로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염색체 골격은 응축소, 토포아이소머라제 IIα, 키네신 계열 구성원 4(KIF4)[27] 등을 포함한 단백질로 구성되며, 이 구성 단백질들을 스캐폴드 단백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효소 반응
: 특정 경로에서 연속적인 반응을 수행하는 크고 여러 기능을 가진 효소를 스캐폴드 단백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8] 예를 들어 피루브산 탈수소 효소가 있다.
; 분자 형태 형성
: 여러 분자를 함께 잡아 적절한 공간 배열을 유지하도록 돕는 효소나 구조 단백질도 스캐폴드 단백질로 불린다. 예를 들어 철-황 클러스터 스캐폴드 단백질[29][30]이 있다.
; 구조적 스캐폴드
: 세포 골격이나 세포 외 기질(ECM)에서 기계적인 지지대 역할을 하는 분자들도 있다. 예를 들어 4형 콜라겐[31]이 있다.
참조
[1]
논문
Scaffold proteins and immune-cell signalling
2009-01
[2]
논문
Ste5 tethers multiple protein kinases in the MAP kinase cascade required for mating in ''S. cerevisiae''
1994-08
[3]
논문
What Do Scaffold Proteins Really Do?
2000-10-03
[4]
논문
Signal transduction: hanging on a scaffold
2000-04
[5]
논문
The Ste5 Scaffold Directs Mating Signaling by Catalytically Unlocking the Fus3 MAP Kinase for Activation
2009-03
[6]
논문
AKAP signalling complexes: focal points in space and time
2004-12
[7]
논문
Scaffold proteins may biphasically affect the level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and reduce its threshold properties
2000-05-23
[8]
논문
Scaffold proteins confer diverse regulatory properties to protein kinase cascades
2007-08-14
[9]
논문
Wiring diagrams of MAPK regulation by MEKK1, 2, and 3
2004-12-01
[10]
논문
Scaffold State Switching Amplifies, Accelerates, and Insulates Protein Kinase C Signaling
2014-01-24
[11]
논문
KSR and CNK: two scaffolds regulating RAS-mediated RAF activation
2007-05
[12]
논문
C-TAK1 Regulates Ras Signaling by Phosphorylating the MAPK Scaffold, KSR1
2001-11
[13]
논문
NFAT Binding and Regulation of T Cell Activation by the Cytoplasmic Scaffolding Homer Proteins
2008-01-25
[14]
논문
Homer: a link between neural activity and glutamate receptor function
2000-06
[15]
논문
Pellino 1 Is Required for Interleukin-1 (IL-1)-mediated Signaling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the IL-1 Receptor-associated Kinase 4 (IRAK4)-IRAK-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associated Factor 6 (TRAF6) Complex
2003-03-28
[16]
논문
Cutting Edge: Mouse Pellino-2 Modulates IL-1 and Lipopolysaccharide Signaling
2002-10-15
[17]
논문
The inflammasome: a danger sensing complex triggering innate immunity
2007-12
[18]
논문
Discs large (Dlg1) complexes in lymphocyte activation
2004-07-19
[19]
논문
Human Homologue of the Drosophila Discs Large Tumor Suppressor Binds to p56 lck Tyrosine Kinase and Shaker Type Kv1.3 Potassium Channel in T Lymphocytes
1997-10-24
[20]
논문
Scaffold protein Dlgh1 coordinates alternative p38 kinase activation, directing T cell receptor signals toward NFAT but not NF-κB transcription factors
2007-02
[21]
논문
Dlgh1 coordinates actin polymerization, synaptic T cell receptor and lipid raft aggregation, and effector function in T cells
2005-02-07
[22]
논문
Spinophilin participates in information transfer at immunological synapses
2008-04-21
[23]
논문
FLU: A negative regulator of chlorophyll biosynthesis in Arabidopsis thaliana
2001-10-23
[24]
논문
Huntingtin is a scaffolding protein in the ATM oxidative DNA damage response complex
2016-12-25
[25]
논문
Role of oxidative DNA damage in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Huntington's disease pathogenesis
2013-09
[26]
논문
SPIDR is required for homologous recombination during mammalian meiosis
2023-05
[27]
논문
Chromosome Scaffold is a Double-Stranded Assembly of Scaffold Proteins
2015-07-01
[28]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by Lodish
2020-08
[29]
논문
Fe-S Cluster Assembly Pathways in Bacteria
2008
[30]
논문
Anatomy of an iron-sulfur cluster scaffold protein: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2Fe–2S] cluster stability on IscU
2015-06-01
[31]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by Lodish et al. edition 5
2020-08
[32]
논문
The postsynaptic architecture of excitatory synapses: a more quantitative view
2007
[33]
논문
Scaffold proteins and immune-cell signalling
2009
[34]
저널
Ste5 tethers multiple protein kinases in the MAP kinase cascade required for mating in ''S. cerevisiae''
[35]
논문
What do scaffold proteins really do?
2000
[36]
논문
Signal transduction: hanging on a scaffold
[37]
논문
The Ste5 scaffold directs mating signaling by catalytically unlocking the Fus3 MAP kinase for activation
[38]
논문
AKAP signalling complexes: focal points in space and time
[39]
논문
Scaffold proteins may biphasically affect the level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and reduce its threshold properties
[40]
논문
Scaffold proteins confer diverse regulatory properties to protein kinase cascades
[41]
논문
Wiring diagrams of MAPK regulation by MEKK1, 2, and 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